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4178B1 - 이동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178B1
KR100404178B1 KR10-1999-0012254A KR19990012254A KR100404178B1 KR 100404178 B1 KR100404178 B1 KR 100404178B1 KR 19990012254 A KR19990012254 A KR 19990012254A KR 100404178 B1 KR100404178 B1 KR 100404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s
entity
protocol data
lay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673A (ko
Inventor
황인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178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럽 통신 표준화 협회(ETSI : 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 Institute)에서 연구 개발 및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을 지원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위 계층,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하위 계층,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무선 링크 제어(RLC)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을 구비하고, 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전송 투과 엔터티,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 투과 엔터티,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헤더를 부가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전송 비확인 엔터티,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제거하고 나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 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 비확인 엔터티,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이들에 헤더를 부가한 후 재 전송용 버퍼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상에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상기 헤더가 제거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부로 구성된 확인 엔터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럽 통신 표준화 협회(ETSI)에서 연구 개발 및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UMTS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가 고도 정보화 사회로 발전함에 따라 통신망은 모든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하나의 체계화된 무선 구조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동 통신은 지금까지 새로운 통신 분야로서 급성장해 왔지만 대부분의 서비스가 음성 위주의 통신이었고 일정 지역에서만 가능하였지만, 미래의 이동 통신은 음성뿐만 아니라 문자, 이미지, 멀티미디어 정보까지 전송할 수 있고, 또한 국제적인 완벽한 로밍을 통하여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통신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특히 유럽에서는 2세대 이동 통신인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 : Gr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1800㎒대역에서 서비스하는 DCS-1800이라는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한 이래 유럽 통신 표준화 협회(ETSI)를 중심으로 UMTS을 개발 중에 있다.
UMTS는 부호 분할 현장시험(CODIT : Code Division Tested)과 비동기 시분할 다중 접속(ATDMA : 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을 기반으로 하여 독자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차세대 이동 통신 계획으로, UMTS의 무선 접속 규격에 대한 연구는 유럽 첨단 통신기술 연구개발 계획(RACE : Research andDevelopment in Advance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Europe)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는 UMTS의 무선 접속 규격 프로토콜 구조는 기본적으로, 하위부터 물리 계층(PHY : Physical Layer), 미디엄 액세스 제어 계층(MAC : Medium Access Control Layer), 무선 링크 제어 계층(RLC : Radio Link Control Layer) 및 무선 자원 제어 계층(RRC : Radio Resource Control Layer)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위 계층(Higher Layer)이 있다.
그러나, 이들 프로토콜 계층들은 차세대 이동 통신의 서비스 성능을 실현하기 위해 계속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스펙트럼 효율과 서비스 범위 및 전력 효율과 같은 객관적 기준과, 시스템의 복잡도, 서비스 품질, 무선 기술의 유연성, 망 연동성 및 휴대 성능과 같은 주관적 기준에 따른 무선 접속 규격에 적합한 프로토콜 구조의 선정이 계속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앞으로 전개된 차세대의 다양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 자원의 특성에 따라 무선 자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위 계층,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하위 계층,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무선 링크 제어(RLC)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을 구비하고, 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전송 투과 엔터티,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 투과 엔터티,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헤더를 부가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전송 비확인 엔터티,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제거하고 나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 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 비확인 엔터티,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이들에 헤더를 부가한 후 재 전송용 버퍼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상에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상기 헤더가 제거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부로 구성된 확인 엔터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메시지를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제공하는 상위 계층,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하위 계층,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무선 링크 제어(RLC)용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을 구비하고, 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고,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투과 엔터티,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헤더를 부가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고,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제거하고 나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 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비확인 엔터티,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이들에 헤더를 부가한 후 재전송용 버퍼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며,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상에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상기 헤더가 제거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승인 엔터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위 계층들, 하위 계층들, 상기 상위 계층들 및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들을 무선 링크 제어용 제어 신호에 따라 다르게 처리하는 무선 링크 제어 계층, 그리고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 및 상기 하위 