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7426B1 - 통신시스템및그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및그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426B1
KR100407426B1 KR1019960706250A KR19960706250A KR100407426B1 KR 100407426 B1 KR100407426 B1 KR 100407426B1 KR 1019960706250 A KR1019960706250 A KR 1019960706250A KR 19960706250 A KR19960706250 A KR 19960706250A KR 100407426 B1 KR100407426 B1 KR 10040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enter
register
data
terminal
trans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091A (ko
Inventor
초타이 서닐
Original Assignee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filed Critical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ublication of KR97070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4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Arrangements for recalling a calling subscriber when the wanted subscriber ceases to be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랜스액션(예를 들어 통화)이 종료된 후 접속은 완전히 복구되지는 않는다. 현재 호의 종료시점에 또다른 접속 예를 들어, 가입자 시설인 음성 메시지 또는 호완료가 셋업되면, 플래그(F)가 접속관리 시스템(CM)에 설정된다. 상기 플래그(F)의 상태는, 종단(B)으로 향하는 접속에서 신호가 유지되어야 할 것인지 또는 즉시 복구되어야 할 것인지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플래그(F)의 상태에 의존하여 서로 다른 행위가 네트워크 내에서 취해진다. 접속이 소정의 구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플래그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F,F1,F2)는, 네트워크 종단제어가 전달되면, 스위칭 센터(MSC1)로부터 다른 스위칭 센터(MSC2)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종단(B)의 제어가 플래그(F1)과 관련된 상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스위칭 센터로 이동하면, 상기 플래그 상태는, 상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스위칭 센터로 다시 접속이 될만큼의 시간까지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버퍼 레지스터(HLR)에 저장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룰러 무선 시스템의 서로 다른 스위칭 센터 사이에서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넘겨주는 처리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셀룰러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무선통신 기지국이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양호한 무선 통신링크에 따라 다수의 고정 무선 기지국중의 하나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이동 무선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기지국과 이동유닛간의 무선 링크의 수립은 유닛 사이에서 기지국을 경유하여 호(call)를 라우팅하는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re : MSC)의 제어하에 있다. 통화도중에 이동 무선 유닛이 무선 기지국에 대해 이동하면, 이동 유닛과 제 1 무선 기지국간의 무선 교신이 중단될 수도 있고, 이동 스위칭 센터는 제 2 기지국과 이동유닛간의 새로운 무선 링크를 수립하고, 통화를 방해하지 아니하고 제 1 링크를 두절되도록 한다. 이 과정은 핸드오버(handover)로 알려져 있다.
이동유닛과의 무선 링크 수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하도록 허용된 이동유닛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용되는 데이터 저장의 2가지 타입은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 ; HLR) 및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 ; VLR)로 알려져 있다. 각각의 이동 스위칭 센터는, 그 제어하에 있었던 최근의 어느 비활성유닛을 포함하여, 현재 그 MS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유닛의 세목을 저장하는 VLR을 가진다. 상기 세목은 이동유닛이 동작하는 대상인 현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그것은 이동유닛으로 하여금 인입호(incoming call)를 수립하기 위하여 즉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인출호(outgoing call)를 시도하면 이동유닛의 식별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HLR은 이동유닛에 관한 영구적 세목 즉, 접속권, 및 인입호 요구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번호 변환을 저장한다. 그것은 또한 이동유닛이 현재 로그온되어 있는 VLR을 확인한다.
네트워크와의 교신을 함에 있어서, 이동유닛의 위치가 상기 VLR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것과 상응하지 않음이 확인되면, 상기 VLR에 있는 정보는 갱신된다. 많은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MSC를 가지고 있다. 이동유닛의 새로운 위치가 이전에 동작하던 MSC가 아닌 다른 MSC의 제어하에 있다면 상기 이동유닛 세목은 그 VLR에서는 발견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새로운 MSC의 VLR은 상기 이동유닛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HLR로부터 검색한다. 상기 HLR은 상기 이동유닛이 동작하는 VLR의 기록을 갱신할 수 있고, 이전 VLR에 있는 기록은 취소하게 한다. 이 위치 갱신은 호가 수립되는 동안 또는 주기적인 갱신 트랜잭션에서 행해질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의 예는 국제특허출원 WO93/18606호(Bell Atlantic) 및 IEEE Personal Communications 1/1994 (Mohan and Jain) 42쪽 내지 52쪽의 " 개인 통신 서비스를 위한 2 사용자 위치 전략(Tow User Location Strategies for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에 설명되어 있다. VRL들 사이에서 어떤 위치 관련 데이터가 통과되는 약간 다른 시스템이 독일 특허 명세서 DE 3212023호(Siemens)에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어디에 있든지 동일 이동유닛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세계 전역을 포괄하는 셀룰러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없다. 그들은 전형적으로 개별국가에 상응하는 제한된 지역적 영역을 포괄할 뿐이다. 사용자로 하여금 서로 다른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에 의하여 포괄되는 지역에서 동일 이동유닛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하여 로밍(roaming) 시설이 다수의 셀룰러 무선 통신 오퍼레이터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밍 시설은 사용자로 하여금 지역적 커버리지를 갖는 어떤 네트워크와도 접속하게 해주며, 인증, 호 라우팅, 요금청구 내용에 있어서 ' 홈(home) 구역' 네크워크에 대한 가입자인 것처럼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로밍 시설은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동일 지역을 포괄하는 오퍼레이터중에서 예를 들어 가장 요금이 유리한 오퍼레이터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로밍의 원리는 각 네트워크의 HLR이 로밍 구성에 참여하고 있는 다른 네트워크의 VLR들과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하고, 그 결과 이동유닛이 어느 한 네트워크와 접촉할 때 그 이동유닛이 정확히 식별될 수 있고, 이동유닛이 그의 ' 홈 구역' 네트워크에 있지 않을 때도 인입호의 라우팅을 위해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으로 알려져 있는 셀룰러 이동 통신 표준은 로밍 및 기타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그러한 서비스의 하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voice message service ; VMS)인데, 호접속실패자가 후속조치로서 피발호측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시지는 피발호측 HLR과 연관된 음성 메시지 센터(VMC)에 저장된다. 이동유닛의 사용자가 상기 VMC에 메시지가 존재함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HLR에 있는 사용자 기록은 플래그되어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다음번 접속을 할 때, 상기 메시지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신호가 이동유닛으로 전송된다.
