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5523B1 - 레이저 프린터 - Google Patents

레이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523B1
KR100395523B1 KR10-2001-0003250A KR20010003250A KR100395523B1 KR 100395523 B1 KR100395523 B1 KR 100395523B1 KR 20010003250 A KR20010003250 A KR 20010003250A KR 100395523 B1 KR100395523 B1 KR 10039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developing unit
printer
side door
safet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037A (ko
Inventor
김경환
이효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5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87Automatic cut-of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04Sound-deadening or shock-absorbing devices or measures therein
    • B41J19/08Buffers, springs or like carriage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34Escapement-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36Driving mechanisms, e.g. springs stressed during carriage retu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Production of nozzles
    • B41J2/1621Manufacturing processes
    • B41J2/1632Manufacturing processes machining
    • B41J2/1634Manufacturing processes machining laser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 B41J2/44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using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16Mechanisms driven by a spring tensioned by pow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 B41J7/50Type-face selected by combinations of two movements of type carrier
    • B41J7/52Type-face selected by combinations of two movements of type carrier by combined rotary and sliding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방구를 가지는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린터 본체와; 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도어유닛과; 개방구를 통해 프린터본체 내외로 착탈가능하며, 장착시 전사롤러에 접촉되는 감광드럼을 구비하는 현상유닛과; 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프린터본체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안전스위치와; 현상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을 닫을 경우 안전스위치를 온시키고, 현상유닛이 분리되거나 측면도어유닛의 오픈시에는 안전스위치를 오프시켜 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레이저 프린터{Laser printer}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기 본체의 분리시 프린터 본체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레이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는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린터본체와, 상기 전면프레임에 형성되는 개방구를 통해 상기 프린터 본체에 착탈가능한 현상유닛과, 상기 프린터본체의 측면을 개폐시키도록 프린터본체의 측부에 힌지결합되는 측면도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유닛은 감광드럼 및 대전롤러 등을 구비하며, 소정의 토너카트리지와 함께 상기 프린터본체에 장착 가능하다. 이러한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드럼이나 대전롤러 등의 수명이 다할 경우, 통상적으로 유닛자체를 새것으로 교환해주도록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측면도어유닛은 잼(jam) 용지를 제거하거나 기타 부품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프린터본체의 측면을 개폐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레이저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을 프린터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 또는 측면도어유닛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오동작에 의해 프린터가 구동될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수가 있고, 레이저 프린팅 동작시 필요한 고압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전기적 쇼크에 의한 피해를 줄 수가 있다. 또한 프린터본체의 내부가 토너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내부부품이 고장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측면도어유닛을 오픈시킨 상태에서 정착기로 AC 전원이 연결되어 있으면 AC 전원에 대한 감전 위험성과 열에 의한 신체적 손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현상유닛과 측면도어유닛의 장착 및 결합상태에 따라서 프린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측면도어유닛 및 현상유닛이 분리된 상태에서 프린터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장착 및 결합된 상태에서는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레이저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이저 프린터의 스위치 제어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프린터에서 현상유닛이 분리되고, 측면도어유닛이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에 밀린 슬라이딩부재가 안전스위치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Ⅰ-Ⅰ선 단면도.
