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6912B1 - 사료효율을향상시키기위하여사용되는cck항체 - Google Patents

사료효율을향상시키기위하여사용되는cck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912B1
KR100406912B1 KR1019970700750A KR19970700750A KR100406912B1 KR 100406912 B1 KR100406912 B1 KR 100406912B1 KR 1019970700750 A KR1019970700750 A KR 1019970700750A KR 19970700750 A KR19970700750 A KR 19970700750A KR 100406912 B1 KR100406912 B1 KR 100406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cck
antibody
peptide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4470A (ko
Inventor
마크 이. 쿡
체릴 씨. 밀러
줄리오 엘. 피멘텔
Original Assignee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filed Critical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97070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from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hormones ; against hormone releasing or inhibiting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1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 C07K2317/1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heir source of isolation or production isolated from eg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docri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Micro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위장 운동을 감소시키고, 포만감을 저하시키고, 사료 효율을 향상시키는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콜레오시스토키닌에 대한 항체를 사용함으로써 조류 및 포유류에서 사료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Description

사료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CCK 항체 {CCK Antibodies Used to Improve Feed Efficiency}
여러 종류의 특화된 백혈구 세포들을 근간으로 하는 면역계는 외래성 거대분자와 세포를 인식하여 제거하고 기억하는 매우 특이적인 방어 체계이다. 면역계가 적절히 기능할 때는 "자기"와 "비자기"(외래의) 물질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역계는 침입한 거대분자들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종양세포를 비자기로서 인식하고 이를 공격하여 암-유발 종양세포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것이다.
항원이란 면역계를 갖춘 동물에 도입되었을 때 전술한 것처럼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야기할 수 있는 외래 물질을 말한다. 일단 면역 반응이 활성화되면, 다른 여러 반응들 중에서 순환계 내에 그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가 생성되는 반응이 일어난다.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이라고 불리우기도 하는 항체는 5 종의 부류가 있다. 가장 많은 것은 IgG이다. 다른 4 종은 IgM, IgA, IgD 및 IgE이다. 이들 항체는 동물 체내에 도입된 항원에 결합하여 그 항원의 효과를 중화시키거나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항체가 항원에 결합함으로써 항원을 중화시키고 항원이 다른 특정한 세포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달성된다.
면역계는 병원성 항원이나 유해성 외래 분자를 퇴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적으로는 일어나지 않는 유리한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물 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단백질에 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도입하여 그 단백질을 중화시킴으로써 그 단백질이 동물체 상에 미치는 정상적인 생리적 영향을 중화시킬 수 있다.
동물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면역 반응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항체는 모체의 순환계로부터 태반을 통하여 태아의 순환계로 들어갈 수 있다. 그 결과, 태아는 출생 전에 모체의 항체를 "유전"받아 선천적으로 면역성을 갖게 된다.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두 번째 경우는, 항원을 동물 내로 도입시킴으로써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즉, 항원이 도입된 동물은 그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들을 만들게 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항체를 그 동물로부터 분리하여 제 2의 동물 내로 도입하면, 제 2의 동물은 그 특이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항체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동물에게 항체를 수동 전달하거나 항체 함유 물질을 급식하므로써, 포유류나 가금류에서 생물학적인 반응을 유발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동물 및 인간의 식품 효율(food efficiency)을 증가시키고, 위장 운동을 감소시키며, 포만감을 감소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동물과 인간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체는 펩티드 콜레시스토키닌(CCK)에 특이적인 항체이다. 콜레시스토키닌 항체(CCK antibody)가 동물에 도입되면, 콜레시스토키닌 항체는 섭취된 식품이 체중 증가로 전환되는 비율을 높히고, 위장 운동을 외견상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식품 효율을 증가시킨다.
CCK 펩티드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CCK 펩티드는 또한 비-아미드 형일 수도 있다:
Figure pct00002
CCK는 식품 섭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 옥타펩티드(octapeptide)이다. 이는 포유류[문헌 Gibbs et al, 1973 참조] 및 조류[문헌 Savory and Hodgkiss, 1984 참조] 모두에서 성장을 억제하였다. CCK 항체는 돼지[문헌 Pekas and Trout, 1990; Pekas 1991 참조] 및 쥐[문헌 MacLaughlin et al, 1985 참조]의 체내에서 성공적으로 생산되어 왔다. 두 종 모두에서, 식품 섭취와 체중 증가에 대한 CCK의 악영향은 CCK 항체가 체내에서 순환됨으로써 방지되었다.
가금류에서의 CCK의 영향도 잘 알려져 있다[문헌 Savory et al, 1981 참조]. CCK는 식품이 소장으로 들어갈 때 분비되는 폴리펩티드 호르몬의 하나이다. CCK가 장 점막에 존재하면 위장(gastrointestinal, GI) 운동을 변화시킨다. 사낭(gizzard)은 장을 통하여 먹이가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하고, 대개 먹이가 소모된 후 분비되는 CCK는 사낭 수축을 감소시키고 장 수축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장관에서 식품과 영양분의 흡수 시간은 더 줄어든다. 본 발명자는 가금류에 대한 CCK 항체의 전달이 식품 효율을 증가시킴을 발견하였다. 다시 말해서, 식품 파운드당 조류의 체중이 더 증가되는 것이다.