계층들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들을 특성에 따라 처리하는 무선 자원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자원 계층은, 상기 메시지들 중 상기 상위 계층들 및 상기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무선 자원 제어 방송 서비스에 관련된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방송 제어 기능 엔터티, 상기 메시지들 중 상기 상위 계층들 및 상기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무선 자원 제어 호출 및 통보 서비스에 관련된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호출 및 통보 제어 기능 엔터티, 상기 메시지들 중 상기 상위 계층들 및 상기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전용 서비스에 관련된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 그리고 상기 무선 자원 계층의 상기 엔터티들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 엑세스 점들을 맵핑시키는 전송 모드 엔터티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위 계층, 하위 계층, 상기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으로부터의 메시지 특성에 따른 서로 다른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으로 이루어진다.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데이터의 분할 및 재조립을 수행하기 위한 투과 RLC 엔터티, 데이터의 분할, 재조립 및 연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비확인 RLC 엔터티, 전송된 데이터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여 재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확인 RLC 엔터티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을 갖는다.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방송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송 제어 기능 엔터티, 호출 메시지 또는 통보 메시지를 제어하기 위한 호출 및 통보 제어 기능 엔터티, 특정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의 연결 및 전송에 대한 정보를 제어하는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를 포함하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럽 통신 표준화 협회(ETSI)에서 연구 개발 및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유트란(UTRAN)의 무선 자원 제어 계층(RRC)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엔티티(UE)의 무선 자원 제어 계층(RRC)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엔티티(UE)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 및 무선 링크 제어 계층(RLC)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유트란(UTRAN)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 및 무선 링크 제어 계층(RLC)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 무선 자원 제어 계층(RRC) 11,51 : 방송 제어 엔티티(BCE)
12,52 :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PNCE) 13,53 : 전용 제어 엔티티(DCE)
14,54 : 전송 모드 엔티티(TME)
100,200 : 무선 링크 제어 계층(RLC)
30,70 : 미디엄 액세스 제어 계층(MAC) 40,80 : 물리 계층(PHY)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에서 MAC은, 채널 상태를 모니터(Monitoring)한 결과에 따라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s)을 스위칭(switching)하여 다중의 전용 논리 채널(Dedicated Logical Channels)을 처리한다. 즉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을 분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분리 방식으로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과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 TimeDivision Duplexing)이 선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RLC의 프로토콜 구조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지원하며, 경우에 따라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유트란(UTRAN :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무선 자원 제어 계층(RRC)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엔티티(UE)의 무선 자원 제어 계층(RRC)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무선자원제어 계층 구성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제어 평면과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모드를 지원하는 관점에서 무선자원제어(RRC) 계층 모델을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 무선자원제어 계층 구조는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 지원에도 사용한다.
본 발명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제어 계층(Radio Resource Control Layer : 이하, RRC 라 약칭 함)(10)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전달 제어, 무선자원 제어 및 이동국(mobile station) 관리를 수행하는 호출제어 엔티티(CC : Call Control entity), 이동관리 엔티티(MM : Mobility Management entity), 무선자원 관리 엔티티(Radio resource Management entity) 및 패킷 관리 엔티티(Packet Management entity)와 같은 상위계층(upper layer)과, 물리계층(Physical Layer : PHY)(40), 미디엄 액세스 제어 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 : 이하, MAC이라 약칭 함)(30) 및 무선링크제어 계층(Radio Link Control Layer : 이하, RLC라 약칭 함)(200)으로 구성된 하위계층(lower layer) 사이에 구성된다.
여기서, RRC(10)는 상기 사용자측의 액세스층(AS : Access Stratum) 또는 비액세스층(NAS : Non Access Stratum)(이하, 상위계층이라 함)에서 제공되는 브로드캐스트 정보(Broadcast Information)를 제어하는 방송 제어 엔티티(BCE : Broadcast Control Entity)(11)와, 상위계층에 의한 호출 및 통보 정보를 제공하는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PNCE : Paging and Notification Control Entity)(12)와, 상위계층 메시지의 연결 및 전송에 대한 설정/해제를 서비스하는 전용 제어 엔티티(DCE : Dedicate Control Entity)(13) 그리고 상기 방송 제어 엔티티(11),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12), 전용 제어 엔티티(13)를 하위계층인 RLC 계층의 엑세스 포인트와 맵핑(전송 경로 결정)하는 전송 모드 엔티티(TME : Transfer Mode Entity)(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무선자원제어 계층의 네트워크측에서의 무선 자원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인 RLC(200)로의 통신 운용이나, RLC(200)에서 상위계층으로의 통신 운용시 상위계층이나 하위계층간에 전송될 메시지에 따라서 각각의 메시지를 처리하는 엔티티를 구분한 것이다.
우선, 상위 계층에서는 RRC계층으로 전송될 메시지의 특성을 파악한다.
이때, RRC계층으로 전송될 메시지의 특성이 단순히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정보인가, 호출 및 통보 정보인가, 상위계층 메시지의 연결 및 전송에 대한 설정/해제 정보인가로 구분하여 판단한다.
판단결과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정보는 RRC(10)의 방송 제어 엔티티(BCE : Broadcast Control Entity)(11)로 전송하고, 호출 및 통보 정보는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PNCE : Paging and Notification Control Entity)(12)로 전송하고, 상위계층 메시지의 연결 및 전송에 대한 설정/해제 정보는 전용 제어 엔티티(DCE : Dedicate Control Entity)(13)로 전송한다.
RRC(10)에 입력되는 메시지는 그 서비스와 기능에 따라 상기 세 가지 절차 중 하나의 메시지 처리 절차로 처리된다.
즉, 본 발명 RRC(10)에서는 단순한 브로드캐스트(broadcast)와 같이 전송만을 필요로 하는 메시지는 방송 제어 엔티티(11)에서 서비스 처리하고, 호출 메시지 또는 통보 메시지 등은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12)에서 서비스 처리하며, 상위 계층 메시지의 연결 및 전송에 대한 설정/해제 정보는 전용 제어 엔티티(13)에서 서비스 처리한다.
