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3080B1 -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080B1
KR100403080B1 KR10-2001-0016458A KR20010016458A KR100403080B1 KR 100403080 B1 KR100403080 B1 KR 100403080B1 KR 20010016458 A KR20010016458 A KR 20010016458A KR 100403080 B1 KR100403080 B1 KR 10040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coupling portion
coupling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538A (ko
Inventor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6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08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0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 광통 어셈블리의 지지구조는,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광통 어셈블리와; 상기 광통 어셈블리가 상면에 지지되며, 앞쪽과 뒷쪽의 가장 자리에는 하나 이상 다수 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지지 패널과; 상기 결합부 중 일측이 삽입 가이드되어 상기 가이드되는 결합부가 상하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패널로 부터 직립되는 지지바와; 상기 결합부 중 타측이, 상기 지지바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기 지지 패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좌우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패널의 타측과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로서 설치되는 이중 힌지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 광통 어셈블리의 지지구조는, 조사되는 빛의 방향이 광통 어셈블리가 결합된 뒤에도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에 맺히는 화상의 상태에 따라 다시 수정될 수 있도록 하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화질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Sustaining structure of optic assembly in projection television}
본 발명은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가 텔레비전의 내부에서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통 어셈블리가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내부에 놓일 때, 그 위치가 애초에는 고정되도록 하지만, 다시 한번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품질 확인 과정에서 스크린 상에 비치는 화상의 위치가 최적화 되도록 광통 어셈블리가 조정되게 하여, 스크린 상의 화질 개선이 한층 더 편리하게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삼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엘씨디와 같은 화상 표시부에 형성된 화상에 강한 빛이 투사되도록 하여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생성되도록 하는 광통 어셈블리(3)와, 광통 어셈블리(3)에서 생성된 빛이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경(2)과, 상기 반사경(2)에서 반사된 빛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크린(1)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그 동작은 광통 어셈블리(3)에서 생성된 화상 신호가 반사경(2)에의해 반사되어 스크린(1)에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여 시청자가 화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광통 어셈블리(3)는 일정한 지지 구조에 의해서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하부에 놓이게 되는데, 이와 같이 광통 어셈블리(3)가 놓이게 되는 광통 어셈블리(3)의 지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광통 어셈블리 지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생성되도록 하는 광통 어셈블리(3)와, 광통 어셈블리(3)가 상측에 놓여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판(12)과, 상당한 무게에 이르는 안착판(12)과 광통 어셈블리(3)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금속성의 지지 패널(13)과, 지지 패널(13)이 텔레비전의 본체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 패널(11)이 포함되며, 또한 베이스 패널(11)에 지지 패널(13)의 후부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판(14)이 더 포함된다.