CCK는 식욕도 변화시킨다. CCK는 조류의 식욕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하나의 생리적 효과인 포만감 효과로서 알려진 것에 대한 원인이 된다. 항체가 CCK와 결합하면, CCK는 중화되고, 포만감 효과는 억제되며, 위장 운동에 대한 체내 CCK의 악영향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조류는 단위 섭취량당 체중이 더 증가한다. 종전에는, CCK 항체가 조류 내에서 작용하거나 경구적으로 작용하여, 실제로 CCK의 부정적인 효과를 중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 경우는 없었다.
신경펩티드 Y(neuropeptide Y)와 봄베신(bombesin)은 포유류와 조류 체계에 대하여 CCK와 유사한 생리적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신경펩티드들도 또한 장에서 발견되며, 급식 반응(feeding behavior)을 변화시킨다.
사료 효율과 체중 증가에 대한 CCK 항체의 효과는 (1) CCK 항체를 어미로부터 새끼에게 수동적으로 전달하거나 (예를 들면, 새끼들의 CCK 항체가 증가되도록 씨암탉에 주입함(injecting)으로써); (2) CCK 항체가 많은 난황 생성물을 동물에게 직접 급식(feeding)하거나; 또는 (3) CCK 항체가 많은 물질을 동물에게 직접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면역 반응을 수동적으로 일으키는 방법은, 조류 암컷에게 특정 항원을 접종시켜 자신의 새끼에게 항체를 수동적으로 전달시키는 것이다. CCK에 대한 항체를 어미로부터 새끼에게 수동적으로 전달한 결과, 식품의 체중으로의 전환이 향상되는데, 이는 종전에 당업계에서 밝혀진 바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된 항원에 대해 면역화된 암탉의 알에서 생성된 특이적인 항체 함유 물질에 관한 것이다(여기서 이 항체 함유 물질은 사료와 혼합하여 가금류에게 먹여 생리적 반응을 개선된 형태로 변화시키게 됨). CCK에 대한 항체는, 암탉에서 생성되어 난황으로 전달되어, 난황으로부터 수확되거나 또는 건조 난황으로서 먹일 수 있고, 가금류의 사료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료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종전에는 알려지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번째 장점은, 상업용 식육 업계에서 개개인이 보다 적은 시간과 보다 적은 사료를 사용하여 비용을 매우 절감하므로써, 가축과 가금류의 체중을 시장성이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장점은, CCK 항체가 CCK를 중화시키지만 해로운 부작용은 없고, 식육의 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료 8 파운드당 CCK 항체-함유 알이 단 0.1 내지 1 개 필요하므로, 대규모라 하더라도 본 발명을 이용하는 비용은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또한, 항체는 단순히 사료와 혼합될 수 있고, 따라서 개개의 모든 동물에게 항체를 주입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항체를 가축에게 먹이는 방법을 사용하면 노동 비용이 상대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알 전체 또는 난황을 간단하게 분무 건조시켜 직접 먹일 수 있으므로, 알로부터 항체를 분리하거나 단리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가금이나 가축에게 비가공 대두가루를 먹이는 것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킨다는 데에 있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닭 먹이는 대두가루를 40% 함유하지만, 비가공 대두가루는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트립신의 능력을 억제하는 트립신 억제제(trypsin inhibitor)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금류에게 먹일 수 없다. 그러므로, 비가공 대두가루는 CCK의 수준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사료 효율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대두를 가금류에게 먹이려면 반드시 열 처리하여야 한다. 대두를 제조하는 전형적인 공정은, 대두를 가열하고,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가루를 닭 사료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콩은 적어도 121 ℃에서 약 20-40분 동안 가열하여야 한다. 가금 사료용 대두를 제조하는 것과 연관된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는, 트립신 억제 인자의 파괴를 보장하도록 가열과정이 극도의 고온에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가열로 인하여 대두가루의 단백질의 질이 열악하게 되고 단백질이 변성되어 적절히 소화되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CCK 항체가 비가공 대두를 가금에게 먹이는 것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막는 것을 발견하였다.
대두 외에도, 밀, 보리, 리마 콩 및 여러 콩과 식물을 비롯한 다른 수 많은 식물들이 트립신 억제제를 함유하고 있다. CCK 항체는 또한 밀, 보리, 리마 콩 또는 콩과식물로 제조된 사료를 가금이나 가축에게 먹이는 경우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발명은 또한 현재 가금 및 가축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 이상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항생제는 상업용 동물 산업에서 식품 효율 및 체중 증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생제는 동물 조직에 약물 잔류물을 남기므로 동물은 반드시 "투여중지 기간"을 거쳐야 한다. 투여중지 기간은 항생제가 동물의 조직으로부터 제거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투여중지 기간 동안에, 그 동물은 식용으로 도살될 수 없다. 또한, 생산된 달걀이나 우유도 식용으로 이용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소량의 페니실린이 함유된 우유의 섭취로 인해 인간에 있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켜서, 결국 세균성 질병을 치유하기 위한 항생제의 사용이 소용없게 되는 우려 때문에 이러한 예방책이 이용된다.
두번째로, 장기간에 걸친 항생제의 사용은, 미생물이 항생제에 계속 노출됨으로 인하여 서서히 내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동물을 감염시킬 수 있는 미생물의 수를 잠재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래에 세균성 질병에 대한 치료가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어렵게 될 것이다.
