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2430B1 -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430B1
KR100402430B1 KR10-2000-0063175A KR20000063175A KR100402430B1 KR 100402430 B1 KR100402430 B1 KR 100402430B1 KR 20000063175 A KR20000063175 A KR 20000063175A KR 100402430 B1 KR100402430 B1 KR 10040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titanium dioxide
decomposition
alumina
cordiali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167A (ko
Inventor
조철훈
신병철
황재동
임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4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4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28Molybde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 B01D53/8628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59Removing 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53/8662Organic hal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24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30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56Platinum group metals
    • B01J23/64Platinum group metals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648Vanadium, niobium or tantalum or polonium
    • B01J23/6482Vana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89Silicates, aluminosilicates or borosilicates of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01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 공정에서 배출되는 염소계 화합물과 질소 산화물을 포함하는 독성 오염물질을 동시에 분해하기 위한 촉매에 관한 것으로서, 코르디얼라이트 표면에 이산화티탄(TiO2) 및 알루미나(Al2O3)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알루미나 담체에 촉매활성 성분으로써 바나듐(V)이 담지되어 있으며, X선 회절법으로 측정한 상기 이산화티탄의 결정도가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Catalyst for decomposition of toxic pollutants and produc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각 또는 연소공정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염소계 화합물과 질소산화물을 독성이 적거나 무해한 물질로 분해시킬 수 있는 촉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 산업소각로, 도시폐기물 소각로, 병원 폐기물 소각로, 용해로, 보일러 등의 소각 또는 연소공정에서 배출되는 가스에는 염소계 화합물 중에서도 독성이 매우 강하여 환경과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다이옥신(PCDD/PCD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polychlorinated dibenzofuran), 폴리염화 비페닐(PCB), 염화벤젠, 염화페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독성 화합물을 다량 생성시키는 연소 및 소각공정의 가동이 증가하면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연소 및 소각공정에서는 연료 성분 및 높은 화염 온도로 인하여 다량의 질소산화물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러한 질소산화물은 산성비를 유발하여 환경생태계를 파괴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기존 염소계화합물의 처리법으로 흡착법, 열소각법 및 세정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질소산화물의 분해에는 선택적 촉매환원법(SCR)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흡착법은 활성탄 또는 코크스,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 층에 연소 배가스를 통과시켜 흡착제거하는 방법이나, 제거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낮은 농도로 포함된 독성화합물의 처리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흡착제의 연속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폐기된 흡착제를 소각하면 독성화합물이 재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매립시에는 용출되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세정법은 배가스를 화학용액과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배가스내에 포함된 산성가스 및 입자상 물질의 제거에는 효과적이나 다량의 화학폐수가 발생하여 오염을 가중시키고 용해도가 낮은 독성화합물은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질소산화물의 분해는 선택적 촉매환원법에 의해 고효율로 제거할 수 있다. 