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4706B1 -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706B1
KR100394706B1 KR10-2000-0076641A KR20000076641A KR100394706B1 KR 100394706 B1 KR100394706 B1 KR 100394706B1 KR 20000076641 A KR20000076641 A KR 20000076641A KR 100394706 B1 KR100394706 B1 KR 10039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ack panel
joined
vehicl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445A (ko
Inventor
천정종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7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7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86Bumper fascias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서의 오프셋(offset) 충돌시에 차체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충격흡수재(110)가 구비된 범퍼커버(100)와, 상기 범퍼커버(100)를 지지하도록 결합하는 보강브라켓(120)과, 상기 범퍼커버(100)의 상부와 트렁크플로어(130)의 단부(130a)에 접합되는 백패널(200)과, 상기 백패널 상단에 절곡되어 결합되는 스트라이커보강부재(150)로 구성된 자동차의 리어범퍼구조에 있어서, 상측 단부가 상기 스트라이터보강부재(150)에 접합되어 하방향으로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되어 하측 단부가 상기 백패널(200)과, 트렁크플로어(130)의 단부(130a) 사이에 접합되는 횡보강패널(210)이 추가로 구성되어, 범퍼의 하단을 보강함으로써 넥(neck)현상을 방지하며, 후방에서의 오프셋 충돌에 대한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후면 오프셋 충돌시에 차량의 승객을 보호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Structure for reinforcing a rear bumper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후방에서의 오프셋(offset) 충돌시에 차체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체의 충돌 보강구조는 정면충돌 또는 정면 오프셋(offset) 충돌에 대한 보강이 주로 많았으며, 차체의 후방에서 발생하는 충돌, 특히 후방에서의 오프셋 충돌에 대한 보강에 대해서는 취약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리어범퍼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은 자동차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리어범퍼 구조를 보여주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충돌시 백패널과 스트라이커보강부재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리어범퍼에는 충격흡수재(110)가 구비된 범퍼커버(100)이 보강브라켓(12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재(11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충격 에너지 흡수부재인 E.A 폼이 사용되게 된다.
상기 범퍼커버(100)의 상부(100a)와 트렁크플로어(130)의 단부(13a)에는 백패널(140)이 접합되게 된다.
상기 백패널(140)의 상단에는 일측으로 절곡되어 백패널(1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스트라이커보강부재(150)가 접합되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보강부재(150)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는 절곡된 형상의 횡보강부재(160)의 단부가 각각 접합되어 횡방향으로 차체를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리어범퍼는 도 3를 참고하면, 도면부호 A인 구간은 스트라이커보강부재(150) 및 횡보강부재(160)에 의해 폐단면을 이루면서 보강이 되며, 도면부호 B인 구간에서는 백패널(140)만이 하단에 트렁크플로어(130)의 단부에 접합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후방에서 오프셋 충돌시 B구간의 보강구조가 A구간의 보강구조에 비하여 매우 취약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충격(F)이 가해지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 횡보강부재(160)의 하단과 백패널(140)이 접합되는 목부분을 중심으로 A구간인 횡보강부재(160)가 도면부호 C방향으로 꺾이게 되는 넥(neck)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어범퍼 구조는 하측의 백패널이 취약한 구조를 갖게 되어 후방에서의 오프셋 충돌시 충분히 차량과 승객을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리어범퍼 구조를 변경하여 후방에서의 오프셋 충돌에 대한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리어범퍼 보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충격흡수재가 구비된 범퍼커버와, 상기 범퍼커버를 지지하도록 결합하는 보강브라켓과, 상기 범퍼커버의 상부와 트렁크플로어의 단부에 접합되는 백패널과, 상기 백패널 상단에 절곡되어 결합되는 스트라이커보강부재로 구성된 자동차의 리어범퍼구조에 있어서, 상측 단부가 상기 스트라이터보강부재에 접합되어 하방향으로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되어 하측 단부가 상기 백패널과, 트렁크플로어의 단부 사이에 접합되는 횡보강패널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어범퍼 구조를 보여주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충돌시 백패널과 스트라이커보강부재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범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범퍼커버 110 : 충격흡수재
