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6921B1 -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921B1
KR100406921B1 KR10-2001-0033918A KR20010033918A KR100406921B1 KR 100406921 B1 KR100406921 B1 KR 100406921B1 KR 20010033918 A KR20010033918 A KR 20010033918A KR 100406921 B1 KR100406921 B1 KR 100406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dol panel
fluid
ondol
spac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733A (ko
Inventor
한민수
최진영
박성찬
황승석
김문식
이시호
김민기
정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1-003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921B1/ko
Priority to EP02741450A priority patent/EP1395780A4/en
Priority to PCT/KR2002/001098 priority patent/WO2002103244A1/en
Priority to JP2003505522A priority patent/JP3709428B2/ja
Priority to RU2003101394/06A priority patent/RU2242680C2/ru
Priority to CNB028021029A priority patent/CN1198084C/zh
Publication of KR2002009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온돌 패널은 난방 유체가 흐르는 내부 공동을 가지며 마주하는 상, 하부 플레이트 각각에 다수의 공간 부재를 형성하는데, 공간 부재들은 온돌 패널의 어느 한 변과 평행한 제 1방향과, 온돌 패널의 다른 한 변과 평행한 제 2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하여 제 1, 2 방향의 연속 공동을 제공하고, 유체 연결부와 마주하는 제 1, 2 방향의 연속 공동상의 일지점에 제 1, 2분산 부재가 배열하여 난방 유체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킨다. 더욱이 유체 연결부가 위치하지 않는 온들 패널의 다른 두곳의 코너부에는 제 1, 2가이드 채널이 위치하여 난방 유체의 유속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구조의 온돌 패널은 다수의 접속 부재에 의해 인접한 두 온돌 패널 사이의 유체 연결부가 일체로 결합하여 난방 유체의 연속적인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A prefabricated heating system using heating elements}
본 발명은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유체의 분포와 유속 등을 제어하는 다수의 공간 부재와 가이드 채널을 구비한 온돌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건축물의 난방 시스템으로는 콘크리트 바닥에 파이프를 매설하고, 이 파이프에 온수와 같은 난방 유체를 공급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내부에 유체 흐름 공간을 갖는 플레이트식 온돌 패널이 개발되어 조립식 난방 시스템으로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상기 온돌 패널 방식은 파이프 구조와 비교하여 시공과 보수가 용이하고, 콘크리트에 의한 열손실이 없어 난방 효율 향상이 예상되며, 이러한 온돌 패널 구조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제 5,080,166호가 플레이트 형상의 난방 부재(heating elements)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상기 미국 특허에 개시된 난방 부재는 난방 부재를 구성하는 상, 하부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난방 부재에 공급된 유체가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는 다수의 공간 부재(spacing element)와, 이 공간 부재의 바람직한 배열 상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시뮬레이션 결과, 상기 공간 부재는 난방 유체의 흐름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여 난방 부재 내부에서 상기 유체가 불균일한 분포를 갖게 하는데, 이것은 난방 부재 전체에 걸쳐 공간 부재 사이의 공동(cavity)이 특정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상기 난방 부재는 난방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되지 않는 반대편 대각의 코너부에서 난방 유체의 유속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난방 유체가 정체되어 코너부 온도를 저하시키거나, 코너부의 난류 흐름으로 기포가 발생하는 등, 난방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난방 부재는 난방 유체의 불균일한 분포와 코너부의 정체 등으로 인하여 난방 부재 전체에 걸쳐 균일한 온도 분포를 보장하지 못하며, 난방 유체의 원활한 흐름이 저해되어 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돌 패널에 공급된 난방 유체의 흐름을 분산시켜 이 유체가 온돌 패널 내부에서 보다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는 온돌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돌 패널의 코너부를 진행하는 난방 유체의 유속을 상승시켜 코너부에서의 정체를 해소하여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는 온돌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온돌 패널과, 온돌 패널의 유체 흐름을 연결하는 접속 구조를 이용하여 보다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는 다수의 온돌 패널이 조립된 전체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의 조립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립 부재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온돌 패널의 사시도.
도 4는 공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온돌 패널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분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온돌 패널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6에서 난방 유체의 분포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온돌 패널의 사시도.
도 9는 가이드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부분 확대도.
도 10과 도 11은 각각 온돌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온돌 패널의 평면도.
