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4939B1 - 일반적인 건축목적으로 보유벽을 형성하도록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유니트을 제조하기 위한 모르타르 없는 적층가능한 블록 - Google Patents

일반적인 건축목적으로 보유벽을 형성하도록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유니트을 제조하기 위한 모르타르 없는 적층가능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939B1
KR100404939B1 KR10-1999-0030491A KR19990030491A KR100404939B1 KR 100404939 B1 KR100404939 B1 KR 100404939B1 KR 19990030491 A KR19990030491 A KR 19990030491A KR 100404939 B1 KR100404939 B1 KR 10040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ox
block
stackable
block structure
concrete m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961A (ko
Inventor
팀앨런 보트
Original Assignee
엘란 블록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란 블록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엘란 블록 코포레이숀
Priority to KR10-1999-003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9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28B5/021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the shaped articles being of 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9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interlocking means, e.g. grooves and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B28B7/241Detachable assemblies of mould parts providing only in mutual co-operation a number of complete moulding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원료 콘크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구조를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에 따라 형성된 블록구조는, 상부, 바닥 및 측표면을 가지고 평면 베이스 지지대를 이용하며, 열린 상부 및 바닥을 가지는 몰드박스와,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수용하는 코어바를 가지고, 상기 몰드박스 내에 원료 콘크리트 믹스의 상부표면을 형성하고 연결되는 상승 및 하강왕복을 위해 왕복하는 상부 슈(Shoe)와 원료 콘크리트 믹스 물질을 가지며,
상기 평면베이스지지대가 상기 몰드박스와 코어바를 지지하고 동작의 수평축을 따라 운행하도록 배치된 콘베이어 벨트이고 상기 코어 바는 상기 코어의 표면 및 상기 동작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축을 따라 상기 몰드박스로부터 제거되고 도입되며 적층가능한 블록의 두 대향된 측표면의 하나를 구성하며 상기 상부 슈(Shoe)가 적층가능한 블록의 대향된 측표면을 구성하고 수직축을 따라 상기 몰드박스로부터 도입되고 제거되며 측면 패널이 한쌍의 동일한 적층가능한 블록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중간섹션을 따라 쪼개질 수 있는 블록 공동의 상부 및 바닥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일반적인 건축목적으로 보유벽을 형성하도록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유니트을 제조하기 위한 모르타르 없는 적층가능한 블록{MORTARLESS, STACKABLE BLOCKS FOR FABRICATION OF PRE-FORMED CONCRETE UNITS TO FORM RETAINING WALLS AND FOR GENERAL BUILDING PURPOS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료 콘크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별 블록이 몰드 박스의 상부 및 하부표면을 따라 위치하는 블록의 측면으로 몰드박스 내에 형성되는 블록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조립체 과정에 관계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인공코어바가 도입되고 블록이 형성된 컨베이어의 표면에 형행하고 몰드 박스의 바닥표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축을 따라 몰드 박스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가능한 블록은 신속하게 진행되고 일반적인 건축목적과 마찬가지로 보유 벽을 설치하는데 넓은 응용성을 보여준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블록과 적층가능한 블록구조는 전통적으로 압축된 원료 콘크리트 박스로부터 형성되고 몰드박스 내에서 형성되거나 구성되었다.
상기 몰드 박스들은 대개 움직이는 컨베이어의 표면상에서 지지되거나 위치하며, 블록의 형성 및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작동이 수행된다.
중공코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층가능한 블록구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또는 바닥이 되는 블록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표면을 가지고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분절된 코어로드가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전통적인 블록이 형성될 때에는 상기 과정들이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그 표면중 하나를 따라, 블록이 날개 또는 플랜지가 붙은 돌출부를 가지면, 상기 전통적인 방법 또는 절차에서는 연속 또는 자동생산을 수행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전통적인 작동으로부터 출발하는 절차 및 기술을 이용하며, 동시에 후면을 따라 날개 돌출부 또는 플랜지가 형성된 블록을 연속 또는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층가능한 블록구조가 개별블록이 그 측면에서 제조되는 몰드 박스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환언하면,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표면이 그 위에 형성된 블록의 두 대향된 제 1 측표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코어로드가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 그리고 역시 벨트 진행방향에 평행한 축을 따라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블록은 하역 과정동안 블록의 취급이나 배치가 한쌍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블록요소를 형성하도록 중간섹션을 따라 분열 또는 쪼갬준비 위치에서 블록을 배치하거나 위치를 정함으로써, 투업(two-up)을 기초로 하여 몰드박스 내에서 제조된다.
