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8513B1 - 치과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513B1
KR100398513B1 KR10-2001-0055314A KR20010055314A KR100398513B1 KR 100398513 B1 KR100398513 B1 KR 100398513B1 KR 20010055314 A KR20010055314 A KR 20010055314A KR 100398513 B1 KR100398513 B1 KR 10039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huck
coupled
screwed
p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860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01-005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5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51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2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 A61C1/144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constricting the operating tool, e.g. chu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3/00Means for making patients feel at ease during dental treatment, e.g. dental instruments in the form of t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사용중 사용하고자하는 치아가공용 공구의 결합부의 직경의 크기가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 내부 직경보다 훨씬 크거나 작아서 사용이 불가능 할 경우에도 핸드피스몸체를 복잡하게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회전레버를 돌려 전진시키고 물려 있던 치아가공용 공구를 빼낸다음 외부에서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을 돌려서 나사결합을 해지시킨후 교체하고자 하는 새로운 공구물림용 척을 나사결합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공구물림용 척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이 있는 치아의 치료가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서 결국 사용자는 물론 환자가 동시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소형의 모터가 내장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된 중공관에 스프링이 선단외연에 결합된채로 하단이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가압핀과, 가압핀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모터의 회전시 동시에 연동되는 공구물림용 척을 구비한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선단외연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사점과 하사점이 형성된 캠을 일체로 구비하여 좌,우회전시 캠상면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양단에 형성된 롤러가 밀착되도록 하부몸체선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가압핀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압핀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공구물림용 척을 전진시켜 벌어지도록 하여 치아가공용 공구를 빼내거나 끼울 수 있도록 한 회전레버와로 구성된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중공관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선단에는 공구물림용 척이 나사결합되며 후단에는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가압핀의 후단플랜지에 걸림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가 나사결합되는 하부몸체 선단의 가이드홈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 전방으로는 가압핀의 후단플랜지에 형성한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걸림요홈을 구비한 스톱링을 형성하여서,
공구물림용 척의 교체시 상사점과 하사점이 형성된 캠을 구비한 회전레버를 조작하여 하부몸체선단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과 함께 스톱링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가압핀을 가압함으로써 가압핀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공구물림용 척을 전진시켜 벌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가압핀의 후단플랜지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스톱링의 걸림요홈을 결합하여 가압핀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서 핸드피스몸체들을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공구물림용 척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돌리면 가압핀으로부터 나사결합이 해제되어 분리되도록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핸드피스{Hand piece for dental sorgery}
본 발명은 내부에 소형의 모터를 내장하여 별도로 제작된 치아가공용 공구를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도록 형성된 공구물림용 척에 결합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시 공구물림용 척에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되는 치아가공용 공구를 이용하여 이상이 있는 치아를 가공한다음 치료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가공용 공구의 크기에 알맞은 크기로 교체가능하도록 구성된 공구물림용 척을 핸드피스몸체를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이상이 있는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서 각종 치아가공용 공구를 치과용 핸드피스에 구비된 공구물림용 척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이러한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첨부도면 도1a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형의 모터(11)가 내장되는 하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된 중공관(21)에 스프링(22)이 선단외연에 결합된채로 하단이 모터(11)의 회전축(11a)과 결합되는 가압핀(23)과,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모터(11)의 회전시 동시에 연동되는 공구물림용 척(24)을 구비한 상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선단외연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사점과 하사점이 형성된 캠(31)을 일체로 구비하여 좌,우회전시 캠(31)상면으로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양단에 형성된 롤러(33a)가 밀착되도록 하부몸체(10)선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33)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가압핀(23)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공구물림용 척(24)을 전진시켜 벌어지도록 하여 치아가공용 공구(40)를 빼내거나 끼울 수 있도록 한 회전레버(30)와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사용중 치아가공용 공구(40)의 결합부의 직경의 크기가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24) 내부 직경보다 훨씬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이의 크기에 알맞도록 제작된 다른 공구물림용 척(24)으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와같이 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경우에는 공구물림용 척(24)이 가압핀(23)에 나사결합된 채로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간단하게 공구물림용 척(24)을 분해할 수 가 없었다.
따라서, 다른 공구물림용 척(24)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몸체(10)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상부몸체(20)를 분해한다.
그런다음 상부몸체(20)내에서 중공관뭉치를 빼낸다.
이와같이 하면 결합링(25) 및 스프링(32) 등이 자연스럽게 분해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핀(23)의 후단을 집게등의 별도의 공구(도시하지 않음)로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구물림용 척(24)의 선단도 역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잡은다음 돌려서 나사결합을 해제한다.