여기서, 전송 모드 엔티티(14)에서는 설정된 신호 처리 절차로 처리된 입력 메시지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의 특성과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입력 메시지의 출력 경로를 결정 즉, 맵핑(mapping)한다.
즉, 전송 모드 엔티티(14)는 RRC(10)의 방송제어 엔티티(11),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12) 및 전용 제어 엔티티(13)에서 RLC(200)의 서비스 접속점(Service Access Point : 이하, SAP라 약칭 함)(T-SAP, UNACK-SAP 및 ACK-SAP)으로 어떻게맵핑하는지를 제어한다.
이때, 우선 전송된 메시지의 형태와 현재의 서비스 형태를 비교하여, 방송 제어 엔티티(11)는 투과 서비스 접속점(Transparent-SAP : 이하 T-SAP라 약칭 함) 또는 비확인 서비스 액세스 점(Unacknowledge-SAP : 이하, UNACK-SAP라 약칭 함)으로 맵핑하고,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12) 역시 T-SAP 또는 UNACK-SAP으로 맵핑하며, 전용 제어 엔티티(13)는 T-SAP, UNACK-SAP 또는 확인 액세스 점(Acknowledge-SAP : 이하, ACK-SAP라 약칭 함)으로 맵핑한다.
이때, 상기 방송 제어 엔티티(11)는 동류 엔티티(peer entity)에서 다른 상위 계층 엔티티(예를 들면, 사용자측에서의 이동관리(MM) 엔티티)가 받은 상위 계층 메시지의 역다중화(demultiplexing)와, 각각의 RRC(10) 서브 엔티티(예를 들면, 유트란(UTRAN)에서의 방송 제어 엔티티(BCE)) 자체에서 상위 계층 메시지의 다중화(multiplexing)를 제어한다.
방송 제어 엔티티(11)는 범용 제어 서비스 액세스 점(General Control-Service Access Points : 이하 GC-SAPs라 약칭 함)에 의해 상위 계층 서비스를 지원하고, T-SAP 또는 UNACK-SAP에 의해 제공되는 하위 계층(RLC(200))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T-SAP는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RLC(200)로 전송하고, UNACK-SAP에서는 전송된 메시지에 대한 확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12)는 동류 엔티티(peer entity)에서 다른 상위 계층 엔티티(예를 들면, 사용자 엔티티(UE)측에서의 이동관리(MM) 엔티티)가 받은 상위 계층 메시지의 역다중화(demultiplexing)와, 각각의 RRC(10) 서브 엔티티(예를 들면, 유트란(UTRAN)에서의 호출 제어 및 통보 엔티티(PNCE)) 자체에서 상위 계층 메시지의 다중화(multiplexing)를 제어한다.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12)는 통보 서비스 액세스 점(Notification-SAPs : 이하, NT-SAPs라 약칭 함)에 의해 상위 계층 서비스를 지원하고, T-SAP 또는 UNACK-SAP에 의해 제공되는 하위 계층(RLC(200))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용 제어 엔티티(13)는 동류 엔티티(peer entity)에서 다른 상위 계층 엔티티(예를 들면, 사용자 엔티티에서는 이동관리(MM) 엔티티, 네트웍(UTRAN)측에서는 RANAP)가 받은 상위 계층 메시지의 역다중화(demultiplexing)와, 각각의 RRC(10) 서브 엔티티(예를 들면, 사용자 엔티티(UE)와 유트란(UTRAN)측에서의 전용 제어 엔티티(DCE)) 자체에서 상위 계층 메시지의 다중화(multiplexing)를 제어한다.
전용 제어 엔티티(13)는 전용 제어 서비스 액세스 점(Dedicated Control-SAPs : 이하, DC-SAPs라 약칭 함)에 의해 상위 계층 서비스를 지원하고, T-SAP) 또는 ACK-SAP) 또는 UNACK-SAP)에 의해 제공되는 하위 계층(RLC(200))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ACK-SAP에서는 상위 계층에서의 메시지를 하위계층(RLC(200))으로 전송하고 메시지 전송 확인을 요청하여 상위 계층에 메시지 전송을 확인시킨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용자 엔티티(UE)의 RRC 사용 상태는 하위계층의 RLC(100)로 메시지가 입력되면, RLC(100)에서는 입력되는 메시지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 특성에 따라 T-SAP, UNACK-SAP 또는 ACK-SAP을 통해 메시지를 RRC(10)의 전송모드 엔티티(14)로 전송한다.
전송모드 엔티티(14)에서는 RLC(100)의 T-SAP, UNACK-SAP 또는 ACK-SAP에서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메시지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기능에 따라 방송 제어 엔티티(11),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12) 및 전용 제어 엔티티(13)중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
즉,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인가, 호출 및 통보 메시지인가, 상위 계층 메시지의 연결 및 전송에 대한 설정/해제 메시지인가에 따라 각각의 엔티티(11)(12)(13)로 전송된다.
