[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8594B1 - 황토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594B1
KR100408594B1 KR10-2000-0006471A KR20000006471A KR100408594B1 KR 100408594 B1 KR100408594 B1 KR 100408594B1 KR 20000006471 A KR20000006471 A KR 20000006471A KR 100408594 B1 KR100408594 B1 KR 100408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cement
color
loess
m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395A (ko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안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성 filed Critical 안호성
Priority to KR10-2000-000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59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5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04B14/308Iron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1Organic co-binders for mineral binder compositions
    • C04B2103/0092Organic co-binders for mineral binder compositions for improving green str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강도가 높으면서 천연의 황토색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도로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황토를 이용한 도로포장재의 강도를 강화하고 색상을 천연황토와 유사하게 하기 위하여 황토 입자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가공된 고순도 황토 분말을 시멘트와 배합하되 도로의 용도에 따라 시멘트와 최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비율로 황토를 배합하며, 시멘트 배합량 증가에 따른 황토 배합토의 회색화를 보완하기 위하여 색상 강화제로서 산화철을 첨가하여 천연황토와 같은 색을 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A composition of clay pavement and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도로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강도가 높으면서 천연의 황토색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도로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황토를 이용한 도로포장재에서 황토색깔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정압축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혼합비 이상으로 황토를 많이 섞어(시멘트와 황토의 중량 혼합비율 1:1.5∼2) 제조함으로써 압축강도가 약하여(압축강도 80∼100kg/㎠)깨지거나 겨울에 동파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강도보강 및 크렉(Creck)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인더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바인더를 이용한 강도유지 한계점이 강도 100kg/㎠을 넘지 못하여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 차량진입로 등에 하자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렇게 황토를 이용한 도로포장재의 압축 강도가 약한 또 다른 이유는 산야의 생황토를 미분쇄하지 않고 도로포장재용 황토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이며 황토 잔덩어리 및 마사의 덩이가 섞여 미세 시멘트 입자와 화학적 결합이 원할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강도를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 황토를 이용한 도로포장재의 강도를 강화하고 색상을 천연황토와 유사하게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황토 입자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가공된 고순도 황토 분말을 시멘트와 배합하되 도로의 용도에 따라 시멘트와 최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비율로 황토를 배합하며, 시멘트 배합량 증가에 따른 배합토의 흑색화를 보완하기 위하여 색상 강화제로 산화철을 첨가하여 천연황토와 같은 색을 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도로포장용으로 시멘트와의 고결이 잘 이루어지도록 특별히 황토를 구워서 100∼150mesh로 분쇄 가공한 고순도 미세 분말 황토(G.S 코퍼레이션사, 성분 및 물성 시험성적서 참조)를 사용하며, 황토포장도로의 용도에 따라 시멘트대 황토의 배합 중량비율은 1 : 0.78∼1.42로 하고 시멘트대 자갈, 모래의 비율은 1 : 6.67 : 1.49 비율로 하여 이들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레미콘 트럭에서 혼합한다.
기본 투입자재인 시멘트 3kg, 자갈 20kg, 모래 4.48kg, 물 4.8kg에 대하여 황토의 혼합비률에 따른 황토 도로포장재의 압축강도는 표 1과 같다.
<표 1> 시멘트 3kg에 대한 황토의 혼합비율에 따른 도로포장재의 압축강도
시험구 1 2 3 4
황토 kg 2.35 3.0 4.26 5.4
시멘트 kg 3 3 3 3
황토/시멘트 비율 0.78 1.00 1.42 1.80
압축강도 kg/㎠(레미콘작업 혼합시료) 210 180 150 130
압축강도 N/㎟(수작업 시료) 23.1 21.5 18.6 ·
압축강도 kg/㎠(수작업 시료) 231 215 186 ·
색상 불량 : 시멘트 배합비의 증가에 따라 회색화 되어감 흐린 황토색을 나타냄.
비고 레미콘작업 혼합시료는 현장에서 다량 생산을 위하여 레미콘으로 혼합한 것이고 수작업 시료는 시험시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수작업으로 별도 혼합한 시료로서, 시멘트와 황토의 배합비율이 동일하여도 레미콘작업 혼합시료보다 수작업 시료의 강도가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슴.
본 발명의 시험구 1,2,3의 제품은 압축강도에 있어서 종래의 도로포장재인 시험구 4보다 압축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황토에 대해서 시멘트의 혼합비율이 높아서 황토색깔이 제대로 나오지 않고 시멘트의 배합비가 증가됨에 따라 시멘트의 회색이 진하게 나타났으며, 시험구 4의 제품은 황토의 첨가에 따라 색상은 흐린 황토색을 나타냈으나 강도면에서도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본원 발명의 압축강도의 수준을 <표 1>의 1,2,3(150∼210kg/㎠ : 레미콘 작업 혼합시료)제품으로 맞추고 붉은색의 산화철과 노란색의 산화철을 조합해서 첨가하여 본 결과 압축강도도 높고 색상면에서도 천연의 황토색을 얻을 수 있었다. 그 배합비율과 이에 따른 도로포장재 용도는 <표 2>와 같다.
