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93143B1 - 방적용 링 - Google Patents

방적용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143B1
KR100393143B1 KR1019960702495A KR19960702495A KR100393143B1 KR 100393143 B1 KR100393143 B1 KR 100393143B1 KR 1019960702495 A KR1019960702495 A KR 1019960702495A KR 19960702495 A KR19960702495 A KR 19960702495A KR 100393143 B1 KR100393143 B1 KR 10039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ylinder
sliding contact
rotary cylinder
bra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971A (ko
Inventor
야수시 이와마
Original Assignee
닙뽀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169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95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68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928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60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094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925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260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4822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462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7623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1767A/ja
Application filed by 닙뽀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닙뽀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5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1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52Ring-and-traveller arrangements
    • D01H7/58Ring-and-traveller arrangements with driven rings ; Bearings or braking arrangement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52Ring-and-traveller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52Ring-and-traveller arrangements
    • D01H7/56Ring-and-traveller arrangements with freely-rotatable rings; with braked or dragged rings ; Lubrica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소자보빈(70)으로부터 인도되는 실(T)을 보빈(82)에 권취하기 위한 방적용 링으로서, 고정통(20)과 회전통(30)과 트래블러(50)를 가진다. 고정통(20)은, 링 레일(74)에 대하여 부착된다. 회전통(30)은, 고정통(20)의 내측에 있어서, 고정통(20)과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통(30)의 내측에 보빈(82)이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다. 트래블러(50)는, 회전통(30)에 대하여 회전통(3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보빈소자(70)로부터 인도되는 실(T)을 보빈(82)에 대하여 안내한다.
그리고, 보빈(82)의 회전이 대략 정상상태로 된 때에는, 트래블러(50)의 회전통(30)에 대한 상대속도가 대략 제로이고, 트래블러(50) 및 회전통(30)이 대략 일체적으로 고정통(2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적용 링
종래, 이 종류의 방적용 링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이 방적용 링은, 고정통, 회전통, 트래블러를 가지고 있다. 고정통은,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고정된다. 회전통은 회전통의 내측에서 고정통과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통의 내측에는, 보빈이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트래블러는, 회전통에 대하여 그 회전통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트래블러는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보빈에 대하여 안내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빈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트래블러가 회전통의 둘레가장자리부를 둘레방향으로 회전하여 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에 꼬임이 발생되면서 그 실이 보빈에 권취되어 간다. 또, 그때, 트래블러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통도 회전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하여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조사(組絲), raw yarn)이 정방되어서 보빈에 권취되어 간다. 이 때, 보빈의 회전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방적의 효율이 향상한다.
그리고, 보빈의 회전과 트래블러의 회전은 대응하고 있고, 트래블러의 회전과 회전통의 회전과의 사이에도 연관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트래블러나 회전통의 회전을 개선하여, 방적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제1의 발명은,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보빈에 권취하기 위한 방적용 링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부착되는 고정통과, 그 고정통의 내측에서 그 고정통과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그 내측에 상기 보빈이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대하여 그 회전통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상기 보빈에 대하여 안내하는 트래블러를 보유하고, 상기 회전통은 상기 고정통에 대하여 미끄럼접촉링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통에 대해 그 회전속도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더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의 회전이 대략 정상상태인 때에는, 상기 트래블러의 상기 회전통에 대한 상대속도가 대략 제로에서 상기 트래블러 및 상기 회전통이 대략 일체적으로 고정통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빈의 회전시동시(가속시)에는, 트래블러는 회전통에 대하여 회전하고, 회전통은 그것에 따라서 서서히 고정통에 대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보빈의 회전이 정상상태로 된 때에는(정상으로 된 직후 이후라고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통은 보빈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하고, 트래블러의 회전통에 대한 상대속도가 거의 제로에서 트래블러 및 회전통이 대략 일체적으로 고정통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트래블러는, 회전통과의 사이의 상대적 회전에 의한 마찰력을 그다지 받지 않게 되어, 트래블러의 부담(손상정도)은 작아지고, 트래블러의 수명이 연장됨과 아울러, 보다 고속으로 보빈을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생산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이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통에 브레이크력이 가해지고, 회전통의 회전과 트래블러의 회전과의 사이에는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트래블러의 회전에 브레이크력이 가하여지게 된다.