도 12는 단열층이 구비된 온돌 패널의 단면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동(cavity)을 갖도록 마주하는 상, 하부 플레이트와, 각각의 상, 하부 플레이트에서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를 향하여 소정의 직경과 간격을 가지고 연장되어 상기 공동 내부에서 상,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공간 부재와, 상, 하부 플레이트의 어느 한 대각 방향으로 마주하는 두곳의 모서리에 제공되어 난방 유체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2개의 유체 연결부를 가지며,
어느 하나의 유체 연결부가 인접한 온돌 패널의 유체 연결부와 마주하도록 배열하는 다수의 온돌 패널과;
인접한 2개의 온돌 패널간 유체 연결부를 일체로 결합하여 난방 유체가 다수의 온돌 패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접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 부재들은 온돌 패널의 어느 한 변과 평행한 제 1방향과, 온돌 패널의 다른 한 변과 평행한 제 2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하여 상기 제 1, 2 방향의 연속 공동을 제공하고,
상기 유체 연결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 1, 2 방향의 연속 공동상의 일지점에 위치하여 난방 유체의 흐름을 분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산 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난방 시스템의 조립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조립 부재의 확대도로서, 조립식 난방 시스템은 난방 유체가 흐르는 내부 공간, 즉 공동(미도시)을 갖는 다수의 온돌 패널(2)과, 다수의 온돌 패널(2)을 일체로 연결하여 온돌 패널(2) 사이의 유체 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접속 부재(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온돌 패널(2)은 금속재 파이프 구조와 비교하여 제작과 성형이 용이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며, 난방 유체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건축물의 바닥(벽이나 천정에도 적용 가능)과 접하도록 상기 바닥에 대해 최대한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온돌 패널(2)은 일례로 한쌍의 장변과 단변을 갖는 장방형 구조로서, 각각의 온돌 패널(2)은 어느 하나의 대각 방향으로 마주하는 두곳의 모서리에 난방 유체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2개의 유체 연결부(6)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다수의 온돌 패널(2)은 어느 하나의 유체 연결부(6)가 인접한 온돌 패널(2)의 유체 연결부(6)와 마주하도록 연속 배열되고, 각각의 온돌 패널(2) 사이에는 2개의 유체 연결부(6)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접속 부재(4)가 설치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부재(4)는 중앙의 연결 파이프(8)와, 상기 연결 파이프(8)의 양단에 조립되는 한쌍의 엘보우(10)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 부재(4)의 엘보우(10)는 유체 연결부(6)의 바깥에 끼워지도록 엘보우(10)의 내경이 유체 연결부(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온돌 패널(2)과 동일하게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어, 난방 시스템 조립시 상기 엘보우(10)가 유체 연결부(6)를 감싸면서 열융착 과정으로 상기 온돌 패널(2)과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난방 시스템의 입구로 제공된 난방 유체는 접속 부재(4)에 의해 다수의 온돌 패널(2)을 차례로 지나 난방 시스템의 출구로 배출되며, 난방 유체의 흐름방향을 점선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온돌 패널(2)은 난방 시스템의 효율을 고려하여, 특정 부분에서 난방 유체가 집중되거나 정체되지 않도록 난방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제어하여 온돌 패널(2)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온돌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공간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온돌 패널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돌 패널(2)은 내부 공동(12)을 갖도록 마주하는 상, 하부 플레이트(14, 16)와, 각각의 상, 하부 플레이트(14, 16)에서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를 향하여 소정의 직경과 간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동(12) 내부에서 상,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공간 부재(18)와, 난방 유체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2개의 유체 연결부(6)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 부재(18)는 외력에 의한 상, 하부 플레이트(14, 16)의 변형을 방지하며, 다수의 공간 부재(18)들 사이로 난방 유체가 흐르는 공동(12)을 제공한다. 