CCK는 또한 포유류에서도 동일하게, 위장 운동 증가 및 포만감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문헌 Pekas and Trout, 1990, 참조]. 조류와 같이 포유류도 항체를 새끼에게 수동적으로 전달하고, CCK 자기면역(autoimmunization)에 반응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포유류 뿐만 아니라 조류에서, 어미의 항체는 새끼에게 수동적으로 전달되는 항체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비가공 대두를 포유류에게 먹이면 조류에서와 같이 CCK 생성이 증가한다[문헌 Weller et al, 1990; Chohen et al, 1993; Can J An Sci 73; 401 참조]. 그러므로, 전술한 사실에 기초하여, 조류에서 관찰되는 CCK로 인한 포만감과 낮은 사료 전환을 막는, 능동적으로 급식되고 수동적으로 전달된 CCK 항체의 효과가 포유류에서도 관찰될 것이다. 소, 돼지와 같은 다양한 가축에서 CCK의 사용은, 동량의 동물 사료를 사용하여 그들의 최종 체중을현저히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시장성 있는 크기의 동물을 생산하는 비용이 감소되고, 이것은 가축산업에 막대한 이익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준 체중 이하이거나 체중 유지에 문제가 있는 인간에게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섭식 장애가 있는 인간에게도 식품 섭취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유용할 것이다.
전술한대로, 동물의 급식 반응과 소화에 영향을 주는 다른 위장 펩티드나 호르몬이 있다. CCK의 예 및 CCK의 악영향을 막기 위하여 그 펩티드에 대한 CCK 항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유사한 반응이 위장 펩티드나 호르몬에 특이적인 다른 항체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예를 들면, 가스트린(gastrin)은 장 내로의 산 분비를 신호화(signaling)하는데 관여하고, 과다증식(hyperplasia)을 유발하는 위 점막에 대한 영양화 작용(trophic action)을 한다. 가스트린에 대한 항체는 위궤양에 걸린 동물이나 장기간의 하이퍼가스트리네미아(hypergastrinemia)로 인하여 위의 ELC 세포암이 있는 경우에, 산 분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장의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은 많은 다른 내장 활성 뿐만 아니라 동물의 식품 섭취를 억제한다. 소마토스타틴에 대한 항체는 이 억제 작용을 막을 수 있다. 봄베신은 CCK의 분비를 자극한다. 봄베신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봄베신을 억제하면, CCK에 특이적인 항체와 유사한 반응을 얻을 수 있다. 신경펩티드 Y는 급식시 자극제가 된다고 보고되어 왔다. 비만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동물에서, 신경펩티드 Y의 활성을 억제하고 비만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장 운동과 장의 다른 기능적 성질을 조절하는 다른 펩티드의 생물학적 활성은 전술한기술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화학적, 대사적, 생리적 및/또는 행동적 과정을 조절하는 펩티드, 호르몬, 사이토키닌 등에 대한 항체를 생성시킴으로써, 신체적 결함을 보상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동물의 체계를 조절하거나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바대로, 포유류와 조류에 있어서 CCK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세가지 방식이 있다: 수동적 전달, 능동적 급식 및 능동적 접종.
항체를 수동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관한 본 발명의 방식은, 알을 낳는 암탉에 CCK를 주입시키고, 그 암탉이 CCK에 특이적인 항체를 생성하고 그 결과 그들 항체가 암탉이 낳은 알의 난황 속으로 수동적으로 전달되는 것에 의한다. 병아리의 배(embryo)는 배발생동안 CCK 항체를 흡수하고, 그 후 CCK 항체는 부화된 병아리의 위장관을 지나갈 뿐만 아니라 혈액 속에서 순환하게 된다.
정제된 CCK 또는 합성된 CCK 펩티드가 사용될 수 있다. 분별법(fractionization), 크로마토그래피, 침전법 또는 추출법과 같이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방법이 CCK 펩티드의 정제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CCK가 항원으로서 사용되기 위하여 담체(carrier)나 외래 단백질과 접합되어야 한다. CCK 단독의 분자량은 1,500 달톤 이하이다. 면역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적어도 10,000 달톤의 분자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접합체가 면역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CCK 펩티드는 분자량 약 8,000 달톤이나 그 이상의 분자량을 가진 담체 단백질과 접합되어야 한다. 담체에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물질들이 포함되지만, 보통 소 감마 글로불린(bovine gamma globulin)이나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eyhole limpet hemocyanin)이 사용된다.
담체 단백질과 접합된 CCK 펩티드는 통상적인 어쥬번트(adjuvant)와 함께 대상 동물에 주입된다. 예를 들면, CCK-담체 접합체는 프로인드의 완전 어쥬번트(Freund's complete adjuvant)중에 에멀션화될 수 있다. 대상 동물이 포유류인 경우, 이후의 접종은 불완전 어쥬번트(incomplete adjuvant)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방식은 CCK로 벡신화시킨 암탉의 알에서 생성된 CCK 항체 함유 물질을 경구로 급식하는 것이다. CCK 항체를 함유하는 알을 생산하여 동물사료에 혼합한다. 이 항체를 함유하는 사료를 섭취하는 가금이나 포유류는 CCK에 특이적인 포만감 효과가 방지되어 곧 유용한 반응을 보인다.