촉매환원 반응은 암모니아를 주입하여 촉매에서 질소산화물의 환원반응에 의해 질소로 분해시키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4,085,193호, 제제4,018,706호, 제4,059,675호, 제4,059,676호 및 제4,059,683호에서 TiO2및, Al2O3, SiO2, V2O5, WO3, Pt, Pd 등으로 구성된 촉매를 사용하여 높은 효율로 질소산화물을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이옥신 및 질소산화물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촉매를 사용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5,512,259호가 있으며, 상기 특허는 70 내지 80중량%의 TiO2, 0 내지 10중량 %의 WO3, 0.5 내지 3중량%의 V2O5및 0 내지 5중량%의 MoO3를 포함하는 하니컴형 촉매를 사용하여 산화반응조건에서 할로겐화합물을 분해하고 암모니아를 주입한 환원반응 조건에서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키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기존의 질소산화물 제거에 사용되던 촉매를 그대로 또는 도너(donner) 금속을 첨가하여 개조한 것으로서 기존의 선택적 촉매환원공정(SCR)에 사용되던 촉매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촉매는 다이옥신등의 염소계 방향족 화합물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물, 염산, 염소가스로 분해되지 효율이 낮고 다른 구조의 유기화합물로 전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BET 표면적이 20 내지 100 m2/g으로 작아 금속입자의 소결이 쉽게 일어나므로 장시간 사용할 때 분해활성이 크게 저하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5,387,734호 및 제 5,276,250호는 실리카-알루미나 담체에 Zn, Ni, Cr, Cu, Fe, Pt, Rh 또는 그 산화물이 담지된 촉매를 사용하여 높은 효율로 다이옥신을 제거하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고, 미합중국 특허 제 5,260,044호는 60중량%의 TiO2-뮬라이트(3Al2O2SiO2) 지지체에 백금을 담지한 하니컴형 성형촉매를 사용하여 다이옥신(PCDDs/PCDFs)을 분해하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촉매는 담체에 담지된 금속의 분산성이 불량하여 촉매의 열소성시 금속성분의 소결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분해활성이 낮기 때문에 많은 공간시간(space velocity; SV)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독성화합물의 분해에 적절한 표면적을 제공함과 동시에 금속성분의 소결에 의한 분해효율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고 장시간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촉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코르디얼라이트 표면에 이산화티탄(TiO2) 및 알루미나(Al2O3)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알루미나 담체에 촉매활성 성분으로써 바나듐(V)이 담지되어 있으며, X선 회절법으로 측정한 상기 이산화티탄의 결정도가 10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산화티탄의 함량이 촉매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내지 12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알루미나의 함량이 촉매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나듐의 함량이 이산화티탄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촉매 활성성분이 몰리브데늄(Mo), 텅스텐(W), 팔라듐(Pd) 및 이들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의 함량이 이산화티탄의 중량을 기준으로 9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a) 이산화티탄을 400 내지 600℃에서 열소성하여, X선 회절법으로 측정한 결정도가 10 내지 20%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준비된 이산화티탄에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을 함침시키는 단계;
(c) (b)단계의 결과물을 100 내지 300℃에서 건조한 후 400 내지 60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 및
(d) (c) 단계의 결과물을 알루미나와 함께 코르디얼라이트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를 실시하기 전에, 몰리브데늄(Mo), 텅스텐(W), 팔라듐(Pd) 및 이들의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의 전구체 수용액을 (a) 단계의 결과물에 함침하는 단계 및 그 결과물을 100 내지 300℃에서 건조 및 소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촉매를 사용하여 폴리염화 디벤조-p-다이옥신(PCDD), 폴리염화 디벤조 퓨란(PCDF), 폴리염화 비페닐(PCB) 및 클로로벤젠, 염소계 휘발성화합물, 질소산화물을 분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해반응은 5 부피% 내지 21 부피%의 산소농도를 유지하는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해반응이 200℃ 내지 350 ℃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이 다른 다공성의 금속산화물에 담지된 형태의 담지 촉매는 일반적으로 다공성 담체 또는 지지체 (support or carrier)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촉매 작용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기계적 강도와 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공성 산화물을 담체로 사용한다. 즉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고 열 및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한 다공성 물질에 촉매금속을 얇게 담지 함으로써 촉매의 반응활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사용된 금속성분의 종류와 함량, 금속성분의 조성비율이 촉매효율의 중요한 인자가 된다. 또한, 담체의 종류 및 조성도 촉매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인데 이는 금속성분과 상호 작용을 일으켜 촉매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인자를 고려하여, 하니컴 형상을 제공하는 코르디얼라이트(Cordierite) 표면에 이산화티탄(TiO2) 또는 이산화티탄(TiO2)-알루미나(Al2O3)를 담지체로 사용하고, 금속 성분으로는 기본적으로 바나듐을 사용한다.