도 7은 현상유닛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이 프린터본체에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스위치 제어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9a는 현상유닛이 프린터본체에 완전히 장착되기 직전에 현상유닛과 스위치 제어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도 9b는 도 9a에서 현상유닛이 프린터본체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도 10은 현상유닛이 프린터본체에 장착되고, 측면도어유닛이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이 프린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스위치 제어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프린터본체 11..전면프레임
13..후면프레임 20..측면도어유닛
30..현상유닛 40..안전스위치
51,53..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 65..가압스프링
60..슬라이딩 가이드조립체 61..회동브라켓
63..가이드봉 67..스토퍼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는, 개방구를 가지는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도어유닛과;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프린터본체 내외로 착탈가능하며, 장착시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되는 감광드럼을 구비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본체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안전스위치와; 상기 현상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도어유닛을 닫을 경우 상기 안전스위치를 온 시키고, 상기 현상유닛이 분리되거나 상기 측면도어유닛의 오픈시에는 상기 안전스위치를 오프시켜 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도어유닛에 밀려 상기 전원스위치로 접근하는 접근방향과, 상기 측면도어유닛의 오픈시 상기 접근방향의 반대인 이격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접근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안전스위치를 접촉가압하여 온 시키는 온위치와, 상기 안전스위치를 타고 올라가 단순 접촉되어그 안전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오프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제2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이격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후면프레임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본체에 장착되는 현상유닛에 의해 자세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오프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상기 현상유닛의 분리시 상기 오프위치로 회동되는 제2슬라이딩부재에 이끌려 자세변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조립체는, 상기 후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본체에 장착되는 상기 현상유닛에 걸려 위치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온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현상유닛의 분리시 상기 오프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와 함께 회동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된 장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온위치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장공을 통과한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브라켓이 상기 현상유닛에 접촉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오프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는, 프린터본체(10)와, 상기 프린터본체(10)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측면도어유닛(20)과, 상기 프린터본체(20) 내외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30)과, 프린터본체(10)에 공급되는 메인전원(미도시)을 온/오프시키는 안전스위치(40) 및 스위치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프린터본체(10)는 전면프레임(11)과 후면프레임(13)을 구비한다. 상기 전면프레임(11)에는 개방구(10a)가 전면도어(15)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 개방구(10a)를 통해 상기 현상유닛(30)이 프린터본체(10) 내외로 출입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방구(10a)를 통해 현상유닛(30)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카트리지(17)가 현상유닛(30)과 함께 착탈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린터본체(10)의 하측에는 인쇄용지가 수용되는 용지카세트(18)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도어유닛(20)은 프린터본체(10)의 측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단부가 프린터본체(10)에 힌지결합되는 도어브라켓(21)과, 상기 도어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사롤러(23) 및 용지이송롤러(25)를 구비한다. 상기 전사롤러(23)는 현상유닛(30)을 프린터본체(10) 내에 장착시, 그 현상유닛(30)에 설치된 감광드럼(31)에 접촉되며, 그 사이로 인쇄용지를 통과시킨다.