한편, 보빈의 고속회전에 의해서 회전통 및 트래블러와 함께 실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에, 실은 큰 원심력에 의해서 옆으로 넓어진다. 벌루닝이 옆으로 넓어지는 현상이 현저하면, 인접하고 있는 다른 부재 등에 그 실이 크게 접촉하여 실이 끊어져버리는 일이 있다(벌루닝 붕괴현상).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통 및 트래블러에 브레이크력이 작용하고, 그것에 의해서 실이 항상 소정의 인장력으로 당겨지고 있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벌루닝붕괴가 억제되어, 실이 다른 부재 등과 접촉하는 하는 일이 방지되어 실끊어짐이 방지된다.
또, 보빈의 회전이 정지할 때에 회전통 및 트래블러의 회전이 보빈보다 늦게 정지하면(오버런 회전), 그것에 의해서 트래블러의 근방에서 실이 엉클어져 버린다(엉클어짐현상(snarl phenomenon)).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상기 바와 같이, 회전통 및 트래블러에 브레이크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엉클어짐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2의 발명은, 제 1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브레이크가 회전통 주위의 공기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브레이크력을 상기 회전통에 부여하는 에어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의 발명은, 제2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레이크부가 요철 형상의 에어브레이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통의 회전속도가 고속일수록 브레이크부와 주위의 공기 사이에서의 마찰력은 커지기 때문에, 회전통의 회전속도에 따른 크기의 브레이크력이 회전통에 부여된다. 이 때문에, 제2의 발명의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얻어진다.
제4의 발명은, 제3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레이크부가, 해당 회전통의 반지름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개의 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의 발명은, 제1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레이크부가, 상기 회전통의 반지름방향으로 진퇴가능한 복수개의 브레이크소자로서, 해당 회전통이 회전할 때의 원심력에 의해서 그 브레이크소자가 돌출상태로 되고, 그 돌출상태때에 그 브레이크소자가 상기 고정통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서는, 회전통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브레이크소자에 원심력이 가해지고, 그것에 의해서 돌출상태로 된 브레이크소자가 고정통에 대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소자와 고정통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고, 회전통의 회전속도에 따른 브레이크력이 회전통에 부여된다. 그리고, 제3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제1의 발명의 효과가 보다 유효하게 얻어진다.
제6의 발명은, 제1∼제5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에, 해당 고정통 및 해당 회전통의 쌍방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미끄럼접촉링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미끄럼접촉링에 의하여, 고정통에 대한 회전통의 회전은, 보다 원활한 것으로 되어, 회전통의 고속회전이 확보된다.
제7의 발명은, 제1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하나의 절단부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래블러 및 회전통의 회전에 의하여 미끄럼접촉링은 그 반지름 방향으로 충격력을 받는다. 그러나, 이 미끄럼접촉링은 절단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단부의 간격이 신축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미끄럼접촉링은 스프링과 같이 탄성적으로 신축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회전통으로부터의 충격을 그 탄성변형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고, 회전통으로부터의 충격을 회전통에 반사시키는 정도가 작은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회전통에 충격이 그다지 전해지지 않고, 회전통의 원활한 고속회전이 확보된다.
제8의 발명은, 제1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복수개의 분할미끄럼접촉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래블러 및 회전통의 회전에 의하여 미끄럼접촉링은 그 반지름방향에 충격력을 받는다. 그러나, 이 미끄럼접촉링은 복수개의 분할미끄럼 접촉링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통의 회전에 의해서 미끄럼접촉링의 각 부분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으로 충격이 가하여질 때에는 각 분할미끄럼접촉링이 그 반지름방향으로 미동하기 쉽고, 그 미동에 의해서 회전통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회전통의 원활한 회전이 확보된다.
제9의 발명은, 제1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그중의 다른 부분보다도 얇은 부분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얇은 부분에서는 다른 부분보다도 탄성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회전통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그 부분에서 보다 많이 흡수할 수가 있다.
제10의 발명은, 제1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절단부를 보유하는 주링과, 절단부를 갖지 않고 해당 주링의 외주측에 끼워지는 보강링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통의 회전에 따라서 미끄럼접촉링도 회전한다. 그리고, 절단부를 가지는 주링만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접촉링의 경우, 그때의 원심력에 의해서 지름이 넓어지고, 고정통에 대하여 밀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고정통과 미끄럼접촉링과의 사이의 마찰력(슬라이딩저항)이 크게 되어서, 회전통의 원활한 회전이 방해받을 우려도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보강링때문에 주링의 지름이 소정이상으로 넓어지지 않고, 미끄럼접촉링 자체의 지름도 소정이상으로는 넓어지지 않기 때문에, 미끄럼접촉링이 고정통에 대하여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회전통의 원활한 회전이 확보되는 것이다.