이산화티탄(TiO2)은 부분적으로 환원될 수 있는 산화물로서 활성 금속성분을 잘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 안정성이 높고 금속과 강하게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환원처리의 조건에 따라 +3가 와 +2가 상태가 가능하며환원처리 후 강한 금속-담체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루미나는 넓은 표면적을 갖는 금속산화물로 기계적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다공성 물질이다.
즉 본 발명은 하니컴형상을 제공하는 코르디얼라이트(cordierite) 표면에 이산화티탄(TiO2) 또는 이산화티탄(TiO2)-알루미나(Al2O3)를 담지체로 사용하여 열 및 기계적 안정성을 높이고, 그 표면의 결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표면적을 최대화시킴으로써 활성금속 입자를 잘 분산시켜 사용온도에서 금속입자의 소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배가스의 정화에 높은 분해반응을 나타내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독성오염물질 분해용 촉매에 있어서 담체로 사용되는 하니컴형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TiO2) 또는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TiO2)-알루미나(Al2O3)는 넓은 표면적과 열 및 기계적 안정성, 내산성을 제공하고 촉매금속 입자와의 강한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촉매 총 중량을 기준으로 85 내지 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나듐 산화물은 저온 환원성이 높아 낮은 온도에서 높은 분해활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이산화티탄의 중량을 기준으로 1내지 6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촉매의 금속 활성성분인 바나듐에 부가하여, 몰리브데늄(Mo), 텅스텐(W), 팔라듐(Pd) 또는 그 산화물이 첨가될 수 있는데, 이들은 바나듐의 안정화, 분산도 향상 및 상호작용에 의해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이산화 티탄의 중량을 기준으로 0∼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팔라듐은 바나듐과의 강한 상호작용에 의해 독성 화합물의 분해에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점을 제공하며, 그 함량은 이산화티탄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촉매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금속담지 촉매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촉매는 다음과 같은 공정 순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이산화티탄을 400 내지 600℃에서 열소성하여, X선 회절법으로 측정한 결정도가 20%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준비된 이산화티탄에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을 함침시키는 단계;
(c) (b)단계의 결과물을 100 내지 300℃에서 건조한 후 400 내지 60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 및
(d) (c) 단계의 결과물을 알루미나와 함께 코르디얼라이트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몰리브데늄(Mo), 텅스텐(W), 팔라듐(Pd) 및 이들의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첨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전구체 수용액을 상기 (b)단계를 실시하기 전에 이산화티탄에 함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결과물을 100 내지 300℃에서 건조 및 소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촉매는 특히, 폴리염화 디벤조-p-다이옥신(PCDD), 폴리염화 디벤조 퓨란(PCDF), 폴리염화 비페닐(PCB) 및 클로로벤젠, 염소계 휘발성화합물, 질소산화물을 분해하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촉매를 사용하여 연소공정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해반응은 5 부피% 내지 21 부피%의 산소농도를 유지하는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조예 1>
이산화티탄 300g을 550 ℃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하여 결정도를 조절함으로써, X선 회절법으로 측정한 결정도가 10~20 %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결과물에 몰리브데늄(Mo) 산화물 24 g을 담지하고 110℃에서 5시간 건조한 다음 550 ℃에서 2시간동안 소성하였다. 상기 결과물에 바나듐(V) 산화물을 17g을 담지하고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건조와 소성을 실시하였다.