<표 2> 첨가 산화철의 조합비율과 그것에 따른 도로포장재 용도
시험구 1 2 3
황토 kg 2.35 3.00 4.26
시멘트 kg 3 3 3
압축강도kg/㎠ 210 180 150
포장도로의 색상 황토색 적황토색 황토색 적황토색 황토색 적황토색
산화철(붉은색)첨가량 g 45 75 40 60 35 50
산화철(노란색)첨가량 g 90 90 60 60 45 45
산화철/시멘트×100 % 4.5 5.5 3.33 4.00 2.67 3.17
용도 자건거도로, 사찰진입로, 공원진입로, 주차장(차량전용가능) 자전거도로, 사찰마당, 공원광장 체육시설(차량진입가능) 공원산책로, 소로길,마당, 문화재 보도길(차량진입불가)
비고 기본재료는 시멘트 3kg, 자갈 20kg, 모래 4.48kg, 물 4.8kg을 기준으로한다.
<표 2>와 같이 포장용도에 따라 황토와 산화철(붉은색과 노란색) 배합비율을 달리하여서 필요한 도로의 압축강도(150∼210kg/㎠)와 다양한 천연의 황토색을 얻을 수 있다. 색상의 종류는 시멘트에 대한 산화철의 비율을 2.67∼5.50%로 하여 일반 황토색과 붉은 황토색 등으로 다양한 색상을 만들수 있고 현대화된 레미콘 생산시설로 제조하기 때문에 균일한 제품으로 규격화하여 생산량을 1일 시공 25대분에서 100대분까지 레미콘 트럭(6㎥) 기준으로 생산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시멘트에 대하여 생황토를 구워서 100∼150mesh로 분쇄한 고순도 미세분말 황토의 배합중량비를 1 : 0.78∼1.42로 하고, 시멘트에 대하여 산화철(붉은색, 노란색)을 2.66∼5.50% 첨가하며, 기본 투입자재로서 시멘트 3kg, 가는 자갈 20kg, 모래 4.48kg, 물 4.8kg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통상의 보도블록 형틀로 황토보도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야의 생황토를 사용하는 대신 황토 입자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가공되는 고순도 황토 분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세한 시멘트와 균일하게 혼합되며 화학적 결합이 잘 이루어져 가공하지 않은 생황토를 사용했을 때보다 20∼30kg/㎠정도 더 강도가 강하며, 더우기 별도의 색소를 첨가하므로 시멘트 배합증가에 따른 색상의 변화에 관계없이 필요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시멘트량을 배합할 수 있어 압축강도가 생황토를 많이 사용하는 종래의 도로포장재보다 평균 50∼ 120kg/㎠ 정도 향상되므로 동파 및 크렉에 강하고, 황토와 산화철의 혼합률을 조절하여 차량전용도로, 차량진입가능도로, 차량진입불가도로에 따라 또는 주위의 경관과 조건에 맞추어 강도 및 색깔을 자유롭게 생산할 수 있으며 압축강도가 시멘트 콘크리트 정도로 높으면서 천연의 황토색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시멘트, 자갈, 모래, 황토로 구성된 도로포장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황토를 구워 100∼150mesh로 분쇄한 고순도 미세 분말 황토를 사용하며 시멘트와 황토의 배합 중량비는 1 : 0.78∼1.42이고 천연 황토색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붉은색과 노란색의 산화철을 조합하여 시멘트량에 대하여 2.67∼5.50%를 첨가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자갈, 모래, 물을 혼합하되 도로의 용도에 따라 시멘트에 대한 황토의 배합비와 산화철의 첨가비를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도로포장재 제조방법.
  2. 시멘트, 자갈, 모래, 황토로 구성된 도로포장재에 있어서,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황토를 구워 100∼150mesh로 분쇄한 고순도 미세 분말 황토를 사용하며 시멘트와 황토의 배합 중량비는 1 : 0.78∼1.42이고 천연 황토색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붉은색과 노란색의 산화철을 조합하여 시멘트량에 대하여 2.67∼5.50%를 첨가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자갈, 모래, 물을 혼합하되 도로의 용도에 따라 시멘트에 대한 황토의 배합비와 산화철의 첨가비를 조절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 도로포장재.