제11의 발명은, 제10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주링 및 상기 보강링의 진동감쇄특성이 다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주링 및 보강링의 진동감쇄특성이 다른 것에 의해, 회전통의 회전에 의한 진동을 보다 유효하게 감쇄시킬 수가 있다.
제12의 발명은,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보빈에 권취하기 위한 방적용 링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부착되는 고정통과, 그 고정통의 내측에서 그 고정통과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그 내측에, 상기 보빈이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대하여 그 회전통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상기 보빈에 대하여 안내하는 트래블러를 보유하고, 상기 고정통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에서, 해당 고정통 및 해당 회전통의 쌍방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해당 양쪽 통의 중심축선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미끄럼접촉링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대표예는 2개이다. 실의 장력을 수반한 트래블러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통이 미소하게 마찰운동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고정통 및 회전통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미끄럼접촉링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마찰운동이 저지되어, 회전통이 그 중심축선 둘레에 정확하게 회전한다. 이 때문에 회전통의 마찰운동에 의하여 트래블러의 회전이 불균일하게 되는일이 없고, 트래블러의 원활한 고속회전이 확보된다. 또 회전통의 마찰운동에 의하여 회전통과 고정통과의 마찰(회전저항)이 커져서 회전통의 원활한 회전이 저해되는 일도 없고, 회전통이 원활하게 고속회전할 수가 있다.
제13의 발명은, 제7∼제12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탄성을 보유하는 합성수지,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의 발명은, 제1∼제5, 제7∼제12의 발명의 방적용 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부착구멍에 끼워맞춰져서 부착되는 것이며, 그 고정통이 적어도 상기 베이스부재에 접하는 부분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통 전체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고정통에 대하여 트래블러만이 아니고 회전통도 회전하는 것에 의해, 고정통에 큰 충격이 가하여진다. 그러나, 이 발명에 있어서는, 고정통의 적어도 베이스부재에 접하는 부분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그 충격이 베이스부재와의 사이에서 완화된다. 이 때문에, 그 충격이 베이스부재에 있어서 반사하여 회전통에 전해지는 정도가 작아지고, 보빈에 대한 원활한 실의 권취가 행하여질 수 있다.
또 실의 장력을 수반한 트래블러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통이 미소하게 진동을 해서 고정통도 미소하게 진동한다. 이 때문에, 고정통이 금속으로 되어 있으면, 베이스부재와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그 미진동에 의하여 베이스부재(일반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어 그 표면상에 도장이 되어 있다)의 도장이 벗겨지고, 그 부분이녹이 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녹에 의해서 실이 더러워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고정통 중 적어도 베이스부재에 접하는 부분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일은 생기지 않고, 베이스부재가 녹이 스는 일이 방지된다.
제15의 발명은, 제1∼제5, 제7∼제1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통의 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또, 기타, 상기의 각 발명의 특징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발명도 여러가지 생각할 수 있다.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보빈에 권취하기 위한 방적용 링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방적용 링(10)(110, 210, 310, 410)이 사용되는 정방장치 전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2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의 방적용 링(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도는, 제1도중의 방적용 링(10) 및 링레일(74)을 표시하는 사시도(일부 분해사시도)이다.
제3도는, 방적용 링(10) 및 그 주변부분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방적용 링(10)을 확대해서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방적용 링(10)중의 브레이크링(46)을 상하반전시켜서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방적용 링(10)중의 미끄럼접촉링(40)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7도는, 제1도의 장치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방적용 링(10)의 근방의 상태를 표시하는 작용설명도이다.
제8도는, 제4도와 대비하여 방적용 링(10)의 이점을 표시하는 참고도이다.
제9도∼제15도는, 상기 실시형태(1)의 방적용 렁(1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9도는, 미끄럼접촉링(40)에 대한 변형예인 미끄럼접촉링(40A)의 부분사시도이다.
제10도는, 미끄럼접촉링(40)에 대한 변형예인 미끄럼접촉링(40B)의 부분사시도이다.
제11도는, 미끄럼접촉링(40)에 대한 변형예인 미끄럼접촉링(40C)의 부분사시도이다.
제12도는 미끄럼접촉링(40)에 대한 변형예인 미끄럼접촉링(40D)의 평면도이다.
