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6937B1 -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937B1
KR100406937B1 KR10-2001-0023294A KR20010023294A KR100406937B1 KR 100406937 B1 KR100406937 B1 KR 100406937B1 KR 20010023294 A KR20010023294 A KR 20010023294A KR 100406937 B1 KR100406937 B1 KR 10040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tact switch
substrate
terminal
pc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710A (ko
Inventor
이창호
이수호
Original Assignee
이수호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수호
Priority to KR10-2001-002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9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26Separate dome contac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첨단화, 소형화가 이루어진 각종 전자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크기 및 모양을 경량박소화 함은 물론 이물질 및 수분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기판의 상면에 중앙접점부와 가변접점부가 한쌍을 이루는 접속단자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판의 저면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중앙접점부와 가변접점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가 형성된 피씨비에 상기 중앙접점부와 가변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탈콘택트가 안착되고, 상기 피씨비의 상면에는 상기 메탈콘택트를 덮는 누름돔을 갖는 탄성 고무재질의 밀폐커버가 고온 고압으로 압착되면서 피씨비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TACT SWITCH FORM PCB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첨단화, 소형화가 이루어진 각종 전자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크기 및 모양을 경량박소화 함은 물론 이물질 및 수분 등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트 스위치는 가벼운 접촉에 의해 회로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로의 개폐동작이 정확하고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한 장점 등에 따라 현대화된 각종 전자제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대표적인 스위치로써, 최근에 있어서는 셀룰러폰 등의 휴대 통신용, 각종 소형화된 노트북, 휴대용 카세트 등 갈수록 첨단화, 소형화되는 전자제품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인 바, 그 추세에 부응하여 택트 스위치 역시 중량이 작으면서도 크기가 작은 다시 말하면 경량박소형화 되고 있다.
이러한 택트 스위치의 종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내부에 수납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a)의 바닥면 중앙 및 주연부에는 중앙도전판(12)과 가변도전판(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는 상기 중앙도전판(12)과 가변도전판(13)에 연결된 터미널(14)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의 수납부(11a) 내에는 돔형상의 메탈콘택트(15)가 삽입되고, 상기메탈콘택트(15)의 상측에 위치한 하우징(11)의 수납부(11a)에는 상기 메탈콘택트(15)를 탄력적으로 눌러주는 스템(16)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는 수납부(11a)에 삽입된 메탈콘택트(15) 및 스템(16)이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커버플레이트(17)이 수납부(11a)를 밀폐하며 결합되어 상기 스템(16)을 누르면 상기 메탈콘택트(15)가 탄력적으로 펴지면서 중앙도전판(12)과 가변도정판(13)에 접촉됨으로써 터미널(14)간에 전원이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택트 스위치(10)는 그 구성이 하우징(11)과 메탈콘택트(15)와 스템(16)과 상기 스탬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우징(11)의 수납부(11a)를 밀폐하는 커버플레이트(17)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부품 및 조립공정수가 많아 조립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크기를 더 이상 소형화시키지 못하여 갈수록 경량박소화 되는 택트 스위치(10)의 개발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크기 및 모양을 경량박소화 함과 아울러 내부로 이물질 및 수분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기판의 상면에 중앙접점부와 가변접점부가 한쌍을 이루는 접속단자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판의 저면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중앙접점부와 가변접점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가 형성된 피씨비에 상기 중앙접점부와 가변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탈콘택트가 안착되고, 상기 피씨비의 상면에는 상기 메탈콘택트를 덮는 누름돔을 갖는 탄성 고무재질의 밀폐커버가 고온 고압으로 압착되면서 피씨비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택트 스위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가 제조되는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110 : 피씨비 111 : 기판
111a : 관통홀 112 : 접속단자
112a : 중앙접점부 112b : 가변접점부
112c : 전도체 113 : 터미널부
114 : 솔리드마스크 115 : 지지플레이트
115a : 삽입공 116 : 양면접착필름
120 : 메탈콘택트 130 : 밀폐커버
131 : 누름돔 132 : 스템
133 : 가압돌기