다른 시설은 피발호측이 다음 호출을 할 때 또는 먼저 호출을 시도했을 당시 피발호측이 진행중이던 통화를 끝낼 때, 응답을 받지 못한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호출측은 다른 호시도가 현재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통지받을 수 있는 화중 가입자 호완결(Call Completion to Busy Subscriber; CCBS) 서비스이다.
그 밖의 그와 같은 서비스는 데이터 메시지를 이동유닛으로 전송하는 능력으로서, 짧은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로 알려져 있는 기능이다. 상기 데이터 메시지는 이동유닛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내장 디스플레이 유닛에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게 한다.
로밍 규약상 서로 다른 오퍼레이터는 기본호 수립에서는 호환성을 유지하지만, 서로 다른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현행 GSM 표준에 있어서, 이들 서비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표시기(indicator)는 사용자의 HLR에 저장되어 있다. 로밍 구성하에서 사용자가 현재 다른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와 교신하고 있다면, 이것은 결과적으로 시그널링에 현저하게 불리한 조건을 준다. 왜냐하면 서비스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신호는 HLR을 경유하여 전달되어야 하고 그것(HLR)은 서로 다른 나라 또는 심지어 서로 다른대륙에 위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사용자가 또 다른 스위칭 센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영역으로 이동한다면, 사용자가 항상 동일한 HLR에 연관되어 있는 만큼 정보가 손실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새로운 스위칭 센터에서 상기 서비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면 상기 표시기는 사용자가 원래의 스위칭 센터로 복귀하거나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른 스위칭센터로 복귀하거나 또는 표시기의 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상기 HLR내에 설정되어 유지된다.
이 배열은 사용자의 현재 스위칭 센터가 사용자 HLR에서 데이터를 얻고 이를 갱신해야만 하기 때문에 시그널링에 있어서 매우 비효율적인데, 비록 상기 서비스가 지역 호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것일지라도, 스위칭 센터는 지구상의 반대쪽에 있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오퍼레이터의 비용에 현저한 오버헤드(overhead)를 추가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가 VLR에 저장되어 있으면, 다른 VLR로의 핸드오버시에 " 위치 제거 신호" 가 상기 VLR로 송신될 때 상기 데이터는 상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네트워크 단말기가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스위칭 센터를 통하여 통신링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단말기와 통신링크를 구축하는 복수의 스위칭 센터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 1 및 제 2 스위칭 센터는 각각의 레지스터 수단과 연관되며,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 수단은 각각의 스위칭 센터와 현재 통신중인 네트워크 단말기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의 활성 상태에 관한 것이고, 상기 스위칭 센터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스위칭 센터로부터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로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의 이송을 실행하는 수단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 수단은 단말기와 연관된 기능의 활성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수단 및 데이터 전송수단을 갖고,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제 1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 수단에서 단말기와 연관된 기능의 현재 활성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배열된 판독수단;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 1 스위칭 센터로부터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 수단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네트워크 단말기가 서로 다른 스위칭 센터와 서로 다른 시간에 통신링크를 설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의 활성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각각의 단말기가 현재 통신중인 제 1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정보는 그 안에 저장되면서 수정되고,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이 제 2 스위칭 센터로 이송될 때, 상기 수정된 데이터는 제 1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에서 제 2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이다.