제13도는 미끄럼접촉링(40)에 대한 변형예인 미끄럼접촉링(40E)의 부분사시도이다.
제14도는, 브레이크링(46)에 대한 변형예인 브레이크링(46A)을 상하반전시켜서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5도는 미끄럼접촉링(40)에 대한 변형예인 브레이크링(46B)을 상하반전시켜서 표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제16도∼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의 방적용 링(110)을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제16도는, 방적용 링(110)의 부분단면도이다(제4도에 대응).
제17도는, 제16도의 방적용 링(110)중의 미끄럼접촉링(140)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8도는, 제16도의 방적용 링(110)중의 브레이크링(146)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19도는, 제18도의 브레이크링(146)중의 브레이크소자(148)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0도∼제28도는, 상기 실시형태2의 방적용 링(11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0도는, 회전통(130)에 대한 변형예인 회전통(130A)의 일부 및 그 근방을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1도는, 제20도의 회전통(130A)의 브레이크소자(148A)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2도는, 브레이크링(146)에 대한 변형예인 브레이크링(146B)의 부분사시도이다.
제23도는, 제22도의 브레이크링(146B)중의 브레이크소자(148B)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4도는, 브레이크링(146)에 대한 변형예인 브레이크링(146C)의 부분사시도이다.
제25도는, 제24도의 브레이크링(146C)중의 브레이크소자(148C)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6도는, 방적용 링(110)의 변형예인 방적용 링(210)을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제16도에 대응한다).
제27도는, 제26도의 방적용 링(210)중의 미끄럼접촉링(240)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8도는, 제27도의 미끄럼접촉링(240)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9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의 방적용 링(310)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다(제4도, 제16도 등에 대응한다).
제30도는, 실시형태3의 방적용 링(310)의 변형예인 방적용 링(410)을 설명하기 의한 부분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적당한 형태
실시형태1
먼저, 이 발명의 1실시형태인 방적용 링(10)(110, 210, 310, 410)이 사용되는 방적장치 전체에 대하여 제1도 등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방적장치(제1도)의 상방에는, 조사보빈(70)(실공급부)이 지면에 직각의 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높이방향으로 대략 중앙의 좌우양측에는 드래프트장치(7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하방의 좌우양측에는, 지면에 직각의 방향으로 뻗는 링레일(74)(베이스부재)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제2도 참조).
링레일(74)은 수직방향으로 뻗는 가이드로드(78)에 안내되면서,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2도, 제3도에 표시하듯이, 링레일(74)(베이스부재)에는, 제1도의 지면과 직각의 방향으로 다수의 부착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구멍(75)에, 방적용 링(10)(110, 210, 310, 410)이 끼워맞춰져서 부착된다.
링레일(74)은 철제이고, 그 표면에는 도장이 되어 있다.
또, 링레일(74)의 상방에는, 각 방적용 링(10)에 대응하여 가이드부재(76)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부재(76)에는 관통구멍(77)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방적용 링(10) 사이에는 구획부재인 세퍼레이터(95)가 설치되어 있다(제7도 참조).
제1도, 제3도,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방적용 링(10)의 중심축선부분에는, 스핀들(80)이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핀들(80)에는, 보빈(정방사보빈)(82)(제1도중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상대회전 불가능상태로 끼워맞춰진다.
그리고, 조사보빈(70)에 권취되어 있는 실(T)(조사T1)은, 드래프트장치(72)를 거쳐 가이드부재(76)의 관통구멍(77)을 통과하여, 방적용 링(10)의 트래블러(50)를 통하여 보빈(82)에 인도된다.
그리고, 링레일(74)이 상하동하면서, 스핀들(80) 및 보빈(82)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보빈(82)에 실(T)(방적사T2)이 권취되어 가는 것이다.
다음에, 방적용 링(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방적용 링(10)은, 고정통(20), 회전통(30), 트래블러(50)를 가지고 있다.
고정통(2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주측부분에는, 원통면형상의 끼워맞춤부(22)와, 원환면형상의 탑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22)의 하부에는, 세트링부착홈(2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통(20)의 상부의 내주측부분에는, 미끄럼접촉링 외측끼워맞춤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통(30)은, 고정통(20)의 내측에서, 고정통(20)과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통(30)의 상부에는, 원환 형상의 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통(30)의 외주측부분에는, 미끄럼접촉링 내측끼워맞춤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통(20)(미끄럼접촉링 외측끼워맞춤부(21))과 회전통(30)(미끄럼접촉링 내측끼워맞춤부(31))과의 사이에는, 미끄럼접촉링(40)이 끼워져 있다.
