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4795B1 -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795B1
KR100404795B1 KR10-2001-0005669A KR20010005669A KR100404795B1 KR 100404795 B1 KR100404795 B1 KR 100404795B1 KR 20010005669 A KR20010005669 A KR 20010005669A KR 100404795 B1 KR100404795 B1 KR 10040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user
connection
module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354A (ko
Inventor
임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0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7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7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컴퓨터 단말기 및 무선용 웹 서버와 접속 가능한 파일 커넥션 서버와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되는 커넥션 에이전트로 이루어진 파일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의 각종 파일, 디렉토리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메일 전송, 채팅 등을 수행할 때 제공된 파일, 디렉토리 정보를 통하여 직접 선택한 파일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컴퓨터 단말기에 수신된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파일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파일 정보를 제공받고 이들을 선택하여 원하는 주소로 전송하거나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된 파일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연계하여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System for File Transmission/ Reception in wireless Internet}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의 각종 파일, 디렉토리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메일 전송, 채팅 등을 수행할 때 제공된 파일, 디렉토리 정보를 통하여 직접 선택한 파일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컴퓨터 단말기에 수신된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파일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양질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급격한 대중화로 인하여 사이버 공간이 생활의 중요한 일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소위 엔 세대라는 젊은 층들에게 사이버 세상은 오프라인의 생활을 위협할 정도로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루어지던 초고속 통신망이 환경적, 공간적, 경제적 요인 등의 한계성이 문제점을 발생시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은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개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 이동 통신을 통한 서비스로는 인터넷 접속, E-mail 전송, 게임 등이 수행되고 있는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용량의 한계, 통신 속도, 통화 지역의 한계성, 접속의 불안정성 등의 문제점 때문에 유선 인터넷망에 비해서는 그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E-mail 등을 전송하고 통신 상대에 특정 파일을 전송하려면, 대용량의 이동 통신 단말기 메모리와 고속 이동 통신 망 등이 필요하여 경제적 부담이 적지 않으리라 예측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연계한 효율적인 파일 등의 전송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파일 정보를 제공받고 이들 중 전송을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여 원하는 주소로 전송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유/무선 통신망을 연계하여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이 실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파일 송수신 시스템
100 : 커넥션 서버
101 : 제어부
102 : 사용자 등록/수정 모듈
103 : 에이전트 커넥션 모듈
104 : 에이전트 다운로드/설치 모듈
105 : 파일 정보 요청 모듈
106 : 파일 정보 전송 모듈
107 : 파일 전송 요청 모듈
108 : 파일 전송 모듈
109 : 메일 전송 모듈
110 : 데이터 베이스부
111 :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
112 : PC/에이전트 정보 데이터 베이스
113 :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
114 : 외부 인터페이스
200 : 커넥션 에이전트
201 : 서버 커넥션 모듈
202 : 파일 정보 전송 에이전트 모듈
203 : 파일 전송 에이전트 모듈
301 :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
302 :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
400 : 유/무선 인터넷(통신)망
500 : 무선용 웹 서버
600 : E-Mail 서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와 무선용 웹 서버 및 E-Mail 서버에 접속 가능한 커넥션 서버와,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되어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커넥션 서버와 연결되는 커넥션 에이전트를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커넥션 에이전트는, 커넥션 서버로부터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의 파일 정보와 디렉토리 정보를 커넥션 서버로 전송하는 파일 정보 전송 에이전트 모듈과, 커넥션 서버로부터 특정 파일의 전송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파일을 커넥션 서버로 전송하는 파일 전송 에이전트 모듈과, 서버와 항상 통신망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서버 커넥션 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션 서버는,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입력받고 고유 코드를 할당하여 서비스 이용 자격을 부여하는 사용자 등록/수정 모듈과, 커넥션 에이전트와 지속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커넥션 모듈과, 사용자가 커넥션 에이전트를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도록 커넥션 에이전트 셋업 파일을 제공하는 에이전트 다운로드/설치 모듈과,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속된 무선용 웹 서버로부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의 파일 정보 요청이 있을 시에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커넥션 