이것은 현재의 GSM 절차로부터의 이탈을 나타낸다. GSM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스위칭 센터(MSC)가 이동유닛의 제어를 넘기면, 관련 레지스터(VLR)의 이동유닛에 관한 기록은 사용자의 HLR로부터 전송된 " 취소 위치" 신호에 의하여 삭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정보가 하나의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로부터 다른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로 전달된다.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의 제어가 한 스위칭 센터로부터 다른 스위칭 센터로 넘겨질 때, 스위칭 센터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는 제 1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로부터 판독되며; 제 2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로 전송되며; 제 2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새로운 스위칭 센터가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면 문제가 일어난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는, 새로운 레지스터가 그것을 저장하지 못하고 그 데이터는 원래의 레지스터로부터도 삭제되기 때문에 상실되어 버린다. 그래서 사용자가 원래의 스위칭 센터에 의한 제어로 복귀할 때 또는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른 어떤 스위칭 센터로 복귀할 때, 상기 서비스는 활성화될 수 없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VMC에 메시지가 저장되어 보유될 수는 있으나, 사용자에게 그 신호음이 전달되지는 아니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CCBS 서비스도 실패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먼저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연관된 레지스터를 갖지 않는 또 다른 스위칭 센터로 전달된다면, 상기 데이터는 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이 제 2 스위칭 센터로 전달될 때,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로 전송된다. 이 경우에, 제 1 및 제 2 스위칭 센터는 하나이거나 동일한 것일 수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트랜잭션 종료시에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링크를 해제하는 수단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단말기에 대한 추가의 트랜잭션이 이루어져야 한다면 통신링크의 전부 또는 일부의 해제가 금지된다. 본 출원과 동일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는 출원인의 동시 계류중인 출원 WO95/01218호는 그러한 서비스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소정의 지연기간 동안 유지되는데, 추가 트랜잭션의 타입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표시수단은 상기 메시지 시설에 저장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또는 제 1 단말기가 트랜잭션을 끝냈음을 표시하는 신호가 송신되는 제 2 단말기에 의한 초기 트랜잭션 시도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트워크 단말기에 대한 추가 트랜잭션 시도는 사용자에게 상기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음(예를 들어, 메일박스 시설에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관한 추가 트랜잭션 후에 소정의 지연기간 동안 상기 링크가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단말기로 또 다른 추가 트랜잭션을 시도할 수 있게 허용하는 것이 이득이 되는데,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를 알게 된 사용자가 그것을 조작하기 위하여 호시도(예를 들여, 메일박스에 접속)를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를 드는 방식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는 동시에 계류중인 본 출원인의 출원(대리인 사건번호: A24853) 발명을 통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제 1 도의 시스템이 CCBS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한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의 시스템이 SMS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제 1 도의 시스템이 VMS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한 도면; 및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센터간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한 도면이다.
제 1 도는 2개의 이동 스위칭 센터(MSCa, MSCb)를 포함하는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MSCa 및 MSCb는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공중회선 교환전화망(PSTN)과 접속되어 있고, 그리하여 단말기C와 같은 고정된 사용자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이동 스위칭 센터(MSCa, MSCb)는 각각 그들과 연관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a, VLRb)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VRLa 및 VRLb는 각각의 이동 스위칭 센터(MSCa, MSCb)에 현재 등록되어 있는 이동 유닛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음성 메시지 센터(VMC),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와 같은 메시지 저장에 필요한 시스템이 상기 이동 스위칭 센터(MSCb)에 연관되어 있다. 유사한 구성(도시하지 않음)이 다른 이동 스위칭 센터(MSCa)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이동 스위칭 센터(MSCa, MSCb)는 각각의 기지국 시스템(BSSa, BSSb)을 제어한다. 이동 유닛(A, B)은 이동 스위칭 센터(MSCa, MSCb)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동유닛(A, B)은 네트워크 주위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유닛(A, B)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강력한 무선 신호를 제공하는 기지국(BSCa, BSCb)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제 2, 3, 4 도는 각각 3가지 다른 서비스의 트랜잭션 과정에 있어서 6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자(A, B, C)가 동일한 접속 관리 시스템의 제어하에서 동일한 이동 스위칭 센터(MSC)에 대해 동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와 관련하여 각 사용자에 대해 서비스 상태 플래그 값 표시기가 존재한다. 사용자(B)에 관련된 플래그(F) 및 사용자(A)(제 3 도 및 제 4 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 관련된 플래그(F')가 그것이다. 사용자(C)도 플래그 값 표시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것은 도시된 예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어 있지 않다. 사실상 사용자(C)는 제 1 도에 도시된 PSTN을 경유하여 MSC에 접속되는 고정된 단말기일 수 있다. 이동 스위칭 센터(MSC)의 중심적 기능인 접속 관리 시스템(CM)은 사용자(A, B, C)와 짧은 메시지 서비스 설비(SMS)와 음성 메지지 센터(VMC) 사이에 다양한 접속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 접속 관리 시스템" 이라는 용어는 제 1 도에 도시된 네트워크 실체 및 그들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제 5 도는 하나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1)로부터 다른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2)로의 이들 플래그 값의 전송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이동 스위칭 센터 (MSC1)에 관련된 제 1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1)에 현재 등록되어 있는 이동 사용자(B)가 제 2 이동 스위칭 센터(MSC2)와 교신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유닛(B)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에 영구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이동 스위칭 센터(MSC1, MSC2)는 그들 각각의 연관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1, VLR2)에서 이동유닛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기 위하여 홈 위치 레지스터(HLR)와 통신한다. 이들 실시예는, 전자 기술자 핸드북(Electronic Engineers Handbook, ed. FF Mazda, 6th edition 1989: Butterworths Press)의 섹션 58.2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잡한 대규모 통신 시스템의 관리에 도움을 주는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 OSI)에 따른 프로토콜 계층 개념을 사용한다.
상기 시스템을 정의하는 다양한 실체간의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프로토콜은 상기 OSI 원칙에 따라 계층화될 수 있으며, 각각의 층(layer)은 특정 기능에 할당되고 예를 들어, 데이터 링크 층(layer2)는 오차 검출 및 정정을 사용하는 전송 설비를 제공한다.
2개의 네트워크 실체, 예를 들어, 2개의 단말기(A, B) 또는 하나의 단말기와 서비스 구성요소(예를 들어, 이동 관리 요소) 사이의 통신 트랜잭션 동안에, 수개의 프로토콜 층이 관련된다. 각 층은 상위 층으로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다 하위 층으로부터의 서비스를 활용한다.