그런다음 가압핀(23)의 후단을 계속해서 집게등의 별도 공구로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교체하고자 하는 다른 공구물림용 척(24)을 나사결합한다음 분해의 역순으로 중공관뭉치를 상부몸체(20)내에 삽입한 후 자연스럽게 분해되었던 결합링(25)과 스프링(32)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몸체(20)를 하부몸체(10)의 상단에 결합하여 조립을 완성함으로써 공구물림용 척(24)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와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사용중 치아가공용 공구의 결합부의 직경의 크기가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24) 내부 직경보다 훨씬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이의 크기에 알맞도록 제작된 다른 공구물림용 척(24)으로 교체하기가 매우 어려운 관계로 많은 애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피스몸체를 자주 분해하여야 함으로써 조립부위의 마모 또는 이물질 침투 등으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되고, 소음이 발생하며,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등의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치과용 핸드피스의 사용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치과용 핸드피스내부의 구성을 특수하게 구성하여 치과용 핸드피스의 사용중 사용하고자하는 치아가공용 공구의 결합부의 직경의 크기가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 내부 직경보다 훨씬 크거나 작을 경우에도 이의 크기에 알맞도록 제작된 다른 공구물림용 척을 핸드피스몸체를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아주 간단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핸드피스몸체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잦은 분해 조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조립부위의 마모 또는 이물질 침투 등으로 인한 성능저하, 소음발생, 고장발생을 줄여 주도록 함은 물론 사용을 용이하도록 하여 이상이 있는 치아의 치료를 더욱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a,1b는 종래 치과용 핸드피스의 구성상태도로서,
도1a는 일부분해 사시도.
도1b는 조립상태 단면도.
도2는 종래 치과용 핸드피스의 척을 분해하기 위하여 핸드피스몸체 일부를 분해한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상태를 나타낸 일부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5a,5b는 본 발명의 핸드피스에서 척을 분해하고자 하는 상태도로서,
도5a는 척을 분해하기 위해서 척을 돌출시킨 상태도.
도5b는 돌출된 척을 잡고 돌려 척을 분해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부몸체 11:모터
11a:회전축 12:가이드홈
20:상부몸체 21:중공관
22:스프링 23:가압판
24:공구물림용 척 30:회전레버
31:캠 32:스프링
33:가압링 33a:롤러
40:치아가공용 공구 100:후단플랜지
100a:걸림돌기 200:스톱링
200a:걸림요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소형의 모터(11)가 내장되는 하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된 중공관(21)에 스프링(22)이 선단외연에 결합된채로 하단이 모터(11)의 회전축(11a)과 결합되는 가압핀(23)과,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모터(11)의 회전시 동시에 연동되는 공구물림용 척(24)을 구비한 상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선단외연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사점과 하사점이 형성된 캠(31)을 일체로 구비하여 좌,우회전시 캠(31)상면으로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양단에 형성된 롤러(33a)가 밀착되도록 하부몸체(10)선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33)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가압핀(23)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공구물림용 척(24)을 전진시켜 벌어지도록 하여 치아가공용 공구(40)를 빼내거나 끼울 수 있도록 한 회전레버(30)와로 구성된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의 중공관(21)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선단에는 공구물림용척(24)이 나사결합되며 후단에는 모터(11)의 회전축(11a)과 결합되는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걸림돌기(100a)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20)가 나사결합되는 하부몸체(10) 선단의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33) 전방으로는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형성한 걸림돌기(100a)와 대응되는 걸림요홈(200a)을 구비한 스톱링(200)을 형성하여서,
공구물림용 척(24)의 교체시 상사점과 하사점이 형성된 캠(31)을 구비한 회전레버(30)를 조작하여 하부몸체(10)선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33)과 함께 스톱링(20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가압핀(23)을 가압함으로써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공구물림용 척(24)을 전진시켜 벌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모터(11)의 회전축(11a)과 결합되는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00a)에 스톱링(200)의 걸림요홈(200a)을 결합하여 가압핀(23)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서 핸드피스몸체들을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공구물림용 척(24)을 별도의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돌리면 가압핀(23)으로부터 나사결합이 해제되어 분리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용도가 상기한 치과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금형 또는 각종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용 핸드피스로도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사용중에는 첨부도면 도4 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00a)와 하부몸체(10)의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스톱링(200)에 형성된 걸림요홈(200a)이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분리된 상태이어서 모터(11)의 회전력은 공구물림용 척(24)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와같은 상태의 본 발명의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치아를 치료하는 도중에 사용하고자 하는 치아가공용 공구(40)의 결합부의 직경의 크기가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 (24)내부 직경보다 훨씬 크거나 작아서 다른 공구물림용 척(24)으로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방법으로 상사점과 하사점이 형성된 캠(31)을 구비한 회전레버(30)를 조작한다.