미끄럼접촉링(40)은, 탄성, 내열성, 내마모성을 가지며, 마찰계수도 대단히 낮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접촉링(40)은 4각형 단면을 보유하고, 그 일부에 절단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접촉링(40)은, 고정통(20) 및 회전통(30)의 쌍방에 대하여 마찰저항이 대단히 작고, 쌍방 모두 슬라이딩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회전통(30)은, 미끄럼접촉링(40)을 개재하여 고정통(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며, 회전통(30)이 고정통(20)에 대하여 직접적으로는 접촉하거나 슬라이딩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회전통(30)이 고정통(20)에 대하여 보다 원활하게 회전한다.
제4도에 되돌아가서, 고정통(20)에는, 라이너커버(42)가 끼워맞춤고정되어있고, 미끄럼접촉링(40)의 빠짐방지가 되어 있다.
회전통(30)의 대략 상부에는 방진커버(44)가 부착되어 있고, 고정통(20)과 회전통(30)과의 틈새부분의 방진이 되어 있다.
회전통(30)의 하부에는 브레이크링(46)이 부착되어 있다. 브레이크링(46)의 재질로서는, 나이론수지 등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 적용된다.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링(46)은, 다수의 날개부(47)(에어브레이크부)를 가지고 있다. 각 날개부(47)는, 브레이크링(46)의 반지름방향(회전통(30)의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브레이크링(46)(날개부(47) )은, 회전통(30)의 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에어브레이크력을 회전통(30)에 대하여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트래블러(50)는, 90° 기울어진 대략 C자 형상을 하고 있고, 회전통(30)의 플랜지부(32)에 대하여, 그 플랜지부(32)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방적용 링(10)은, 고정통(20)의 끼워맞춤부(22)에서 링레일(74)의 부착구멍(75)에 끼워 맞춰지고, 또한 탑재부(24)에서 부착구멍(75)의 주위부분에 탑재되며, 또한, 셋트링부착홈(26)에 고무제의 셋트링(90)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링레일(74)에 부착된다.
또, 상기 바와 같이, 제3도, 제4도에 표시하듯이, 회전통(30)의 내측(중심축선부분)에 스핀들(80) 및 보빈(82)이 광통되어 끼워진다.
또, 이 방적용 링(10)의 고정통(20), 회전통(30), 트래블러(50)의 상호의 관계는, 보빈(82)의 회전이 10000∼15000회전/분 등의 정상상태로 된 때에는(정상상태로 된 직후 이후일 필요는 없다), 트래블러(50)의 회전통(30)에 대한 상대속도가 대략 제로이고, 트래블러(50) 및 회전통(30)이 대략 일체적으로(같은 속도로) 고정통(2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트래블러(50) 및 회전통(30)이 고정통(20)에 대하여 대략 같은 속도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회전통(30)의 미끄럼접촉링(40)에 대한 마찰저항과, 브레이크링(46)의 주위의 공기에 대한 회전저항의 합력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이 방적용 링(10)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바와 같이, 제1도, 제3도,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80) 및 보빈(82)의 회전에 따라서 조사보빈(70)(실공급부)에 감겨져 있는 실(T)(조사(T1))은, 드래프트장치(72)에 의해 드래프트되어, 가이드부재(76)의 관통구멍(77)을 통과하여, 방적용 링(10)의 트래블러(50)에 의하여 안내되며, 또한, 꼬임이 가해지면서 보빈(82)에 대하여 권취되어간다.
이때, 보빈(82)의 회전개시에 의하여 트래블러(50)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트래블러(50)와 회전통(30)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회전통(30)도 고정통(20)에 대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고정통(20)에 대한 트래블러(50)의 회전 속도(절대속도)는, 고정통(20)에 대한 회전통(30)의 회전속도와, 회전통(30)에 대한 트래블러(50)의 회전속도(상대속도)로 분산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보빈(82)이 고속회전하여도, 트래블러(50)의 상대속도는 그것에 대응한 고속회전으로는 되지 않기 때문에, 보빈(82)의 회전속도를 고속화해서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보빈(82)의 회전이 10000∼15000회전/분 등의 고속으로 정상상태로 된 때에는, 트래블러(50)의 회전통(30)에 대한 상대속도로 대략 제로이고, 트래블러(50) 및 회전통(30)이 거의 동속도로 거의 일체적으로 고정통(2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트래블러(50)는, 회전통(30)과의 사이의 마찰력을 그리 받지 않게 되어, 트래블러(50)의 부담(손상정도)은 작아지고, 트래블러(50)의 수명이 연장된다.
