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3033B1 -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033B1
KR100403033B1 KR10-2001-0004418A KR20010004418A KR100403033B1 KR 100403033 B1 KR100403033 B1 KR 100403033B1 KR 20010004418 A KR20010004418 A KR 20010004418A KR 100403033 B1 KR100403033 B1 KR 10040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
weight
pad
infrared radiation
f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784A (ko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인따르시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따르시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따르시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0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0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가슴을 보호하기 위하여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흡착된 브라 에 별도의 액상 원적외선 조성물이 함유된 패드(pad)를 브라 내면의 패드 포켓에 삽입하거나 분리함으로써 혈액순환 촉진, 항균, 소취, 대전방지, 방향, 자외선 차단, 유해전자파 차단 등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좀 더 쾌적하고 건강한 의생활을 실현하고, 가슴(체형)이 작은 사람의 가슴 모양을 볼륨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미용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된 기능성 조제는 일반적으로 오일 패드(oil pad)를 삽입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각종 브라에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채워진 패드를 필요에 따라 삽입, 제거를 하여 줌으로써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 및 혈액순환 증진, 항균, 소취, 대전방지, 방향, 자외선 및 유해전자파 차단과 같이 의생활에 유용한 기능도 함께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편의에 따라 삽입, 분리함으로써 가슴의 볼륨을 조절하며 세탁 시에 편리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FUNCTIONAL BRA AND BRA PAD}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항균, 소취, 대전방지, 자외선 차단, 향발산, 보온기능, 유해 전자파 차단 등의 유용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고효율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여성이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브라를 착용하는 목적이 시대에 따라 변화가 있어 왔는데, 그것은 체온유지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신체보호와 미용효과라는 목적으로부터 아름다움과 건강의 추구라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고, 근래에는 오히려 2차적 기능과 건강, 미용이 더욱 강조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에 부응하는 기능성 브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브라와 관련된 것으로는 브라의 원단이 되는 섬유 또는 섬유제품과 고체분말로 된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압착하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섬유 또는 섬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도포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고체이므로 분산성이 떨어지고, 염색이 제한되며 섬유 또는 섬유제품에 단순 흡착됨에 그치므로 장기간 사용 시는 물론, 특히 물세탁 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쉽게 떨어져나가므로 그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라는 일반적으로 여성용 일반 브라와 오일 패드(oil pad)가 삽입 및 분리되는 두 종류가 있으나 일반 브라는 기능성이 없으며, 오일 패드가 삽입되는 브라 또한 가슴의 볼륨감만 가미되어 제작되어 있으므로 기능성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 브라와 오일 패드가 삽입 및 제거되는 브라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브라의 재료 소재인 섬유, 스폰지, 폴리우레탄 캡(polyurethane cap) 등에 원적외선 방사를 위시한 여러가지 기능성을 한번의 처리로 부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든 브라 제조방법과 일반 브라의 내면에 삽입(분리기능 포함)되는 원적외선 액상 방사물질로 만든 브라용 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일반 브라에 흡착된 기능성 물질이 섬유, 폴리우레탄, 스폰지 내면에 침투 흡착되어 피막을 형성하고 일단 형성된 코팅 피막이 세탁 후에도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패드 삽입 브라에 장착되어 브라에 내장되는 기능성 물질인 액상 원적외선 방사 물질로 만든 패드를 수시로 필요에 따라 삽입, 분리와 세탁 시 분리 기능으로 효능이 오랫동안 유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볼륨-업(volume-up) 패드(pad) 있는 브라의 모형도
도 1b는 볼륨-업 패드 없는 브라의 모형도
도 2는 다기능성 브라의 제조공정도
도 3은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 제조공정도