원격 노드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트랜잭션이 종료하면, 상기 노드 사이의 통신 설비는 정상적으로 순차적인 방법으로 해제된다. 각각의 통신 층은 최고위 프로토콜 층에서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프로토콜 관계를 종료한다. 모든 프로토콜 층이 클리어(clear)되면, 통신 접속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이동통신 환경에서 OSI layer3(네트워크 층)은 편리하게 3개의 서브레벨로 분할된다. 접속관리(CM)인 최상위 서브레벨, 이동관리(MM)인 중간 서브레벨, 및 무선통신 자원(RR)인 최하위 서브레벨이 그것인데, 이들은 각각 말단-말단 접속(end-to-end connections)의 수립 및 유지, 기지국간 이동유닛의 움직임 관리(핸드오버 및 위치 갱신), 및 무선 통신 유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 관리(MM) 실체를 제어하는 신호 접속으로부터 접속관리(CM)와 연관된 신호 접속의 해제를 분리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상기 CM의 해제는 MM 및 하위 층 접속의 해제와 분리된다. 상기 MM 및 상기 대응하는 하위 층들의 해제는 제어 요소 또는 플래그(이하에서는, " 유지 접속 표시기(Maintain Connection Indicator; MCI) 플래그" 라고 함)에 의하여 관리된다. CM층에서의 트랜잭션이 종료된 후 예를 들어, 전화통화의 종료시에, 상기 하위 층은 자동적으로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 MCI 플래그의 상태는 이동 기지국(MS)으로의 신호접속이 유지될 것인지 또는 즉시 해제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MCI 플래그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이 네트워크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래그는 " 접속 유지 보호(Connection Maintained Protection; CMP) 타이머" 로 언급되는 감시 타이머의 제어하에 있다.
다른 트랜잭션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상기 MM 접속을 유지하는 기법은 몇몇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며 또한 이들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RL)에 저장되어 있는 유지 접속 표시기(MCI)플래그(F)는 현재의 접속을 사용하는 트랜잭션의 종료시에 상기 이동유닛에 대해 존재하는 신호 접속을 유지해야 하는지 여부에 관한 의사결정의 기초로서 사용된다.
이들 프로토콜에 따른 제 1 도의 시스템 동작은 이하 제 2, 3, 4 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플래그(F, F')로 표시되는 상기 MCI 변수는 각각 서로 다른 상태를 표시하는 수개의 구별되는 값을 가진다. 상기 값 중 하나(zero)는 접속이 유지될 필요가 없고 즉시 해제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값들은 접속이 다른 사용자들에 의하여 유지될 필요가 있음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사용되지 않으면 소정 시간 이후에 해제되는 것(타임-아웃; time-out)을 보증하도록 접속을 감독하는 것이 유용하다. 상기 타임-아웃은 어떠한 가능한 비정상적 사건에 대한 예방이 될 것이다.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서로 다른 타임-아웃 값을 갖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상기 MCI 상태(플래그 F, F')는 2가지 가능한 값을 취하면서 부호화될 수 있는데, 하나는 즉시 해제될 수 있는 접속을 표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트랜잭션용으로 접속이 유지되어야 함을 표시하는 것이다. 접속이 유지되어야 하는 각각의 MCI 상태에 대해, 접속 유지 보호(CMP) 타이머는 그것과 연관될 수 있다. 유연성을 주기 위하여, 0을 포함한 4개의 서로 다른 타이머 값에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MCI 상태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시간은 연관된 서비스에 의존할 것이다.
표 1 은 MCI 상태 및 하나의 8진수를 사용하는 관련 CMP 타이머를 위한 가능한 부호화 체계를 수립한 것이다.
이 표에서 "x"는 상태가 " 0" 또는 " 1" 일 수 있음을 가리키며, 후자는 제2 실체가 플래그되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위치 3 및 4 모두가 " 1" 인 상태(플래그 3 및 4 모두 활성화됨)는 호 제어 실체와 보조 서비스 실체 모두를 위해 접속이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타임-아웃 값이 상기 플래그된 실체들 중의 하나에 대응하는 가장 긴 것이다.
표 1
상기 접속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사용되지 않으면 해제된다.
통화 또는 주기적 위치 갱신 등의 트랜잭션 종료시에, 이동유닛(B)과 이동 스위칭 센터(MSC) 사이의 신호 접속은 즉시 해제되지 않는다. MCI 플래그의 상태가 검사되고, 상기 MCI 플래그의 상태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다른 동작이 이루어진다. 모든 MCI 플래그의 상태가 " 0" 이라면, 즉 기존 접속을 사용하려고 대기중인 어떠한 새로운 트랜잭션도 없다면, 기지국 시스템(Base Station System)으로 클리어 명령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지국 시스템이 상기 이동국(B)에 대한 무선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접속은 해제된다. 상기 기지국 시스템(BSS)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후, 기지국 시스템(BSS)으로의 접속이 정상적인 방법으로 해제된다. MCI 플래그(F)의 상태가 접속을 사용할 수도 있는 다른 트랜잭션이 있음을 나타내면, 이동국(B)에 대한 기존 신호 접속은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 접속 유지 보호(CMP)는 새로운 트랜잭션이 유지된 접속을 이용하기 시작할 때까지 접속유지를 감시하기 위해 시작될 수 있다. 새로운 트랜잭션이 상기 유지된 신호접속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포기된다면, 상기 신호접속은 상기 CMP 타이머의 종료 후에 해제된다. 이하의 예에서는 하나의 MCI 플래그의 상태만이 어느 한 시각에 주어진 사용자에게 활성화된다.