그리고, 트래블러(50)의 회전개시시(가속시)에 있어서는 회전통(30)은 트래블러(50)와 같은 속도로는 회전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트래블러(50)의 회전이 대략 정상으로 된 때에는, 회전통(30)의 회전속도는 그것에 추종하여 트래블러(50)와 대략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다. 또, 고정통(20)과 회전통(30)과의 사이에 미끄럼접촉링(40)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미끄럼접촉링(40)이 끼워져 있지 않고 회전통(30)이 고정통(20)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회전통(30)의 회전은 보다 원활한 것으로 된다.
또, 트래블러(50) 및 회전통(30)의 회전에 의하여 미끄럼접촉링(40)은 그 반지름방향으로 충격력을 받는다. 그러나, 미끄럼접촉링(40)은 절단부(40a)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절단부(40a)의 간격이 신축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미끄럼접촉링(40)은 스프링과 같이 반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회전통(30)으로부터의 충격을 그 탄성변형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고, 회전통(30)으로부터의 충격을 회전통(30)에 반사시키는 정도가 작은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회전통(30)에 충격이 그다지 전해지지 않고,회전통(30)의 원활한 고속회전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 미끄럼접촉링(40)에 절단부(40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적용 링(10)을 제조할 때에는, 절단부(40a)의 간격을 넓히도록 해서 탄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일체물인 회전통(30)(미끄럼접촉링 내측끼워맞춤부(31))에 대하여 미끄럼접촉링(40)을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즉, 미끄럼접촉링(40)이 절단부(40a)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통(30)을 제1의 부재(30a)와 제2의 부재(30b)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그 분할상태에서 미끄럼접촉링(40)을 부착하고, 그후에 제1의 부재(30a)와 제2의 부재(30b)를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회전통(30)의 정밀도가 떨어져서, 방적용 링(10)의 성능이 저하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적용 링(10)에서는, 미끄럼접촉링(40)의 절단부(40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결점은 생기지 않는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82)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그에 따라서 트래블러(50)도 고속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링(46)에 의해 회전통(30)에는 강한 브레이크력이 부여된다. 또, 트래블러(50)도 거의 같은 속도의 고속 회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트래블러(50)에는 강한 원심력이 작용하여, 그것에 의해서도 트래블러(50)와 회전통(30)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브레이크링(46)에 의해 트래블러(50)에도 강한 브레이크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보빈(82)이 고속으로 회전하고, 회전통(30) 및트래블러(50)와 함께 실(T)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T)은, 큰 원심력에 의해서 가이드부재(76)의 관통구멍(77)과 트래블러(50)의 사이에서 옆으로 넓혀진다. 그리고, 제7도중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95)에의 접촉이 현저하면, 그 접촉저항으로 실(T)이 끊어져 버리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 방전용 링(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통(30) 및 트래블러(50)에 브레이크력이 작용하고, 그것에 의해서 항상 소정의 인장력으로 당겨지고 있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7도중 1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벌루닝이 작게 억제된다. 이 때문에 세퍼레이터(95)에 대한 실(T)의 과도한 접촉이 방지되어 실끊김이 방지되고, 원활한 방적을 하는 일이 확보된다.
또, 스핀들(80) 및 보빈(82)의 회전이 정지할 때에 회전통(30) 및 트래블러(50)의 회전이 그것보다 늦게 정지하면(오버런회전), 그것에 의해서 트래블러(50)의 근방에서 실(T)이 엉클어져 버린다(엉클어짐현상). 그러나, 이 방적용 링(10)에서는, 상기 바와 같이, 회전통(30) 및 트래블러(50)에 브레이크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엉클어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바와 같이, 고정통(20)과 회전통(30)과의 사이에 미끄럼접촉링(40)이 끼워져서 회전통(30)의 회전저항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다수의 방적용 링(10)을 제조할 때에는, 회전통(30)의 회전저항에 개별차가 생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통(30)의 회전저항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통(30)의 회전저항의 개별차이는, 극히 미소한 범위내로 축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이 방적용 링(10)은, 회전통(30)의 회전저항을 최소한으로 하고, 또한 그 회전저항의 개체차도 극히 미소하도록 한 후에, 상기 바와 같이 회전통(30)에 브레이크링(46)에 의해 브레이크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보빈(82)의 회전이 고속으로 정상으로 된 때에 트래블러(50) 및 회전통(30)이 고정통(20)에 대하여 대략 같은 속도로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저항과 브레이크링(46)에 의한 회전저항의 합력을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는 것이다.