도 4는 다기능성 브라 및 일반 브라를 영상진단기로 측정한 열화상 측정 그래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통상의 브라 제조에 있어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10 내지 30 중량%의 농도로 물로 희석하여 침지 탱크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의 온도를 30 내지 100 ℃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30 내지 100 ℃의 온도로 유지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에 브라의 원단인 섬유 또는 직물을 30 내지 60 분간 침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섬유 또는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브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통상의 브라 제조에 있어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켜서 10 내지 30 중량% 정도의 농도로 혼합 희석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희석물을 섬유나 직물의 단면 또는 양면에 0.01 내지 0.1 ㎛ 정도의 두께로 스프레이 또는 코팅하여 브라의 원단인 섬유나 직물지에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착된 섬유나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브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방을 받쳐주는 볼륨-업 패드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통상의 볼륨-업 패드 브라 제조에 있어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브라용 패드에 삽입하고 브라용 패드의 둘레부분을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브라용 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일반 브라의 소재에 가공 처리하여 다기능성 브라를 제조하는 방법과,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채워서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에 삽입 장착할 다기능성 브라용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항균성, 대전방지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물질, 항균제, 대전방지제, 및 접착바인더를 포함하는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일반 브라의 소재에 침지, 스프레이 또는 코팅하여 원적외선이 방사되고 항균, 소취, 대전방지, 자외선차단, 향 발산, 보온 기능, 유해 전자파 차단 등의 유용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다기능성 브라를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채워서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에 삽입할 브라용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물질, 항균제, 대전방지제, 및 접착바인더를 포함하는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의 조성에 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은 그 완성물의 중량%를 100으로 보았을 때, 물 85 내지 90 중량%와 원적외선 방사체 10 내지 15 중량%로 구성되고, 원적외선 방사체는 다시 원적외선 방사 액상 물질을 첨가 가공한 섬유 및 스폰지 등을 사용하여 브라를 제조한 후 착용함으로써 체온에 의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인체에 흡수되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체내의 노폐물을 신속히 빠져나가도록 하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 88.0 내지 94.0 중량%, 인체에서 분비되는 피지나 땀 등을 영양분으로 하는 세균의 서식을 억제하는 항균효과와 인체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억제하는 소취효과를 갖는 항균제 3.0 내지 5.0 중량%, 의복과 의복, 의복과 브라, 신체와 브라 사이의 마찰이나 건조한 날씨 등으로 인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인체의 바이오 리듬을 유지하는 정전기 방지효과를 갖는 대전방지제 2.5 내지 5.0 중량%, 세탁과정을 통해 섬유 및 화학제 속에 흡착된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같은 기능성 조제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한 고착제로서 아크릴계 접착 바인더를 0.5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이며, 향기를 방출하여 브라와 브라용 패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쾌적감을 향상시키는 천연 또는 인공향을 1.0 내지 1.3 중량%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브라를 제조하는 방법은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10 내지 30 중량%의 농도로 물로 희석하여 침지 탱크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의 온도를 30 내지 100 ℃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30 내지 100 ℃의 온도로 유지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에 브라의 원단인 섬유 또는 직물을 30 내지 60 분간 침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섬유 또는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브라인 경우 도 2의 다기능성 브라의 제조공정도에서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물질, 항균제, 대전방지제, 및 접착 바인더를 포함하는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에 통상의 브라 제조공정 중 유연가공 단계에서 브라 원단을 침지시켜 원적외선 방사물질, 항균제, 대전방지제, 및 접착 바인더를 포함하는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브라 원단의 조직 내에 흡착시켜 건조하고, 건조된 원단을 재단하고 봉제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성 브라를 완성한다. 