이하 본 발명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가 제조되는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는 기판(111)의 상면에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가 한쌍을 이루는 접속단자(1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판(111)의 저면에는 상기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1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피씨비(110)의 상측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돔 형상의 메탈콘택트(120)가 안착되고, 상기 피씨비(110)의 상면에는 상기메탈콘택트(120)를 덮어 지지하는 누름돔(131)을 갖는 탄성 고무재질의 밀폐커버(130)가 고온 고압으로 압착되면서 피씨비(110)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피씨비(110)는 판형상으로 비도체인 장방형의 기판(111) 중앙부위 및 주연부에 각각 관통홀(11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a)이 형성된 기판(111)의 상면 중앙부위 및 주연부에는 도체인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가 각각 동심원을 이루면서 구획되어 인쇄성형되며, 상기 기판(111)의 저면 양측에는 도체인 터미널부(113)가 각각 요철형상을 이루면서 구획되어 인쇄성형되고, 상기 기판(111)의 상면 및 저면에 형성된 중앙접점부(112a)와 일측 터미널부(113) 그리고 가변접점부(112b)와 타측 터미널부(113)는 각각 상기 기판(111)의 상면 및 저면에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와 터미널부(113)를 인쇄성형하는 과정에서 관통홀(111a)에 충진되는 도체인 전도체(112c)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기판(111)의 저면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부위에는 비도체인 솔리드마스크(114)가 형성되어 터미널부(113)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온으로 압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피씨비(110)와 밀폐커버(130)의 사이에는 경우에 따라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의 지지플레이트(115)가 끼워져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의 두께를 조절함과 동시에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가 휘어져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15)의 중앙부위에는 메탈콘택트(120)가 삽입되는 삽입공(115a)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15)를 피씨비(110)와 밀폐커버(130) 사이에 삽입하여 일체로 결합할 경우에는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상기 밀폐커버(130)와 지지플레이트(115)를 고온 고압으로 압착하여 일체로 결합한 다음 상기 지지플레이트(115)와 피씨비(110)를 양면접착필름(116)으로 접착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는 기판(111)의 상면에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가 한쌍을 이루는 접속단자(112)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기판(111)의 저면에는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113)가 형성된 피씨비(110)와, 상기 피씨비(110)의 상면에 다수 형성된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차단하는 다수의 메탈콘택트(120)와, 상기 메탈콘택트(120)를 덮으면서 피씨비(110)의 상면에 고온 고압으로 압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메탈콘텍트와 대응되는 부위에 누름돔(131)이 형성된 밀폐커버(130)로 구성된다.
상기 피씨비(110)의 기판(111) 상면에 형성되는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는 상호 동심원을 이루면서 구획 형성되며, 터미널부(113)는 상기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피씨비(110)의 상면에 다수 형성되는 접속단자(112)의 가변접점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1)과 밀폐커버(130)는 금형에 의해 고압 고압으로 압착되며, 상기 밀폐커버(130)는 경우에 따라 탈력성을 갖는 합성수지,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130)의 누름돔(131) 중앙부위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스템(132)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밀폐커버(130)의 누름돔(131) 내측면 중앙부위에 상기 메탈콘택트(120)를 누르는 가압돌기(133)가 적어도 한 개소 이상 형성되어 상기 메탈콘택트(120)를 효과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처음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는 메탈콘택트(120)의 탄성력에 의해 테두리만이 접속단자(112)의 가변접점부(112b)에만 접촉된 상태임으로 상기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가 연결되지 않아 전기적으로 '오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가 밀폐커버(130)의 외면에 돌출된 스템(132)을 눌러주면 밀폐커버(130)의 누름돔(131)이 탈력적으로 굴절되면서 상기 밀폐커버(130)의누름돔(131) 내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33)가 하향되어 메탈콘택트(120)의 중앙부위를 누르게되고, 메탈콘택트(120)는 가압돌기(133)의 가압에 의해 중앙부위가 하향으로 펴지면서 기판(111)의 상면에 형성된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에 면접촉을 일으키며 연결되어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가 전기적으로 '온'된다.
이후 사용자가 밀폐커버(130)의 누름돔(131)을 누르고 있던 가압력을 해지하면 밀폐커버(130)의 누름돔(131)이 탈력성에 의해 복원되고 동시에 상기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에 면접촉되었던 메탈콘택트(120)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매탈콘택트(120)의 중앙부위가 중앙접점부(112a)에서 이탈되어 떨어지게 됨으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가 전기적으로 '오프'된다.