또, 트래블러(50) 뿐만 아니라, 회전통(20)도 회전하기 때문에, 그 회전시의 고정통(20)에 대한 충격은 큰 것이 된다. 그러나, 이 방적용 링(10)에서는, 고정통(20)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통(30)으로부터 고정통(20)이 받는 충격은, 링레일(74)에 대하여 직접 전해지는 것이 아니고, 상당히 완화되어서 전해지고, 또한, 그 충격은 반사해서 회전통(30)에 전해지는 정도로 작아진다. 이 때문에, 보빈(82)에 대하여 실(T)(방적사T2)이 원활하게 감기게 된다.
또, 실(T)(방적사T2)의 장력을 수반한 트래블러(5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통(30)이 미소하게 진동하고, 그에 따라서 고정통(20)도 베이스부에 대하여 미소하게 진동한다. 이 때문에, 고정통(20)이 모두 금속으로 되어 있으면, 그 고정통(20)의 탑재부(24)(특히 그 외측둘레가장자리부)에 의하여 링레일(74)의 도장이 벗겨지고, 그 부분이 녹이 슬어버리는 일도 있다. 그러나, 이 방적용 링(10)에서는 고정통(20)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링레일(74)의 충격이 완화된 것이므로, 링레일(74)의 도장이 벗겨져서 링레일(74)에 녹이 스는 일이 방지된다.
실시형태1의 변형예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1의 변형예를 제9도∼제15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9도∼제13도에는, 미끄럼접촉링(40)에 대한 변형예인 미끄럼접촉링(40A),(40B),(40C), (40D),(40E)이 표시되어 있다.
제9도의 미끄럼접촉링(40A)에서는, 절단부(40Aa)가 비스듬하게 절단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10도의 미끄럼접촉링(40B)에서는, 절단부(40Ba)가 V자 형상으로 절단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의 미끄럼접촉링(40C)에서는 절단부(40Ca)가 어긋난 형상으로 절단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12도의 미끄럼접촉링(40D)에서는, 절단부(40Da)가 3개소 있고, 3개의 분할미끄럼접촉링(40B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통(30)(미끄럼접촉링 내측끼워맞춤부(31))에 대하여 미끄럼접촉링(40D)을 한층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다. 또, 3개의 분할미끄럼접촉링(40Db)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통의 회전에 의하여 미끄럼접촉링(40D)의 각 부분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으로 충격이 가하여질 때는, 각 분할미끄럼접촉링(40Db)이 그 반지름방향으로 미동하기 쉽고, 그 미동에 의하여 회전통(30)으로부터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가 있다. 그리고, 회전통(30)의 원활한 회전이 확보된다. 또, 미끄럼접촉링(40D)은 3개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수로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제13도의 미끄럼접촉링(40E)에서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다른 부분보다도 얇은 두께부(40Ea)가 형성되어 있다. 얇은 두께부(40Ea)의 수는 1개라도 좋고, 복수개라도 좋다. 이 얇은 두께부(40Ea)에서는, 다른 부분보다도 변형하기쉽기 때문에, 고정통(30)의 회전에 의한 충격을 그부분에서 보다 많이 흡수할 수가 있다.
또, 미끄럼접촉링(40)의 단면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 여러가지가 적용될 수 있다.
제14도, 제15도에는, 브레이크링(46)의 변형예인 브레이크링(46A),(46B)이 표시되어 있다.
제14도의 브레이크링(46A)에서는, 1쌍의 반원통체(47Aa),(47Ab)가 등을 맞춘 상태로 하여 날개부(47A)가 형성되고, 그 날개부(47A)가 브레이크링(46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15도의 브레이크링(46B)에서는, 각 날개부(47B)가 바닥면에서 보아, 파도형상으로 커브하도록 해서 세워서 설치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2
다음에, 본 발명에 실시형태2의 방적용 링(110)에 대하여 제16도∼제19도에 따라서 실시형태1의 방적용 링(10)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방적용 링(110)도, 고정통(120), 회전통(130), 트래블러(150)를 보유하고 있다.