이로서 어느 하나의 유체 연결부(6)로 공급된 난방 유체는 상, 하부 플레이트(14, 16) 사이의 공동(12)을 흐르면서 도 5의 점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4) 바깥으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공간 부재(18)는 또한 난방 유체의 흐름에 저항을 주어 난방 유체가 온돌 패널 내부에서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는데, 온돌 패널(2)에 공급된 난방 유체의흐름은 공간 부재(18)의 직경과 간격 및 배열 상태 등에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 부재(18)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서, 다수의 공간 부재(18)들은 온돌 패널(2)의 장변과 평행한 수평축(도면에서 x축)과, 온돌 패널(2)의 단변과 평행한 수직축(도면에서 y축)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규칙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수평, 수직 방향으로 마주하는 공간 부재(18) 사이의 간격(D1, D2)은 공간 부재(18)의 직경(D)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리고 난방 유체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체 연결부(6)는 일례로 그 중심축(도 6과 도 7에서 z축)이 상, 하부 플레이트(14, 16)의 어느 한 변에 대하여 대략 45 각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로서 어느 하나의 유체 연결부(6)를 통해 공급된 난방 유체는 난방 유체의 흐름과 마주하는 다수의 공간 부재(18)에 의해 그 흐름이 분산되어 온돌 패널(2) 내부를 진행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는 난방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각각의 유체 연결부(6)와 마주하여 유체 흐름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분산 부재를 형성한다. 도 6은 분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온돌 패널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난방 유체의 분포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공동(12)과의 구분을 위하여 편의상 공간 부재(18)와 분산 부재(20, 22)를 해칭하여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공간 부재(18)가 온돌 패널(2)의 수평, 수직축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하기 때문에, 난방 유체가 흐르는 내부 공동(12) 또한 유체 연결부(6)와 마주하여 수평, 수직 방향으로 연속 설정된다.
이 때, 상기 온돌 패널(2)은 유체 연결부(6)와 마주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속설정된 공동(중심 위치를 가상의 D 라인으로 표시)의 일지점에 제 1분산 부재(20)를 형성하고, 유체 연결부(6)와 마주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속 설정된 공동(중심 위치를 가상의 E 라인으로 표시)의 일지점에 제 2분산 부재(22)를 형성한다.
이로서 상기 제 1분산 부재(20)는 온돌 패널(2)의 수평축을 따라 다른 공간 부재(18)와 중심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제 2분산 부재(22) 또한 온돌 패널(2)의 수직축을 따라 다른 공간 부재(18)와 중심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배열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 1, 2분산 부재(20, 22)는 가상의 D 라인과 E 라인에 해당하는 연속의 공동(12)이 유체 연결부(6)와 직접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난방 유체가 이들 연속의 공동(12)으로 집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유체 연결부(6)의 중심축(도면에서 z축)을 따라 배열하는 다수의 공간 부재(18)들 가운데 유체 연결부(6)에서 가장 가까운 공간 부재를 제 1공간 부재(24)라고 가정하면, 상기 제 1, 2분산 부재(20, 22)는 난방 유체가 공급되어 제 1공간 부재(24)에 의해 그 흐름이 분리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분산 부재(20)는 제 1공간 부재(24)에 부딪힌 유체 흐름이 수평 방향으로 분리되는 첫번째 연속의 공동, 즉 제 1가상 라인(D 쇄선)상의 일지점에 위치하고, 제 2분산 부재(22)는 제 1공간 부재(24)에 부딪힌 유체 흐름이 수직 방향으로 분리되는 첫번째 연속의 공동, 즉 제 2가상 라인(E 쇄선)상의 일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면을 기준으로 제 1공간 부재(24)와 제 1, 2분산 부재(20, 22)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제 1공간 부재(24)의 위와 제 1분산 부재(20)의 아래를 연결하는 접선(진한 실선 B로 표시)은 온돌 패널(2)의 수평축과 평행하고, 제 1공간 부재(24)의 왼쪽과 제 2분산 부재(22)의 오른쪽을 연결하는 접선(진한 실선 C로 표시)은 온돌 패널(2)의 수직축과 평행하여, 이 두개의 접선이 제 1공간 부재(24)를 정점으로 하여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 연결부(6)의 중심축(z축)을 따라 온돌 패널(2) 내부에 제공된 난방 유체는 제일 먼저 제 1공간 부재(24)에 부딪혀 그 흐름이 수평, 수직 방향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분리된 유체 흐름은 제 1분산 부재(20)에 의해 다시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어 수평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이 분산되며, 수직 방향으로 분리된 유체 흐름은 제 2분산 부재(22)에 의해 다시 좌우 방향으로 분리되어 수직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이 분산된다. 