  3. 삭제
KR10-2000-0006471A 2000-02-11 2000-02-11 황토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0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471A KR100408594B1 (ko) 2000-02-11 2000-02-11 황토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471A KR100408594B1 (ko) 2000-02-11 2000-02-11 황토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95A KR20000049395A (ko) 2000-08-05
KR100408594B1 true KR100408594B1 (ko) 2003-12-06

Family

ID=1964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4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8594B1 (ko) 2000-02-11 2000-02-11 황토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5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32B1 (ko) * 2009-12-10 2011-08-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시멘트 황토 습식포장재, 및 상기 습식포장재 제조방법
KR101093670B1 (ko) * 2009-05-22 2011-12-15 (주)서우 자연토 색상 발현을 위한 안료 조성물
KR101154857B1 (ko) 2010-04-26 2012-06-18 (주)서우 유황 폴리머 시멘트와 아스팔트가 포함되는 도로 포장재 및 그 도로 포장재의 제조 방법
US8617307B2 (en) 2009-01-30 2013-12-31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lkali-activated binder, alkali-activated mortar, concrete products and wet red clay paving material using binder
KR102140723B1 (ko) 2019-04-12 2020-08-03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공사 황토콘크리트 도로 포장용 레드 머드 슬러리 조성물
KR20230152271A (ko) 2022-04-27 2023-11-03 공영일 친환경 토양 고화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130B1 (ko) * 2000-10-31 2004-03-18 김무한 황토미분말을 적용한 포러스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7757B1 (ko) * 2000-12-19 2003-09-13 윤석남 골재 황토 콘크리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457997B1 (ko) * 2001-05-26 2004-11-18 (주)지플러스 황토콘크리트 조성물
KR100454875B1 (ko) * 2001-09-11 2004-11-05 성세경 도로포장재 조성물
KR100500313B1 (ko) * 2002-11-04 2005-07-11 최상구 황토볼모르터의 제조
KR20030058994A (ko) * 2003-05-23 2003-07-07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보드블록 제조 방법
KR100587991B1 (ko) * 2004-07-30 2006-06-12 주식회사 세건산업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판 마루바닥재
KR100763811B1 (ko) * 2006-07-07 2007-10-05 김은령 미끄럼방지 로면 시공용 불변색 골재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895A (ko) * 1998-06-02 1998-10-07 황익현 토양도로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895A (ko) * 1998-06-02 1998-10-07 황익현 토양도로포장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7307B2 (en) 2009-01-30 2013-12-31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lkali-activated binder, alkali-activated mortar, concrete products and wet red clay paving material using binder
KR101093670B1 (ko) * 2009-05-22 2011-12-15 (주)서우 자연토 색상 발현을 위한 안료 조성물
KR101053032B1 (ko) * 2009-12-10 2011-08-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시멘트 황토 습식포장재, 및 상기 습식포장재 제조방법
KR101154857B1 (ko) 2010-04-26 2012-06-18 (주)서우 유황 폴리머 시멘트와 아스팔트가 포함되는 도로 포장재 및 그 도로 포장재의 제조 방법
KR102140723B1 (ko) 2019-04-12 2020-08-03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공사 황토콘크리트 도로 포장용 레드 머드 슬러리 조성물
KR20230152271A (ko) 2022-04-27 2023-11-03 공영일 친환경 토양 고화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395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594B1 (ko) 황토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EP0572076B1 (en) Ce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N101792668B (zh) 一种公路用固化剂及其固化路面基层的方法
CN111056808A (zh) 一种用于重载路面的全粒度钢渣路面基层材料
KR101536308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레미콘 조성물
CN110981342B (zh) 一种高强度白色混凝土
CN113501702A (zh) 一种全固废路缘石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503194B (zh) 桥梁伸缩缝及薄壳结构高标号混凝土专用复合胶凝材
KR101904172B1 (ko) 도로포장용 초조강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CN110696184B (zh) 一种高强透水水泥混凝土生产制备方法
KR100902937B1 (ko) 산화철계안료를 포함하는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칼라콘크리트 포장공법
CN101486913B (zh) 一种黑色土壤固化剂
CN108341646A (zh) 基于复合混凝土路面用橡胶粉改性水泥基注入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30299B1 (ko) 망간을 주성분으로 하는 착색제를 이용한 착색벽돌 조성물 및 착색벽돌의 제조방법
KR102137711B1 (ko)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및 이를 이용한 칼라 콘크리트 조성물
JPH02160895A (ja) 地盤改良剤
DE2628008C3 (de) Belag für Wege, Straßen und Plätz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12374836A (zh) 一种水泥稳定碎石凝胶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RU2114088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легкого ячеистого бетона
CN101440617A (zh) 一种高强度粉末土壤固化剂及其在修筑公路中的应用
RU2108309C1 (ru)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ая смесь
KR100472941B1 (ko)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지니는 투수성 다공질 콘크리트조성물
RU213231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цветной брусчатки
SU1474133A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 литой асфальтобетонной смеси
CN108409254A (zh) 利用赤泥制备透水材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515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