상기 형태로 제조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신속해진 블록의 사후 처리로 더 빠르거나 연속적인 제조작동이 용이해진다.
상기 과정의 실제단계 또는 작동에서, 코어로드는 몰드박스의 베이스를 따라 그리고 통하여 수평으로 도입되고 미리 설정된 구성과 밀도의 원료 콘크리트 믹스가 몰드박스 내로 도입된다.
그 후, 적절하게 측정된 콘크리트 믹스의 양으로 왕복적인 블록 구성 슈(shoe)가 궁극적으로 두 대향된 측표면 또는 블록의 벽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료 콘크리트 믹스의 상부표면상에서 하방으로 가압된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블록 구조는 움직이는 컨베이어에서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거기서 블록이 다른 측표면상에서 형성되고 마감블록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후면을 한정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날개를 측면으로 연장하고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테이퍼진 변형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상기 블록들은 아치형 또는 곡선 벽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데 특히 유용한 날개 형상을 가진 상기 보유벽들과 같이 모르타르 없는 구성의 제조를 위해 상당히 바람직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벽들은 상부에서 볼 때 완전히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인접블록의 측면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날개를 파괴함으로써 제조가능하고 따라서 보유벽을 형성하는 개별 블록의 의도하는 형태로 만들기 쉽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원료 콘트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 구조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몰드 박스들은 형성된 블록이 그 측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블록의 표면 또는 후면을 형성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날개를 측면으로 연장하는 동안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테이퍼진 변형된 사다리꼴 및 날개형상을 가지는 블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성된 블록구조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후면을 한정하는 측면으로 연장된 플랜지된 날개를 따라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테이퍼진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원료 콘크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구조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을 연구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가능한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해 배치된 몰드박스를 지지하는 지지대 또는 표면의 사시도.
도 2는 슈(shoe)의 부분을 가지는 몰드박스 내에서 상부표면을 구성하거나 형성하기위해 이용되는 스토퍼 또는 슈와 접족한 블록의 상부표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3은 이중블록구조내의 각 블록의 후표면을 따라 단일날개 또는 립(lip)을 비대칭으로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이중 블록구조의 측면도.
도 4는 중심 디바이더 플레이트를 가지는 몰드박스의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도 1에서, 본 발명의 과정을 형성하는 블록이 참조번호 11에서 보여지는 벨트의 부분과 참조번호 12에서 보여지는 벨트의 운행축을 가지는 연속적인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설계된 시스템 조립체(10) 내에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6-16선을 따라 쪼개어져 배치되고 형성된 상기 블록들을 가지는 참조번호 14 및 15와 같은 한 쌍의 이중블록이 벨트(11)의 상부표면에 배치되어 위치한다.
상기 개별 블록들은 선 16-16을 따라 이중블록 조립체(14,15)를 통하여 연장되는 평면을 따라 분리되고 쪼개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록들은, 작동되는 동안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4)과 블록(15)사이의 중간에 위치한 중앙 디바이더 플레이트(19)를 따라 네 개의 수직으로 위치한 벽들을 보유하는 박스를 가진 참조번호 18로 도시된 부분인 몰드박스 내에서 형성된다.
플레이트(19)는 립을 제공하는 참조번호 21의 V 자형상의 부분을 따라 참조번호 20과 같은 블록내의 오프셋 노치(offset notch)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배치는 날개 또는 플랜지 표면이 블록(14,15)내에서 참조번호(22,23,24,25)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슈(shoe) 또는 스톰퍼(stomper)의 섹션이 참조 번호 27로 보여지고 이중머리 화살표 28의 방향으로 선을따라 상호 분절된 슈(shoe)를 가진다.