제 2 도는 화중 가입자에 대한 호완료 서비스(Call Completion to Busy Subscriber; CCBS)에 관한 절차를 도시한다. 초기에 (스텝 a) 사용자(B)는 사용자(C)와 통신하고 있다. 스텝 b에서 사용자(A)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B)와 통신을 시도한다. 사용자(B)가 지금 통화중이기 때문에 접속관리 시스템(CM)은 사용자(A)에게 CCBS 기능을 제안하고, 상기 사용자(A)에 대한 접속이 상기 CCBS 기능의 제안에 응답한 사용자(A)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호 제어 기능을 위해 유지될 것임을 표시하는 플래그(F')가 설정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래그 값은 서비스의 성질에 의존한다. 이 경우 호 제어 기능을 표시하는 플래그 ' 3' 이 세트된다. 이 플래그는 소정의 타임아웃 기간 후에 소멸되도록 설정된다. 만일 플래그(F')의 유지동안 사용자(A)가 상기 CCBS 기능을 사용할 것인지의 제안에 응하면 상기 접속관리 시스템(CM)은 사용자(B)를 모니터링하도록 배열되고, 플래그(F)가 설정된다(스텝 c). 이 순간 플래그 값은 보조 서비스가 요청되었음을 표시하는 ' 4' 이다. 서비스가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승인 (acknowledgement)이 사용자(A)에게 전달되고, 플래그( F')를 클리어 시킨다.
사용자(B)와 사용자(C) 사이의 통화는 계속된다(스텝 d). 그것이 종료되면(스텝 e) 플래그(F)의 조건은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사용자(B)로의 신호접속이 플래그(F) 및 그 관련 타이머에 의해 정하여진 짧은 시간 동안 열린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것은 접속 관리 시스템(CM)으로 하여금 사용자(A)에게 사용자(B)의 가용성을 알려서, 이동 스위칭 센터(MSC)와 사용자(B)간의 채널할당을 포함하는 완전히 새로운 접속을 구축할 필요 없이 콜백(call back)이 수행될 수 있게 한다(스텝 f). 이제 상기 플래그(F)는 0(zero)으로 리셋된다.
상기 이동국(사용자 B)이 네트워크와 무선교신을 하고 있지 않은 동안, 상기 CCBS 서비스 및 MCI 플래그에 관련된 정보는 VLR에 저장되어 유지된다. 사용자(B)가 네트워크와 다음번 접속을 할 때, 호 관련 트랜잭션 또는 위치 갱신과 같은 호 독립 트랜잭션이든 VLR에 저장된 정보는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다른 트랜잭션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접속을 유지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5 도를 참조하면, 사용자(B)가 다른 VLR에 연관된 MSC와 교신을 한다면, 상기 정보는 상기 다른 VLR로 전달될 수 있다.
제 3 도는 짧은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과정을 도시한다. 그러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지국의 범위 밖에 있거나 그의 단말기를 꺼놓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교신하지 않는 동안 메시지를 수신한 음성 메시지 센터로부터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검색과 같은 어떤 행위가 요구된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짧은 메시지 시설은 언제든지 사용자(B)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시도할 수 있으나, 사용자(B)는 메시지가 전달될 때(스텝 b) 무선 교신 상태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SMS 시설은 상기 사용자(B)에게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았고 추후 전달을 위해 서비스 센터가 메시지를 저장하였다는 경보를 받는다. 스텝 b에서 플래그는 메시지가 SMS 시설에 저장되어 있음을 표시하도록 설정된다. 스텝 c에서 사용자(B)는 네트워크와 통신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등록 갱신을 위해서 또는 호 시도를 위해서이다. 상기 MCI 플래그는 그와 같이 수립된 링크가, 상기 메시지가 사용자 B에게 전해지도록(스텝 d) 유지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스텝 e에서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B)에게 전달되고 플래그 값(F)은 " 0" 으로 리셋된다. 상기 메시지가 전달되었을 때, 사용자(B)에 대한 접속은, 다른 트랜잭션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 않다면, 즉시 중단될 수 있다(스텝 f). 대안적으로, 상기 접속은 사용자(B)가 메시지에응답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기 음성 메시지 센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소정 기간 더 유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4 도는 상기 음성 메시지 센터 스스로 응답을 주도하는 대안적인 처리절차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 사용자(B)는 초기에 다른 통화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가능한 상태가 아니다. 초기에(스텝 a) 사용자(B)는 사용자(C)와 통신하고 있다. 스텝 b에서 사용자(A)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B)와 통신을 시도한다. 사용자(B)가 통화중이므로 접속관리 시스템(CM)은 상기 호를 사용자(B)로부터 음성 메시지 센터(VMC)로 돌린다. 상기 플래그(F)는 값 " 6" 으로 설정된다. 상기 플래그는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 센터(VMC)에 유지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스텝 e에서 사용자(B)와 사용자(C) 사이의 통화는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 플래그(F)의 조건에 응답하여,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사용자(B)로의 신호접속은 상기 플래그 값(F)에 의하여 결정된 짧은 기간 동안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접속 관리 시스템(CM)으로 하여금, 이동 스위칭 센터(MSC)와 사용자(B) 사이에서 채널할당을 포함하는 완전히 새로운 접속을 설정할 필요 없이, 음성 메시지 접속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스텝 f).