또한, 브라용 패드의 경우 도 3의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의 제조공정도에서와 같이, 먼저 상기 제조된 다기능성 브라 원단을 재단하고 봉제하여(봉제공정에서 브라포켓을 함께 제작한다) 브라를 완성한 후, 비닐계 소재를 준비하여 상기 원적외선 방사물질, 항균제, 대전방지제, 및 접착 바인더를 포함하는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삽입하고 열봉합 한 후, 상기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삽입되고 열봉합된 비닐계를 별도로 제작된 직물 패드 포켓에 넣고 봉제한 후, 상기 제조된 브라 포켓이 달린 다기능성 브라에 넣어서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를 완성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은 주된 성분이 산화규소(SiO2)이고 대개의 경우 고체 분말의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섬유나 직물에 사용하는데 한계가 많다. 특히, 그 성상이 액상이라야 분말의 탈락과 변화, 고착, 염색물의 용도에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한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산화알루미늄을 주된 성분(이하 언급되는 광물 분말만을 100으로 보았을 때 76.0 내지 88 중량%)으로 하고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나트륨, 산화철, 실리카, 티타늄 등이 포함된 천연 광물을 지르콘 소재 세라믹볼과 함께 분쇄기에 넣어 2차에 걸쳐 교반함으로써 초미립자 상태로 분쇄한 천연광물 분말 10.0 내지 10.5 중량%에 증류수 83.0 내지 86.0 중량%, 우레탄 실리콘수지 3.0 내지 1.5 중량%, 및 우레탄 수지용 촉매 4.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pH 6 내지 8의 무색, 무취, 무미의 액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은 원적외선 방사물질 88.0 내지 94.0 중량%; 항균제 3.0 내지 5.0 중량%; 대전방지제 2.5 내지 5.0 중량%; 및 아크릴계 접착 바인더 0.5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액상의 조성물로 제조하는 것이 세탁 및 염색 등과 같은 섬유나 직물가공을 하는데 있어서 고체분말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브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나트륨, 산화철,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천연광물(주성분인 산화알루미늄이 76 내지 88 중량%, 기타 광물이 24 내지 12 중량%)을 지르콘 소재 세라믹볼과 함께 분쇄기에 넣어 2차에 걸쳐 교반함으로써 초미립자 상태로 분쇄한 천연광물 분말 10.0 내지 10.5 중량%에 증류수 83.0 내지 86.0 중량%, 우레탄 실리콘 수지 3.0 내지 1.5 중량%, 및 우레탄 수지용촉매 4.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물질 88.0내지 94.0 중량%와 항균제 3.0 내지 5.0 중량%, 대전방지제 2.5 내지 5.0 중량%, 및 아크릴계 접착 바인더 0.5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제조하여 침지 탱크에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의 온도를 30 내지 100 ℃로 유지시키고, 브라의 원단인 섬유 또는 직물을 30 내지 60 분간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다기능성 브라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브라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켜서 10 내지 30 중량% 정도의 농도로 혼합 희석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희석물을 섬유나 직물의 단면 또는 양면에 0.01 내지 0.1 ㎛ 정도의 두께로 스프레이 또는 코팅하여 브라의 원단인 섬유나 직물지에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흡착된 섬유나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물질, 항균제, 대전방지제, 및 접착 바인더를 포함하는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브라와 브라용 패드에 첨가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섬유나 직물조직 사이로 잘 흡착되어 0.01 내지 0.1㎛ 정도 두께의 원적외선 방사 피막을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촉진 매개물로서 천연 광물 추출물인 Al2O3, SiO2, TiO2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섬유나 직물조직 사이에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물질의 피막이 섬유와 직물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착용으로 아크릴계 접착 바인더를 0.5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사용하여, 원적외선 방사와 같은 본 발명이 목적하는 기능성을 좀더 오래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성 브라용 패드 제조방법은 상기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비닐계 패드에 삽입하고 비닐계 패드의 둘레 부분을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브라용 패드는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10 내지 50 g/개를 비닐계 브라용 패드에 삽입하고 브라용 패드의 둘레부분을 열접합기로 1 내지 5 mm 정도로 열에 의해 강제 봉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직물로 감싼 후 봉합된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를 여성들이 필요에 따라(가슴크기 조절과 볼륨조정) 도 1a의 볼륨-업 패드 있는 브라 모형도에서와 같이 일반 브라 뒷면 포켓에 넣고 착용하거나 넣지 않고 착용한다. 또한, 세탁 시에는 브라 뒷면 포켓 속에 들어있는 다기능성 브라용 패드를 분리하여 꺼낸 후 세탁을 함으로써 형태유지나 효능변화에 문제됨이 없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기능성 브라의 제조
도1의 다기능성 브라의 제조공정도에 나타난 공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제조하였다.