상기 현상유닛(30)은 토너카트리지(17)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므로 개방구(10a)를 통해 프린터본체(10) 내에 결합된다. 이러한 현상유닛(30)은 미도시된 레이저주사유닛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31)과, 감광드럼(3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상기본체(33)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본체(33)의 상기 후면프레임(13)에 대응되는 일측에는 돌기(33a)가 돌출형성된다. 이 돌기(33a)는 현상유닛(30)을 프린터본체(10) 내에 장착시,후면프레임(13)에 형성된 구멍(13a)을 쉽게 통과하도록, 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안전스위치(40)는 후면프레임(13)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2)에 지지된다. 이 안전스위치(40)는 프린터본체(10)의 각종 장치 즉, 구동부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보조스위치에 해당된다. 이러한 안전스위치(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2)에 고정된 스위치몸체(41)와, 상기 스위치몸체(41)의 상면으로 돌출되며 탄성편(4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접촉롤러(45)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롤러(45)는 후술할 제2슬라이딩부재(53)에 접촉되어 눌렸을 때는 안전스위치(40)를 온시킨 상태이고, 제2슬라이딩부재(53)에 접촉되더라도 눌리지 않았을 때는 안전스위치(40)를 오프시킨 상태이다. 이러한, 안전스위치(40)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53)를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스위치 제어수단은, 현상유닛(30)이 프린터본체(10)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20)을 닫을 경우 안전스위치(40)를 온시키고, 현상유닛(30)이 분리되거나 측면도어유닛(20)의 오픈시에는 안전스위치(40)를 오프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위치 제어수단은, 후면프레임(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딩부재(51)와, 제1슬라이딩부재(51)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53)와, 가압스프링(55) 및 후면프레임(13)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조립체(6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51)는 일단이 프린터본체(10)의 측면 즉, 측면도어유닛(20)에 대응되도록 후면프레임(13)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제1슬라이딩부재(51)는 프린터본체(10)에 결합되는 측면도어유닛(20)에 밀려 안전스위치(40) 쪽으로 접근하는 접근방향(A)과, 측면도어유닛(20)의 오픈시 상기 가압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접근방향(A)의 반대인 이격방향(B)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스프링(55)은 일단이 제1슬라이딩부재(51)에 고정된 지지핀(51a)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부재(14)에 마련된 지지핀(14a)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슬라이딩부재(51)에는 상기 지지핀(14a)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공(5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부재(51)의 슬라이딩 이동시 지지핀(14a)은 장공(51b)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서, 제1슬라이딩부재(51)와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53)는 제1슬라이딩부재(51)의 일단에 소정 각도 선회될 수 있도록 힌지핀(52)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제2슬라이딩부재(53)는 제1슬라이딩부재(51)와 함께 접근방향(A)과 이격방향(B)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슬라이딩부재(53)는 접근방향(B)으로 이동시 안전스위치(40)의 접촉롤러(45)를 접촉가압하여 온시키는 온위치와, 접촉롤러(45)를 타고 올라가 단순 접촉되어 안전스위치(40)를 오프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오프위치 사이에서 선회가능하다. 즉,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53)는 접근방향(B)으로만 수평 이동될 경우, 그 수평이동선 상에 위치한 접촉롤러(45)를 접촉가압하여 온시키면서 상기 온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제2슬라이딩부재(53)는 접근방향(B)으로 이동되다가 접촉롤러(45)에 접촉시 상기 탄성편(43)의 탄성력을 이기지 못하고 힌지핀(52)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접촉롤러(45) 위로 올라섬으로 상기 오프위치에 위치된다. 이 제2슬라이딩부재(53)는안전스위치(40)와의 자연스러운 접촉을 위해 일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53a)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조립체(60)는 프린터본체(10)에 장착된 현상유닛(30)에 의해 자세고정되어 제2슬라이딩부재(53)의 상기 오프위치로의 선회를 억제시키고, 현상유닛(30)의 분리시에는 오프위치로 이동되는 제2슬라이딩부재(53)에 이끌려 자세변환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가이드조립체(60)는 후면프레임(13)에 회동 가능하게설치되는 회동브라켓(61)과, 상기 회동브라켓(61)에 설치된 가이드봉(63)과, 가압스프링(65) 및 스토퍼부재(67)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브라켓(61)은 제2슬라이딩부재(5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후면프레임(13)에 설치된 회동핀(6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동브라켓(61)은 상기 후면프레임(13)에 형성된 구멍(13a)으로 통과한 돌기(33a)에 접촉지지되도록, 구멍(13a)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접촉부(61a)를 가진다. 이 접촉부(61a)는 회동브라켓(61)의 일단을 구멍(13a)측으로 절곡시킴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본체(10) 내로 현상유닛(30)을 장착시키면, 돌기(33a)가 구멍(13a)을 통과하여 접촉부(61a)위에 놓여짐으로써 회동브라켓(61)이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가이드봉(63)은 제2슬라이딩부재(53)에 형성된 장공(53b)을 통과하도록 회동브라켓(61)에 고정된다. 이 가이드봉(63)은 제2슬라이딩부재(53)의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가이드봉(63)에는 상기 스프링(65)과 스토퍼부재(67)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65)은 제2슬라이eld부재(53)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제2슬라이딩부재(53)를 상기 온위치로 탄성가압한다. 