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00534B1 - 차량용클로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클로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534B1
KR100400534B1 KR1019960705368A KR19960705368A KR100400534B1 KR 100400534 B1 KR100400534 B1 KR 100400534B1 KR 1019960705368 A KR1019960705368 A KR 1019960705368A KR 19960705368 A KR19960705368 A KR 19960705368A KR 100400534 B1 KR100400534 B1 KR 100400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housing
catch
driver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416A (ko
Inventor
에르빈 우엑커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97070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5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54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 E05B17/0058Fraction or shear lines; Slip-clutches, resilient parts or the like for preventing damage when forced or slammed with non-destructive dis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항의 전문에 지시된 형태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 결합의 설계 및 과부하 보호장치는 잠금기능이 절도용 도구를 통한 조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폐쇄 실린더의 실린더 코어내에 삽입된 적합한 키이에 의해 서만 확실히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실린더 코어는 절도용 도구에 의해 진정 회전될 수 있지만, 회전통(tumblers)이 실린더 코어의 원주상에 한줄로 늘어서 있지 않기 때문에 실린더 가이드는 또한 실어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잠금장치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폐쇄 실린더가 과부하 상태에 있는 하우징 내에서 확실히 자유롭게 작동되도록 한다. 이 과부하 보호장치의 캐치부(catch part)와 카운터 캐치부(counter-catch part)는 자동적으로 축방향으로 들어올려지고, 그렇게 함으로써 또한 실린더 코어와 드라이버 사이의 축결합을 풀게 된다. 따라서, 폐쇄 실린더의 강제 회전이 드라이버의 회전을 초래할 수는 없다. 과부하 보호장치는 도둑의 강제적인 침입 시도에 의한 잠금장치의 손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잠금장치는 자동차에서 잠금기능을 실행하기에 적합한 키이를 갖추고 그러한 시도에 이어서 다시 사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로져 장치
이러한 형태의 공지된 클로져 장치(DE-OS 4 22 414)에 있어서, 과부하 보호 장치는 실린더 가이드와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하우징과 실린더 가이드 사이에 축방향 스프링 로딩이 작용되었다. 실린더 가이드에 위치된 카운터 캐치부는 과격한 힘이 제공될 때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었다. 본래, 실린더 코어는 축방향으로 고정되지만 회전될 수 있도록 실린더 가이드 내에서 항상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카운터 캐치부의 축방향 이동 동안 축방향으로 이동되었다. 과부하 보호 장치의 캐치 로크(catch lock)가 실린더 가이드의 전단부에 배열되는지 또는 실린더 가이드의 후단부에 배열되는지에 따라, 공지된 클로져 장치의 클로징 실린더는 과부하 상태에서 자유롭게 작동할 때 축방향의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여러 경우에 있어서, 과부하 보호장치는 절도용 도구가 적용되는 동안 커다란 축방향 힘 때문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텀블러는 절도용 도구가 강제로 회전될 때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클로징 기능은 궁극적으로 절도용 도구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클로징 실린더는 텀블러가 절단될 때 파손되며, 클로져 장치는 더 이상 키이에 의해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파손되는 결점은 특별히 플랫 플랭크(flat flanks)를 갖는 리프트 아웃 프로파일(lift-out profile)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나, 이것은 기능 관련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징 실린더가 과부하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청구범위 제 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형태의 경제적인 컴팩트(compact)한 클로져 장치를 더욱 발전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아래에그 의의가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청구범위 제 1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단계들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형태의 클로져 장치(closure device)에 관한 것이다. 축방향 결합과 과부하 보호 장치(overload protection)의 구성은 클로징 기능이 절도용 도구(burglary tool)를 사용한 조작에 의해서는 실행되지 않고, 클로징 실린더의 실린더 코어 내에 삽입되는 적합한 키이(key)에 의해서만 실행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실린더 코어는 사실상 절도용 도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지만, 텀블러(tumblers)가 실린더 코어의 둘레 상에 결속되지 않으므로, 실린더 가이드도 함께 회전될 것이다. 이를 위해 클로져 장치의 과부하 보호 장치는 과부하 상태에서 클로징 실린더(closing cylinder)가 하우징 내에서 자유롭게 활주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과부하 보호 장치의 캐치부(catch part)와 카운터 캐치부(counter-catch part)는 자동적으로 축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lift out), 이 동안 실린더 코어와 드라이버 사이의 축방향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클로징 실린더의 강제 회전은 드라이버를 회전시킬 수 없다. 과부하 보호 장치는 도둑의 강제적인 침입 시도에 의한 클로져 장치의 손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클로져 장치는 자동차의 클로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적합한 키이를 사용하여 이러한 시도에 연속해서 다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적합하게 삽입된 키이를 통해 실린더 코어가 작동될 때 정상 조건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클로져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축방향 단면을 나타내고,