1) 생지 검사, 준비 단계: 생지 검사기에서 생지를 검사하고 준비하였다.
2) 호발, 정련단계: 상기 준비된 생지를 연속 정련기 또는 상압 직가(jigger)에서 호발하고 정련하였다.
3) 표백 단계: 상기 호발, 정련된 생지를 표백하였다.
4) 1차 건조 단계: 상기 표백된 생지를 예비 열처리기에서 1차 건조하였다.
5) 염색가공 단계: 상기 건조된 생지를 연속 염색기 또는 고압 직가(jigger)에서 염색하였다.
6) 2차 건조 단계: 상기 염색된 생지를 실린더 드라이기(cylinder dryer)에서 2차 건조시켰다.
7) 유연가공 단계: 상기 2차 건조된 생지를 난터치 드라이기(non touch dryer)에서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첨가하고 유연 가공하였으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나트륨, 산화철,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천연광물(주성분인 산화알루미늄이 76 내지 88 중량%, 기타 광물이 24 내지 12 중량%)을 지르콘 소재 세라믹볼과 함께 분쇄기에 넣어 2차에 걸쳐 교반함으로써 초미립자 상태로 분쇄한 천연광물 분말 10.0 내지 10.5 중량%에 증류수 83.0 내지 86.0 중량%, 우레탄 실리콘 수지(대영화학(주) 제조 SUPERFLEX E-4000) 3.0 내지 1.5 중량%, 및 우레탄 수지용촉매(대영화학(주) 제조 SNOTEX CAT-64) 4.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pH 6 내지 8의 무색, 무취, 무미의 액상 조성물인 원적외선 방사물질 88.0 내지 94.0 중량%와 항균제(대영화학(주) 제조 SNOBIO DY-50) 3.0 내지 5.0 중량%, 대전방지제(대영화학(주) 제조 ANTIX-GU) 2.5 내지 5.0 중량%, 및 아크릴계 접착 바인더(대영화학(주) 제조 AR-407) 0.5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첨지 탱크에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의 온도를 30 내지 100 ℃로 유지시키고, 브라의 원단인 섬유 또는 직물을 30 내지 60 분간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반제품을 유연가공시켰다.
8) 3차 건조 단계: 상기 유연 가공된 반제품을 텐터(tenter)에서 3차 건조시켰다.
9) 검사 단계: 상기 3차 건조된 반제품을 검단기에서 검사하였다.
10) 원단 재단 및 봉재 단계: 상기 검사된 반제품을 재단하고 봉재하여 다기능성 브라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의 제조
도3의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의 제조공정도에 나타난 공정에 따라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를 제조하였다.
1. 브라 제조
1) 브라원단 재단 단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브라원단을 재단하였다.
2) 봉제단계: 상기 재단된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브라 원단에 브라포켓이 달린 브라 반제품을 제작하였다.
2. 액상 패드 제조
1) 비닐계 준비 단계: 액상 패드를 삽입할 비닐계를 준비하고 규격을 확인하였다.
2)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삽입단계: 상기 준비된 비닐계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것과 동일한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50 g/개 정도 삽입하여 비닐계 브라용 패드를 제작하였다.
3) 열봉합 단계: 상기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삽입된 비닐계 브라용 패드 둘레부분을 열접착기로 열봉합하였다.
4) 직물 패드 포켓 제작 단계: 상기 열봉합한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삽입된 비닐계 브라용 패드를 삽입할 직물 패드 포켓을 제작하였다.
