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8240B1 - 자동차의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240B1
KR100398240B1 KR10-2001-0027176A KR20010027176A KR100398240B1 KR 100398240 B1 KR100398240 B1 KR 100398240B1 KR 20010027176 A KR20010027176 A KR 20010027176A KR 100398240 B1 KR100398240 B1 KR 10039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impact
trim
inner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8185A (ko
Inventor
윤종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2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2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28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ide doors or panels, e.g. displaced towards the occupants in case of a sid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내부에서 외측패널측으로 설치된 임팩트 비임과 차실내의 트림부재 내측으로 설치된 충격흡수용 트림패드 사이에 별도의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측면충돌시 충격력의 완화를 위한 활용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의 필러 패널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에는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마운팅 브라켓트(22)를 매개로 횡방향으로 임팩트 비임(16)이 설치되고, 상기 내측패널(12)의 차실내측으로는 트림부재(18)가 설치되며, 이 트림부재(18)와 상기 내측패널(12) 사이에는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 사이의 공간에서 윈도우 글래스(W)의 승/하강 안내 및 지지용 가이드 찬넬(24)의 하단부에는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가 상기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와 대향된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구조{door structure for a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충돌시 탑승자의 골반부위를 밀어 흉부에 대한 충격흡수공간의 확보를 도모함으로써 치명적인 탑승자의 흉부 상해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충돌시 차실내에 있는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로 고려하여 설계되는 바, 이는 양산된 차량에 있어 각종 충돌시험을 통해 차체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함은 물론, 안전에 관한 법규까지도 제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에 있어 측면충돌실험을 위해 더미(D)가 차실내에서 시트(1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바, 상기 더미(D)를 중심으로 한 도어(10)의 설치상태와 이의 내부 구조는 도 1의 Ⅱ-Ⅱ선 단면을 도시한 도 2에서와 같다.
즉, 종래 자동차의 도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임팩트 비임(16)이 도어(10)의 하부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내측패널(12)의 차실내측으로는 트림부재(18)가 설치되며, 이 트림부재(18)와 상기 내측패널(12) 사이에는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0)의 내부에서 임팩트 비임(16)과 충격흡수용트림패드(20)의 구체적인 설치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팩트 비임(16)의 양측선단은 마운팅 브라켓트(22)를 매개로 도어(10)의 외측패널(14)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는 윈도우 글래스(W)의 승/하강 안내 및 지지용 가이드 찬넬(24)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트림부재(18)의 내측면으로 면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X"는 차체의 측면충돌실험을 위해 도어(10)에 인위적인 충격력을 가하도록 작동되는 충돌부재이고, "G"는 측면충돌시 더미(D)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측정을 위한 장비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10)에 대한 측면충돌실험을 하게 되면, 상기 도어(10)의 외측패널(14)상에 마운팅 브라켓트(22)를 매개로 설치된 임팩트 비임(16)이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트림부재(18)의 내측면에 가이드 찬넬(24)을 매개로 설치된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가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0)가 가지는 구조적인 강성도 충격흡수에 이용됨은 물론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도어(10)에서는, 차량의 측면충돌시 상기 도어(10)의 하부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치가 상기 임팩트 비임(16)과 내측패널(12) 사이의 빈공간을 급속히 변형시켜 차실내의 시트(100)에 탑승한 더미(D)의 골반부위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더미(D)의 흉부에서 측정되는 상해치도증가되었는 바, 상기 더미(D)의 흉부에서 측정되는 상해치의 증가는 실제 차량의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종래의 도어(10)는 차량의 측면충돌시 상기 내측패널(12)과 임팩트 비임(16)이 설치된 외측패널(14) 사이의 공간으로 측면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활용공간(S)의 확보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의 내부에서 외측패널측으로 설치된 임팩트 비임과 차실내의 트림부재 내측으로 설치된 충격흡수용 트림패드 사이에 별도의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측면충돌시 충격력의 완화를 위한 활용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필러 패널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마운팅 브라켓트를 매개로 