도 2는 실린더 코어가 절도용 도구를 통해 강제로 작동되는 과부하 상태에서, 도 1에 대응하는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클로져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4는 평행한 단면이 실린더 축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도 3의 오프셋 단면선 IV-IV을 따라 취한 평행한 단면의 정상적인 환경 하에서의 내부 장치 부재들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과부하 상태에서 기인한 상태의 도 4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VI-VI 단면선을 따라 취한 클로져 장치의 다른 개략적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다른 단면선 VII-VII을 따라 취한 과부하 상태의 클로져 장치의 부분적인 단면의 분리도이며,
도 8은 도 1에 따라 정상 조건하에서 부분적으로 절개한 축방향 커플링의 영역에서 도 1의 클로져 장치의 축방향 내부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2에 따른 과부하 상태의 조건을 도시한, 도 8에 상응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명확해지도록 다른 구성 부재들이 생략된, 도 4와 유사하게 과부하 보호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 4와 유사하게 축방향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클로져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 1에 상응하는 축방향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과부하 상태에서의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 도 11에 도시된 클로져 장치의 축방향 단면을 도면이며,
도 13은 도 4와 유사한 평행한 단면으로, 도 11에 따른 정상적인 상태로 되는 과부하 보호 장치의 영역 내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도 12에 따른 과부하 상태에서 과부하 보호 장치의 영역 내의 다른 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실린더 코어 11 : 축방향 핀
12 : 환형 홈 13 : 키이 채널
14 : 텀블러의 블로킹 위치 14' : 텀블러의 해제 위치
15 : 키이 16 : 하우징
17 : 광폭 실린더 헤드 18 : 하우징의 내부 칼라
19 : 하우징의 내부 단부면 20 : 실린더 가이드
21 : 실리더 가이드의 내부 칼라 22 : 스냅 링
23 : 드라이버(중립 위치) 23' : 드라이버의 제1작용 위치
23" : 드라이버의 제 2작용 지점 24 : 블로킹 채널
25 : 축방향 핑거
26 : 축방향 핑거 사이의 축방향 홈
28 : 실린더 가이드의 내부 단부면 30,30' : 축방향 커플링
31 : 커플링 부재 32 : 카운터 커플링 부재
33 : 압축 링 34 : 축방향
35 : 압축 링의 축방향 돌기부 36 : 압축 링의 계단형 둘레 영역
37 : 압축 링의 반경방향 쇼울더 면 38 : 압축 링의 축방향 돌출부
40 : 캐치 로크 41,41' : 캐치부(볼)
42 : 캐치 로크의 카운터 캐치부 43 : 축방향 오목부
44 : 대각선 플랭크 45 : 축방향 홈
46 : 환형 몸체 47 : 반경방향 쇼울더
48 : 내부 반경방향 리브
49 : 내부 반경방향 리브 사이의 축방향 간극
50 : 축방향 스프링 하중 51 : 압축 스프링
52 : 스프링의 다리 52' : 스프링의 제 1작업 위치
52" : 스프링의 제 2작업 위치 53 : 개구부
54 : 스프링 다리의 접선력 55 : 절도용 도구
56 : 드라이버의 계단형 둘레 면 57 : 반경방향 쇼울더 면
58 : 축방향 이동식 드라이버 59 : 축방향 돌출부
60 : 워크 아암
본 발명에서, 실린더 가이드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하우징 내에 지지되며, 이 실린더 가이드에 위치된 과부하 보호 장치의 카운터 캐치부도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부하 보호 장치의 연관된 캐치부는 하우징의 고정 부품이 아니라,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개별 부재이다. 하우징은 축방향 가이드를 구비하며, 이러한 캐치부는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다. 축방향 가이드는 이러한 개별 부재인 캐치부 상에 축방향으로 작용하고,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 가이드의 상술한 카운터 캐치부의 방향으로 캐치부에 하중을 가한다.
본 발명에서, 실린더 코어는 회전가능하고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실린더 가이드 내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과부하 상태에서 하우징 내부에서 또한 축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실린더 코어와 연결되는 축방향 결합의 연결 부재도 궁극적으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한편, 드라이버와 연결된 카운터 커플링 부재는 캐치부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캐치부가 과부하 상태에서 축방향 스프링 하중 작용에 대항하여 뒤로 밀릴 때, 카운터 커플링 부재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실린더 코어와 연결되는 축방향 결합의 커플링 부재로부터 자동적으로 들어 올려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클로징 실린더의 과부하 상태에서는 어떠한 축방향 이동도 실행될 수 없다, 실린더 코어의 전단면은 항상 하우징과 동일 평면에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단계 및 장점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명세서, 및 도면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는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클로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에 설치되며, 실린더 가이드(20)와, 이러한 실린더 가이드(20) 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며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실린더 코어(10)로 이루어지는 클로징 실린더를 포함한다. 도 2에 따르면, 이러한 축방향 고정 연결부는, 실린더 코어(10)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축방향 핀(11)의 환형 홈(annular groove)(12) 내에 맞물리는 실린더 가이드(20) 내의 내부 칼라(21)로써 도시되어 있다. 실린더 코어(10)는 도 1에 도시된 키이(15)를 수용하기 위한 도 8에 도시된 키이 채널(13)과, 도 2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일련의 스프링 하중식 텀블러(spring-loaded tumblers)(14)를 갖는다. 도 2에 따르면, 키이(15)를 회수할 때, 텀블러(14)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 하중 때문에 텀블러(14)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와 블로킹 채널(24) 내에 맞물린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블로킹 채널(blocking channels; 24)이 서로 마주하여 위치한다. 실린더 코어(10)로부터 서로 직경으로 대향해서 돌출되는 텀블러(14)는 블로킹 채널(24) 안으로 이동하여, 실린더 코어(10)를 실린더 가이드(20)와 로킹(locking)시킨다.