또한 제 1, 2분산 부재(20, 22)에 의해 분산된 유체 흐름은 온돌 패널(2)의 수평, 수직축을 따라 연속 설정된 다수의 공간 부재(18)들에 의해 다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한 내부 구조의 온돌 패널(2)은 제 1공간 부재(24)를 통해 분리된 난방 유체의 흐름을 제 1, 2분산 부재(20, 22)가 수평, 수직 방향으로 다시 분산시켜 유체 연결부(6)로 제공된 난방 유체를 온돌 패널(2) 내부로 보다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돌 패널(2)은 유체 연결부(6)와 마주하여 제 1, 2분산부재(20, 22)를 배치하면서 유체 연결부(6)가 위치하지 않는 다른 두곳의 코너부에 가이드 채널(26, 2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온돌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가이드 채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부분 확대도로서, 상기 온돌 패널(2)은 유체 연결부(6)가 위치하지 않는 다른 두곳의 코너부에 공간 부재(18)를 대체하여 제 1, 2가이드 채널(26, 28)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2가이드 채널(26, 28)은 공간 부재(18)와 동일하게 상, 하부 플레이트(14, 16)에서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를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된 것으로서, 온돌 패널(2)의 모서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너비와 길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가이드 채널(26, 28)의 너비(W)는 공간 부재(18)의 직경(D)과 동일하고, 각 수평, 수직 방향 길이(L)는 3∼5개의 공간 부재(18)를 일체로 연결한 것으로서 공간 부재(18) 직경의 6∼10배 정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1, 2가이드 채널(26, 28)은 온돌 패널(2)의 코너부에서 난방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켜 난방 유체의 유속을 상승시키며, 난방 유체의 흐름을 난방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채널(26, 28)을 구비한 온돌 패널(2)은 코너부에서 난방 유체가 정체되거나 난류에 의한 기포 발생이 억제되어 온돌 패널(2) 전체에 걸쳐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장방형의 온돌 패널(2)에서 난방 유체의 흐름을 고려한 바람직한 종횡비(온돌 패널의 장변과 단변의 비)는 1.5:1 ~ 3:1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난방 시스템에서 다수의 온돌 패널(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온돌 패널(2)의 장, 단변에 대하여 유체 연결부(6)의 중심축이 대부분 45 각도로 설정되는데, 온돌 패널(2)이 정사각 구조인 경우, 난방 유체는 2개의 유체 연결부(6)를 잇는 대각 방향으로 흐름이 집중되어, 온돌 패널(2) 내부에서 난방 유체의 흐름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온돌 패널(2)은 전술한 장방형 구조 이외에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 또는 팔각 구조와 같은 다각 구조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이 경우 난방 시스템 시공시 온돌 패널(2)의 연속 배열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돌 패널(2)은 온돌 패널(2)의 열손실을 억제하고, 상, 하부 플레이트(14, 16)에 대한 유체 연결부(6)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여 건축물 바닥에 대한 시공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16)의 바닥면에 단열층(30),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로폼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돌 패널에 다수의 공간 부재와 분산 부재 및 가이드 채널을 구비함으로써 온돌 패널에 공급된 난방 유체를 보다 고르게 분포시켜 온돌 패널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시키며, 코너부를 포함한 온돌 패널 전체에서 난방 유체가 보다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하여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난방 시스템과 비교하여 보다 향상된 난방 효율을 갖는다.