이때, 상기 기판(111)과 밀폐커버(130)가 고온 고압에 의해 밀착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있음으로 상기 메탈콘택트(120) 및 접속단자(112)가 형성된 기판(111)과 밀폐커버(130) 사이로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될 염려가 없음으로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전기신호의 오류발생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신뢰성이 높은 방진방수 구조의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는 비교적 얇은 기판(111)에 도체인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와 터미널부(113)를 인쇄 성형함으로 경량박소형이 가능함은 물론 한번의 공정으로 다수개의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00) 동시에 제작할 수 있음으로 제품의 원가 및 가격을 절감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는 피씨비와 누름커버가 고온으로 압착되어 일체로 결합되었기 때문에 메탈콘택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차단되는 중앙접점부 및 가변접점부로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될 염려가 없음으로 이물질 및 수분으로 인한 전기신호의 오류발생 및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이 높은 방진방수 구조의 택트 스위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는 기판에 중앙도전체와 가변도전체와 터미널이 인쇄 성형된 피씨비를 이용함으로 경량박소형으로의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한번으로 공정으로 다수의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동시에 제작하는 대량생산이 가능함으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여 저렴한 가격의 택트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기판(111)의 상면에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가 한쌍을 이루는 접속단자(11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판(111)의 저면에는 상기 접속단자(112)의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113)가 형성된 피씨비(110)에 상기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메탈콘택트(120)가 안착되고, 상기 피씨비(110)의 상면에는 상기 메탈콘택트(120)를 덮는 누름돔(131)을 갖는 탄성 고무재질의 밀폐커버(130)가 고온 고압으로 압착되면서 피씨비(110)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피씨비(110)는 판형상으로 비도체인 기판(111) 중앙부위 및 주연부에 관통홀(111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a)이 형성된 기판(111)의 상면 중앙부위 및 주연부에는 도체인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가 각각 동심원을 이루면서 구획 형성되며, 상기 기판(111)의 저면 양측에는 도체인 터미널부(113)가 각각 요철형상을 이루면서 구획 형성되고, 상기 기판(111)에 형성된 중앙접점부(112a)와 일측 터미널부(113) 그리고 가변접점부(112b)와 타측 터미널부(113)는 각각 상기 중앙접점부(112a)와 가변접점부(112b)와 터미널부(113)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관통홀(111a)에 충진되는 도체인 전도체(112c)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판(111)의 저면에는 터미널부(113)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비도체인 솔리드마스크(11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130)의 누름돔(131) 외면에 스템(132)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130)의 누름돔(131) 내면에 상기 메탈콘택트(120)를 누르는 가압돌기(133)가 적어도 한 개소 이상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일체로 결합되는 상기 피씨비(110)와 밀폐커버(130) 사이에 메탈콘택트(120)가 삽입되는 삽입공(115a)을 갖는 지지플레이트(115)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7. 삭제
KR10-2001-0023294A 2001-04-30 2001-04-30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0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294A KR100406937B1 (ko) 2001-04-30 2001-04-30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294A KR100406937B1 (ko) 2001-04-30 2001-04-30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710A KR20020083710A (ko) 2002-11-04
KR100406937B1 true KR100406937B1 (ko) 2003-11-21

Family

ID=2770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2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6937B1 (ko) 2001-04-30 2001-04-30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9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87B1 (ko) 2005-06-09 2008-03-13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클릭 스프링 장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스위치
KR101350482B1 (ko) * 2013-06-14 2014-01-15 (주)디오코리아 보스 보호형 택트 스위치
CN106415763A (zh) * 2014-05-09 2017-02-15 李水镐 防水用基板开关以及防水用基板开关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1347B (zh) * 2021-10-08 2024-10-18 东莞市林弘科技有限公司 一种轻触开关及其接线方法
CN114093704B (zh) * 2021-11-05 2024-06-14 深圳市科普伦科技有限公司 一种新结构薄膜开关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A (ja) * 1997-06-10 1999-01-06 Yasushi Terasawa キノコの栽培方法
JPH1145U (ja) * 1998-08-21 1999-03-26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H11353975A (ja) * 1998-06-09 1999-12-24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スイッチ構造
JP2000040437A (ja) * 1998-07-23 2000-02-08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回路オンオフ型スイッチ
JP2000156134A (ja) * 1998-11-17 2000-06-06 Akira Okada クリックアクション形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A (ja) * 1997-06-10 1999-01-06 Yasushi Terasawa キノコの栽培方法
JPH11353975A (ja) * 1998-06-09 1999-12-24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スイッチ構造
JP2000040437A (ja) * 1998-07-23 2000-02-08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回路オンオフ型スイッチ
JPH1145U (ja) * 1998-08-21 1999-03-26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0156134A (ja) * 1998-11-17 2000-06-06 Akira Okada クリックアクション形スイッ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87B1 (ko) 2005-06-09 2008-03-13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클릭 스프링 장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스위치
KR101350482B1 (ko) * 2013-06-14 2014-01-15 (주)디오코리아 보스 보호형 택트 스위치
CN106415763A (zh) * 2014-05-09 2017-02-15 李水镐 防水用基板开关以及防水用基板开关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710A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2850C (zh) 按压开关
KR100371753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및 푸시버튼 스위치용 가동접점체
JP4085676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200362288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스위치 모듈
KR20050091907A (ko) 이단동작 스위치
KR20120011136A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CN106415763B (zh) 防水用基板开关以及防水用基板开关制造方法
US8124902B2 (en) Push button switch
JP4180877B2 (ja) 2段動作プッシュスイッチ
US20070151833A1 (en) Multi-direction switch
KR100406937B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US6486427B1 (en) Electrical switch
KR101112211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10103862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200284437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0458968B1 (ko) 플랙시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263754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241402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0463909B1 (ko) 소형 택트 스위치
KR200297761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WO2013103255A1 (ko) 피씨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과 피씨비 어셈블리를 이용한 초소형 택트 스위치
KR200319304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305025Y1 (ko) 5방향 택트스위치
JP569642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319306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