에이전트에 요청하는 파일 정보 요청 모듈과, 커넥션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의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무선용 웹 서버로 전송하는 파일 정보 전송 모듈과, 무선용 웹 서버로부터 특정 파일의 전송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파일을 커넥션 에이전트에 요청하는 파일 전송 요청 모듈과, 커넥션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무선용 웹 서버 또는 이메일 서버에 전송하는 파일 전송 모듈과, 커넥션 서버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망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앞서 서술한 시스템 내의 각 모듈의 상호 동작 및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 모듈의 동작에서 발생하는 각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데이터 베이스부는 사용자 등록/수정 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 및 에이전트 정보를 저장하는 PC/에이전트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비록 다른 도면에 속하더라도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송수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송수신 시스템(10)의 커넥션 서버(100)는 다수의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 및 무선용 웹 서버(500)에 접속이 가능하며, 사용자 컴퓨터(301)에는 커넥션 에이전트(200)가 설치되어 커넥션 서버(100)와 접속을 이룬다.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302)는 무선 인터넷망(400)을 통하여 파일 전송 시스템(10)과 연동되는 무선용 웹 서버(500)에 접속되어 있어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302)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의 각종 파일을 무선용 웹 서버(500)에 요청할 경우 파일 커넥션 서버(100)와 커넥션 에이전트(200)를 통하여 요청한 파일을 확인하거나 또는 E-Mail 서버(600)를 통하여 통신 상대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파일 송수신 시스템(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션 서버(100)와 커넥션 에이전트(200)로 구성되어 있다.
커넥션 에이전트(200)는 커넥션 서버(100)와 항시 통신 접속 상태를 유지하며 커넥션 서버(100)로부터 파일 정보 또는 파일 요청이 있을 때, 파일 정보 및 디렉토리 정보 또는 파일을 커넥션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파일 정보 전송 에이전트 모듈(202)은 커넥션 서버로(100)부터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 전송 요청이 있을 경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의 파일 정보와 디렉토리 정보를 커넥션 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일 전송 에이전트 모듈(203)은 커넥션 서버(100)로부터 특정 파일의 전송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파일을 커넥션 서버(100)로 전송한다.
서버 커넥션 모듈(201)은 커넥션 서버(100)와 항상 통신망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서버(100)로부터 파일 전송 또는 파일 정보 전송에 대한 요청이 있는지를 감시한다.
한편, 커넥션 서버(100)는 커넥션 서버 내의 각 모듈(102~114)들의 상호 동작과 데이터 흐름 및 저장을 제어하는 제어부(101)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망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인터페이스(114)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301)의 커넥션 에이전트(200) 및 무선용 웹 서버(500)에 접속한다.
사용자 등록/수정 모듈(102)은 사용자 등록 정보를 입력받고 고유 코드를 할당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 자격을 부여한다.
에이전트 커넥션 모듈(103)은 커넥션 에이전트(200)와 통신망(400)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이다.
에이전트 다운로드/설치 모듈(104)은 사용자가 커넥션 에이전트(200)를 사용자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301)에 설치할 수 있도록 커넥션 에이전트(200) 셋업 파일을 제공한다.
파일 정보 요청 모듈(105)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302)가 접속된 무선용 웹 서버(500)로부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의 파일 정보 요청이 있을 시에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에 저장된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커넥션 에이전트(200)의 파일 정보 전송 에이전트 모듈(202)에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일 정보 전송 모듈(106)은 커넥션 에이전트의 파일 정보 전송 에이전트 모듈(20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의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무선용 웹 서버(500)로 전송한다.
파일 전송 요청 모듈(107)은 무선용 웹 서버(500)로부터 특정 파일의 전송 요구가 있을 경우, 해당 파일 요청을 커넥션 에이전트(200)의 파일 전송 에이전트 모듈(203)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파일 전송 모듈(108)은 커넥션 에이전트(200)의 파일 전송 에이전트 모듈(203)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무선용 웹 서버(500)에 전송한다.
이메일 전송 모듈(109)은 커넥션 에이전트(200)로부터 수신된 파일을 메일에 첨부하여 E-Mail 서버(600)를 통하여 특정 상대(700)의 주소로 발송하는 E-Mail 발송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베이스부(110)는 각 모듈의 동작에서 발생하는 각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사용자 등록/수정 모듈(102)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11)와,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 및 에이전트(200) 정보를 저장하는 PC/에이전트 정보 데이터 베이스(112)와,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301)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113)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 송수신 시스템이 실지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컴퓨터 단말기 파일 전송을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커넥션 서버(100)의 사용자 등록/수정 모듈(102)에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 정보를입력하고 고유 코드(ID, Password 등)를 할당받은 뒤, 로그인하여 커넥션 에이전트 다운로드/설치 모듈(104)에 접속한다.