Claims (10)

  1. 내부 공동(cavity)을 갖도록 마주하는 상, 하부 플레이트와, 각각의 상, 하부 플레이트에서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공동 내부에서 상, 하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공간 부재와, 상, 하부 플레이트의 어느 한 대각 방향으로 마주하는 두곳의 모서리에 제공되어 난방 유체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2개의 유체 연결부를 가지며, 어느 하나의 유체 연결부가 인접한 온돌 패널의 유체 연결부와 마주하도록 배열하는 다수의 온돌 패널과;
    인접한 2개의 온돌 패널간 유체 연결부를 일체로 결합하여 난방 유체가 다수의 온돌 패널을 통해 연속적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접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 부재들은 온돌 패널의 어느 한 변과 평행한 제 1방향과, 온돌 패널의 다른 한 변과 평행한 제 2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하여 상기 제 1, 2 방향의 연속 공동을 제공하고,
    상기 유체 연결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 1, 2 방향의 연속 공동상의 일지점에 위치하여 난방 유체의 흐름을 분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 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 패널의 공간 부재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2 방향으로 마주하는 다른 공간 부재와의 간격이 공간 부재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 패널은 유체 연결부와 마주하여 제 1, 2 방향의 연속 공동상의 일지점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2분산 부재를 포함하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분산 부재는 상기 제 1, 2 방향을 따라 다른 공간 부재와 중심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 패널은 유체 연결부의 중심축을 따라 배열하는 다수의 공간 부재 가운데 유체 연결부와 가장 가까운 제 1공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2분산 부재는 난방 유체가 공급되어 제 1공간 부재에 의해 그 흐름이 제 1, 2 방향으로 분리되는 위치에 배열하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산 부재는 상기 제 1공간 부재에 부딪힌 난방 유체의 흐름이 제 1방향으로 분리되는 첫 번째 연속의 공동상의 일지점에 위치하고,
    제 2분산 부재는 상기 제 1공간 부재에 부딪힌 난방 유체의 흐름이 제 2방향으로 분리되는 첫 번째 연속의 공동상의 일지점에 위치하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 패널은 유체 연결부가 위치하지 않는 다른 두곳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상기 온돌 패널의 모서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 1, 2 방향으로 소정의 너비와 길이를 갖는 제 1, 2가이드 채널을 더욱 포함하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가이드 채널의 너비는 공간 부재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제 1, 2 방향으로의 길이는 공간 부재 직경의 6∼10배 범위로 이루어지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 패널은 육각과 팔각 구조를 포함하는 사각 이상의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돌 패널은 하부 플레이트의 바닥면에 제공되는 단열층을 더욱 포함하는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KR10-2001-0033918A 2001-06-15 2001-06-15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KR100406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18A KR100406921B1 (ko) 2001-06-15 2001-06-15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EP02741450A EP1395780A4 (en) 2001-06-15 2002-06-11 RADIANT PLATE PANEL HEATING SYSTEM
PCT/KR2002/001098 WO2002103244A1 (en) 2001-06-15 2002-06-11 Heating system using plate-shaped heating panel
JP2003505522A JP3709428B2 (ja) 2001-06-15 2002-06-11 ヒーティングパネルを利用した暖房システム
RU2003101394/06A RU2242680C2 (ru) 2001-06-15 2002-06-11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в которой используется пластинчатая отоп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CNB028021029A CN1198084C (zh) 2001-06-15 2002-06-11 采用片状加热板的加热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18A KR100406921B1 (ko) 2001-06-15 2001-06-15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338U Division KR200288905Y1 (ko) 2002-06-17 2002-06-17 온돌 패널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733A KR20020095733A (ko) 2002-12-28
KR100406921B1 true KR100406921B1 (ko) 2003-12-03

Family

ID=1971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918A KR100406921B1 (ko) 2001-06-15 2001-06-15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395780A4 (ko)
JP (1) JP3709428B2 (ko)
KR (1) KR100406921B1 (ko)
CN (1) CN1198084C (ko)
RU (1) RU2242680C2 (ko)
WO (1) WO2002103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7725B2 (en) 2003-06-23 2006-04-11 Lg Chem. Ltd. Heating system of floating structure including heating panel having round to elliptic inner fluid pathway
KR200361913Y1 (ko) 2004-06-30 2004-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합부가 볼트로 체결된 난방용 패널
KR200361912Y1 (ko) 2004-06-30 2004-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합부가 수지로 체결된 난방용 패널
KR100673784B1 (ko) 2004-09-07 2007-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로가 균일한 난방용 패널의 제조방법