코르디얼라이트 1000 cm3당 상기 결과물 50g과 알루미나 20g이 담지되도록 하니컴형 코르디얼라이트 표면에 코팅하였다. 상기 결과물을 110℃에서 5시간 건조하고 최종적으로 550 ℃에서 2시간동안 소성하여 하니컴형의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TiO2)-알루미나(Al2O3)-바나듐(V) 산화물-몰리브데늄(Mo) 산화물 촉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4>
몰리브데늄 대신에 텅스텐(W) 산화물, 팔라듐(Pd) 산화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TiO2)-알루미나(Al2O3)-바나듐(V) 산화물-텅스텐(W) 산화물 촉매(제조예 2),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TiO2)-알루미나(Al2O3)-바나듐(V)산화물-팔라듐(Pd) 촉매(제조예 3)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업용 도시폐기물 소각로의 배기 가스 정화율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직경 15 cm, 너비 15 cm, 길이 30 cm의 코르디얼라이트 - 이산화티탄 (TiO2) - 알루미나 (Al2O3) - 바나듐(V) 산화물 - 몰리브데늄(Mo) 산화물 촉매(제조예 1)를 이용하여 반응온도 및 공간속도를 변화시키면서 다이옥신 및 질소산화물의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를 표 1 나타내었다.
No. 반응온도(℃) 공간속도(hr-1) 반응기 출구다이옥신 농도(ng TEQ/Nm3) 다이옥신분해율 (%) NOx분해율 (%)
1-11-21-31-41-51-6 250250300300350350 7,00010,0007,00015,0007,00010,000 0.0180.070.0090.1560.0210.032 88.948.292.680.595.593.5 --91.184.499.995.9
상기 표 1에서 TEQ란 독성 당량(toxic equivalent)을 의미한다. 다이옥신이라는 명칭이 이백여종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독성을 나타낼 때에는 각 물질이 가지는 독성계수(TEF; toxic equivalence factor)에 농도를 곱하여 TEQ형태로 독성을 표시한다.
<실시예 2>
제조예 1의 촉매, 직경 2.54 cm, 길이 5 cm의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 (TiO2)-알루미나(Al2O3)-바나듐(V)산화물-몰리브데늄(Mo) 산화물 촉매를 이용하여, 반응온도 및 공간속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100 ppm의 1,2-디클로로벤젠과 5 부피% H2O, 11 부피% O2조건에서 분해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No. 공간속도(hr-1) 반응온도(℃) 분해율 (%)
2-12-22-33-42-52-62-72-82-92-102-11 5,7005,7005,7005,7005,7007,0007,0007,0008,6008,6008,600 250300350380400350380400350380400 63.158.578.490.497.259.386.394.356.179.490.2
<실시예 3>
제조예 2의 촉매, 직경 2.54 cm, 길이 5 cm의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 (TiO2)-알루미나(Al2O3)-바나듐(V)산화물-텅스텐(W) 산화물 촉매를 이용하여, 실시예 2의 반응조건하에서 반응온도만을 변화시키면서 분해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No. 공간속도(hr-1) 반응온도(℃) 분해율 (%)
3-13-23-33-43-5 5,7005,7005,7005,7005,700 250300350380400 60.661.462.068.670.6
<실시예 4>
제조예 3의 촉매, 직경 2.54 cm, 길이 5 cm의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TiO2)-알루미나(Al2O3)-바나듐(V)산화물-팔라듐(Pd) 촉매를 이용하여 실시예 2의 반응조건에서, 공간속도 및 반응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No. 공간속도(hr-1) 반응온도(℃) 분해율 (%)
4-14-24-34-44-54-64-74-8 5,7005,7005,7005,7005,7007,0007,0007,000 250300350380400350380400 55.086.098.099.099.955.985.794.1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의 다이옥신, 질소산화물(NOx) 및 클로로 벤젠류의 분해율이 매우 높아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로 적합한 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TiO2)-알루미나(Al2O3) 성분의 하니컴형 담체에 바나듐(V) 또는, 바나듐(V)과 몰리브데늄(Mo), 또는 팔라듐(Pd) 또는 그 산화물들이 담지된 촉매는 다이옥신, 질소산화물(NOx) 및 클로로벤젠을 포함하는 독성 오염물질의 분해에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각종 연소공정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다이옥신 등의 염소계 화합물과 질소 산화물을 포함하는 독성 오염물질의 분해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코르디얼라이트 표면에 촉매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내지 