이러한 텀블러(1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이(15)가 삽입될 때, 실린더 코어(10)의 둘레상의 위치 안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실린더 코어(10)는 실린더가이드(20)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키이(15)가 작동할 때, 도 2 및 도 8에 가장 분명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커플링(30)의 커플링 부재(31)를 통해,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드라이버(23)에 회전이 전달된다. 이러한 키이(15)에 의해, 드라이버(23)는 도 3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중립지점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하나 이상의 작동지점(23', 23")으로, 화살표(27,27')로 나타낸 스위벨링 방향(swiveling direction)(27,27')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스위벨링 방향(27,27')으로의 이동의 결과, 드라이버(23)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로킹 부재를 통해 원하는 클로징 기능을 실행한다. 커플링 부재(31)는 축방향 핀(11)에 위치하므로 실린더 코어(10)와 관련된 회전 및 축방향 운동에 대해 고정된다. 드라이버(23)는 축방향 운동에 대해 고정되도록 축방향 핀(11)에 배열되며 스냅 링(snap ring)(22)에 의해 고정된다.
실린더 가이드(20) 자체는 고정 하우징(16)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나, 도 1 및 도 4에 따른 정상 상태에서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특수한 캐치 로크(40)를 통해 하우징(16) 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다. 하우징(16) 내에서의 실린더 가이드(20)의 축방향으로 고정된 위치는 중요하며, 이에 의해 실린더 코어(10)는 상술한 실린더 가이드(20)의 내부 칼라(21)와 환형 홈(12) 사이의 축방향 강성의 연결부에 의해 하우징(16) 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유사하게 위치한다. 이것은 실린더 코어(10)에 있는 폭 넓은 실린더 헤드(17)와 하우징(16) 내의 내부 칼라(18)에 의해 도 1에 도시된다. 이러한 폭 넓은 실린더 헤드(17)는 키이의 영역에서 외부 하우징(16)과 항상 동일 평면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평면은도 1 및 도 2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9의 제 1 실시예에서, 축방향 커플링(30)의 커플링 부재(31)는 축방향 커플링(30)의 카운터 커플링 부재(32)를 지지하는 압축 링(33)과 함께 협력한다. 이러한 압축 링(33)은 축방향 핀(11) 상에 배열되며, 하우징(16) 내에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로 나타낸 축방향(34)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압축 링(33)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드라이버(23)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드라이버(23)는 항상 하우징(16)에 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위치를 점유하며 하우징의 내부 단부면(19)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술한 드라이버(23)와 압축 링(33) 사이의, 회전불가능하나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한 연결부는 도 1 및 도 4에서, 압축 링(33)의 축방향 돌기부(protuberance; 35) 및 드라이버(23)의 2개의 축방향 핑거(axial finger; 25)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핑거(25)는 압축 링(33) 측면 상의 돌기부(35)를 안내하기 위해 이들 핑거(25) 사이에 축방향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압축 링(33)은 도 1에서 화살표(50)로 도시된 바와 같은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을 받게 된다. 이 스프링 하중은 "임퍼터스 스프링(impetus spring)"으로서 동시에 기능하는 코일형 스프링(51)에 의해 발생된다. 이 코일형 스프링(51)의 내단부(inner end)는 축방향 핀(11)의 영역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며, 도 1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축방향 핀(11)의 영역은 스냅 링(22)에서 지지된 드라이버(23)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스프링(51)은 자신의 코일로서 축방향 핀(11)을 둘러싸며 외단부(outer end)가 압축 링(33)과 접촉되어 있다. 스프링(51)은 대체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스프링 다리(spring legs; 52)를 구비하며, 이러한 스프링 다리(52) 사이에 상술한 드라이버(23)의 2개의 핑거(25)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grasp)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스프링 다리는 또한 축방향 웨브(axial web; 19)를 둘러싸는데, 이러한 축방향 웨브(19)는 하우징(16) 내에 제공되며 하우징(16) 내의 2개의 반경방향 개구부(53) 사이에 형성되고, 이러한 반경방향 개구부(53)는 서로에 대해 엇갈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드라이버는 웨브(19)와 접촉하는 스프링 다리(52)에 의해 도 3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방향인 화살표(54)로 도시된 접선력이 스프링 다리(52)를 통해 핑거(25)에 적용되며, 이 결과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드라이버(23)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두 작동 위치(23',23")에 상술한 키이가 작동하는 동안, 2개의 핑거(25)는, 도 3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단부 위치(52',5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접선력(54)에 대항하여 각각의 스프링 다리(52)를 따라 운반된다.