현재의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유닛이 트랜잭션 중에 서로 다른 스위칭 센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두 기지국 사이에서 핸드오버되면, 호는 이제 새로운 스위칭 센터를 경유하여 라우팅되지만 상기 트랜잭션의 제어는 원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스위칭 센터에 남아있게 된다. 접속이 종국적으로 해제될 때, 위치 갱신이 수행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가 다른 스위칭 센터로 넘어간다. 이것은 서로 다른스위칭 센터가 약간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면, 통화중에 일어날지 모르는 문제점을 회피한다. 그러므로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MCI 플래그가 트랜잭션 종료시에 접속이 유지되도록 요구하게 설정되면, 그 접속을 사용하는 어떠한 후속 트랜잭션도 제 1 스위칭 센터(원래의 스위칭 센터)에 의하여 제어될 것이다. 상기 스위칭 센터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오퍼레이터에 속할 수 있을 것이지만, 실제상 비용할당 및 요금 청구의 관리상의 어려움 때문에 호진행중 다른 네트워크로의 로밍은 거의 배제되어 왔다.
위에서 언급한 본 출원인의 동시 계류중인 출원에 관한 발명에 따른 플래그 값 전송용 시스템을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B)는 먼저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1)에 등록된다. 사용자(B)는 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신호(S)를 전송함으로써 또는 등록 갱신(예를 들어 사용자가 처음으로 단말기를 켰을 때)과 같은 다른 트랜잭션을 위해서 이동 스위칭 센터(MSC2)와 교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호와 관계없는 트랜잭션은 오직 신호접속의 사용만을 요구하고, 호관련 트랜잭션에서 요구되는 것과 같은 트래픽-운반 링크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이 " 위치갱신" 은 호가 진행중이 아닌 시각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 전원을 켜거나 호시도를 하거나 자동 갱신 트랜잭션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결과 상기 이동유닛이 사용중이 아니지만 온될 때(" 대기모드" )와 같은 때에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다. 이동유닛이 호진행 중에 서로 다른 스위칭 센터의 제어영역으로 이동하면, 위치 갱신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속이 최종적으로 해제되었을 때 일어난다.
두개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1 및 VLR2)는 사용자(B)가 새로운 이동 스위칭 센터(MSC2)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된 것을 반영하도록 갱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신호(S)는 이동 스위칭 센터(MSC2)에서 검출되고, 상기 이동 스위칭 센터(MSC2)는 GSM의 이동 애플리케이션 부분(M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위치 갱신 신호(LU)를 홈 위치 레지스터(HLR)로 전송한다.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HLR)는 위치 삭제 메시지(CL)를 구 이동 스위칭 센터(MSC1)로 전송한다. 이제까지는 상기 트랜잭션 과정이 표준 GSM 위치 갱신 프로토콜을 따라 이루어진다. 그러나 표준 프로토콜과는 달리, 상기 위치 삭제 신호가 이전의 이동 스위칭 센터(MSC1)에서 검출되면, 사용자(B)에 대한 호 상황 정보(F)는 새로운 방문자 위치 센터(VLR2)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은 사용자(B)의 홈 위치 레지스터를 통하여 행해진다. 상기 새로운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2)는 제 1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1)와 동일한 방식으로 플래그 정보(F)를 포함하는 호 상황 정보를 처리한다. 따라서 사용자(B)는 새로운 이동 스위칭 센터(MSC2)에서도 동일한 서비스 혜택을 받을 것이다.
새로운 이동 스위칭 센터(MSC2)가 1 또는 2 이상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그러한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F1)는, 사용자가 제 1 이동 스위칭 센터와 다음번 교신을 할 때까지 또는 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이동 서비스 센터와 교신이 될 때까지, 홈 위치 레지스터(HLR)에 있는 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유사하게, 그러한 데이터(F2)가 이전 전송의 결과로 이미 버퍼 레지스터에 보유되어 있고 새로운 이동 스위칭 센터(MSC2)는 상기 데이터와 관련된 상기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면(현 이동 스위칭 센터(MSCI)는 그렇게 할 수 없음), 그러한 데이터(F2)는 상기 버퍼 레지스터로부터 새로운 이동 스위칭 센터(MSC2)로 그것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2에 저장하기 위하여 전달된다.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는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유사한 원리는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위치에 나타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된 단말기에 사용되는 자기카드와 같은 사용자 식별 장치는 네트워크에 대해 사용자 및 그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네트워크 단말기가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스위칭 센터를 통하여 통신링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단말기(B)와 통신링크를 구축하는 복수의 스위칭 센터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 1 및 제 2 스위칭 센터(MSCa, MSCb)는 각각의 레지스터 수단(VLRa, VLRb)과 연관되며,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 수단은 각각의 스위칭 센터와 현재 통신중인 네트워크 단말기(B)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의 활성 상태에 관한 것이고, 상기 스위칭 센터는 신호(S, CL)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스위칭 센터(MSCa)로부터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MSCb)로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의 이송을 실행하는 수단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지스터 수단(VLRa, VLRb)은 단말기와 연관된 기능의 활성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수단 및 데이터 전송수단을 갖고,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제 1 스위칭 센터(MSCa)와 연관된 레지스터 수단(VLRa)에서 단말기와 