그러면, 방송 제어 엔티티(11), 호출 및 통보 제어 엔티티(12) 및 전용 제어 엔티티(13)에서는 각 엔티티의 특성에 따른 신호 처리 절차를 처리하고, 상기 RRC(10)의 GC-SAPs, NT-SAPs 및 DC-SAPs을 통해 상위 계층으로 전송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엔티티(UE)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구성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유트란(UTRAN)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유트란(UTRAN)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3 의 사용자 엔티티(UE)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에 대한 설명과 거의 일치하므로, 도 3을 중심으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기술한다.
도 3에서 RLC(100)가 상위 계층(Upper Layer)으로 접속하기 위해 서로 다른 SAP(Service Access Point)을 갖는다. 이 RLC-SAP는 T-SAP, UNACK-SAP, ACK-SAP이다
상위 계층과 RLC(100)간의 "RLC 제어"는 보고할 사항을 상위 계층에 제공하거나, RLC(100) 자신의 처리 제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음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RLC(100)의 각 엔티티(110,120,130)는 데이터 전송 모드(Data Transfer Mode)의 형태와 각 기능에 따라 나뉘어진다.
RLC-투과(RLC-Transparent ; 이하, RLC-T 라 약칭함) 엔티티(110)는 MAC과 접속되는 논리 채널 SAP를 통해, SCCH, BCCH, PCCH 및 DTCH과 같은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RLC-T 엔티티(110)에는 유트란(UTRAN)으로의 상향 링크에 분할 블록(Segmentation)(111)과 송신 버퍼 블록(Transmitter buffer)(112)을 가지며,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도 4의 유트란(UTRAN) 또한 사용자 엔티티(UE)로의 하향 링크에 분할 블록(Segmentation)(211)과 송신 버퍼 블록(Transmitter buffer)(212)을 갖는다.
또한, RLC-T 엔티티(110)에는 유트란(UTRAN)으로부터의 하향 링크에 재조립 블록(Reassembly)(113)과 수신 버퍼 블록(Receiver buffer)(114)을 가지며, 도 4의 유트란(UTRAN) 또한 사용자 엔티티(UE)로부터의 상향 링크에 재조립 블록(Reassembly)(213)과 수신 버퍼 블록(Receiver buffer)(214)을 갖는다.
이 때 사용자 엔티티(UE)가 전송측이라는 면에서 보면, RLC-T 엔티티(110)는 일단 상위 계층으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단위(Service Data Unit ; 이하, SDU 라 약칭함)를 수신한다.
이후 RLC-T 엔티티(110)의 분할 블록(111)은 수신한 SDU를 헤더(Header)가 없는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 ; 이하, PDU 라 약칭함)로 분할하여, 전송 버퍼 블록(112)을 통해 MAC으로 전달한다.
반대로 사용자 엔티티(UE)가 수신측이라는 면에서 보면, RLC-T 엔티티(110)는 수신 버퍼 블록(114)을 통해 MAC으로부터 PDU들을 수신한다.
이후 RLC-T 엔티티(110)의 재조립 블록(113)은 수신한 PDU들을 SDU로 재조립하여 상위 계층에 전달한다.
RLC-비확인(RLC-Unacknowledged ; 이하, RLC-UNACK 라 약칭함) 엔티티(120)는 MAC과 접속되는 논리 채널 SAP를 통해, SCCH, BCCH, PCCH, CCCH, DCCH 및 DTCH과 같은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이 RLC-UNACK 엔티티(120)는 유트란(UTRAN)으로의 상향 링크에 분할 및 연쇄 블록(Segmentation Concatenation)(121), 프레이밍 블록(framing)(122) 및 송신 버퍼 블록(Transmitter buffer)(123)을 가지며, 도 4의 유트란(UTRAN) 또한 사용자 엔티티(UE)로의 하향 링크에 분할 및 연쇄 블록(Segmentation Concatenation)(221), 프레이밍 블록(framing)(222) 및 송신 버퍼 블록(Transmitter buffer)(223)을 갖는다.
또한 RLC-UNACK 엔티티(120)는 유트란(UTRAN)으로부터의 하향 링크에 재조립 블록(Reassembly)(124),중복 검출 블록(Duplication detection)(125), 에러 검출 블록(error detection)(126), 디프레이밍 블록(deframing)(127) 및 수신 버퍼 블록(receiver buffer)(128)을 가지며, 도 4의 유트란(UTRAN) 또한 사용자 엔티티(UE)로부터의 상향 링크에 재조립 블록(Reassembly)(224), 중복 검출 블록(Duplication detection)(225), 에러 검출 블록(error detection)(226), 디프레이밍 블록(deframing)(227) 및 수신 버퍼 블록(receiver buffer)(228)을 갖는다.
이 때 사용자 엔티티(UE)가 전송측이라는 면에서 보면, RLC-UNACK 엔티티(120)는 일단 상위 계층으로부터 SDU를 수신한다.