한편, 지지 패널(13)의 앞쪽으로는 제 1 결합부(13a)와 제 2 결합부(13b)가 형성되고, 뒷쪽으로는 제 3 결합부(13c)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 패널(13)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1)의 앞쪽으로는 제 1 지지대(11a)와 제 2 지지대(11b)가 형성되고, 뒷쪽으로는 제 3 지지대(11c)로서 하나 이상 다수의 보스들이 더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종래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의 결합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면, 광통 어셈블리(3)가 보스에 의한 나사 결합이나 다른 일정 방식에 의하여 안착판(12)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한 뒤에, 안착판(12)이 또한 일정한강도가 유지되도록 금속성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 패널(13)의 상면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지지 패널(13)은 제 1 결합부(13a)가 제 1 지지대(11a)에, 제 2 지지대(11b)가 제 2 결합부(13b)에 나사 결합과 같은 일정한 방식이 이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제 3 결합부(13c)는 고정판(14)의 상측에, 상기 제 3 지지대(11c)는 고정판(14)의 하측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3은 설명된 바와 같은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의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베이스 패널(11)과 지지 패널(13)이 상호 간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패널(11)의 제 1, 2, 3 지지대(11a)(11b)(11c)가 제 1, 2, 3 결합부(13a)(13b)(13c)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있는데, 특히, 제 3 지지대(11c)와 제 3 결합부(13c)는 고정판(14)이 매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종래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는 한번 결합된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는 다시 조정될 수 없어, 처음 부품 형성 단계에서 오차가 없는 물품으로 만들어져야 하며, 만약 조립된 후에 광통 어셈블리(3)의 위치가 어긋나 스크린(도 1의 1참조) 상에 맺히는 화상이 틀어지는 경우에는 하는 수 없이 결합을 해체하여 다시 절삭 가공 등을 행한 뒤에, 재결합을 하여야 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광통 어셈블리(3)를 통하여 반사경(도 1의 2참조)을 통과하는 등, 투사된 빛이 긴 거리를 통과한 후에야 스크린(도 1의 1참조)에 이르게 되는 것을 감안하면, 광통 어셈블리(3)의 설치에 약간의 오차라도 발생되는 경우에는 스크린(도 1의 1참조)에는 화상의 비틀림이 크게 발생되어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는 다수의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조립 상의 공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으며, 이러한 문제는 결국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일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조립이 완결된 상태에서도 다시 한번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의 위치가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화질이 한층 더 좋아지도록 하며, 나아가서는 부품의 형성 및 조립 과정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삼면도.
도 2는 종래 광통 어셈블리 지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의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통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린 2 : 반사경 3: 광통 어셈블리
11, 21 : 베이스 패널 12, 22 : 안착판
13, 23 : 지지 패널 14 : 고정판
21a, 21a' : 제 1, 2 지지판 21b, 21b' : 제 1, 2 지지바
21c, 21c' : 제 1, 2 나사부
23a, 23b, 23c : 제 1, 2, 3 결합부
23a', 23b' : 제 1, 2 걸림홀 24 : 이중 힌지 부재
24a : 틸트 힌지 24b : 수직 힌지 25, 25' : 제 1, 2 스프링
26, 26' : 제 1, 2 조절 나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는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광통 어셈블리와, 상기 광통 어셈블리가 상면에 지지되며, 앞쪽과 뒷쪽의 가장 자리에는 하나 이상 다수 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지지 패널과, 상기 결합부 중 일측이 삽입 가이드되어 상기 가이드되는 결합부가 상하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패널로부터 직립되는 지지바와, 상기 결합부 중 타측이, 상기 지지바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기 지지 패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좌우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패널의 타측과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로서 설치되는 이중 힌지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는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광통 어셈블리와; 상기 광통 어셈블리가 상면에 놓이게 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 및 광통 어셈블리가 상면에 놓이며, 전방 좌우측단이 각각 지지바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개별적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 그리고, 후방 중앙이 힌지 고정되도록 하는 제 3결합부가 구비된 지지 패널과; 상기 지지 패널의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를 수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베이스 패널 상에 지지판으로 직립 설치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삽입되어 상기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자중에 의해 내려 앉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가 