연관된 기능의 현재 활성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배열된 판독수단;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 1 스위칭 센터(MSCa)로부터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MSCb)로 송신하는 송신수단; 및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MSCb)와 연관된 레지스터 수단(VLRb)에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데이터와 연관된 기지국의 제어가 상기 제 1 스위칭 센터(MSCa)의 제어로부터 넘겨질 때 상기 제 1 스위칭 센터(MSCa)의 레지스터(VLRa)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레지스터(HLR)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네트워크 단말기(B)와의 통신이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를 구비하지 않은 다른 스위칭 센터로부터 그러한 레지스터(VLRb)를 구비한 스위칭 센터(MSCb)로 이송되는 때를 검출하는 수단; 및
    네트워크 단말기(B)와의 통신이 상기 다른 스위칭 센터에서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MSCb)로 이송될 때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MSCb)의 레지스터(VLRb)로 버퍼 레지스터(HLR)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단말기(B)로부터 또는 단말기(B)로의 트랜잭션 종료시에 통신링크를 해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레지스터(VLRa, VLRb)는 상기 단말기(B)에 관한 추가 트랜잭션이 이루어질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설정 가능한 표시수단(F)을 포함하고, 및 표시수단의 설정에 응답하여 통신링크의 전부 또는 일부의 해제를 차단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소정의 지연 기간 이후 통신링크가 해제되도록 하는 타이머 수단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가능 표시수단(F)은 이루어질 추가 트랜잭션의 타입을 나타내고, 상기 타이머 수단의 지연 기간은 표시된 트랜잭션의 타입에 따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또 다른 트랜잭션이 개시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단말기와의 상기 트랜잭션 종료 후에 소정의 지연 기간 동안 통신링크를 더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최초 발호자에 대한 접속이 구축될 수 없을 때, 최초 발호자에 대한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시설(VMC)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F)은 상기 메시지 시설(VMC)에 저장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시설(VMC)은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시설(VMC)은 텍스트 메시지를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네트워크 단말기(B)가 트랜잭션을 완료한 것을 제 2 네트워크 단말기(A)로 시그널링하는 설정 가능한 시그널링 수단(F')을 갖고, 상기 시그널링 수단(F')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단말기(B)에 대한 상기 제 2 단말기(A)의 트랜잭션 시도에 응답하여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무선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네트워크 단말기가 서로 다른 스위칭 센터와 서로 다른 시간에 통신링크를 설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단말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능의 활성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각각의 단말기(B)가 현재 통신중인 제 1 스위칭 센터(MSCa)와 연관된 레지스터(VLRa)에 저장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VLRa)에 저장된 정보는 그 안에 저장되면서 수정되고,
    네트워크 단말기(B)와의 통신이 제 2 스위칭 센터(MSCb)로 이송될 때, 상기 수정된 데이터는 제 1 스위칭 센터(MSCa)와 연관된 레지스터(VLRa)에서 제 2 스위칭 센터(MSCb)와 연관된 레지스터(VLRb)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이동국(B)의 제어가 한 스위칭 센터(MSCa)로부터 다른 스위칭 센터(MSCb)로 넘겨질 때, 스위칭 센터(MSCa, MSCb)로 및 스위칭 센터(MSCa, MSCb)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는 제 1 스위칭 센터(MSCa)와 연관된 레지스터(VLRa)로부터 판독되고; 제 2 스위칭 센터(MSCb)와 연관된 레지스터(VLRb)로 전송되며; 제 2 스위칭 센터(MSCb)와 연관된 레지스터(VRLb)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일단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연관 레지스터를 갖지 않는 다른 스위칭 센터로 이동되면, 상기 데이터는 버퍼 레지스터에 저장되고,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이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로 이동되면,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제 2 스위칭 센터와 연관된 레지스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트랜잭션 종료시에 네트워크 단말기와의 통신링크를 해제하는 수단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만약 상기 단말기와의 추가 트랜잭션이 이루어져야 한다면, 통신링크의 전부 또는 일부의 해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소정의 지연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기간은 이루어질 추가 트랜잭션의 타입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단말기에 대한 상기 추가 트랜잭션 이후에 소정의 지연 기간 동안 더 유지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 또 다른 트랜잭션이 개시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링크는 제 1 네트워크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가 메시지 시설에 저장되어 있으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트랜잭션이 이루어질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수단이 제 2 단말기로부터의 트랜잭션 시도에 응답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트랜잭션이 종료할 때 제 2 단말기로 신호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22. 제 1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셀룰러 무선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작동방법.