경구 투여용 CCK 항체의 생산은 난황에서 항체를 생산하는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담체 단백질에 접합시킨 CCK를 암탉에 주입시킨다. CCK 항원에의 노출에 대한 반응으로, 이들 암탉이 낳은 알은 난황 내에 다량의 CCK 항체를 함유한다. 이어서, 자동화된 시스템에서 난황을 분리하고 분말 상태로 분무 건조한다. 별법으로, 난황을 동결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표준 기술은 다른 목적(진단, 병원균에 대한 내성 등)을 위한 다양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당업계에 잘 확립된 것이다.
알 전체가 사용되어도 좋고, 따라서 난황을 알부민으로부터 분리할 필요는 없다. 전형적으로, 사료 8 파운드당 0.1 내지 1의 CCK를 함유하는 알이 사용된다.
닭은 알을 얻는 가장 바람직한 공급원이지만, 칠면조, 거위, 오리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알은 다량의 항체를 얻기 위한 적당한 출처원이지만, 닭이 계육으로 가공될 때 혈액 전체, 혈장 또는 혈청으로부터 항체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종된 소나 염소로부터 얻은 우유 뿐만 아니라, 접종된 가축의 전체 혈액, 혈장 또는 혈청은 항체의 또 다른 출처원이 된다. 항체 생산의 또 다른 출처원으로는,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이용한 세포 융합, 재조합 기술을 이용한 유전적으로 변형된 세포 배양 또는 발효를 통한 것이 있다.
본 발명의 세번째 방식은 접종에 의한 것이다. 바람직한 포만감의 반응과 사료 전환율의 개선을 위하여 대상 동물에 CCK 항체를 직접 주입할 수 있다.
CCK 항체를 주입받는 대상 동물은 매우 다양하다. 가축, 가금 및 애완동물 (예를 들면, 밍크, 검은담비 등)과 같이 시판용 동물은 이상적인 후보이다. 또한, 체중 증가에 어려움을 갖는 인간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고려된다.
수동적으로 전달된 CCK 항체에 따른 레그혼 영계의 행동
<실시예 1>
방법
콜레시스토키닌(CCK-8)(황화 티로신을 가진 26-33 아미드 단편)을 글루타르알데히드를 사용하여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LH)에 접합하고, 프로인드의 완전 어쥬번트로(1:1) 유화시킨 후, 11 마리의 단벼슬 백색 레그혼 암탉에 주입시켰다(100㎍ CCK). 최초 주입으로부터 7일 후에 프로인드의 불완전 어쥬번트 중의 CCK-8 접합체를 두번째로 주입시켰다. CCK가 주입되지 않은 대조군 암탉도 또한 사용되었다. 암탉(대조군과 CCK 주입시킨 것)을 수정시켰다(뉴햄프셔 수탉으로부터 수집한 정자를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최초 주입으로부터 5 개월 후에 수집된 수정란을 CCK 항체의 수동적 전달의 결과로서의 영계의 행동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대조군 암탉으로부터 부화된 15 마리의 영계와 CCK를 주입시킨 닭으로부터 부화한 15 마리의 영계를 배터리 인공부화기에서 옥수수-대두 사료를 기초로 한 사료로 6주 동안 키웠다. 체중증가와 사료 소비량 데이타를 수집하였다.
결과
CCK를 주입한 암탉으로부터 얻은 영계는 대조군 암탉으로부터 얻은 영계보다 사료 전환율(체중 증가 파운드당 더 적은 사료)이 14% 향상되었다. 또한, 사료 섭취는 CCK를 주입한 경우에 증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항체 처리 6주 증가량* 변화율 (%) 6주 섭취량* 변화율 (%) 6주 전환율 변화율 (%)
대조군 297 745 2.51
CCK 352 +18 756 +1 2.15 -14
* 체중, 체중 증가량 및 사료 섭취량은 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실시예 2>
방법
최초 접종으로부터 약 10 개월 후에, CCK로 면역화된 암탉(실시예 1에 나타낸 것처럼)과 대조군 암탉의 알을 수집하였다. 13 마리의 영계가 있는 두 개의 우리(대조군과 CCK로 면역화된 닭 모두를 나타냄)에 수동적으로 전달된 CCK 항체가 실시예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옥수수-대두분 기제 사료를 주었다. 영계는 4주 동안 키웠다. 체중과 사료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CCK로 면역화된 암탉에서 온 영계는 대조군 암탉에서 온 영계와 비교할 때 사료전환율이 2% 향상되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 4주 체중* 변화율 (%) 4주 섭취량* 변화율 (%) 4주 전환율 변화율 (%)
대조군 158 383 2.42
CCK 151 -4 360 -6 2.38 -2
* 체중, 체중 증가량 및 사료 섭취량은 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실시예 3>
방법