횡방향으로 임팩트 비임이 설치되고, 상기 내측패널의 차실내측으로는 트림부재가 설치되며, 이 트림부재와 상기 내측패널 사이에는 충격흡수용 트림패드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의 공간에서 윈도우 글래스의 승/하강 안내 및 지지용 가이드 찬넬의 하단부에는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가 상기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와 대향된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팩트 비임이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트는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접합되는 내측부재와 외측부재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 대한 측면충돌실험을 위한 더미가 차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임팩트 비임과 충격흡수용 트림패드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에 대한 측면충돌실험을 위한 더미가 차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임팩트 비임과 충격흡수용 트림패드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도어 12-내측패널
14-외측패널 16-임팩트 비임
18-트림부재 20-충격흡수용 트림패드
22-마운팅 브라켓트 22a-내측부재
22b-외측부재 22c-안착홈
24-가이드 찬넬 26-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에 대한 측면충돌실험을 위한 더미가 차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임팩트 비임과 충격흡수용 트림패드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인 바, 종래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임팩트 비임(16)이 도어(10)의 하부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내측패널(12)의 차실내측으로는 트림부재(18)가 설치되며, 이 트림부재(18)와 상기 내측패널(12) 사이에는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0)의 내부에서 임팩트 비임(16)과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의 구체적인 설치상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팩트 비임(16)의 양측선단은 마운팅 브라켓트(22)를 매개로 도어(10)의 외측패널(14)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는 트림부재(18)의 내측면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가 위치한 부위에서 내측패널(12)의 내측에는 윈도우 글래스(W)의 승/하강 안내 및 지지용 가이드 찬넬(24)의 하단부에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가 고정되어, 상기 트림부재(18)의 내측면으로 고정된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니콤부재(26)는 격자형태의 구조물로서, 플라스틱 소재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격자형태의 구조물이 가지는 탁월한 충격흡수성을 매개로 측면충돌시 효과적인 충격력의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0)의 외측패널(14)의 내측면으로 임팩트 비임(16)을 장착시키는 마운팅 브라켓트(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부재(22a)와 외측부재(22b)가 각각 접합되어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상태에서 외측부재(22b)상에 형성된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22c)으로 접합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는 도어(10)의 내측패널(12)과 임팩트 비임(16)이 설치된 외측패널(14) 사이의 공간으로 측면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활용공간(S)의 확보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임팩트 비임(16)은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부재(22a)와 외측부재(22b)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도어(10)의 외측패널(14)과 상기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 사이의 공간에서 측면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활용공간(S)의 확보에 기여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X"는 차체의 측면충돌실험을 위해 도어(10)에 인위적인 충격력을 가하도록 작동되는 충돌부재이고, "G"는 측면충돌시 더미(D)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측정을 위한 장비이며, "W"는 윈도우 글래스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10)에 대해 시트(100)상에 더미(D)를 탑승시키고서 도어(10)에 인위적인 충격력을 가하는 충돌부재(X)를 작동시켜 측면충돌실험을 하게 되면, 상기 도어(10)의 외측패널(14)상에 마운팅 브라켓트(22)를 매개로 설치된 임팩트 비임(16)이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임팩트 비임(16)을 도어(10)의 외측패널(14)상에 설치하도록 내측부재(22a)와 외측부재(22b)가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마운팅 브라켓트(22)가 변형되면서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글래스(W)를 승/하강시 안내지지하는 가이드 찬넬(24)의 하단부에 고정된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가 파손되면서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상기 트림부재(18)의 내측면에서 가이드 찬넬(24)의 하단부에 설치된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와 대향되는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가 4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0)가 가지는 구조적인 강성도 충격흡수에 이용됨은 물론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10)는 차량의 측면충돌시 상기 도어(10)의 하부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치가 상기 임팩트 비임(16)과 이를 