도 1에 따르면, 수평으로 위치한 코어 로드 또는 풀러 블레이드(puller blade)가 참조번호 30, 31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로드는 화살표 32 방형으로 선을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배치에서, 코어로드(30,31)는 몰드 박스 공동의 바닥 표면을 따라 위치하고 블록(14,15)의 변형된 사다리꼴 구성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레이트(19)의 부분은 삼각형 단면구성인 코어로드(30,31)를 가지고 실제 블록 제조작업동안 코어로드(30,31)를 수용하고 조절하기위해 참조번호 33 및 34에서처럼 절개된다.
화살표 35에 의해 간략하게 표시된 바와 같이 몰드박스에 원료 콘크리트 믹스를 운반하는 수단이 있는데, 상기 운반 시스템은 물론 통상의 사용에서 블록업계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다.
전통적인 작동에서, 참조번호 18과 같은 몰드박스가 참조번호 11과 같은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상에 위치한다. 코어로드(30,31)는 컨베이어의 표면과 컨베이어의 동작축에 평행한 축을 따라 도입되며, 절개구역(33,34)과 몰드박스의 베이스내에 형성된 동일한 절개구역을 통하여 연장된다.
그 후, 적절히 측정된 양의 원료 콘크리트가 종래의 열린 상부(Top)를 가진 몰드박스(18)로 도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박스(18)는 통상 상기 박스의 보유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측패널이 설치되고 또한 도 2에서 참조번호 37로 나타나는 개구부를수용하는 코어바가 설치된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7로 표시된 왕복 상부 슈(Shoe)는 상부표면을 구성하고 믹스의 표면을 연결하기 위해 콘크리트 믹스상에서 하부로 가압된다.
상기 슈(27)와 함께 몰드박스(18)는 원료의 적절한 양을 준비하고 스스로 유지시키기에 필요한 기간동안 블록이 있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원료 콘크리트가 적절한 범위로 한번 양생되면 상기 코어로드를 따라 상부 슈가 제거되고 필요한 경우 쪼개지기 전에 블록이 양생된다.
개별 블록(14,15)의 분절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투업(two-up)을 기초로 형성된 븍록은 쪼개짐 작용이전에 필요한 회전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형성된 개별블록 구조는 측면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날개(22,23,24,25)와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테이터진 변형된 사다리꼴 형상을 포함한 것이다. 예를들어, 플랜지된 날개는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38에서 보여지는 직사각형 후면을 한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가 형성된 구조는 직선벽이 요구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당히 바람직한 구조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별 이중블록조립체(14,15)는 직사각형 요홈(39)과 V자형상의 노치(40)가 설치된다.
이것은 개별블록이 V자형 노치 및 마감된 블록구조의 각각 상부 및 하부표면상에 대향되어 배치된 직사각형 요홈을 가지고, 의도된 수직 배치 및 단형후퇴(set-back)배치 내에 적층될 수 있게하는 구성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V자형 노치와 직사각형 요홈은 서로 대향된 이중블록 공동의 단부의 중간에 위치한다. 도시된 블록구성에 더하여, 대칭날개설계를 실현하는 블록의 변형된 형태가 역시 제조될 수 있다.
변형된 형태에서, 부가적으로 선택적인 설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감된 블록의 후표면을 따라 립을 가지는 블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참조번호 51인 후방 립을 결합하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블록구조를 가지는 구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블록의 나머지 특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필수적으로 동일하다.
제시된 도면들은 한쌍의 투업(two-up)블록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중배치는 명세서에 나타난 과정내의 단계에 따라 공지된 장치를 가지고도 역시 가능하다.
예를들어, 4개에서 64개까지 또는 그 이상의 블록을 쌓는 다중 그룹이 상술된 장치 및 단계로 가능하다. 당업자라면 상기 장치 및 단계를 수행하고 실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사항들은 예시의 목적으로 주어진 본원발명의 특징이며, 본원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출발함이 없이 상기 명세서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수 있다.