12중량%의 이산화티탄(TiO2) 및 10 내지 30중량%의 알루미나(Al2O3)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코르디얼라이트-이산화티탄-알루미나 담체에, 촉매활성 성분으로써 이산화티탄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중량%의 바나듐(V) 및 1 내지 9중량%의 몰리브데늄(Mo) 또는 몰리브데늄 산화물이 담지되어 있으며, X선 회절법으로 측정한 상기 이산화티탄의 결정도가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계 화합물 및/또는 질소 산화물 분해용 촉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이산화티탄을 400 내지 600℃에서 열소성하여, X선 회절법으로 측정한 결정도가 20%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
    (b) (a)단계에서 준비된 이산화티탄에 바나듐 전구체 수용액을 함침시키는 단계;
    (c) (b)단계의 결과물을 100 내지 300℃에서 건조한 후 400 내지 60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 및
    (d) (c) 단계의 결과물을 알루미나와 함께 코르디얼라이트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염소계 화합물 및/또는 질소산화물 분해용 촉매 제조방법.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를 실시하기 전에, 몰리브데늄(Mo), 텅스텐(W), 팔라듐(Pd) 및 이들의 산화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의 전구체 수용액을 (a) 단계의 결과물에 함침하는 단계 및 그 결과물을 100 내지 300℃에서 건조 및 소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촉매를 사용하여 폴리염화 디벤조-p-다이옥신(PCDD), 폴리염화 디벤조 퓨란(PCDF), 폴리염화 비페닐(PCB) 및 클로로벤젠, 염소계 휘발성화합물, 질소산화물을 분해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5 부피% 내지 21 부피%의 산소농도를 유지하는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분해반응이 200℃ 내지 350℃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63175A 2000-10-26 2000-10-26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0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175A KR100402430B1 (ko) 2000-10-26 2000-10-26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175A KR100402430B1 (ko) 2000-10-26 2000-10-26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167A KR20020032167A (ko) 2002-05-03
KR100402430B1 true KR100402430B1 (ko) 2003-10-22

Family

ID=1969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1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2430B1 (ko) 2000-10-26 2000-10-26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705B1 (ko) * 2002-04-09 2004-12-20 한국해양연구원 팔라듐-알루미나 촉매와 초음파를 이용한 pcb 독성저감방법
KR100497171B1 (ko) * 2002-09-18 2005-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귀금속이 담지된 염소계 유기화합물의 산화분해 반응용촉매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소계유기화합물의 제거방법
KR102040093B1 (ko) * 2017-11-21 2019-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휘발성 유기 화합물 분해 촉매
CN110639548B (zh) * 2019-09-19 2022-06-14 北京工业大学 一种高效催化苯氧化的单原子钯钴双金属纳米催化剂
CN110917872B (zh) * 2019-11-05 2021-08-10 河北科技大学 一种液态合金吸收及催化氧化卤代烃的方法
CN114192131B (zh) * 2021-12-01 2024-02-27 河北科技大学 一种处理cvoc整体式催化剂的制备方法与应用
CN115007137B (zh) * 2022-07-14 2023-07-28 南大恩洁优环境技术(江苏)股份公司 一种二噁英净化用催化剂及其制备方法
WO2025135278A1 (ko) * 2023-12-21 2025-06-26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할로겐족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에서 할로겐족 원소를 제거하는 촉매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331A (ja) * 1984-09-07 1986-04-02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排ガス浄化用触媒の製法
JPS61120640A (ja) * 1984-11-19 1986-06-07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デイ−ゼル排ガス中の一酸化炭素及びガス状炭化水素浄化用触媒