지지하는 마운팅 브라켓트(22)는 물론, 도어(10)의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 사이에서 가이드 찬넬(24)의 하단부로 설치된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를 통해 효과적으로 완충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상기 도어(10)의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 사이의 공간이 측면충돌시 급속히 변형되어 차실내의 시트(100)에 탑승한 더미(D)의 골반부위로 전달되는 충격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더미(D)의 흉부에서 측정되는 상해치도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도어(10)의 내측패널(12)과 상기 임팩트 비임(16)이 설치된 외측패널(14) 사이의 공간으로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를 설치함으로써, 측면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활용공간(S)의 확보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구조에 의하면, 도어(10)의 내부에서 외측패널(14)측으로 임팩트 비임(16)의 설치를 위한 마운팅 브라켓트(22)의 구조적인 변경과, 이 임팩트 비임(16)과 차실내의 트림부재(18) 내측으로 설치된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 사이에 별도의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측면충돌시 충격력의 완화를 위한 활용공간(S)의 확보가 가능해 지며, 이로 인해 측면충돌시 차실내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차체의 필러 패널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10)에는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이 형성하는 공간내에 마운팅 브라켓트(22)를 매개로 횡방향으로 임팩트 비임(16)이 설치되고, 상기 내측패널(12)의 차실내측으로는 트림부재(18)가 설치되며, 이 트림부재(18)와 상기 내측패널(12) 사이에는 충격흡수용 트림패드(2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내측패널(12)과 외측패널(14) 사이의 공간에서 윈도우 글래스(W)의 승/하강 안내 및 지지용 가이드 찬넬(24)의 하단부에는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가 상기 충격흡수용 하니콤부재(26)와 대향된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22)는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접합된 내측부재(22a)와 외측부재(22b)로 이루어지되, 이 외측부재(22b)에는 임팩트 비임(16)의 일측 선단과 결합되는 오목한 형태의 안착홈(2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구조.
KR10-2001-0027176A 2001-05-18 2001-05-18 자동차의 도어 구조 Expired - Lifetime KR10039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176A KR100398240B1 (ko) 2001-05-18 2001-05-18 자동차의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176A KR100398240B1 (ko) 2001-05-18 2001-05-18 자동차의 도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185A KR20020088185A (ko) 2002-11-27
KR100398240B1 true KR100398240B1 (ko) 2003-09-19

Family

ID=2770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176A Expired - Lifetime KR100398240B1 (ko) 2001-05-18 2001-05-18 자동차의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047B1 (ko) * 2004-03-30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KR100704562B1 (ko) * 2004-11-29 2007-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충돌시 상해치가 개선되도록 하는 도어판넬 보강구조
JP6409724B2 (ja) * 2015-09-18 2018-10-2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185A (ko) 200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240B1 (ko) 자동차의 도어 구조
JP3899145B2 (ja) 自動車の衝撃吸収構造
KR100338284B1 (ko) 자동차 도어용 아암레스트
JP5066738B2 (ja) 自動車の衝撃吸収構造
KR100271867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0173388B1 (ko) 자동차 도어용 충격 완충부재
KR0116012Y1 (ko) 자동차용 도어 측면충격흡수장치
KR10033521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용 도어
KR20015829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흡수구조
KR0176032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장치
KR2001437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부 보강구조
KR200213369Y1 (ko) 충격흡수구조를갖는자동차의루프사이드레일구조
KR200157668Y1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 구조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10048268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구조
KR100198872B1 (ko) 자동차 사이드 보디의 강성 보강용 완충 부재
KR100279574B1 (ko) 자동차필러의내장재구조
KR200176262Y1 (ko) 자동차의 어퍼멤버
KR100204998B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판넬
KR200254418Y1 (ko)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KR19980048722A (ko) 자동차의 사이드 프레임
KR19980027993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측면강성 보강구조
JPH0338474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9990021419U (ko) 자동차의 루프레일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111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