캐치 로크(catch lock; 40)는 클로징 실린더(10,20)에 대해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과부하 보호 장치로서 작용하며, 도 2 및 도 5로부터 분명하게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캐치 로크(40)는 캐치부(41)와, 일반적으로 인터로킹 리프트-아웃 프로파일(interlocking lift-out profile)을 구비하는 카운터 캐치부(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캐치부는 본 실시예에서는 볼(ball: 41)로서 구성된 루스 바디(loose body)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2개의 볼은 도 2에 따라 직경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리프트-아웃 프로파일은 본 실시예에서는 대개 카운터 캐치부 내에 제공되며 실린더 가이드(20)의 내부 단부면에서 축방향 오목부(4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방향 오목부(43)의 양 단부는,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플랭크(diagonal flanks; 44)로서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볼(41)은 상술한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에 의해서 실린더 가이드(20)의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술한 카운터 캐치부(42)는 실린더 가이드(20)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지만, 실린더 가이드(20) 그 자체와 같이, 하우징(16) 내에서 실린더 가이드(20)와 함께 회전가능하다.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은 압축 링(33)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들 두 개의 볼(41) 상에 작용한다. 이를 위해, 압축 링(33)의 일단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 부분(stepped portion)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계단형 부분은 한쪽으로는 계단식 둘레 영역(36)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쪽으로는 평면의 반경방향 쇼울더 면(flat, radial shoulder surface; 37)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볼(41)은 계단식 둘레 면(36) 상에서 구르며 축방향 쇼울더 면(37)과 접촉하는데, 이들 볼(41)은 이러한 쇼울더 면으로부터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을 수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압축 링(33)의 축방향(34) 이동과는 별도로, 두 개의 볼(41)도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볼(41)은 반경방향으로 압축 링(33)을 넘어서 돌출되어 있으며, 하우징(16)의 내부면에서 직경으로 대향 위치에 제공되는 축방향 홈(45)에 각각 맞물려 있다. 따라서, 이들 볼(41)은 축방향으로 안내되지만 압축 링(33)과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볼(41)은 축방향 커플링(30)과 동일한 압축 링(33)의 축방향 영역에 배열되지만, 이러한 압축 링(33) 내에 위치한 카운터 커플링 부재(32)에 대해 반경방향 외부를 향해 오프셋(offset)되어 있다. 이것은 도 6에 따르면 이러한 카운터 커플링 부재(32)의 오목부가 압축 링(33)의 계단식 단부 안으로 축방향으로 오목하며 이들 볼(41)의 방향으로 상술한 쇼울더의 둘레면(36)에 의해 중첩되어 있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도 8 및 도 9의 절개도는 이러한 커플링 오목부(32)를 기술하기 위해서 필요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 상태에서, 실린더 가이드(20)는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맞물린 캐치 로크(40)를 통해 하우징(16) 내에 유지되어 있다. 도 4에 따르면, 이것은 이들 볼(41)이 한편으로 상술한 축방향 홈(45)에 유지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카운터 캐치부(42)의 축방향 오목부(43) 내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그러므로, 실린더 가이드(20) 및 볼(41)은 정상적으로는 하우징(16)내에 유지된다. 이미 상술된 바와 같이, 실린더 코어(10) 안으로 적합한 키이를 삽입함으로써 도 1에서 대쉬(dash)로 나타낸 위치(14')에 텀블러가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코어(10)는 키이(15)를 통해 실린더 가이드(20)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축방향 핀(11)으로부터, 결합된 축방향 커플링(30)를 통해 압축 링(33)으로 전달되며, 압축 링(33)은 회전시에 도 4에 도시된 상술한 축방향 핑거(25)와 축방향 돌기부(35) 사이의 연결에 의해 드라이버(23)를 함께 수반하고, 이로써 드라이버(23)가 압축 링(33)에 대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비인가된 사람이 도 2에 도시된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절도용 도구(55)에 의해 실린더 코어를 강제로 회전시킬 때에는 변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 코어(10) 및 실린더 가이드(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텀블러(14)를 통해 서로에 대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따르면 강제 회전이 실행되면, 캐치 로크(40)의 과부호 보호 장치가 작동한다. 볼(41)은, 대각선 플랭크(44)의 경사도에 의해 형성된 토크에 의해 실린더 코어(20)의 축방향 오목부(43)로부터 외부로 상승되며 실린더 가이드(20)의 내부 단부면(28)에 대항해서 굴러간다.