개별적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지지바의 나사부 상에 체결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조절 나사가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재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 의해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가 높낮이 조절되는 지지 패널 전체가 상하좌우로 움직일수 있도록 후방 제 3결합부를 서로 직교하는 두개의 회전축을 갖고 지지하도록 된 이중 힌지 부재와; 상기 이중 힌지 부재 및 높낮이 조절부재가 상면에 설치되도록 한 베이스 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여기서, 상기 이중 힌지 부재는 상기 지지 패널이 상하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수직 힌지와, 상기 지지 패널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틸트 힌지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는 광통 어셈블리의 위치가 미세하게 다시 한번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광통 어셈블리가 설치된 후에 위치 선정에 오차가 있을 경우에는, 직접 조절 나사의 회전으로 광통 어셈블리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좋은 화상을 한층 더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상을 본 발명 사상에 포함되는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 구조는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광통 어셈블리(3)와; 상기 광통 어셈블리(3)가 상면에 놓이게 되는 안착판(22)과; 상기 안착판(22) 및 광통 어셈블리(3)가 상면에 놓이며, 전방 좌우측단이 각각 지지바(21b,21b')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개별적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 1결합부(23a) 및 제 2결합부(23b), 그리고, 후방 중앙이 힌지 고정되도록 하는 제 3결합부(23c)가 구비된 지지 패널(23);그리고, 상기 지지 패널(23)의 제 1결합부(23a) 및 제 2결합부(23b)를 수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베이스 패널(21) 상에 지지판(21a,21a')으로 직립 설치되는 지지바(21b,21b'), 상기 지지바(21b,21b')에 삽입되어 상기 제 1결합부(23a) 및 제 2결합부(23b)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자중에 의해 내려 앉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25,25'), 상기 스프링(25,25')에 의해 지지되는 제 1결합부(23a) 및 제 2결합부(23b)가 개별적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지지바(21b,21b')의 나사부(21c,21c') 상에 체결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조절 나사(26,26')가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재(30,30');그리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30,30')에 의해 제 1결합부(23a) 및 제 2결합부(23b)가 높낮이 조절되는 지지 패널(23) 전체가 상하좌우로 움직일수 있도록 후방 제 3결합부(23c)를 서로 직교하는 두개의 회전축을 갖고 지지하도록 된 이중 힌지 부재(24)와; 상기 이중 힌지 부재(24) 및 높낮이 조절부재(30,30')가 상면에 설치되도록 한 베이스 패널(21)이 포함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주 구성요소들의 움직임이 가능한 동시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패널(21)의 앞쪽 상면에는 베이스 패널(21)과의 사이에 소정 고정 공간에 삽입되어 제 1, 2 지지바(21b)(21b')가 직립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제 1, 2 지지판(21a)(21a')과, 제 1, 2 지지바(21b)(21b')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2 나사부(21c)(21c')에 삽입되어 지지 패널(23)의 높낮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2 조절 나사(26)(26')와, 제 1, 2 지지바(21b)(21b')의 외측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측에 제 1, 2 조절 나사(26)(26') 및 제 1, 2 결합부(23a)(23b)가 설치되어 제 1, 2 조절 나사(26)(26')의 움직임에 의해 수축 또는 팽창되며 지지 패널(23)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2 스프링(25)(25')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베이스 패널(21)의 뒷쪽으로는 제 3 지지대(21d)가 형성되어 지지 패널(23)이 뒷쪽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중 힌지 부재(24)에는 지지 패널(23)이 상하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직 힌지(24b)와, 지지 패널(23)의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틸트 힌지(24a)가 포함되어 형성되어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또한, 지지 패널(23)에는 제 1, 2 조절 나사(26)(26')와 제 1, 2 스프링(25)(25')의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 패널(23)의 앞부분이 위치가 좌우에서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결합부(23a)와 제 2 결합부(23b)가 더 포함되며, 제 1, 2 지지바(21b)(21b')가 제 1, 2 결합부(23a)(23b)에 삽입 설치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2 걸림홀(23a')(23b')이 더 포함된다.