KR1019960706250A 1994-05-27 1995-05-26 통신시스템및그작동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407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303839.8 1994-05-27
EP94303839 1994-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091A KR970703091A (ko) 1997-06-10
KR100407426B1 true KR100407426B1 (ko) 2004-03-24

Family

ID=261371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251A Expired - Lifetime KR100365443B1 (ko) 1994-05-27 1995-05-26 통화접속복구방법을구비한전기통신시스템및그시스템운용방법
KR1019960706250A Expired - Lifetime KR100407426B1 (ko) 1994-05-27 1995-05-26 통신시스템및그작동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251A Expired - Lifetime KR100365443B1 (ko) 1994-05-27 1995-05-26 통화접속복구방법을구비한전기통신시스템및그시스템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07805A (ko)
KR (2) KR100365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9892B1 (en) 1997-09-19 2001-07-10 Richard J. Helferich Pager transceiver and methods for performing action on information at desired times
US7003304B1 (en) * 1997-09-19 2006-02-21 Thompson Investment Group, Llc Paging transceiver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retrieving messages
US6826407B1 (en) 1999-03-29 2004-11-30 Richard J. Helferich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udio and visual messaging
US6253061B1 (en) 1997-09-19 2001-06-26 Richard J. Helferich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6636733B1 (en) 1997-09-19 2003-10-21 Thompson Trust Wireless messaging method
US5991620A (en) * 1997-11-26 1999-11-23 Ericsson Inc. Positioning busy indicator and queuing mechanism
US6983138B1 (en) 1997-12-12 2006-01-03 Richard J. Helferich User interface for message access
US6104932A (en) * 1998-09-10 2000-08-15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location services by implementing a new transaction type at the connection-management level
US6298231B1 (en) * 1998-09-29 2001-10-02 Ready Com,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wireless devices
US6810256B2 (en) * 2000-01-03 2004-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the transcoding of connections handed off between mobile switching centers
WO2001078422A1 (en) * 2000-04-11 2001-10-1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lligent delivery agent for short message distribution center
US7050793B1 (en) * 2001-04-04 2006-05-23 Nortel Networks Limited Context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in support of mobility
JP2003045042A (ja) * 2001-07-31 2003-02-14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の厚みムラ補正方法および厚みムラ補正方法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US20030152030A1 (en) * 2002-02-12 2003-08-14 Stephen Hershey Method and system for delayed connection release protocol
WO2003096730A1 (en) * 2002-05-07 2003-11-20 Nokia Corporation Adaptive release/inactivity timer for controlling non real-time data connection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7509642B1 (en) * 2003-09-17 2009-03-2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viding network-transaction-status updates
EP1517574B1 (en) * 2003-09-19 2005-07-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control device and network node for maintaining a connection when a request is pending
WO2005062976A2 (en) * 2003-12-23 2005-07-14 Kirusa, Inc. Techniques for combining voice with wireless text short message services
EP1653718A1 (de) * 2004-10-26 2006-05-03 Siemens Schweiz AG Verfahren zur Vergabe eines Kennzeichens zur Erlaubnis eines terminierenden automatischen Rückrufs
KR100651458B1 (ko) * 2004-11-09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정보 제공 방법
FR2878111A1 (fr) * 2004-11-16 2006-05-19 Sagem Procede et systeme de reemission automatique de telecopie
CN100442930C (zh) * 2005-11-29 2008-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交换中心及其被叫处理方法
US8515436B2 (en) * 2008-03-27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wireless conn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595A (en) * 1974-10-03 1976-05-11 Western Electric Company Circuitry for providing executive ringback in a PBX system
JPS5643838A (en) * 1979-09-18 1981-04-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Busy incoming system
JPS56115046A (en) * 1980-02-18 1981-09-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JPS58134543A (ja) * 1982-02-04 1983-08-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自動接続方式
JPS58134542A (ja) * 1982-02-04 1983-08-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接続方式
US5535331A (en) * 1987-09-04 1996-07-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or condition sensing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US4901340A (en) * 1988-09-19 1990-02-13 Gte Mobilnet Incorporated System for the extended provision of cellular mobile radiotelephone service
US5166974A (en) * 1988-11-16 1992-11-24 Dytel Corporation Interactive call processor to facilitate completion of queued calls
US5025468A (en) * 1989-05-04 1991-06-18 Harris Corporation Computerized system for incoming calls
JP2901077B2 (ja) * 1989-07-19 1999-06-02 株式会社東芝 電話システム
US4953204A (en) * 1989-10-17 1990-08-28 At&T Bell Laboratories Multilocation queuing for telephone calls
US5177780A (en) * 1990-10-18 1993-01-05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voice mail notification for cellular telephone systems
US5278898A (en) * 1991-05-30 1994-01-11 Davox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a hold queue
US5134652A (en) * 1991-08-23 1992-07-28 Motorola, Inc. Communication console station with priority queuing
US5311574A (en) * 1991-10-23 1994-05-10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c customer call back for automatic call distribution systems
JPH05145964A (ja) * 1991-11-21 1993-06-11 Fujitsu Ltd システムコードレス電話の連続発呼方式
US5329583A (en) * 1992-06-30 1994-07-12 At&T Bell Laboratories Enhanced automatic call distribution system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090A (ko) 1997-06-10
KR100365443B1 (ko) 2003-03-10
KR970703091A (ko) 1997-06-10
US5907805A (en)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426B1 (ko) 통신시스템및그작동방법
EP0761068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249674B1 (en) Emergency disablement of termination restrictions
EP0900494B1 (en) Emergency call back for roaming mobile radio subscribers
JP4418825B2 (ja) 移動サービス交換センターのコール再送構成体
CA2288159C (en) Roamer service auto-activation and deactivation in a home location register
CA2396649C (en) Mobile location registration for handling additional services
JPH09501028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
US6131026A (en) Release resource message transmission for unsupported calling service calls
JP3929180B2 (ja) 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システムにおける加入者端末の移動管理方法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システム
KR100286751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 가입자 위치에 따른 이동 입 호거부 방법
WO1997018680A1 (en) Optimised trigger list for use in intelligent network mobile radio systems
HK1013587B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197092B2 (ja) 無線交換処理における呼救済方式
HK1013588B (en) Connection release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JPH1188956A (ja) 簡易携帯電話システムの自動転送装置
JPH11146096A (ja) 移動体端末の接続規制方式
MXPA9800257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elephone calls interrumpi
MXPA9800257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elephone calls interrump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