여러 번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 가이드(20)가 하우징(16) 내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 5에 따르면, 압축 링(33)은 스프링의 축방향 스프링 힘(50)에 대항해서 상술한 화살표 방향(34)으로 축방향 뒤로 압축된다. 압축 링(33)에 위치한 축방향 돌기부(35)는 드라이버(23)의 2개의 핑거(25) 사이의 축방향 홈(26) 안으로 이동한다. 축방향 커플링(30)의 해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링(33)의 이러한 축방향(34) 이동의 결과로서 초래된다. 실린더 코어(10)에 위치한 커플링 부재(31)는 축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유지되지만, 압축 링 측면 상의 카운더 커플링 부재(32)는 화살표 방향(34)으로 나타낸 축방향(34) 이동 방향으로 커플링 부재(31)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한다. 실린더 코어(10)가 절도용 도구(55)에 의해 도 2에서 화살표(29)로 나타낸 회전 방향(29)으로 하우징(16)에서 실린더 가이드(20)와 함께 회전될지라도, 이러한 회전 방향(29)의 회전은 드라이버(23)의 상응하는 작동을 실행시킬 수 없다. 이것은 축방향 커플링(30)이 해제되기 때문이다. 클로징 실린더(10,20)는 과부하 상태에서 자유롭게 활주한다. 대각선 측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술한 스프링(51)은, 클로징 실린더(10,20)의 과부하프리휠링(overload freewheeling)이 개시되는 캐치 로크(40)에서의 임계값을 결정한다. 이러한 임계값은 블로킹 채널(24) 내에 맞물리는 실린더 코어(10)의 텀플러(14)에 대한 손상이 신뢰성있게 방지될 정도로 치수화된다. 클로징 실린더는 헛된 침입 시도(ineffectual break-in attempts)에 연속해서 키이에 의해 이용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일점쇄선(39)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징 실린더(10,20)가 전체로 하우징(16)에서 축방향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도 1에 따르면, 압축 링(33)만이 하우징(10)의 축방향 위치내에서 회전가능한데, 이러한 압축 링(33)은 실린더 코어(10)와 연결되어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해제 위치 방향으로의 경미한 이동에 의해 하우징(16) 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안내된다. 압축 링(33)에 위치한 축방향 돌출부(axial projection; 38)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작용하며 도 8 및 도 9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이러한 돌출부(38)는 통상 리브 단부(rib end)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압축 링(33)의 축방향(34) 이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하면, 도 7의 단면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8)가 도 3에 도시된 반경방향 리브(48) 사이의 축방향 간극(49) 안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링(33)이 이동하는 동안, 즉 과부하의 경우에만, 압축 링(33)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우징(16) 내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것은 드라이버(23)도, 압축 링(33)을 통해 축방향 핑거(25)와 축방향 돌기부(35) 사이의 회전에 대해 고정된(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 연결로 인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우징(16) 내에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드라이버(23)의 영역에서의 조작도 절도용 도구에 관계없이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와 같은 캐치 로크(40')의 변경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9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대응하는 구성 부재를 지시하도록 사용된다. 이 정도로,상술한 설명에 대한 도면 부호가 있게 된다. 실린더 가이드(20)에 위치한 과부하 보호 장치의 카운터 캐치부(42)는 대각선 플랭크(44)를 가지는 오목부(43)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러한 캐치 로크(40')에서의 차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한하기에 충분하다.
연관된 캐치부(41')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되는 특수한 환형 몸체(46)의 구성 부재이다. 이러한 환형 몸체(46)는, 하우징(16)의 내부면에 있는 2개의 상술한 축방향 홈(45)에 맞물리는 2개의 반경방향 쇼율더(radial shoulders; 47)를 구비한다. 캐치부(41')는 프로파일(profile)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카운터 캐치부(42)의 리프트-아웃 프로파일(lift-out profile)에 상보적인 외형을 가진다. 환형 몸체(46)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강제적인 회전방향으로의 회전(29) 동안 환형 몸체(46)에 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축방향 핀(11)에 의해 관통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압축 링(33)은 도 10에 도시된 환형 몸체(46)와 인접한 공간에 배열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압축 링(33)이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볼(41)을 더 이상 구비하지 않는다. 이후, 상술한 축방향 커플링(30)이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즉, 축방향 핀(11)과 압축 링(33) 사이에 구성된다. 그러나, 도 10에 따른 구성은 아래에 설명되는 장치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로져 장치의 제 3 실시예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앞선 실시예에 상응하는 구성 부재를 지칭하도록 사용되었으며, 이를 위해 상술한 설명에 도면 부호가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도면은 제 1 실시예의 도 1, 도 2, 도 4 및 도 5의 도면에 상응한다. 제 1 실시예와 제 3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을 아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이 드라이버(56)를 통해 캐치 로크(40)의 캐치부 상에 작용한다. 이러한 캐치부는 여기서 볼(41)로 구성되며 도 12에 따라서 과격한 힘이 적용될 때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과부하 보호 장치를 형성한다. 이 경우, 스프링(51)의 내단부는 축방향 핀(11)에 있는 축방향 쇼울더(22a)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외단부는 드라이버(58) 상에 작용한다. 드라이버(58)는 축방향으로 계단식이며, 제 1 실시예의 압축 링(33)과 유사하고, 도 14에 도시된 반경방향 오프셋 둘레 영역(56)과 이러한 둘레 영역(56)과 인접한 반경방향 쇼울더 면(57)을 가진다. 캐치 로크의 볼(41)은 마찬가지로 하우징의 축방향 홈(45) 내에 자리하며, 둘레 영역(56) 위에서 구르고, 쇼울더 면(57)에 지지되어 있다.