또한, 지지 패널(23)의 뒷쪽으로는 이중 힌지 부재(24)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 결합부(23c)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의 결합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광통 어셈블리(3)가 안착판(22)에 올려진 후에는 보스가 이용되는 나사 결합과 같은 일정 수단이 이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안착판(22)과 지지 패널(23)이 또한 나사 결합과 같은 일정한 수단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광통 어셈블리(3)와 안착판(22)이 설치된 지지 패널(23)이 베이스 패널(21)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패널(21)의 앞쪽으로는 제 1, 2 지지판(21a)(21a')에 삽입되는 제 1, 2 지지바(도 4의 21b참조)(도 4의 21b'참조)가 직립 설치되도록 하고, 제 1, 2 스프링(25)(25')이 상기 지지바(21b)(21b')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2 스프링(25)(25')의 상측으로는 제 1, 2 결합홀(23a')(23b')에 제 1, 2 지지바(21b)(21b')가 삽입되며, 이에 의해 제 1, 2 결합부(23a)(23b)가 상기 제 1, 2 스프링(25)(25')의 상측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2 결합부(23a)(23b)의 상측으로는 제 1, 2 조절 나사(26)(26')가 제 1, 2 나사부(21c)(21c')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 1, 2 조절 나사(26)(26')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지지 패널(23)의 제 1, 2 결합부(23a)(23b)가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지지 패널(23)은 전후뿐만 아니라 상하의 모든 각도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 패널(21)의 뒷쪽으로는 베이스 패널(21)의 제 3 지지대(21d)와 지지 패널(23)의 제 3 결합부(23c)가 고정되도록 하는데 있어서, 그 매개체로서 이중 힌지 부재(24)가 적용되도록 하여 제 1, 2 결합부(23a)(23b) 각각의 개별적인 동작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 패널(23)의 동작을 도 6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통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2 조절 나사(26')가 풀려 제 1 결합부(23a)가 올라가고, 제 1 조절 나사(26)가 풀려지되 그 양이 미소해 제 1 결합부(23a)보다 작은 양만큼 제 2 결합부(23b)가 올라가면, 지지 패널(23)의 뒷쪽으로 결합되어 있는 이중 힌지 부재(24)에서, 수직 힌지(24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지 패널(23)이 전체적으로 올라가도록 하고, 틸트 힌지(24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결국 외력이 작용되어 제 1, 2 조절 나사(26)(26')가 조작되면 지지 패널(23)의 놓이는 위치도 이에 따라 적절히 맞추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 패널(23)이 움직일 수 있는 거리 및 방향은 예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제 1, 2 조절 나사(26)(26')의 조정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는 일단 설치가 끝난 광통 어셈블리에 의해서도 스크린에 정확한 화상이 맺히지 않는 경우에, 광통 어셈블리에 포함되어 있는 조절 나사의 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광통 어셈블리의 위치가 보다 정확하게 선정되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제 1, 2 조절 나사(26)(26')에 모터가 이용된 일정의 외력 전달 구조가 적용되면, 외장 케이스가 포함되는 모든 제품의 조립이 종료된 상태에서도 외부 전원의 인가로 이를 조정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화상이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그치지 않고, 본 발명을 제대로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삭제 등에 의해 또 다른 실시예를 만들어 내는 것은 쉬운 일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텔레비전 광통 어셈블리의 지지구조는, 베이스 패널과 지지 패널과의 고정 구조를 위해 두 개의 지지대에 각각 높낮이가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높낮이 조정부재를 형성하여 지지 패널의 상하좌우 기울기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 다른 하나의 지지대는 두개의 지지대를 통한 회전 또는 변위가 원활히 전달될 수 있는 이중 힌지 부재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광통 어셈블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미세한 광축 보정이 이루어져 스크린에 맺히는 화상 뒤틀림 현상이 보정되도록 하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화상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광통 어셈블리와;
    상기 광통 어셈블리가 상면에 지지되며, 앞쪽과 뒷쪽의 가장 자리에는 하나 이상 다수 개의 결합부가 형성되는 지지 패널과;
    상기 결합부 중 일측이 삽입 가이드되어 상기 가이드되는 결합부가 상하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패널로부터 직립되는 지지바와;
    상기 결합부 중 타측이, 상기 지지바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기 지지 패널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좌우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패널의 타측과 베이스 패널의 결합구로서 설치되는 이중 힌지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 구조.
  2. 화상 신호가 포함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광통 어셈블리와;
    상기 광통 어셈블리가 상면에 놓이게 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 및 광통 어셈블리가 상면에 놓이며, 전방 좌우측단이 각각 지지바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개별적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하는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 그리고, 후방 중앙이 힌지 고정되도록 하는 제 3결합부가 구비된 지지 패널과;
    상기 지지 패널의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를 수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베이스 패널 상에 지지판으로 직립 설치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삽입되어 상기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자중에 의해 내려 앉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가 개별적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지지바의 나사부 상에 체결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조절 나사가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재와;
    상기 높낮이 조절부재에 의해 제 1결합부 및 제 2결합부가 높낮이 조절되는 지지 패널 전체가 상하좌우로 움직일수 있도록 후방 제 3결합부를 서로 직교하는 두개의 회전축을 갖고 지지하도록 된 이중 힌지 부재와;
    상기 이중 힌지 부재 및 높낮이 조절부재가 상면에 설치되도록 한 베이스 패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 구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힌지 부재는 상기 지지 패널이 상하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수직 힌지와,
    상기 지지 패널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틸트 힌지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 구조.