최초 접종으로부터 약 8 개월 후에 대조군 암탉과 CCK 면역화된 암탉(실시예 1에서 기술한 대로 면역화함)으로부터 수정란을 수집하고, 이를 사용하여 영계의 행동에 대한 CCK 면역화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CCK를 주입한 암탉으로부터 온 영계가 우리당 17 마리씩 있는 우리 2 개와 대조군 암탉으로부터 온 영계가 우리당 17 마리씩 있는 우리 2 개를 4주간 키웠다. 체중과 사료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CCK를 주입한 암탉으로부터 온 영계는 대조군 암탉에서 온 영계보다 사료 전환율에 있어서 5.2% 향상되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처리 4주 체중* 변화율 (%) 4주 섭취량* 변화율 (%) 4주 전환율 변화율 (%)
대조군 246 473 1.92
CCK 245 0 447 -5.5 1.82 -5.2
* 체중, 체중 증가량 및 사료 섭취량은 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실시예 4>
방법
본 연구에서는, CCK로 면역화된 암탉으로부터 온 영계가 우리당 15 마리씩 있는 우리 2 개(실시예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탉의 최초 주입 후 7 개월 후)와 대조군 영계가 우리당 12 마리씩 있는 우리 2 개를 비가공 대두가 5% 첨가된 옥수수-대두 분말 기제 사료로 3주 동안 키웠다(비가공 대두는 CCK 생성을 자극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결과
CCK를 주입한 암탉에서 온 영계는 대조군에서 온 영계과 비교할 때, 사료전환율이 10% 향상되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 3주 체중* 변화율 (%) 3주 섭취량* 변화율 (%) 3주 전환율 변화율 (%)
대조군 169 395 2.34
CCK 161 -5 338 -14 2.10 -10
* 체중, 체중 증가량 및 사료 섭취량은 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브로일러 영계의 행동에 대한 수동 전달된 CCK 항체의 효과를 위한 프로토콜
<실시예 5>
방법
브로일러 닭을 실시예 1에 기술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KLH와 접합시킨 CCK로 면역화시켰다. 이들 닭을 바닥에 놓아서 키웠으므로 수정란은 자연적인 교잡의 결과로 생겼다. 총 10 마리의 암탉은 CCK로 면역화하고(실시예 1에서 제조된 레그혼용 항원으로), 10 마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최초 접종으로부터 약 21 내지 30일 후에, 대조군과 CCK 면역화된 암탉으로부터 수정란을 수집하였다. 대조군으로부터 온 7 마리의 브로일러 영계와 CCK로 면역화된 암탉으로부터 온 7 마리의 브로일러 영계를 배터리 인공부화기에서 부화시켜 3주 동안 키웠다. 체중과 사료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CCK 면역화 암탉에서 온 브로일러 영계는 대조군에서 온 브로일러 영계와 비교할 때, 사료전환율이 20% 향상되었고 체중이 8% 증가되었다. 그 결과는 표 5 참조.
처리 3주 체중* 변화율 (%) 3주 섭취량* 변화율 (%) 3주 전환율 변화율 (%)
대조군 396 604 1.53
CCK 427 +8 526 -13 1.23 -20
* 체중, 체중 증가량 및 사료 섭취량은 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실시예 6>
방법
실시예 5에서와 같이, 최초 접종으로부터 7주 후에 CCK 면역화된 브로일러 닭으로부터 얻은 영계가 6 마리씩 있는 우리 2개와 대조군 암탉으로부터 온 영계가 6 마리씩 있는 우리 2 개를 부화시키고, 브로일러용의 표준 사료로 3주까지 키웠다. 체중과 사료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CCK로 면역화한 암탉에서 온 브로일러 영계는 대조군 암탉에서 온 영계보다, 체중이 16% 증가되었고, 사료 전환율은 12.5% 향상되었다. 그 결과는 표 6 참조.
처리 3주체중* 변화율 (%) 3주 섭취량* 변화율 (%) 3주 전환율 변화율 (%)
대조군 380 547 1.44
CCK 441 +16 547 0 1.26 -12.5
* 체중, 체중 증가량 및 사료 섭취량은 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대조군과 CCK 면역화된 암탉으로부터의 난황의 급식
<실시예 7>
방법
대조군과 CCK 면역화 암탉은 실시예 1에 기술한 대로 준비하였다. 대조군과 CCK 면역화 암탉에서 얻은 알을 최초 접종으로부터 적어도 21일 후에 수집하였다. 난황을 알로부터 수집하였고(알부민은 버림), 대조군 또는 항-CCK 난황을 별도로 모아서 동결시킨 다음 동결 건조시켰다. 대조군과 CCK 항체의 건조 난황을 갈아서 표준 옥수수-대두 기제 사료에 사료의 0.5, 1.0 또는 5%로 되게 첨가하여 (w/w), 3 개의 대조군 처리용과 3 개의 항-CCK 처리용을 제조하였다. 각 처리용 사료를 레그혼류의 영계가 우리당 9 마리씩 있는 2 개의 우리에 4주 동안 주었다. 체중 증가, 사료 소비량 및 사료 전환율을 결정하였다.
결과
항-CCK 난황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 증가는 대조군 난황을 급식한 영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항-CCK 난황의 각 급식량에서 사료 전환율은 대조군 난황을 급식한 경우보다 향상되었다. 그 결과는 표 7 참조.