그러면 하부몸체(10)선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33)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 이동하면서 이와 함께 스톱링(200) 또한 전진하면서 스톱링(200)에 형성한 걸림요홈(200a)이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형성한 걸림돌기(100a)에 결합되면서 계속해서 전진한다.
이에 가압링(33)과 스톱링(200)에 의해 가압핀(23)이 가압되면서 가압핀(23)이 전진하여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공구물림용 척(24) 또한 동시에 전진되어 중공관(21)의 경사면(21a)에 의해 눌려져 오므라들었던 공구물림용 척(24)의 선단이 벌어진다.
그러면 공구물림용 척(24)에 결합된 치아가공용 공구(40)를 빼낸다음 별도의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공구물림용 척(24)을 돌리면 첨부도면 도5b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구물림용 척(24)만이 분해되는데, 이와같이 되는 이유는 모터(11)의 회전축(11a)과 결합되는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형성된걸림돌기(100a)에 스톱링(200)의 걸림요홈(200a)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톱링(200)에 의해 가압핀(23)의 회전이 단속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24)이 분해되면 교체하고자 하는 새로운 공구물림용 척(24)을 분해와 반대로 중공관(21) 내부에 삽입한 다음 공구를 이용하여 돌리면 가압핀(23)의 선단에 아주 간단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를 사용하게 되면 핸드피스몸체들을 전혀 분해하지 않고서도 공구물림용 척(24)이 벌어지도록 회전레버(30)를 돌려 전진시키고 물려 있던 치아가공용 공구(40)를 빼낸다음 외부에서 공구물림용 척(24)을 돌려서 나사결합을 해지 시키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공구물림용 척(24)을 용이하게 교체가능 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사용중 사용하고자하는 치아가공용 공구의 결합부의 직경의 크기가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 내부 직경보다 훨씬 크거나 작아서 사용이 불가능 할 경우에도 핸드피스몸체를 복잡하게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회전레버를 돌려 전진시키고 물려 있던 치아가공용 공구를 빼낸다음 외부에서 기존의 공구물림용 척을 돌려서 나사결합을 해지시킨후 교체하고자 하는 새로운 공구물림용 척을 나사결합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공구물림용 척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피스몸체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잦은 분해 조립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조립부위의 마모 또는 이물질 침투 등으로 인한 성능저하, 소음발생, 고장발생위험, 분해조립의 난해함 등의 문제점이 전혀 없다.
결국 본 발명은 이상이 있는 치아의 치료가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서 사용자는 물론 환자가 동시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되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이다.

Claims (1)

  1.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소형의 모터(11)가 내장되는 하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된 중공관(21)에 스프링(22)이 선단외연에 결합된채로 하단이 모터의 회전축(11a)과 결합되는 가압핀(23)과,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모터(11)의 회전시 동시에 연동되는 공구물림용 척(24)을 구비한 상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10)의 선단외연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상사점과 하사점이 형성된 캠(31)을 일체로 구비하여 좌,우회전시 캠(31)상면으로 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양단에 형성된 롤러(33a)가 밀착되도록 하부몸체(10)선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33)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가압핀(23)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공구물림용 척(24)을 전진시켜 벌어지도록 하여 치아가공용 공구(40)를 빼내거나 끼울 수 있도록 한 회전레버(30)와로 구성된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의 중공관(21) 내부에 삽입설치되어 선단에는 공구물림용 척(24)이 나사결합되며 후단에는 모터(11)의 회전축(11a)과 결합되는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걸림돌기(100a)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20)가 나사결합되는 하부몸체(10) 선단의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33) 전방으로는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형성한 걸림돌기(100a)와 대응되는 걸림요홈(200a)을 구비한 스톱링(200)을 형성하여서,