KR10-2001-0016458A 2001-03-29 2001-03-29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40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458A KR100403080B1 (ko) 2001-03-29 2001-03-29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458A KR100403080B1 (ko) 2001-03-29 2001-03-29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538A KR20020076538A (ko) 2002-10-11
KR100403080B1 true KR100403080B1 (ko) 2003-10-30

Family

ID=2769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4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3080B1 (ko) 2001-03-29 2001-03-29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308B1 (ko) * 2003-01-08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lp광학엔진의 틸트 조정구조
KR100826037B1 (ko) 2006-06-20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엔진의 위치 조절 장치 및 위치 조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7379A (ja) 2002-03-13 2003-11-28 Seiko Epson Corp リアプロジェクタ
KR100826719B1 (ko) * 2006-06-20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시스템의 설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986A (ja) * 1989-08-21 1991-04-03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9980028824U (ko) * 1996-11-25 1998-08-05 배순훈 후면투사형 텔레비젼의 투사체 투사각 조절장치
KR19990003876U (ko) * 1998-09-10 1999-01-25 배근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JPH1184532A (ja) * 1997-09-11 1999-03-26 Nec Corp 背面型液晶投写装置の投写位置調整機構
KR20010077549A (ko) * 2000-02-03 2001-08-20 윤종용 프로젝션 모니터의 엔진위치 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7986A (ja) * 1989-08-21 1991-04-03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9980028824U (ko) * 1996-11-25 1998-08-05 배순훈 후면투사형 텔레비젼의 투사체 투사각 조절장치
JPH1184532A (ja) * 1997-09-11 1999-03-26 Nec Corp 背面型液晶投写装置の投写位置調整機構
KR19990003876U (ko) * 1998-09-10 1999-01-25 배근화 후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
KR20010077549A (ko) * 2000-02-03 2001-08-20 윤종용 프로젝션 모니터의 엔진위치 보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308B1 (ko) * 2003-01-08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lp광학엔진의 틸트 조정구조
KR100826037B1 (ko) 2006-06-20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 엔진의 위치 조절 장치 및 위치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538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4443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H11249234A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H11174585A (ja) 背面投射器
CN101026717A (zh) 背投影显示装置
JPH10319501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モニタ
EP1137275A2 (en) Spherical mounting detail for adjusting three axis of rotation without affecting centering
KR100403080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광통 어셈블리 지지구조
KR200489848Y1 (ko) 평면 tv용 벽걸이 거치대
JP2000010188A (ja) 液晶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4506295A (en)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with unitary optics frame
US6412955B1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engine location for projection monitor
US7072001B2 (en) Multi-axis adjusting apparatus for a light engine in a projection system
TWI481947B (zh) 光學裝置
US20040239820A1 (en) Structure of projection television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US7864436B2 (en) Rear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CN217034496U (zh) 一种反射式投影成像装置
KR20030094635A (ko) 영상투사기기의 영상위치 보정 장치
KR100826037B1 (ko) 광학 엔진의 위치 조절 장치 및 위치 조절 방법
JP3339560B2 (ja) 組合せ型の投写形表示装置の調整方法
CN101004547A (zh) 背投显示装置
JP2015072334A (ja) 画像投射装置用支持具
JPS607248B2 (ja) テレビ画像投影装置
JP3090282B2 (ja) プロジェクタ光学系調整機構
KR20050090880A (ko)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포커스 밸런스 조정 장치 및방법
CN217879965U (zh) 一种激光投影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