Claims (5)

  1. 상부, 바닥 및 측표면을 가지고 평면 베이스 지지대를 이용하며, 열린 상부 및 바닥을 가지는 몰드박스와,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수용하는 코어바를 가지고,
    상기 몰드박스내에 원료 콘크리트 믹스의 상부표면을 형성하고 연결되는 상승 및 하강왕복을 위해 왕복하는 상부 슈(Shoe)와
    원료 콘크리트 믹스 물질을 가지는 상기 몰드박스를 적재하는 수단이 형성된 블록구조를 가지는 원료 콘크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평면베이스지지대가 상기 몰드박스와 코어바를 지지하고 동작의 수평축을 따라 운행하도록 배치된 콘베이어 벨트이고;
    b) 상기 코어 바는 상기 코어의 표면 및 상기 동작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축을 따라 상기 몰드박스로부터 제거되고 도입되며 적층가능한 블록의 두 대향된 측표면의 하나를 구성하며;
    c) 상기 상부 슈(Shoe)가 적층가능한 블록의 대향된 측표면을 구성하고 수직축을 따라 상기 몰드박스로부터 도입되고 제거되며;
    d) 측면 패널이 한쌍의 동일한 적층가능한 블록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중간섹션을 따라 쪼개질 수 있는 블록 공동의 상부 및 바닥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콘크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구조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가능한 블록구조가 직사각형 후면으 f한정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날개를 가지고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테이퍼진 변형된 사다리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콘크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구조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로드가 변형된 사다리꼴 구성을 블록구조를 이루기 위해 삼각형 단면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콘크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구조를 제조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된 측표면이 상기 표면들중 하나상에서 중심에 위치한 V자 형상의 노치와 대향된 표면상에서 직사각형을 포함하고 서로 대향되고 상기 블록 공동의 단부의 중심에 위치한 직사각형과 V자형의 노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콘크리트 믹스로부터 적층가능한 블록구조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가능한 블록구조.
KR10-1999-0030491A 1999-07-27 1999-07-27 일반적인 건축목적으로 보유벽을 형성하도록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유니트을 제조하기 위한 모르타르 없는 적층가능한 블록 KR100404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491A KR100404939B1 (ko) 1999-07-27 1999-07-27 일반적인 건축목적으로 보유벽을 형성하도록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유니트을 제조하기 위한 모르타르 없는 적층가능한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46,230 1999-02-08
KR10-1999-0030491A KR100404939B1 (ko) 1999-07-27 1999-07-27 일반적인 건축목적으로 보유벽을 형성하도록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유니트을 제조하기 위한 모르타르 없는 적층가능한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61A KR20000056961A (ko) 2000-09-15
KR100404939B1 true KR100404939B1 (ko) 2003-11-10

Family

ID=1960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491A KR100404939B1 (ko) 1999-07-27 1999-07-27 일반적인 건축목적으로 보유벽을 형성하도록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유니트을 제조하기 위한 모르타르 없는 적층가능한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92B1 (ko) * 2019-04-03 2019-11-27 김윤춘 임시 적재장치를 이용한 벽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507B1 (ko) * 2002-11-19 2005-07-12 김맹기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492B1 (ko) * 2019-04-03 2019-11-27 김윤춘 임시 적재장치를 이용한 벽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61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742B1 (en) Method of producing stackable concrete blocks
CN1077191C (zh) 互锁无砂浆砌块系统
US3422588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EP1731281A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forming concrete block with beveled core opening edge
US4274824A (en) Mold box apparatus
US4272940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7048250B2 (en) Method for producing purpose-made blocks, a device therefor and a purpose-made block
KR100404939B1 (ko) 일반적인 건축목적으로 보유벽을 형성하도록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유니트을 제조하기 위한 모르타르 없는 적층가능한 블록
US642872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block for staircase
US20060145050A1 (en) Multi-block mold and system
US8016584B2 (en) Mold for the production of molded concrete bricks, and molded concrete brick using it
US20060230702A1 (en)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block with manipulation handles and method of production
US6145267A (en) Interlocking blocks of precise height
EP1287956A1 (en) Method of producing stackable concrete blocks
AU6552301A (en) Producing stackable concrete blocks
CN101048559A (zh) 改进的砌筑块
GB2197358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RU2380224C2 (ru)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ь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ерамического изделия
KR20210117009A (ko) 울타리용 콘크리트 블록
IE61504B1 (en) Concrete posts
JP6945911B1 (ja) 透かしレンガ積み壁材の構築方法
RU2800173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пустотелы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5907173U (zh) 一种空心砌块及其墙体
CA2574123A1 (en) Stair block for use in landscaping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GB1592785A (en) Pillar mou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7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