    공구물림용 척(24)의 교체시 상사점과 하사점이 형성된 캠(31)을 구비한 회전레버(30)를 조작하여 하부몸체(10)선단에 형성된 가이드홈(12)에 양단이 결합된 가압링(33)과 함께 스톱링(20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서 가압핀(23)을 가압함으로써 가압핀(23)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공구물림용 척(24)을 전진시켜 벌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모터(11)의 회전축(11a)과 결합되는 가압핀(23)의 후단플랜지(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00a)에 스톱링(200)의 걸림요홈(200a)을 결합하여 가압핀(23)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서 핸드피스몸체들을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공구물림용 척(24)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돌리면 가압핀(23)으로부터 나사결합이 해제되어 분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을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KR10-2001-0055314A 2001-09-08 2001-09-08 치과용 핸드피스 Expired - Fee Related KR10039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314A KR100398513B1 (ko) 2001-09-08 2001-09-08 치과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314A KR100398513B1 (ko) 2001-09-08 2001-09-08 치과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860A KR20030021860A (ko) 2003-03-15
KR100398513B1 true KR100398513B1 (ko) 2003-09-19

Family

ID=2772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3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8513B1 (ko) 2001-09-08 2001-09-08 치과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680B1 (ko) * 2007-10-26 2011-01-28 임두만 잇몸 펀칭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325B1 (ko) * 2006-07-19 2007-08-14 (주)마이크로엔엑스 핸드피스용 브레이킹 겸용 푸싱장치
KR100774260B1 (ko) * 2006-09-11 2007-11-08 (주)마이크로엔엑스 핸드피스용 스핀들축의 브레이킹 겸용 푸싱장치
KR101387725B1 (ko) * 2012-07-31 2014-04-21 (주) 케이제이 메디텍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용 수동 드라이버
KR102251808B1 (ko) * 2018-08-17 2021-05-20 박성일 트리거식 핸드피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2392A (en) * 1974-06-10 1976-03-09 Joe W. Page, Jr. Dental handpiece
JPS6151806U (ko) * 1984-09-12 1986-04-08
US5478093A (en) * 1993-06-28 1995-12-26 Dentalwerk Burmoos Gesellschaft M.B.H. Surgical handpiece
US5542846A (en) * 1994-09-30 1996-08-06 Young Dental Manufacturing, Co., Inc. Dental tool chu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2392A (en) * 1974-06-10 1976-03-09 Joe W. Page, Jr. Dental handpiece
JPS6151806U (ko) * 1984-09-12 1986-04-08
US5478093A (en) * 1993-06-28 1995-12-26 Dentalwerk Burmoos Gesellschaft M.B.H. Surgical handpiece
US5542846A (en) * 1994-09-30 1996-08-06 Young Dental Manufacturing, Co., Inc. Dental tool ch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680B1 (ko) * 2007-10-26 2011-01-28 임두만 잇몸 펀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860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4975B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4598199B2 (ja) 脳神経外科手術用ねじキット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電動ドリル
KR20120120140A (ko) 외과 공구와 핸드피스를 탈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외과 기구
CN104797212B (zh) 采用改进的齿轮固持件的一次性预防治疗用角形器
KR100398513B1 (ko) 치과용 핸드피스
JP2014520599A (ja) 修復のための歯科インプラントおよびアバットメントの結合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4643675A (en) Dental handpiece
US20070184407A1 (en) Motor element, in particular dental medical handpiece having a disconnectable coupling for a tool-holder
KR101332697B1 (ko)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가공용 고정지그
US8474085B2 (en) Toothbrush and attachment therefor
JP5706099B2 (ja) ネジ式クランプ
ES2689403T3 (es) Herramienta de inserción
JP2014168592A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並びに、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に使用するアバットメント、締結ねじ、及び弛緩防止ねじ
CN112971995B (zh) 一种可分离机械手装置
US5911578A (en) Head assembly for a medical handpiece
KR200487941Y1 (ko) 스토퍼가 결합된 치실을 이용한 헥사 드라이버 연결 장치
KR20090040873A (ko) 분리 가능한 부조립체와 중간 지지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또는 외과용 콘트라 앵글
KR100774260B1 (ko) 핸드피스용 스핀들축의 브레이킹 겸용 푸싱장치
DE102012000437A1 (de) Spannmechanismus für ein zahnmedizinisches Handstück und zahnmedizinisches Handstück unter Verwendung des Mechanismus
KR101117659B1 (ko) 핸드피스의 공구 척킹장치
KR1013877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용 수동 드라이버
US11090139B2 (en) Dental implantoplasty tool for treatment of peri-implantis in dental implants
KR200489501Y1 (ko) 치아위생기구가 구비된 치실구
KR20050092412A (ko) 근관 치료 기구와 같은 치과용 동력 기구 및 콘트라-앵글핸드피스
KR20200119701A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