이때 입력된 사용자 등록 정보에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신상 정보 외에도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301) 정보와 이동 통신 단말기(302) 정보가 포함되어 각각 데이터 베이스부(110)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111), PC/에이전트 정보 데이터 베이스(112),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 데이터 베이스(113)에 저장된다.
한편, 커넥션 에이전트 다운로드/설치 모듈(104)은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301)에 통신망을 통하여 커넥션 에이전트 설치 셋업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용자는 이를 다운받아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301)에 설치한다.
사용자 등록과 커넥션 에이전트(200) 설치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302)를 통하여 파일 송수신 시스템(10)과 연동되는 무선용 웹 서버(500)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다(단계:S1).
서비스 이용 도중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301)에 있는 파일을 이용하거나 또는 이를 첨부하여 특정 통신 상대에 메일로 전송하고 싶다면(단계:S2) 이를 접속 중인 무선용 웹 서버(500)에 요청하고(즉, 유선 인터넷에서 파일을 첨부할 때, '파일 첨부' 아이콘을 클릭하면 컴퓨터 단말기의 디렉토리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과 유사한 과정이다.) 무선용 웹 서버(500)는 커넥션 서버(100)에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의 파일 정보 전송 요청을 수행한다(단계:S4).
무선용 웹 서버(500)의 파일 정보 전송 요청이 커넥션 서버(100)에 접수되면파일 정보 요청 모듈(105)은 연결된 커넥션 에이전트(200)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에 설치된 커넥션 에이전트(200)의 파일 정보 전송 에이전트 모듈(202)에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단계:S5).
만약, 커넥션 에이전트(200)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켜져 있지 않으면(단계:S6) 앞선 설치 과정을 반복하여 커넥션 에이전트(200)를 실행시킨 후 서비스를 이용한다(단계:S13).
파일 정보 전송 에이전트 모듈(202)은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에 저장된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커넥션 서버(100)로 전송하고 커넥션 서버(100)의 파일 정보 전송 모듈(106)은 이를 무선용 웹 서버(500)에 전송한다(단계:S7).
이어서, 무선용 웹 서버는 전송된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때 제공되는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는 트리 형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쉽게 자신이 원하는 파일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단계:S8).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301)에 있는 파일을 확인한 후, 원하는 파일을 선택하면(단계:S9), 커넥션 서버(100)의 파일 전송 요청 모듈(107)은 커넥션 에이전트(200)의 파일 전송 에이전트 모듈(203)에 선택된 파일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단계:S10).
커넥션 에이전트(200)의 파일 전송 에이전트 모듈(203)은 선택된 파일을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301)에서 추출한 후 커넥션 서버(100)로 전송하고 커넥션 서버(100)의 파일 전송 모듈(108)은 이를 다시 무선용 웹 서버(500) 또는 E-Mail 서버(600)로 전송한다(단계:S11).
사용자는 서버(500)를 통하여 전송된 파일을 확인할 수도 있고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을 메일에 삽입하여 통신 상대의 주소로 전송하려 한다면, 메일 전송 모듈(109)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302)를 통하여 선택한 파일을 메일에 첨부하여 메시지를 입력받아 E-Mail 서버(600)로 전송한다(단계:S12).