DE202009006001U1 (de) 2009-04-24 2009-07-16 Medvedev, Alexandr Fußboden-Heizungssystem mit Rohrleitungen und Heizungsplatten
RU2655234C2 (ru) * 2014-08-12 2018-05-2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НЕЛИ ЭФФИТЕРМ"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ой пластиковой панели с целью использования ее для обогрева и охлаждения помещений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3753U (ko) * 1975-03-28 1976-10-06
JPS60176018U (ja) * 1984-04-27 1985-11-2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暖房用のパネル
KR950006363A (ko) * 1993-08-25 1995-03-20 신홍식 조립식온돌판
KR20000019721U (ko) * 1999-04-19 2000-11-25 신두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
KR200288905Y1 (ko) * 2002-06-17 2002-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돌 패널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1806A1 (de) * 1979-10-16 1981-05-14 Ing.(grad.) Heinz 4390 Gladbeck Hölter Fussbodenkollektor, vorzugsweise fuer heiz- und kuehlzwecke
HU191267B (en) * 1984-01-18 1987-01-28 Dekany,Istvan,Hu Method and water-blanket for heat controlling green-houses
DE3404312A1 (de) * 1984-02-08 1985-08-08 geb. Hanssmann Isolde 5410 Höhr-Grenzhausen Wand Flaechenheizelement
DE3516444A1 (de) * 1984-07-05 1986-01-16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7000 Stuttgart Waermetauscher fuer den einbau am fussboden oder in seitenwaenden eines kfz
DE3609186A1 (de) * 1985-03-01 1987-09-24 Manfred Dipl Ing Weber Waermetauscher
DE8507373U1 (de) * 1985-03-13 1985-12-05 eht Siegmund GmbH, 5340 Bad Honnef Bauelement für Flächenheizungen
JPS62213619A (ja) * 1986-03-14 1987-09-19 Sanden Corp 床暖房用パネル
US5080166A (en) 1987-04-15 1992-01-14 Itrag Ag Plate-shaped heat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floor heating
KR100204304B1 (ko) * 1992-04-22 1999-06-15 조민호 판상형 열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3753U (ko) * 1975-03-28 1976-10-06
JPS60176018U (ja) * 1984-04-27 1985-11-2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暖房用のパネル
KR950006363A (ko) * 1993-08-25 1995-03-20 신홍식 조립식온돌판
KR20000019721U (ko) * 1999-04-19 2000-11-25 신두범 온수를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적합한 조립식 온돌
KR200288905Y1 (ko) * 2002-06-17 2002-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돌 패널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5780A4 (en) 2010-03-17
JP3709428B2 (ja) 2005-10-26
RU2242680C2 (ru) 2004-12-20
JP2004522137A (ja) 2004-07-22
KR20020095733A (ko) 2002-12-28
WO2002103244A1 (en) 2002-12-27
EP1395780A1 (en) 2004-03-10
CN1198084C (zh) 2005-04-20
CN1463348A (zh)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0166A (en) Plate-shaped heat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floor heating
US20140299027A1 (en) Large-scal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EP1048918A2 (en) Evaporator
KR100406921B1 (ko) 온돌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난방 시스템
CN107462093B (zh) 板式换热器
RU2278332C1 (ru) Плитообразная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анель, в которо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е элементы скреплены с помощью болтов и гаек
EP265007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frigerant guide tube of heat exchanger, refrigerant guide tub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and heat exchanger with the refrigerant guide tube
KR200288905Y1 (ko) 온돌 패널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RU2278339C1 (ru) Плитообразная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анель, в которо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е элементы скреплены с помощью смолы
KR20040075579A (ko) 스태틱 믹서의 혼합부재
KR101017328B1 (ko) 열교환기용 전열판 및 이 전열판이 설치된 완전용접형 열교환기
KR200291237Y1 (ko) 온돌 패널 조립용 연결구와 이를 구비한 조립식 난방시스템
JP2023077655A (ja) 下地部材セット、仕切支持部材及び冷暖房システム
KR200360583Y1 (ko) 원형 내지 타원형의 내부 유로를 갖는 난방패널을포함하는 뜬바닥 구조의 난방시스템
JP7549307B2 (ja) 冷暖房用気体流路形成システム及び冷暖房システム
KR20050000306A (ko) 원형 내지 타원형의 내부 유로를 갖는 난방패널
KR101315648B1 (ko) 판형 열교환기
CN219861564U (zh) 一种用于空间隔离原子层沉积设备的匀气喷头装置
CN201096384Y (zh) 一种组装式地暖板
JP2010112566A (ja) 支持部材セット及び冷暖房システム
CN220541814U (zh) 板式换热器
JP7429395B1 (ja) 支持脚、支持部材セット及び冷暖房システム
CN118031689A (zh) 一种换热器
CN114623505B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200321233Y1 (ko) 자체 체결부재를 갖는 히팅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