----- 0 내지 4 주 -----
처리 급식율(%) 사료섭취량* 사료전환율
대조군 난황 0.5 692 2.88
CCK 난황 0.5 680 2.50
대조군 난황 1.0 656 2.39
CCK 난황 1.0 649 2.29
대조군 난황 5 712 2.55
CCK 난황 5 772 2.49
* 체중, 체중 증가량 및 사료 섭취량은 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비가공 대두의 급식이 사료 전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는데 있어
서 CCK 항체의 수동적 전달의 효과
<실시예 8>
방법
면역화된 암탉(레그혼)을 실시예 1에서 기술한대로 준비하였다. 암탉은 인공적으로 수정시키고, 알은 수집하여 인큐베이션하였다. 영계(단벼슬 백색레그혼 X 뉴햄프셔)를 부화시키고, 우리당 12 마리씩 있는 2 개의 우리를 4 개의 처리군으로 배정하였다. 처리군을 2 출처(대조군 또는 CCK 면역화된 암탉으로부터)에 따라 2 개의 군으로 나누고, 이들을 사료처리(비가공 대두가 사료의 5% 또는 10%)에 따라다시 2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영계는 4주 동안 급식하고, 체중과 사료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CCK 면역화된 암탉에서 얻은 영계를 그들 각각의 대조군의 사료와 비교할 때, 사료 전환율이 향상되었다(11% 내지 19%). 사료에서 비가공 대두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사료 전환율은 더 낮아졌다 (대조군에서 12% 낮아졌으나, CCK 주입한 암탉에서 얻은 영계에서는 단 6%만 낮아졌다). 그 결과는 표 8 참조.
비가공대두(%) 수동적 CCK 항체 4 주 체중* 변화율 (%) 4 주 전환율 변화율 (%)
5 - 202 2.63
5 + 205 +1.5 2.34 -11
10 - 192 2.94
10 + 197 +2.6 2.48 -19
* 체중, 체중 증가량 및 사료 섭취량은 그램 단위로 측정된다.

Claims (47)

  1. 급식 반응(feeding behavior)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장 펩티드로 면역화된 생산자 동물로부터 유래한 상기 장 펩티드 특이적 항체 함유 물질을 동물에 급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 펩티드 항체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전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조류, 또는 돼지, 소, 양 또는 염소로부터 선택되는 포유류, 또는 설치류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가금류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가 닭인 방법.
  5. 제1항 및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 동물이 조류, 또는 돼지, 소, 양 또는 염소, 또는 설치류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항체 함유 물질이 전혈, 혈청, 혈장 또는 우유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생산자 동물의 부산물에서 유래하는 방법.
  6. 제1항 및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 동물이 암컷 조류이고, 상기 항체 함유 물질이 알 전체 또는 난황으로부터 유래하는 방법.
  7. 급식 반응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동물이 장 펩티드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고 상기 항체를 상기 동물의 새끼에게 수동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새끼에 있어 급식 반응이 변화되는 면역 반응을 나타내도록 장 펩티드로 동물을 면역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 펩티드 항체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전달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조류, 또는 돼지, 소, 양 또는 염소로부터 선택되는 포유류, 또는 설치류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닭인 방법.
  10. 유기 곡식과, 장 펩티드와 결합하는 유효량의 항체를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물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면역화된 조류의 알에서 유래하는 사료 물질.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가금류 및 돼지, 소, 양 또는 염소로부터 선택되는 가축인 사료 물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닭인 사료 물질.
  14. 장 펩티드 항체를 유효량 함유하는 곡식을 동물에게 급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트립신 억제제를 함유하는 식물성 물질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급식하는 경우의 트립신 억제제의 부정적인 영향을 상쇄시키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물질이 대두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급식 반응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CCK) 펩티드로 면역화된 생산자 동물로부터 유래한 CCK 특이적 항체 함유 물질을 동물에게 급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콜레시스토키닌(CCK) 항체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전달하는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급식 반응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동물이 콜레시스토키닌(CCK)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고 상기 항체를 상기 동물의 새끼에게 수동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새끼에 있어 급식 반응이 변화되는 면역 반응을 나타내도록 CCK로 동물을 면역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CCK 항체를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전달하는 방법.
  18. 제7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 펩티드 항체의 전달이 식품 효율을 증가시키고, 장 운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19. 장 펩티드 특이적 항체를 포함하는, 대상 동물에서 식품 효율을 증가시키고 장 운동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한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경구 투여용 의약.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이 체중 유지의 어려움 또는 섭식 장애가 있는 질환에 걸린 것인 의약.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조류, 또는 돼지, 소, 양 또는 염소로부터 선택되는 포유류, 또는 설치류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가금류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가 닭인 방법.
  24. 제16항 및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 동물이 조류, 또는 돼지, 소, 양 또는 염소, 또는 설치류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항체 함유 물질이 전혈, 혈청, 혈장 또는 우유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생산자 동물의 부산물로부터 유래하는 방법.
  25. 제16항 및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 동물이암컷 조류이고, 상기 항체 함유 물질이 알 전체 또는 난황으로부터 유래하는 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조류, 또는 돼지, 소, 양 또는 염소로부터 선택되는 포유류, 또는 설치류인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닭인 방법.
  28. 제17항, 제26항 및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K 항체의 전달이 식품 효율을 증가시키고, 장 운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29. 제14항에 있어서, 콜레시스토키닌(CCK) 항체를 유효량 함유하는 곡식을 동물에게 급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트립신 억제제를 유효량 함유하는 식물성 물질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급식하는 경우의 트립신 억제제의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물질이 대두인 방법.