즉, 제2슬라이딩부재(53)가 접근반향(A)과 이격방향(B)으로만 수평이동되도록 억제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재(67)는 장공(53b)을 통과한 가이드봉(63)의 단부에서 가압스프링(65)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봉(63)은 회동브라켓(61)의 접촉부(61a)가 현상유닛(30)의 돌기(33a)에 접촉지지되었을 때, 제2슬라이딩부재(53)가 가이드봉(63)을 따라 상기 오프위치로 선회되는 것을 규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리터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프린터본체(10)에서 현상유닛을 장착시키기 전에 측면도어유닛(20)이 오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측면도어유닛(20)이 분리된 상태일 때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51,53)는 가압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방향(B)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에는 제2슬라이딩부재(53)의 경사부(53a)와 안정스위치(40)가 분리된 상태이므로, 안전스위치(40)는 오프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현상유닛이 분리되고, 측면도어유닛(2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안전스위치(40)가 오프되므로 현상기본체(10)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차단시킴으로서 프린터의 구동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오동작이나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프린터가 구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부품의 손상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본체(10)에 현상유닛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측면도어유닛(20)을 닫을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측면도어유닛(20)을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C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시킨다. 그러면, 측면도어유닛(20)이 닫히다가 제1슬라이딩부재(51)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20)을 더 닫으면, 제1슬라이딩부재(51)는 그 측면도어유닛(20)에 밀려 접근방향(A)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2슬라이딩부재(53)도 접근방향(A)으로 이동되다가, 그 경사부(53a)가 도 5 및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스위치(40)의 접촉롤러(45)에 접촉된다. 이 상태까지는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51)(53)가 접근방향(A)으로만 수평이동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2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닫게 되면, 제2슬라이딩부재(53)는 상기 오프위치로 선회되어 안전스위치(40) 위로 올라간다. 즉, 도 6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51,53)가 접근방향으로 밀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딩부재(53)의 경사부(53a)가 안전스위치(40)의 탄성편(43)의 탄성력을 극복하지 못하고, 접촉롤러(45) 위로 미끄러져 올라간다. 따라서, 제2슬라이딩부재(53)는 힌지핀(52)을 중심으로 D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술한 오프위치로 선회한다. 이 때, 프린터본체(10)에는 현상유닛(3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회동브라켓(61)은 D 방향으로 선회되는 제2슬라이딩부재(53)에 이끌려서 상방향으로 함께 소정 각도 회동된다. 이와 같이 현상유닛(30)을 장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20)을 닫을 경우에도, 안전스위치(40)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프린터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현상유닛(30)을 프린터본체(10)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어유닛(20)이 오픈된 상태에서, 먼저 현상유닛(30)을 잡고 개방구(10a)를 통해 프린터본체(10) 내로 서서히 밀어 넣는다. 그리고, 현상유닛(30)이 어느 정도 더 삽입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33a)가 후면프레임(13)에 형성된 구멍(13a)을 통과하여 회동브라켓(61)의 접촉부(61a)에 마주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유닛(30)을 후면프레임(13)에 완전히 접근하도록 끝까지 밀어 넣는다. 그러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의 돌기(33a)가 접촉부(61a) 위로 올라탄다. 이 때, 돌기(33a)의 선단부가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돌기(33a)가 접촉부(61a)에 자연스럽게 접촉되면서 접촉부(61a)위에 놓이게된다. 이와 같이, 돌기(33a)가 접촉부(61a) 위에 놓이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이 프린터본체(10)내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이다. 또한, 회동브라켓(61)은 돌기(33a)에 지지되어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면도어유닛(2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닫으면,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51,53)는 접근방향(A)으로 완전히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회동브라켓(6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3a)에 의해 자세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2슬라이딩부재(53)가 접촉롤러(45)에 접촉되어 D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따라서, 제2슬라이딩부재(53)는 접근방향(A)으로만 수평이동되면서 접촉롤러(45)를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안전스위치(40)가 온 상태로서, 프린터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현상유닛(30)이 완전히 장착되고, 측면도어유닛(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안전스위치(40)가 온 상태가 된다.