이후 RLC-UNACK 엔티티(120)는 수신한 SDU를 프레이밍(framing)에 의한 헤더(Header)를 갖는 다수의 PDU로 분할하여, 전송 버퍼 블록(123)을 통해 MAC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수신한 SDU를 PDU로 분할할 때는 연쇄 기능(Concatenation)을 동시에 수행하여 적당한 PDU로 분할되도록 하는데, 연쇄 기능(Concatenation)은 PDU의 여유 공간(PAD)에 다음 데이터의 일부를 삽입하는 절차이다.
반대로 사용자 엔티티(UE)가 수신측이라는 면에서 보면, RLC-UNACK 엔티티(120)는 수신 버퍼 블록(128)을 통해 MAC으로부터 PDU들을 수신한다.
이후 RLC-UNACK 엔티티(120)의 디프레이밍 블록(127)에 의해 수신된 PDU들로부터 헤더를 분리한 후 각 PDU에 에러가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이 때 만약 수신된 PDU에 에러가 검출되면 이와 관련된 해당 PDU를 버리고,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PDU에 대해 다시 중복 여부를 검출한다.
이 때도 만약 에러 검출 이후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PDU 중에서 중복된 PDU가 검출되면, 이 해당 PDU는 재조립 블록(124)에 단 한 번만 전달된다.
이후 재조립 블록(124)은 전달된 PDU들을 SDU로 재조립하여 자신의 상위 계층에 전달한다.
RLC-확인(RLC-Acknowledged ; 이하, RLC-ACK 라 약칭함) 엔티티(130)는 MAC과 접속되는 논리 채널 SAP를 통해, DCCH 및 DTCH과 같은 논리 채널에 대한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RLC-ACK 엔티티(130)에는 유트란(UTRAN)으로의 상향 링크에 분할 및 연쇄 블록(Segmentation Concatenation)(131), 프레이밍 블록(framing)(132), 흐름 제어 블록(Flow control)(133), 에러 정정 및 재전송 블록(error correction retransmission)(134) 및 송신 버퍼 블록(transmitter buffer)(135)을 가지며, 도 4의 유트란(UTRAN) 또한 사용자 엔티티(UE)로의 하향 링크에 이와 동일한 블록(231∼235)들을 갖는다.
또한 RLC-ACK 엔티티(130)는 유트란(UTRAN)으로부터의 하향 링크에 상위 연속 전송 블록(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136), 재조립 블록(Reassembly)(137), 흐름 제어 블록(Flow control)(138), 중복 검출 블록(Duplication detection)(139), 에러 정정 블록(error correction)(140), 에러 검출 블록(error detection)(141), 디프레이밍 블록(deframing)(142) 및 수신 버퍼 블록(receiver buffer)(143)을 가지며, 도 4의 유트란(UTRAN) 또한 사용자 엔티티(UE)로부터의 상향 링크에 이와 동일한 블록(236∼243)들을 갖는다.
이 때 사용자 엔티티(UE)가 전송측이라는 면에서 보면, RLC-ACK 엔티티(130)는 일단 상위 계층으로부터 SDU를 수신한다.
이후 RLC-ACK 엔티티(130)의 분할 및 연쇄 블록(131)은 수신한 SDU를 프레이밍(framing)에 의한 헤더(header)를 갖는 다수의 PDU로 분할한다. 여기서 수신한 SDU를 PDU로 분할할 때는 연쇄 기능(Concatenation)을 동시에 수행하여 적당한 PDU로 분할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RLC(100)는 보내진 동류 RLC(peer RLC)의 흐름 상태 정보(flow status information)에 의해 전송 속도를 처리하며, 이후 RLC(100)는 동류 RLC로부터 확인(Acknowledgement)을 받았는지, 받지 못했는지를 검출한다.
여기서 만약 각 PDU로부터 확인을 받지 못했음이 검출되면, RLC(100)는 현재의 전송 PDU를 다중화한 후 해당 PDU를 재전송 해야 한다.
이러한 RLC-ACK 엔티티(130)의 상향 링크상 동작이 종료되면, RLC(100)는 송신 버퍼(135)를 통해 해당 PDU를 MAC에 전달한다.
반대로 사용자 엔티티(UE)가 수신측이라는 면에서 보면, RLC-ACK 엔티티(130)는 수신 버퍼 블록(128)을 통해 MAC으로부터 PDU들을 수신한다.
이후 RLC-ACK 엔티티(130)의 디프레이밍 블록(142)에 의해 수신된 PDU들로부터 헤더를 분리한 후 각 PDU에 에러가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이 때 만약 수신된 PDU에 에러가 검출되면, RLC(100)는 확인을 하지 않은 동류 RLC에게 재전송을 요청하고, 이후 RLC(100)는 전송된 각 PDU에 대해 다시 중복 여부를 검출한다.
이 때도 만약 PDU 중에서 중복된 PDU가 검출되면, 이 해당 PDU는 흐름 제어 블록(138)에 단 한 번만 전달된다.
이후 RLC(100)는 동류 RLC에게 흐름 상태 정보를 전달하며, PDU들을 SDU로 재조립함으로써, 상위 계층으로 전송할 PDU 열을 유지한다.