  31. 제1항 및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 펩티드가 봄베신, 신경펩티드 Y, 가스트린 또는 소마토스타틴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2. 제10항에 있어서, 유기 곡식과, 콜레시스토키닌(CCK)과 결합하는 유효량의 항체를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물질.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면역화된 조류의 알에서 유래하는 사료 물질.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가금류 및 돼지, 소, 양 또는 염소로부터 선택되는 가축인 사료 물질.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이 닭인 사료 물질.
  3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 펩티드가 봄베신, 신경펩티드 Y, 가스트린 또는 소마토스타틴으로부터 선택되는 사료 물질.
  37. 제19항에 있어서, 콜레시스토키닌 특이적 항체를 포함하는, 대상 동물에서 식품 효율을 증가시키고 장 운동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한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경구 투여용 의약.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이 체중 유지의 어려움 또는 섭식 장애가 있는 질환에 걸린 것인 의약.
  39.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봄베신, 신경펩티드 Y, 가스트린 또는 소마토스타틴에 특이적인 의약.
  40. 제16항 및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K 펩티드가 정제된 콜레시스토키닌 펩티드인 방법.
  41. 제16항 및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K 펩티드가 합성된 콜레시스토키닌 펩티드인 방법.
  4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시스토키닌 펩티드가 황산화 또는 비황산화되거나, 또는 아미드형인 방법.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콜레시스토키닌 펩티드가 담체 단백질에 접합(conjugate)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단백질이 키홀 림펫 헤모시아닌(keyhole limpet hemocyanin) 또는 소 감마글로불린(bovine gamma globulin)인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단백질에 접합된 CCK 펩티드의 분자량이 8,000 달톤 이상인 방법.
  46. 제17항, 제26항 및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K 펩티드가 담체 단백질에 접합되는 방법.
  47. 제16항 및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CK 항체의 전달이 식품 효율을 증가시키고, 장 운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9970700750A 1994-08-05 1995-07-21 사료효율을향상시키기위하여사용되는cck항체 KR100406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637694A 1994-08-05 1994-08-05
US08/286,376 1994-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4470A KR970704470A (ko) 1997-09-06
KR100406912B1 true KR100406912B1 (ko) 2004-02-18

Family

ID=2309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0750A KR100406912B1 (ko) 1994-08-05 1995-07-21 사료효율을향상시키기위하여사용되는cck항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827517A (ko)
EP (2) EP0769964B1 (ko)
JP (1) JP3884069B2 (ko)
KR (1) KR100406912B1 (ko)
CN (1) CN1127352C (ko)
AT (2) ATE238810T1 (ko)
AU (1) AU708398B2 (ko)
CA (1) CA2196594A1 (ko)
DE (2) DE69535209D1 (ko)
WO (1) WO19960049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5873A (en) * 1996-07-22 1998-03-1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improving the growth or the efficiency of feed conversion of an animal and compositions for use therein
US6086878A (en) * 1997-08-21 2000-07-11 Dcv, Inc. Method of increasing muscle protein and reducing fat in animals
ATE535154T1 (de) * 1998-03-12 2011-12-15 Vhsquared Ltd Produkten die inaktivierte hefen oder schimmel enthalten, die auf ihrer aussenoberfläche aktive antikörper haben
EP0954978B1 (en) 1998-03-12 2011-11-30 VHsquared Limited New products comprising inactivated yeasts or moulds provided with active antibodies
US6217865B1 (en) * 1998-04-08 2001-04-17 Dcv, Inc. Method of antibody blending for increased efficacy
US7618624B1 (en) 1999-01-07 2009-11-17 Anitox Corporation Weight control using an anti-lipase antibody
US6838431B2 (en) * 1999-07-27 2005-01-04 Pacific Health Laboratories, Inc. Nutritional intervention composition containing a source of proteinase inhibitor extending post meal satiety
AU779377C (en) * 1999-07-27 2005-06-30 Kemin Consumer Care, L.C. Composition for extending post meal satiety
US7355092B2 (en) * 1999-12-27 2008-04-08 Ronald Marquardt Genetic vaccines for the production of chicken egg-yolk antibodies against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and other pathogens
US20020150575A1 (en) * 2000-01-07 2002-10-17 Cook Mark E. Method to suppress appetite and reduce weight gain
US20010020012A1 (en) * 2000-02-01 2001-09-06 Andersen Maibritt Bansholm Use of compounds for the regulation of food intake
US6207638B1 (en) 2000-02-23 2001-03-27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Nutritional intervention composition for enhancing and extending satiety
AU2002232575A1 (en) 2000-12-15 2002-06-24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Nutritio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efficacy of a lipase inhibitor
US6429190B1 (en) 2000-12-15 2002-08-06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Method for extending the satiety of food by adding a nutritional composition designed to stimulate cholecystokinin(CCK)
WO2002094124A2 (en) * 2001-05-18 2002-11-28 Arkion Life Sciences Method of increasing uniformity in avians
US7534433B2 (en) * 2002-06-06 2009-05-19 Anitox Corporation Method for improving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in animals