5) 봉제 단계: 상기 제작된 직물 패드 포켓에 상기 열봉합한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삽입된 비닐계 브라용 패드를 삽입하고 봉제하여 액상 패드를 제조하였다.
6) 상기 제조된 액상 패드를 상기 완성된 브라포켓이 달린 브라 반제품의 브라 포켓에 넣고 액상 패드 삽입 분리형 브라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는 착용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의 방사, 혈액순환 촉진, 항균, 소취, 정전기 방지, 자외선 차단, 유해 전자파 차단, 천연 향기의 방출, 보온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원적외선 방출로 혈액순환 촉진 및 생체활성화와 건강증진(방사율: 90%이상)
2) 항균 효능으로 섬유 및 인체에서의 세균의 서식억제(항균성: 95% 이상)
3) 소취기능으로 각종 냄새와 체취의 발산을 억제함으로써 쾌적함 향상(소취율: 90% 이상)
4) 자외선 및 유해전자파 차단 효과로 피부 노화방지(자외선 차단율: 90% 이상)
5) 정전기 방지 억제로 신체리듬 및 건강유지(대전방지율: 400V 이하)
6) 섬유직물의 포름알데히드(일명 포르말린) 함유량 억제로 쾌적 건강유지
7) 쾌적향기의 방출로 쾌적감 향상(천연 식물향기 60여 종류)
8) 섬유의 촉감을 부드럽게 한다.
9) 보온효과로 체온유지와 건강을 증진한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은 효과 이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성 브라 및 브라용 패드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되며, 고효율 다기능성 효능으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인간 생활에 있어서 생체리듬과 건강증진에 우수하므로 품질의 고급화로 국제 경쟁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유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통상의 브라 제조에 있어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10 내지 30 중량%의 농도로 물로 희석하여 침지 탱크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충전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의 온도를 30 내지 100 ℃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30 내지 100 ℃의 온도로 유지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에 브라의 원단인 섬유 또는 직물을 30 내지 60 분간 침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섬유 또는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브라 제조방법.
  2. 유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와 이 지지부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통상의 브라 제조에 있어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켜서 10 내지 30 중량% 정도의 농도로 혼합 희석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희석물을 섬유나 직물의 단면 또는 양면에 0.01 내지 0.1 ㎛ 정도의 두께로 스프레이 또는 코팅하여 브라의 원단인 섬유나 직물지에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착된 섬유나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브라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나트륨, 산화철,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를 포함하는 천연광물분말 10.0 내지 10.5 중량%, 증류수 83.0 내지 86.0 중량%, 우레탄 실리콘 수지 3.0 내지 1.5 중량%, 우레탄 수지용 촉매 4.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물질 88.0 내지 94.0 중량%와 항균제 3.0 내지 5.0 중량%, 대전방지제 2.5 내지 5.0 중량%, 및 아크릴계 접착 바인더 0.5 내지 2.0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브라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천연 또는 인공향이 1.0 내지 1.3 중량%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브라 제조방법.
  5. 유방을 받쳐주는 볼륨-업 패드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를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 통상의 볼륨-업 패드 브라 제조에 있어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브라용 패드에 삽입하고 브라용 패드의 둘레 부분을 봉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브라용 패드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용 패드가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을 10 내지 50 g/개를 비닐계 브라용 패드에 삽입하고 비닐계 브라용 패드의 둘레부분을 열접합기로 1 내지 5 mm 정도로 열에 의해 강제 봉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브라용 패드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이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나트륨, 산화철, 실리카 및 이산화티타늄를 포함하는 천연광물분말 10.0 내지 10.5 중량%, 증류수 83.0 내지 86.0 중량%, 우레탄 실리콘 수지 3.0 내지 1.5 중량%, 우레탄 수지용촉매 4.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액상의 원적외선 방사물질 88.0 내지 94.0 중량%와 항균제 3.0 내지 5.0 중량%, 대전방지제 2.5 내지 5.0 중량%, 및 아크릴계 접착 바인더 0.5 내지 2.0 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브라용 패드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천연 또는 인공향이 1.0 내지 1.3 중량%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브라용 패드 제조방법.