다음의 표 1 은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엔티티(UE)의 각 RLC 엔티티(110,120,130)에 따른 기능들을 나열한 것이다.
또한 표 2 는 도 4에 도시된 유트란(UTRAN)의 각 RLC 엔티티(210,220,230)에 따른 기능들을 나열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하고 또한 표 1 및 표 2에 나열된 RLC 기능 이외에, RLC(100)는 새로운 기능을 추가로 갖는다.
이 새로운 RLC 기능은 프레이밍 및 디프레이밍(Framing/Deframing)이다. 이는 PDU에 삽입되는 헤더의 분리 및 결합(Separation/combination)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RLC 구조는 RLC 데이터 전송 모드의 형태와 RLC 기능에 관계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유럽 통신 표준화 협회(ETSI)에서 연구 개발 및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통신 서비스중 무선자원제어 계층에서 상위계층인 응용계층과 무선 자원 제어 계층(RRC) 및 하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LC)계층간의 무선 자원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므로, 차세대 이동 통신에서 목표하는 다양한 서비스 성능을 실현하는데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6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위 계층;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하위 계층;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무선 링크 제어(RLC)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전송 투과 엔터티,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 투과 엔터티,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헤더를 부가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전송 비확인 엔터티,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제거하고 나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 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 비확인 엔터티,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이들에 헤더를 부가한 후 재 전송용 버퍼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상에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상기 헤더가 제거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부로 구성된 확인 엔터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유트란(UTRAN: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와 사용자 장치(UE:user equipment)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5. 삭제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은, 상기 무선 링크 제어 층(RLC)와 상기 하위 계층에 각각 상기 무선 링크 제어용 제어 신호와 상기 하위 계층용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과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투과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 및 확인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서비스 데이터 단위들을 주고 받는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하위 계층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미디엄 엑세스 제어(MAC) 서브 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투과 엔터티는, 투과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전송 버퍼 블록과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헤더 없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분할하는 분할 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통해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전용 트래픽 채널 (DTCH: dedicated traffic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유트란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방송 제어 채널(BCCH), 페이징 제어 채널(PCCH) 그리고 전용 트래픽 채널(DTCH:dedicated traffic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투과 엔터티는,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헤더 없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버퍼링하는 수신 버퍼 블록,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고 이 재조립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투과 모드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재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유트란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전용 트래픽 채널 (DTCH: dedicated traffic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방송 제어 채널(BCCH), 페이징 제어 채널(PCCH) 그리고 전용 트래픽 채널(DTCH: dedicated traffic chann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비확인 엔터티는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um-SAP)를 통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분할 및 연쇄시켜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는 분할 및 연쇄 블록,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헤더를 부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통해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쇄하는 과정은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으로 구성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여분의 부분에 다른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일부를 삽입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유트란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공유 제어 채널(SCCH or SHCCH), 공통 제어 채널(CCCH), 전용 제어 채널(DCCH) 및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전용 제어 채널(DCCH) 및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RLC 수신 비확인 엔터티는,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버퍼링하는 수신 버퍼 블록, 상기 버퍼링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제거하는 블록, 그리고 상기 헤더가 제거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단위들로 재 조립하여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재 조립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공유 제어 채널(SCCH or SHCCH), 공통 제어 채널(CCCH), 전용 제어 채널(DCCH) 및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유트란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전용 제어 채널(DCCH) 및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RLC 확인 엔터티의 전송부는 확인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AM-SAP)를 통해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분할 및 연쇄 시켜 일정 길이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는 분할 및 연쇄 블록,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상기 헤더를 부가하는 헤더 부가 블록,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저장하고 동류 RLC 엔터티로부터 긍정적인 확인을 받을 때 그 저장된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출력하고 부정적인 확인을 받을 때 그 저장된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삭제하는 재전송 버퍼 및 관리 블록, 상기 재전송 버퍼 및 관리 블록으로부터의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과 상기 헤더 부가 블록으로부터의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버퍼링하고 나서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통해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송신 버퍼 블록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RLC 확인 엔터티의 수신부는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통해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버퍼링하고 각 완전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버퍼링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저장하는 수신 버퍼 블록,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제거하고 나서 상기 전송부를 통해 상기 동류 RLC 엔터티로 성공적인 수신을 확인하거나 또는 재 전송을 요청하는 블록, 및 상기 각 완전한 서비스 데이터 유닛에 해당하는 헤더없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확인 서비스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재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 또는 유트란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은 전용 제어 채널(DCCH) 및 전용 트래픽 채널(DTC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 또는 유트란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RLC 전송 투과 엔터티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분할하는 기능,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인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 또는 유트란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RLC 수신 투과 엔터티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는 기능,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인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 또는 유트란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송 비확인 엔터티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분할하는 기능,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연쇄시키는 기능,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패딩하는 기능,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인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 또는 유트란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수신 비확인 엔터티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는 기능,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인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 또는 유트란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확인 엔터티의 전송부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분할하는 기능,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연쇄시키는 기능,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패딩하는 기능, 사용자 데이터인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기능, 흐름 제어 기능, 에러 정정 기능, 그리고 프로토콜 에어 정정 및 복구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이 사용자 장치 또는 유트란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확인 엔터티의 수신부는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는 기능, 사용자 데이터인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전송하는 기능, 에러 정정 기능, 흐름 제어 기능, 상위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연속 전달 기능, 중복 검출 기능 그리고 프로토콜 에러 정정 및 복구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5. 