축방향 커플링(30')은 형상과 작동에 대해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카운터 커플링 부재(32')가 드라이버(58)의 고정 구조 부재라는 점이 차이점이다. 도 11에 따르면, 이러한 드라이버(58)는 정상 상태 하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된 반경방향 리브(48)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배열된다. 도 12에 따르면, 과부하 상태에서, 드라이버(58)의 돌출부(59)는 2개의 반경방향 리브(48) 사이의 자유 간극 안으로 뻗어 있으며 드라이버(58)가 하우징(16) 내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드라이버(58)로부터 돌출하고 폐쇄 기능을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아암(arm; 60)은 도 12의 과부하 상태로 넘어갈 때 하우징(20)에 대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1 내지 도 14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차이점은 도 12에 도시된 과부하 상태에서의 축방향(34) 이동이 전체 드라이버(58)의 대응하는 축방향(34) 이동을 가져온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라이버 아암(60)의 축방향(34) 이동은 연결된 로크 부재와 함께 아암(60)이 추가로 자유롭게 활주하게 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라이버(58)의 축방향(34) 이동은 도면에 도시된 장치의 전방 영역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도면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실린더 가이드(20) 및 실린더 코어(10)는 이러한 전방 영역에서, 도 11 및 도 12의 상응하는 일점쇄선(39)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변함없이 유지되어 있다.

Claims (21)

  1. 자동차에서 실행되는 클로징 기능용 클로징 실린더를 구비한 클로져 장치로서,
    상기 클로징 실린더는 실린더 가이드(20)와,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실린더 가이드(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키이(15)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실린더 코어(10)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 코어(10)는, 상기 키이(15)가 회수될 때, 스프링 하중식 텀블러(14)를 통해 실린더 가이드(20)와 함께 로킹될 수 있고,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축방향 커플링(30,30')의 하나의 커플링 부재(31)와 함께 고정식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실린더 코어(10)는 상기 키이(15)가 삽입되어 작동될 때 상기 커플링 부재(31)를 통해 축방향 커플링(30,30')의 카운터-커플링 부재(32)에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카운터-커플링 부재(32)는 드라이버(23,58)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버(23,58)는 자동차에서의 클로징 기능을 실행하며,
    상기 실린더 가이드(20)는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식 하우징(16) 내에서 지지되지만, 정상적으로는 캐치 로크(40,40')에 의해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캐치 로크(40,40')는 하나 이상의 캐치부(41,41'), 및 상기 실린더 가이드(20)에 위치한 카운터 캐치부(42)로 이루어지며 과부하 보호 장치로서 작용하고,
    상기 캐치부(41,41') 및 상기 카운터 캐치부(42)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 스프링 하중을 받고 축방향 리프트-아웃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리프트-아웃 프로파일은 정상적인 조건 하에서는 인터로킹되어 있고, 과부하 상태에서 강제 회전 방향(29)으로 작용할 때에는 상기 실린더 가이드(10)가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자유롭게 작동하게 하며, 이 동안 상기 축방향 커플링(30,30')을 해제시키는 클로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가이드(20)는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과부하 보호 장치(40,40')의 상기 캐치부(41,41')는 상기 하우징(16)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지만 축방향(34)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되며,
    상기 실린더 가이드(20)에 배열된 상기 카운터 캐치부(42)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동안, 상기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은 상기 캐치부(41,41') 상에 작용하고, 그리고
    상기 실린더 코어(10)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축방향 커플링(30,30')의 상기 커플링 부재(31)는 상기 실린더 가이드(20) 내의 축방향으로 고정된 지지체를 통해 상기 카운터 캐치부(42)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반면에,
    상기 드라이버(23,58)에 대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32')와 상기 캐치부(41)는 상기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에 대항하여 축방향(34)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커플링 부재(32,32')는 상기 드라이버(23)의 축방향 핑거(25)와 압축 링(33)의 축방향 돌기부(35)의 결합에 의해 드라이버(23,58)에 대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중(50)은 압축 링(33)을 통해 상기 캐치부(41) 상에 작용하며, 상기 압축 링(33)은 상기 축방향 커플링(30)의 카운터 커플링 부재(32)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상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와 함께 축방향(34)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링(33)은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연장을 