이처럼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302)를 통하여 E-Mail을 전송할 경우, 앞서와 같이 커넥션 서버(100)와 에이전트(200)를 통하여 첨부 파일만을 첨부하여 메시지를 직접 작성하고 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전송할 수도 있지만 컴퓨터 단말기(301)에 미리 작성해 놓은 메일 컨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302)를 통하여 파일을 불러온 뒤, 전송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무선용 웹 서버(500)는 사용자가 흥미를 느낄 만한 다양한 컨텐츠를 확보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302)를 통한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 또는 파일 전송 기능의 수행 과정을 사용자에게 가이드하여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실제로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302)를 통하여 파일이 첨부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무선용 웹 서버(5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보고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커넥션 에이전트(200)는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파일 전송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서버(100)와의 커넥션을 통한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채팅, 쪽지 전송 등을 수행하며 원하는 파일을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넥션 서버(100)에는 메신저 서버 모듈이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302)를 이용하여 파일 송수신 시스템(10)의 파일 확인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301)에 전송된 파일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파일 정보를 제공받고 이들을 선택하여 원하는 주소로 전송하거나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된 파일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연계하여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정정)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무선용 웹 서버와,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 및 E-Mail 서버에 접속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정보를 제공하는 커넥션 서버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되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커넥션 서버와 연결되는 커넥션 에이전트를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서버가,
    상기 커넥션 에이전트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망 연결 상태를 항시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에이전트 커넥션 모듈;
    상기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용 웹 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의 파일 정보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의 파일 정보를 상기 커넥션 에이전트에 요청하여 파일정보 전송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용 웹 서버로 전송하는 파일 정보 요청 모듈;
    상기 무선용 웹 서버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파일의 전송 요구가 있을 때 그 선택 파일을 상기 커넥션 에이전트에 요청하여 파일전송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용 웹 서버 및 E-Mail 서버로 전송하는 파일 전송 요청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 단말기에 상기 커넥션 에이전트를 설치하도록 셋업 파일을 제공하는 에이전트 다운로드/설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01-0005669A 2001-02-06 2001-02-06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40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669A KR100404795B1 (ko) 2001-02-06 2001-02-06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669A KR100404795B1 (ko) 2001-02-06 2001-02-06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354A KR20010035354A (ko) 2001-05-07
KR100404795B1 true KR100404795B1 (ko) 2003-11-10

Family

ID=1970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6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4795B1 (ko) 2001-02-06 2001-02-06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880A (ko) * 2001-02-28 2002-09-05 (주) 엘지텔레콤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의 이메일 첨부파일 전송방법
KR20030013648A (ko) * 2001-08-08 2003-02-15 주식회사 인사이드코리아 무선단말기를 통한 사용자 컴퓨터의 업무정보 열람 시스템
US7433982B2 (en) * 2005-10-21 2008-10-07 Microsoft Corporation Transferable component that effectuates plug-and-play
KR100722372B1 (ko) * 2005-11-16 2007-05-28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용 인터넷 메일클라이언트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71A (ko) * 2000-04-04 2000-09-05 송승한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20000063801A (ko) * 2000-08-04 2000-11-06 김대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이메일 접속 및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00287A (ko) * 2000-09-06 2001-01-05 이사영 무선 통신장치를 이용한 컴퓨터의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3989A (ko) * 1999-11-04 2002-06-12 조영선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파일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989A (ko) * 1999-11-04 2002-06-12 조영선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파일관리 시스템
KR20000054371A (ko) * 2000-04-04 2000-09-05 송승한 개인휴대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보관리시스템
KR20000063801A (ko) * 2000-08-04 2000-11-06 김대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이메일 접속 및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000287A (ko) * 2000-09-06 2001-01-05 이사영 무선 통신장치를 이용한 컴퓨터의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354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779B2 (ja) Smsおよびテキス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3795754B2 (ja) ユーザ装置と特にインターネットであるネットワークとの間の通信方法と、その通信方法のインプリメンテーション用のアーキテクチャ
US200500388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data using a proxy
US20050144219A1 (en)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program
US8418253B2 (en) Application data usage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60129628A1 (en) Portable terminal, methods, programs and storage media for managing application start
US20100299758A1 (en) Method and data sharing system in peer to peer environment
US6487582B2 (en) Multi-user interactive web server and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users using the same
KR100404795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파일 송수신 시스템
KR20010100475A (ko)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83372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모듈 다운로딩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3791A (ko) 유·무선 복합 클라이언트 인증 및 이벤트 정보 처리시스템
JP2002345006A (ja) 情報処理を代行す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KR20020009729A (ko) 친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455140B1 (ko) 이동 단말로의 인스턴스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1202307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情報送信方法
KR100692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목록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2328874A (ja) 電子メールの管理方法と管理装置
KR100640512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에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24887A (ko)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버시스템
KR100587158B1 (ko) 무선 인터넷에서 자동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JP2000295273A (ja) 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
JP2003122671A (ja) メール転送システム及びサーバーシステム及びメール転送プログラム
KR20030035164A (ko) 무선 인터넷 카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2328866A (ja) ゲートウェイ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サービスコンテンツ配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0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02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