메시지를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제공하는 상위 계층;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하위 계층;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무선 링크 제어(RLC)용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을 구비하고,
    이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은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고,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투과 엔터티,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다수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헤더를 부가하여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고,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제거하고 나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 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비확인 엔터티, 그리고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변환하고 이들에 헤더를 부가한 후 재전송용 버퍼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며,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 상에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상기 헤더가 제거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여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확인 엔터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특성이 방송 정보, 호출 정보 그리고 통보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메시지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투과 서비스 접속 점과 비확인 서비스 접속 점 중 어느 하나로 맵핑되고, 그리고
    상기 메시지의 특성이 상기 메시지의 연결 및 전송에 대한 설정 및/또는 해제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메시지는 상기 투과 서비스 접속 점, 상기 비확인 서비스 접속 점 및 확인 서비스 접속 점 중 어느 하나로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엔터티는,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헤더 없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분할하는 분할 블록,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송신 버퍼 블록,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헤더 없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는 수신 버퍼 블록, 그리고
    상기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는 재조립 블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확인 엔터티는,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분할하고 상기 각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여유 부분에 다른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일부를 연쇄시키는 분할 및 연쇄 블록,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상기 헤더를 부가하는 프레이밍 블록,
    상기 헤더가 부가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송신 버퍼 블록,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버퍼링하는 수신 버퍼 블록,
    상기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제거하는 디프레이밍 블록,
    상기 헤더가 분리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 블록,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중복 여부를 검출하는 중복 검출 블록, 그리고
    중복 검출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는 재조립 블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엔터티는, 상기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 분할하고 상기 각 분할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여유 부분에 다른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의 일부를 연쇄시키는 분할 및 연쇄 블록,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에 상기 헤더를 부가하는 프레이밍 블록,
    동류 무선 링크 제어 엔터티로부터의 흐름 상태 정보에 따라서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제1 흐름 제어 블록,
    상기 동류 무선 링크 제어 엔터티로부터의 승인 여부에 따라서 에러 정정 및 재전송을 수행하는 에러 정정 및 재전송 블록,
    상기 에러 정정 및 재전송 블록으로부터의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송신 버퍼 블록,
    상기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버퍼링하는 수신 버퍼 블록,
    상기 헤더를 갖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상기 헤더를 분리하는 디프레이밍 블록,
    상기 헤더 없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 검출 블록,
    에러가 검출되지 않은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중복 여부를 검출하는 중복 검출 블록,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의 흐름 상태 정보를 상기 동류 무선 링크 제어 엔터티로 제공하는 제2 흐름 제어 블록,
    상기 흐름 제어 블록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상기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로 재조립하는 재조립 블록, 그리고
    상기 재조립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을 연속적으로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상위 연속 전송 블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0.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 또는 유트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1.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의 엔터티들과 상기 하위 계층을 연결하는 다수의 논리 채널들을 맵핑시키는 멀티플렉싱 블록과 디멀티플렉싱 블록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2. 상위 계층들;
    하위 계층들;
    상기 상위 계층들 및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들을 무선 링크 제어용 제어 신호에 따라 다르게 처리하는 무선 링크 제어 계층; 그리고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 및 상기 하위 계층들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들을 특성에 따라 처리하는 무선 자원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자원 계층은, 상기 메시지들 중 상기 상위 계층들 및 상기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방송 서비스에 관련된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방송 제어 기능 엔터티,
    상기 메시지들 중 상기 상위 계층들 및 상기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무선 자원 제어 호출 및 통보 서비스에 관련된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호출 및 통보 제어 기능 엔터티,
    상기 메시지들 중 상기 상위 계층들 및 상기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전용 서비스에 관련된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 그리고
    상기 무선 자원 계층의 상기 각 엔터티들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 엑세스 점들을 맵핑시키는 전송 모드 엔터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 엔터티는, 상기 방송 제어 기능 엔터티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및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중의 하나로 맵핑시키고, 상기 호출 및 통보 제어 기능 엔터티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및 상기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중의 하나로로 맵핑시키고, 그리고 상기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를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의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상기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및 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중 하나로로 맵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서비스에 관련된 상기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의 기능은 상기 메시지들의 전송 설정 기능 및 상기 메시지들의 전송 해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5.