KR10-2001-0004418A 2001-01-30 2001-01-30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0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418A KR100403033B1 (ko) 2001-01-30 2001-01-30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418A KR100403033B1 (ko) 2001-01-30 2001-01-30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784A KR20020063784A (ko) 2002-08-05
KR100403033B1 true KR100403033B1 (ko) 2003-10-23

Family

ID=2769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4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3033B1 (ko) 2001-01-30 2001-01-30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306B1 (ko) * 2002-05-16 2005-12-27 김영호 수회사용이 가능한 안면미용 시트 마스크의 제조방법
WO2023284111A1 (zh) * 2021-07-15 2023-01-19 十倍好医疗科技(广州)有限公司 多功能服装和多功能服装的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5345A (ko) * 1994-10-27 1996-05-22 김광호 교통신호등 제어장치
JPH10245703A (ja) * 1997-02-28 1998-09-14 Suzuki:Kk 遠赤外線放射衣類
KR100215991B1 (ko) * 1997-02-01 1999-08-16 정진영 원적외선 방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37717B1 (ko) * 1992-07-16 2000-01-15 마카타 카츠미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속옷
KR200208648Y1 (ko) * 2000-06-30 2001-01-15 리오우 쿠오-리앙 브래지어 컵 패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717B1 (ko) * 1992-07-16 2000-01-15 마카타 카츠미 금속을 함유한 섬유로 형성되는 속옷
KR960015345A (ko) * 1994-10-27 1996-05-22 김광호 교통신호등 제어장치
KR100215991B1 (ko) * 1997-02-01 1999-08-16 정진영 원적외선 방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0245703A (ja) * 1997-02-28 1998-09-14 Suzuki:Kk 遠赤外線放射衣類
KR200208648Y1 (ko) * 2000-06-30 2001-01-15 리오우 쿠오-리앙 브래지어 컵 패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784A (ko) 200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Cosmetotextiles: state of art
KR101556411B1 (ko) 복합 기능성 원단
CN101709552B (zh) 一种护肤布料加工方法
KR100403033B1 (ko) 다기능성 브라와 브라용 패드의 제조방법
Jamal et al. Cosmetotextiles: A wearable skin care
JPH09188972A (ja) シルク加工不織布及び不織布のシルク加工方法
JP2002371465A (ja) 多機能性伸縮織編物二次製品
KR20180110544A (ko) 냉감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KR100413700B1 (ko) 다기능성 물수건의 제조방법
KR200189052Y1 (ko) 인체자극물 돌기를 구성한 의류부재
KR200487503Y1 (ko) 천연 피혁 쿠션부를 가지는 기능성 양말
KR102459187B1 (ko) 아스코르브산이 함침된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법에 의해 아스코르브산이 함유된 직물지
KR102667892B1 (ko) 원적외선 방출에 의해 두피보호기능을 갖는 모자
KR200382325Y1 (ko) 향기주머니를 갖는 운동용 앞가슴가리개
KR200188998Y1 (ko) 브래지어
CN201515743U (zh) 杀菌吸汗按摩磁疗鞋垫
JP2000110004A (ja) 靴 下
KR102814139B1 (ko) 통풍가발
KR20130115707A (ko) 광물질 또는 숯이 투입된 다리 밴드
JP3029651U (ja) 健康増進用部材
KR200258912Y1 (ko) 옥가루를 혼합하여 실크인쇄한 내포가 접착 성형된건강증진 브래지어
EP3473220A1 (en) Reusable compress
JP2000345469A (ja) 織物或いは布織布などの綿製品
KR200407028Y1 (ko) 피톤치드 양말
KR100484964B1 (ko) 세라믹물질의 심지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10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01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