120 : 보강브라켓 130 : 트렁크플로어
150 : 스트라이커보강부재 200 : 백패널
210 : 횡보강패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리어범퍼 보강구조는, 충격흡수재(110)가 구비된 범퍼커버(100)와, 상기 범퍼커버(100)를 지지하도록 결합하는 보강브라켓(120)과, 상기범퍼커버(100)의 상부(100a)와 트렁크플로어(130)의 단부(130a)에 접합되는 백패널(200)과, 상기 백패널 상단에 절곡되어 결합되는 스트라이커보강부재(150)로 구성된 자동차의 리어범퍼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200)의 단면형상은 하방향으로 계단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측 단부가 상기 스트라이터보강부재(150)에 접합되어 하방향으로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되어 하측 단부가 상기 백패널(200)과, 트렁크플로어(130)의 단부(130a) 사이에 접합되는 횡보강패널(210)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리어범퍼 보강구조는 종래의 횡보강부재를 하단에 트렁크플로어까지 연장하여 범퍼 하단을 보강하여 충돌시 발생할 수 있는 넥(neck)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을 계단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함으로써 트렁크 룸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가 있다.
상기 백패널(200)은 횡보강패널(210)과 마찬가지로 단면형상이 계단형상의 절곡된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최대한의 폐단면을 형성하여 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리어범퍼 구조를 변경하여 하여 범퍼의 하단을 보강함으로써 넥(neck)현상을 방지하며, 후방에서의 오프셋 충돌에 대한 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후면 오프셋 충돌시에 차량의 승객을 보호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충격흡수재가 구비된 범퍼커버와, 상기 범퍼커버를 지지하도록 결합하는 보강브라켓과, 상기 범퍼커버의 상부와 트렁크플로어의 단부에 접합되는 백패널과, 상기 백패널 상단에 절곡되어 결합되는 스트라이커보강부재로 구성된 자동차의 리어범퍼구조에 있어서,
    상기 백패널의 단면형상은 하방향으로 계단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측 단부가 상기 스트라이터보강부재에 접합되어 하방향으로는 계단형상으로 절곡되어 하측 단부가 상기 백패널과, 트렁크플로어의 단부 사이에 접합되는 횡보강패널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10-2000-0076641A 2000-12-14 2000-12-14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39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641A KR100394706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641A KR100394706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445A KR20020046445A (ko) 2002-06-21
KR100394706B1 true KR100394706B1 (ko) 2003-08-14

Family

ID=2768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6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4706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7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445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706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100747029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부 구조
CN216734491U (zh) 一种前指梁组件和具有其的车辆
KR0115979Y1 (ko) 차량의 센터필러와 루프패널의 결합구조
KR0138928B1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210029602A (ko) 대한지지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리어범퍼 보강구조
KR200211073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JP2002316666A (ja) 車体前部構造
KR200179129Y1 (ko) 자동차의 센터 플로워 판넬
KR0139596Y1 (ko) 자동차의 후방 충격 흡수 구조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520965B1 (ko) 자동차의 센터필라부 보강구조
KR20014982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20030028634A (ko) 충격흡수성능이 향상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 구조
KR1003502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보강구조
KR19990021222U (ko) 자동차 범퍼의 스테이 보강구조
KR200210034Y1 (ko)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
KR100333852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범퍼
KR20140010837A (ko) 차량의 카울 어셈블리
KR19980049800U (ko) 자동차의 스톱퍼 멤버 보강장치
KR19990034193A (ko) 차량의 리어엔드부 구조
KR19980036945U (ko) 도어의 임팩트 바 보강구조
KR19990005663U (ko)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KR19990033762A (ko) 차량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970026524A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