형성하는 축방향 핀(11)에 의해 관통되고, 그리고 상기 커플링 부재(31)는 회전 및 축방향 이동에 대해 고정되도록 상기 축방향 핀(11)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33)은 드라이버(23)에 대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축방향(34)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드라이버(23)와 연결되고, 상기 드라이버(23)는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축방향 핀(11)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링(33)은 상기 실린더 코어(10)와 결합되어 있는 축방향 위치에서만 하우징(16)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실린더 코어(10)와 결합되지 않은 축방향 위치의 축방향(34)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7. 제 3 항 또느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 장치(40)의 캐치부(41)가 상기 압축 링(33)의 실질적으로 편평한 반경방향 면(37)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은 상기 드라이버(58)를 통해 상기 캐치부(41) 상에 작용하며, 상기 드라이버(58)가 상기 축방향 커플링(30')의 상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상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58)는 상기 실린더 코어(10)의 연장을 형성하는 축방향 핀(11)에 의해 자유 회전 방식으로 관통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축방향 커플링(30')의 상기 커플링 부재(31)는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축방향 핀(11)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58)는, 상기 실린더 코어(10)와 결합되어 있는 축방향 위치에서만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실린더 코어(10)와 결합되지 않는 축방향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 장치(40)의 리프트-아웃 프로파일은 상기 카운터 캐치부(42)에만 제공되고 상기 실린더 가이드에 있는 반경 방향 면(28) 내의 양 측면에 대각선 플랭크(44)를 갖춘 하나 이상의 축방향 오목부(43)로 이루어지며, 상기 캐치부는 상기 압축 링(33) 및 상기 드라이버(58)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기 오목부(43) 안으로 정상적으로 가압되는 하나 이상의 루스 바디(41)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루스 바디(41)는 반지름 방향으로 상기 압축 링(33) 및 드라이버(58)를 지나서 돌출하고,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면에 있는 축방향 홈(45)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루스 바디가 볼(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는 2개의 개별 볼(41), 상기 실린더가이드(20)내의 2개의 오목부(43), 및 상기 캐치부와 연관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16) 내의 2개의 축방향 홈(4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고 상기 2개의 오목부(43) 및 상기 2개의 축방향 홈(45)은 각각 상기 실린더 가이드(20) 및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직경방향으로 마주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루스 바디(41)는 적어도 몇 개의 영역에서 상기 축방향 커플링(30)과 같이 상기 압축 링(33)과 동일한 축방향 영역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압축 링(33) 내에 위치한 상기 축방향 커플링(30)의 맞물린 상기 카운터 커플링 부재(32)에 대해 외부를 향해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 장치(40')의 상기 카운터 캐치부(42)는, 양 측면이 대각선 플랭크(44)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아웃 프로파일의 절반부를 형성하는, 상기 실린더 가이드(20)의 반경방향 면(28) 내의 하나 이상의 오목부(43)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캐치부(41')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우징(16) 내에 안내되는 환형 몸체(46)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43)와 상보되도록 형상화된 하나 이상의 캐치 돌출부를 지지하며, 그리고 상기 리프트-아웃 프로파일(40')의 다른 절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 장치(40)의 상기 캐치부(41) 및 상기 카운터 캐치부(42)와 아울러 상기 축방향 커플링(30)이 동일한 상기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에 의해 맞물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은 각을 이루어 형성된 상기 드라이버(23)의 중립 위치를 보장하는 임퍼터스 스프링으로서 동시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스프링 하중(50)은 타단부에서 축방향 핀(11)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축방향 쇼울더(2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부(41)는 상기 하우징(16)의 내부면에 제공된 축방향 홈(45) 내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링(33)은 상기 압축링(33)의 축방향 돌출부(38)와 상기 하우징(16)의 반경방향 리브(48)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클로져 장치.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58)는 상기 하우징(16)의 반경방향 리브(48)와 상기 드라이버(58)의 축방향 돌출부(59)에 의해 상기 하우징(16) 내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축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져 장치.