US6729265B2 (en) 2002-06-27 2004-05-04 Arkion Life Sciences Llc Supplemented antibody feed to enter the circulating system of newborns
US7883701B2 (en) * 2003-12-19 2011-02-08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for enhancing growth or increasing feed efficiency through reducing binding between endotoxin and its receptor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8802094B2 (en) * 2006-10-25 2014-08-12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reducing phosphate absorption by administering orally an IgY anti-intestinal sodium phosphate cotransporter type 2B antibody
JP5701504B2 (ja) * 2006-10-26 2015-04-15 ウィスコンシン アルムニ リサーチ ファンデイション リン酸塩吸収の低減方法
TWI353845B (en) 2008-03-19 2011-12-11 Food Industry Res & Dev Inst Process for preparing peptide products for promoti
CN101731458B (zh) * 2008-11-10 2012-11-21 胡文锋 一种含有抗猪CCK/Urease的双效价卵黄抗体的卵黄粉及其制备方法
US20100153180A1 (en) * 2008-12-16 2010-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nerating Receptivity Cohorts
CN103250903B (zh) * 2013-05-20 2015-03-11 大连理工大学 一种毛皮动物药效营养膏及其制备方法
CN104222637B (zh) * 2014-09-12 2016-08-24 无锡肽旗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断奶仔猪用配合饲料
CN104982705A (zh) * 2015-06-10 2015-10-21 柳州市宝杨种植专业合作社 一种产蛋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124289A (zh) * 2015-09-16 2015-12-09 怀宁县森源生态养殖有限公司 一种有机鸡饲料配方
CN106942469A (zh) * 2017-03-10 2017-07-14 大连理工大学 以玉米芯为载体的特异性卵黄液抗体制剂及其制备方法
CN109306018A (zh) * 2018-11-01 2019-02-05 西安德轩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长抑素免疫原复合物及其制备生长抑素抗独特型卵黄抗体的方法
CN113709260B (zh) * 2021-10-29 2022-01-07 湖南伟业动物营养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饲料生产物联网的数据分析odm系统
CN116715779A (zh) * 2023-05-17 2023-09-08 衡阳师范学院 抗猪胆囊收缩素与生长抑素二联卵黄抗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018A (en) * 1984-02-07 1988-05-31 Stolle Research & Development Corp. Method of passive immunization of mammals using avian antibody
US4599229A (en) * 1985-09-09 1986-07-08 International Minerals & Chemical Corp. Method of promoting animal growth using antibodies against somatostatin
CH0225254H1 (en) * 1985-11-25 1998-09-15 Ghen Corp Specific antibody-containing substance from eggs and method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4764475A (en) * 1986-12-01 1988-08-16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ancreas dependant immunoassay for determining subpopulations of monoclonal antibodies to somatostatin.
DK8189A (da) * 1988-01-12 1989-07-13 Bunge Australia Antigen-antistof-konjugater, deres fremstilling og anvendelse
US5137900A (en) * 1989-06-13 1992-08-11 Merck & Co., Inc. Therapeutic virginiamycin M1 analogs
FR2694885B1 (fr) * 1992-08-20 1994-10-07 Rhone Merieux Procédé pour améliorer la croissance et la qualité des carcasses des animaux domestiques producteurs de viande, ensemble de vaccination et vacc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246A (zh) 1997-07-23
DE69530588D1 (de) 2003-06-05
JP3884069B2 (ja) 2007-02-21
WO1996004933A2 (en) 1996-02-22
EP0769964A2 (en) 1997-05-02
JPH10504303A (ja) 1998-04-28
EP0769964B1 (en) 2003-05-02
ATE337792T1 (de) 2006-09-15
CA2196594A1 (en) 1996-02-22
US5827517A (en) 1998-10-27
CN1127352C (zh) 2003-11-12
KR970704470A (ko) 1997-09-06
DE69535209D1 (de) 2006-10-12
ATE238810T1 (de) 2003-05-15
WO1996004933A3 (en) 1996-04-04
EP1149590B1 (en) 2006-08-30
DE69530588T2 (de) 2004-04-01
MX9700878A (es) 1998-07-31
AU708398B2 (en) 1999-08-05
EP1149590A1 (en) 2001-10-31
US5989584A (en) 1999-11-23
AU3103495A (en) 199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912B1 (ko) 사료효율을향상시키기위하여사용되는cck항체
US6086878A (en) Method of increasing muscle protein and reducing fat in animals
US20210221881A1 (en) Interleukin-10 receptor-2 peptides, antibodi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5814316A (en) Compound to mimick a naturally occurring peptide&#39;s effect
US20110086045A1 (en) Method for enhancing growth or increasing feed efficiency through reducing binding between endotoxin and its receptor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US20020150575A1 (en) Method to suppress appetite and reduce weight gain
MXPA97000878A (en) Cck antibodies employed to improve food efficiency
US5725861A (en) Products and processes for gastric cascade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 treatment with same
US6027735A (en) Products and processes for gastric cascade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 treatment with same
US20020004045A1 (en) Reduction of adipocyte number and adipose tissue depots in animals
Shaw Gamebird Musculoskeletal and Neurologic Diseases
US20030017154A1 (en) Method of increasing uniformity in avians
MXPA00001742A (en) Method and food product for increasing muscle protein and reducing fat in animals
WO2013014269A1 (en) A method to promote growth of a newborn animal
KR20080038463A (ko) 유즙면역법에 의한 돼지 장독소 대장균 설사증 예방법 개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