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제어 기능 엔터티 및 상기 호출 및 통보 제어 기능 엔터티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및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처리된 메시지들을 상기 상위 계층들로 각각 상기 상위 계층에 의해 제공된 일반 제어 서비스 엑세스 점(GC-SAPs) 및 통보 서비스 엑세스 점(NT-SAPs)을 통해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상기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및 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처리한 후 상기 상위 계층들로 상기 전용 제어 서비스 엑세스 점(DC-SAPs)을 통해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전용 제어 서비스 엑세스 점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들을 처리한 후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및 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제어 기능 엔터터 및 상기 호출 및 통보 제어 기능 엔터티는 상기 처리된 메시지들과 상기 사용자 엔터티의 서비스 형태에 따라 상기 전송 모드 엔터티에 의해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또는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으로 맵핑되고, 그리고 상기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는 상기 처리된 메시지들과 상기 사용자 엔터티의 서비스 형태에 따라 상기 전송 모드 엔터티에 의해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또는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또는 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으로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8.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유트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제어 기능 엔터터 및 상기 호출 및 통보 제어 기능 엔터티는 각각 상기 무선 자원 계층에 의해 제공된 일반 제어 서비스 엑세스 점 및 통보 서비스 엑세스 점을 통해 수신된 상기 상위 계층들로부터의 메시지들을 처리한 후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및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는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상기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및 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을 통해 상기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처리한 후 상기 상위 계층들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전용 제어 서비스 엑세스 점을 통해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전용 제어 서비스 엑세스 점을 통해 수신된 상기 상위 계층들로부터의 상기 메시지들을 처리한 후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상기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및 상기 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제어 기능 엔터터 및 상기 호출 및 통보 제어 기능 엔터티는 상기 처리된 메시지들의 형태와 상기 사용자 엔터티의 서비스 형태에 따라 상기 전송 모드 엔터티에 의해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또는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으로 맵핑되고, 그리고 상기 전용 제어 기능 엔터티는 상기 처리된 메시지들의 형태와 상기 사용자 엔터티의 서비스 형태에 따라 상기 전송 모드 엔터티에 의해 상기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또는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 또는 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으로 맵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1. 제 55 항 또는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계층의 각 엔터티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들이 동류 엔터티의 상위 계층들로부터의 메시지들 일 때 이 메시지들의 역 다중화를 제어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들이 상기 무선 자원 계층의 상기 상위 계층들로부터의 메시지들일 때 이 메시지들의 다중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제어 계층의 각 엔터티는 상기 무선 자원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일반 제어 서비스 엑세스 점을 통해 상기 상위 계층들로 해당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링크 제어 계층에 의해 제공된 투과 서비스 엑세스 점 및 비확인 서비스 엑세스 점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하위 계층들의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KR10-1999-0012254A 1999-04-08 1999-04-08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40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254A KR100404178B1 (ko) 1999-04-08 1999-04-08 이동 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254A KR100404178B1 (ko) 1999-04-08 1999-04-08 이동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673A KR20000065673A (ko) 2000-11-15
KR100404178B1 true KR100404178B1 (ko) 2003-11-03

Family

ID=1957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254A KR100404178B1 (ko) 1999-04-08 1999-04-08 이동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1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4992A1 (en) * 2007-01-10 200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generating data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18491B2 (en) 2007-01-10 2012-07-1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84722B2 (en) 2007-02-06 2012-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872B1 (ko) * 2004-03-17 2006-05-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기지국의 상향 링크 패킷 전송 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된이동통신 시스템
JP2008278496A (ja) 2007-05-07 2008-11-13 Asustek Computer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MAC−ehsプロトコルエンティティーのリセットを改善する方法及び装置
EP3106520A1 (en) * 2015-06-17 2016-12-21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Agronomique Mutant yarrowia strain capable of degrading galactos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4992A1 (en) * 2007-01-10 2008-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generating data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18491B2 (en) 2007-01-10 2012-07-1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32878B2 (en) 2007-01-10 2016-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generating data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84722B2 (en) 2007-02-06 2012-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673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470B1 (ko) Imt-2000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US6804202B1 (en) Radio protocol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3445245B2 (ja)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のデータセグメント化方法
EP208614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sequence of data units between a wireless device and a network
US7512099B2 (en) Method, system and transmitting side protocol entity for sending packet data units for unacknowledged mode services
US719070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RLC layer of transparent mode
KR101635433B1 (ko) 재전송 요청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0951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ed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195923A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radio link control layer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KR10109147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선 제어를 위한 패킷 압축/해제장치 및 그 방법
US68538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ynchronous core network with asynchronous radio network
JP3442740B2 (ja) 遠隔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遠隔通信機器間での所定の無線インターフェースプロトコルベースのワイヤレス遠隔通信方式を用いた有効データ、特にdectシステムにおける音声データおよび/またはパケットデータの伝送のための方法
KR10040417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4218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05060178A1 (en) A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wireless packet data based data transmission
KR20220132932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를 가속화하는 데이터 분할 방법과 수신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CN115996426A (zh) 执行上行链路数据压缩的方法和用户设备
KR20210125879A (ko) 백홀 및 액세스 홀 결합 시스템에서 du에게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MXPA06007429A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protocol data unit having processing tim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7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9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111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1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30905

Appeal identifier: 2003101002773

Request date: 20030716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08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04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4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4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309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82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