KR1019960705368A 1994-03-28 1995-03-07 차량용클로져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00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10783.8 1994-03-28
DE4410783A DE4410783C1 (de) 1994-03-28 1994-03-28 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Schließzylinder für insbesondere an Kraftfahrzeugen vollziehbare Schließfunk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416A KR970702416A (ko) 1997-05-13
KR100400534B1 true KR100400534B1 (ko) 2003-12-31

Family

ID=651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3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0534B1 (ko) 1994-03-28 1995-03-07 차량용클로져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752044B1 (ko)
JP (1) JP3693064B2 (ko)
KR (1) KR100400534B1 (ko)
CN (1) CN1075588C (ko)
AT (1) ATE166128T1 (ko)
AU (1) AU684621B2 (ko)
BR (1) BR9507253A (ko)
CZ (1) CZ290567B6 (ko)
DE (2) DE4410783C1 (ko)
ES (1) ES2116083T3 (ko)
WO (1) WO19950264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0163B1 (fr) * 1995-10-18 1997-11-21 Valeo Securite Habitacle Verrou du type a rotor debrayable
US5991117A (en) * 1996-05-14 1999-11-23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One Storage Tek Drive Break away lever for a tape drive handle
DE19639249C1 (de) * 1996-09-25 1998-01-15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Schließzylinder
DE19749329C1 (de) 1997-11-07 1999-07-22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schlußvorrichtung mit einem schlüsselbetätigbaren Zylinderkern
CZ294778B6 (cs) * 1999-02-11 2005-03-16 Fab, A. S. Válcový zámek, obzvláště pro motorová vozidla
DE19912321C1 (de) * 1999-03-19 2000-12-14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schlus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chließfunktionen am Heck eines Fahrzeugs
GB2350146A (en) * 1999-05-13 2000-11-22 Rover Group Motor vehicle lock assembly
US6640592B2 (en) * 2001-05-08 2003-11-04 Southco, Inc. Key operated latch with combined rotational and translational latching action
HU225253B1 (hu) 2001-05-22 2006-08-28 Fab A S Záróhenger, különösen jármûvekhez
JP4353848B2 (ja) * 2004-04-15 2009-10-28 株式会社ユーシン シリンダ錠
JP4587817B2 (ja) * 2005-01-27 2010-11-24 株式会社ユーシン シリンダ錠
FR2882771B1 (fr) * 2005-03-04 2008-09-05 Valeo Securite Habitacle Sas Verrou debrayable pour un mecanisme de serrure automobile
US20070044523A1 (en) 2005-08-26 2007-03-01 Videx, Inc. Lock
FR2899618B1 (fr) * 2006-04-06 2011-06-03 Valeo Securite Habitacle Procede de blocage en translation par clippage d'un rotor dans un stator de verrou
BRPI0622103A2 (pt) * 2006-10-04 2011-12-27 Newfrey Llc conjunto de fechadura rechaveÁvel e mÉtodo de operaÇço
DK2126259T3 (en) * 2007-02-21 2016-02-15 Assa Abloy Ab locking device
DE102007023458A1 (de) 2007-05-19 2008-11-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für insbesondere in einem Fahrzeug ausführbare Funktionen
DE102009050381A1 (de) * 2009-10-22 2011-04-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DE102009052406A1 (de) * 2009-11-10 2011-05-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zylinder
ES2401858B1 (es) * 2011-10-13 2014-05-12 Talleres De Escoriaza, S.A.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cilindros de cerradura
FR3026768B1 (fr) * 2014-10-01 2019-05-17 U-Shin France Verrou pour mecanisme de serrure de vehicule automobile
BR112019009134B1 (pt) * 2016-11-04 2023-02-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Unidade de fechadura para veículo automóv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1067B1 (fr) * 1988-05-04 1991-02-08 Neiman Sa Verrou a rotor debrayable
US5265453A (en) * 1990-11-30 1993-11-30 Alpha Corporation Cylinder lock
DE4122414C1 (de) * 1991-07-06 1992-12-03 Huelsbeck & Fuerst Schließzyl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90567B6 (cs) 2002-08-14
CZ273296A3 (en) 1997-02-12
KR970702416A (ko) 1997-05-13
BR9507253A (pt) 1997-09-02
DE59502177D1 (de) 1998-06-18
JP3693064B2 (ja) 2005-09-07
JPH09510759A (ja) 1997-10-28
EP0752044A1 (de) 1997-01-08
CN1145103A (zh) 1997-03-12
WO1995026453A1 (de) 1995-10-05
AU684621B2 (en) 1997-12-18
EP0752044B1 (de) 1998-05-13
DE4410783C1 (de) 1995-04-27
CN1075588C (zh) 2001-11-28
ATE166128T1 (de) 1998-05-15
AU1949095A (en) 1995-10-17
ES2116083T3 (es) 199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534B1 (ko) 차량용클로져장치
US5775147A (en) Locking device, especially for motor vehicle locking
EP0675248B1 (en) Cylinder lock device resistible against unauthorized unlocking
JP4465072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取り付ける盗難防止装置
US5732580A (en) Axially disengageable lock for a motor vehicle locking system
JP3564619B2 (ja) 同時に錠部材を操作するための押圧ハンドルとして使われる閉鎖シリンダを有する鎖錠装置
US6098432A (en) Closure for doors, bonnets, tailgates or the like, in particular of vehicles, such as motor vehicles
US4947664A (en) Lock cylinder
SK286193B6 (sk) Uzatváracie zariadenie najmä na ovládanie a vykonávanie uzatváracích funkcií na vozidlách
US4884423A (en) Vehicle lock assembly operable with transmission shifter and method
US4233913A (en) Safe door
AU734168B2 (en) Closing device with a key operable closing cylinder which simultaneously serves as a hand operated pushing device for operating locking elements
US4669287A (en) Rupturable lock assembly
JP3990224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5706681A (en) Antitheft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U624773B2 (en) Vehicle switch with rotation preventing means
KR100560651B1 (ko) 열쇠 작동식 실린더 코어를 가진 잠금 장치
US5806350A (en) Anti-theft device
KR20060015722A (ko) 자동차 도어 로크
KR100602301B1 (ko) 차량에서 실행 가능한 폐쇄 기능을 위한 폐쇄 장치
GB1597126A (en) Door bolt devices
JPH0332215Y2 (ko)
JPH0321581Y2 (ko)
JPH01278672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S62265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9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