JPH0724260A (ja) * 1993-07-15 1995-01-27 I C T:Kk 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ガス浄化用触媒
US5696049A (en) * 1993-03-25 1997-12-09 Mitsui Mining Co., Ltd. Catalyst for the decomposition of nitrogen oxides and a method for denitrification using the same
KR0170366B1 (ko) * 1988-07-15 1999-01-15 알프레드 엘. 미첼슨 촉매물질을 포함한 일체화된 다공성 구조체로부터 형성된 촉매물질-담체로 구성된 촉매 구조물
KR19990034738A (ko) * 1997-10-30 1999-05-15 이형도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KR20000072217A (ko) * 2000-08-18 2000-12-05 김철홍 코디어라이트 촉매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331A (ja) * 1984-09-07 1986-04-02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排ガス浄化用触媒の製法
JPS61120640A (ja) * 1984-11-19 1986-06-07 Nippon Shokubai Kagaku Kogyo Co Ltd デイ−ゼル排ガス中の一酸化炭素及びガス状炭化水素浄化用触媒
KR0170366B1 (ko) * 1988-07-15 1999-01-15 알프레드 엘. 미첼슨 촉매물질을 포함한 일체화된 다공성 구조체로부터 형성된 촉매물질-담체로 구성된 촉매 구조물
US5696049A (en) * 1993-03-25 1997-12-09 Mitsui Mining Co., Ltd. Catalyst for the decomposition of nitrogen oxides and a method for denitrification using the same
JPH0724260A (ja) * 1993-07-15 1995-01-27 I C T:Kk 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ガス浄化用触媒
KR19990034738A (ko) * 1997-10-30 1999-05-15 이형도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KR20000072217A (ko) * 2000-08-18 2000-12-05 김철홍 코디어라이트 촉매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167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4206A (zh) 一种用于卤代芳烃催化氧化消除的金属氧化物催化剂
CN101347723A (zh) 一种用于氯代芳香烃类低温催化燃烧消除的催化剂
KR100402430B1 (ko) 독성 오염물질 분해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KR100533877B1 (ko) 다이옥신을 포함한 방향족할로겐화합물, 일산화탄소 및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촉매 및 이의 용도
JP3212577B2 (ja) 排ガス処理用触媒、排ガス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100382050B1 (ko) 배가스 내의 다이옥신 및 질소산화물 제거용 저온 촉매 및이를 이용한 연소배가스의 처리방법
JP3510541B2 (ja) 排ガス処理用触媒、排ガス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3944149B2 (ja) ダイオキシンを含む芳香族ハロゲン化合物、一酸化炭素及び窒素酸化物を除去する触媒
KR100428564B1 (ko)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용 텅스텐-크롬-타이타니아 촉매및 이를 이용한 염소계 유기화합물 제거방법
KR100390770B1 (ko) 휘발성 유기염소화합물 제거용 산화촉매
KR100406364B1 (ko) 질소산화물과염소계유기화합물제거용크로미아/제올라이트촉매및이를이용한폐가스중의질소산화물및염소계유기화합물제거방법
JP3702398B2 (ja) 排ガスの浄化触媒及び浄化方法
KR100502853B1 (ko)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KR100332224B1 (ko) 배가스내 다이옥신 배출 제어용 산화촉매, 이의 제조방법및 용도
JP4182697B2 (ja) 塩素化有機化合物分解用触媒およびその製造法
JP3785558B2 (ja) 有機塩素化合物除去用触媒及び有機塩素化合物除去方法
CN113905805A (zh) 臭氧辅助的去除二噁英的方法
JP3538984B2 (ja)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KR20010046104A (ko) 연소 배가스로부터 독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촉매및 그 제조방법
KR100502852B1 (ko) 다이옥신 제거용 크롬·텅스텐·바륨·타이타니아 촉매 및이를 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KR100423413B1 (ko) 다이옥신 제거용 크로미아/타이타니아 촉매 및 이를 이용한 다이옥신 제거방법
JP3744587B2 (ja) 塩素化有機化合物の分解方法
KR20030095912A (ko) 유해가스 제거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
JP2001079394A (ja) 排ガス処理用触媒、排ガス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0042409A (ja) 塩素化有機化合物分解用触媒および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