한편, 프린터를 사용하다가 현상유닛(30)을 교환하기 위해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측면도어유닛(20)을 먼저 오픈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딩부재들(51,53)은 다시 도 10의 상태로 이동되어 안전스위치(40)를 오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유닛(30)을 새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는, 현상유닛(30)이 분리된 상태 또는 측면도어유닛(20)이 오픈된 상태에서는 프린터를 구동시킬수 없도록 안전스위치(40)를 오프시킴으로서, 비정상적인 상태에서 프린터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기타 프린터 내의 부품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에 따르면, 현상유닛 및/또는 측면도어유닛이 불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프린터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의 부품교환작업 및 고장수리작업 중에 프린터의 구동으로 인한 사용지와 프린터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개방구를 가지는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구비하는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의 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측면도어유닛과;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프린터본체 내외로 착탈가능하며, 장착시 상기 전사롤러에 접촉되는 감광드럼을 구비하는 현상유닛과;
    상기 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본체로 공급되는 메인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안전스위치와;
    상기 현상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도어유닛을 닫을 경우 상기 측면도어유닛에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안전스위치를 온시키고, 상기 현상유닛이 분리되거나 상기 측면도어유닛의 오픈시에는 상기 안전스위치를 오프시키도록 이동되어 프린팅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후면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도어유닛에 밀려 상기 전원스위치로 접근하는 접근방향과, 상기 측면도어유닛의 오픈시 상기 접근방향의 반대인 이격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접근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안전스위치를 접촉가압하여 온시키는 온위치와, 상기 안전스위치를 타고 올라가 단순 접촉되어 그 안전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오프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제2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이격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후면프레임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본체에 장착되는 현상유닛에 의해 자세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오프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상기 현상유닛의 분리시 상기 오프위치로 회동되는 제2슬라이딩부재에 이끌려 자세변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조립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조립체는,
    상기 후면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린터본체에 장착되는 상기 현상유닛에 걸려 위치고정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온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현상유닛의 분리시 상기 오프위치로 이동되는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와 함께 회동되는 회동브라켓과;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된 장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회동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의 회동 및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온위치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장공을 통과한 상기 가이드봉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브라켓이 상기 현상유닛에 접촉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기 오프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는 상기 접근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안전스위치에 점진적으로 접촉되도록 일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프린터본체에 장착시, 상기 후면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수단을 접촉지지하도록 그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프린터.
KR10-2001-0003250A 2001-01-19 2001-01-19 레이저 프린터 KR100395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250A KR100395523B1 (ko) 2001-01-19 2001-01-19 레이저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250A KR100395523B1 (ko) 2001-01-19 2001-01-19 레이저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037A KR20020062037A (ko) 2002-07-25
KR100395523B1 true KR100395523B1 (ko) 2003-08-25

Family

ID=27692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250A KR100395523B1 (ko) 2001-01-19 2001-01-19 레이저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89B1 (ko) 2004-03-04 200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 현상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8113252B2 (en) 2009-10-23 2012-02-14 London Reil Tire traction device with guided radial tensioning ar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268A (en) * 1983-04-25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kit
US4563074A (en) * 1983-11-28 1986-01-07 Mita Industrial Co., Ltd. Engagement mechanism for a developing means in electrostatic copying machine
US4952989A (en) * 1985-04-16 1990-08-28 Sharp Kabushiki Kaisha Photoreceptor attachment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268A (en) * 1983-04-25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kit
US4563074A (en) * 1983-11-28 1986-01-07 Mita Industrial Co., Ltd. Engagement mechanism for a developing means in electrostatic copying machine
US4952989A (en) * 1985-04-16 1990-08-28 Sharp Kabushiki Kaisha Photoreceptor attachment device for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037A (ko)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7978B1 (en) Open/close switch mechanism having simple configuration
KR100456048B1 (ko)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춘 전자사진 화상형성 장치
KR100395522B1 (ko) 레이저 프린터
KR100190166B1 (ko) 레이져빔프린터의 현상기착탈장치
KR880006578A (ko) 현상 장치
EP0636953A2 (en) Imaging apparatus with cartridge and lid interaction
JPH08318661A (ja) 印刷ヘッドの位置決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装置
US5311253A (en) Image-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maging unit
US4523831A (en) Copying apparatus with openable upper housing
KR100395523B1 (ko) 레이저 프린터
US4166692A (en) Protection and safety device for a photocopying machine
JPH10171324A (ja) 画像形成装置の交換部材着脱機構
JP2910976B2 (ja) 画像形成装置
JPS61254956A (ja) 現像器支持装置
KR101085924B1 (ko) 화상형성장치
JPS62145258A (ja) 画像形成装置
KR19980086884A (ko) 도어 작동식의 포지션닝 챠지 부재
JP2915018B2 (ja) 画像形成装置
JPH05265264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82324A (ja) 画像形成装置
EP0905585B1 (en) A process cartridge having a shutter to cover the surface of a photocondu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artridge
KR20050076126A (ko)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370200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드라이 유니트 외관 도어 결합장치
KR20060136084A (ko) 화상형성장치
KR930004609Y1 (ko) 복사기의 안전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