트래블러(150)는 회전통(130)의 플랜지부(132)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고정통(120)(미끄럼접촉링 외측끼워맞춤부(121))과 회전통(130)(미끄럼접촉링 내측끼워맞춤부(131))과의 사이에, 미끄럼접촉링(140)이 끼워져 있다. 미끄럼접촉링(14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5각형(정확하게는 6각형)의 단면을 보유하고 있고,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부(140a)가 형성되어 있다.
제16도에 되돌아가서, 고정통(120)에는 라이너커버(142)가 끼워맞춤고정되어 있고, 회전통(130)에는, 방진커버(144)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통(130)의 하부에는, 브레이크링(146)이 고정되어 있다. 제16도 및 제1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링(146)의 하부에는 플랜지부(146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146a)에는, 복수개의 브레이크소자(148)(제19도)가 핀(148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각 브레이크소자(148)는 회전통(130)의 반지름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소자(148)의 선단부측(핀(148b)과 대극측)의 측면은 접촉부(148a)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통(130)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각 브레이크소자(148)가 돌출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브레이크소자(148)가 후퇴상태시(제18도중 실선으로 표시)에는, 각 브레이크소자(148)의 접촉부(148a)는 고정통(120)의 내측면(123)과는 접촉하지 않고, 회전통(130)이 회전하여 각 브레이크소자(148)가 돌출상태로 된 때(제18도 중에 있어서 하나의 브레이크소자에 대하여 파선으로 표시함)에는, 각 브레이크 소자(148)의 접촉부(148a)가 고정통(120)의 내측면(123)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방적용 링(110)의 특유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보빈(82)의 회전개시에 의해서 트래블러(150)가 회전하기 시작하고, 트래블러(150)와 회전통(130)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회전통(130)도 고정통(120)에대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보빈(82)의 회전이 고속으로 정상상태로 된 때에는, 트래블러(150) 및 회전통(130)이 대략 동속도로 대략 일체적으로 회전통(12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된다.
그때에, 회전통(130)의 회전속도에 따라서(정확하게는 그 두제곱에 비례하여) 브레이크링(146)의 각 브레이크소자(148)에 원심력이 작용하고, 그 원심력에 의하여 각 브레이크소자(148)는 돌출상태로 된다(제16도중에, 그 돌출상태로 되는 도중의 브레이크소자(148)가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브레이크소자(148)의 접촉부(148a)는, 고정통(120)의 내측면(123)에 대하여 접촉한다. 그것에 의해, 브레이크링(146)(각 브레이크소자(148))과 고정통(120)과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생겨서 회전통(130)의 회전속도에 따른 브레이크력이 회전통(130)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통(130)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트래블러(150)에도 브레이크력이 작용하게 되어, 실(T)의 벌루닝이 작게 억제되어 실끊김이 방지된다.
실시형태2의 변형예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2의 변형예를 제20도∼제2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20도∼제25도는, 회전통(130) 또는 브레이크링(146)의 변형예이다.
제20도 및 제21도에는 회전통(130A)이 표시되어 있고, 제22도 및 제23도에는 브레이크링(146B)이 표시되어 있고, 제24도 및 제25도에는 브레이크링(146C)이 표시되어 있다. 또, 제26도∼제28도에는 미끄럼접촉링(140)의 변형예인 미끄럼접촉링(240)이 표시되어 있다.
제20도의 회전통(130A)에는, 상기 브레이크링(146)에 대응하는 것은 부착되어 있지 않고, 복수개의 브레이크소자(148A)가 회전통(130A)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통(130A)의 하부의 외측부분에는 내측방향으로 움푹들어간 브레이크소자결합홈(147A)이 원환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브레이크소자결합홈(147A)에 대하여 각 브레이크소자(148A)(제21도)가, 핀(148Ab)에 의하여 회전가능(진퇴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통(130A)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서 각 브레이크소자(148A)가 돌출상태로 되어서 각 브레이크소자(148A)의 접촉부(148Aa)가 고정통(120)의 내측면(123)에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제22도의 브레이크링(146B)은, 제18도의 브레이크링(146)과 마찬가지로 회전통(130)에 대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브레이크링(146B)의 본체부(146Bb)의 하부의 외주측부분에는 플랜지부(146Ba)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46Bb)에는, 플랜지부(146Ba)측에 연통하는 복수개의 움푹 들어간 형상의 끼워맞춤부(147B)가 형성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소자(148B)(제23도)의 기단측에는 관절부(148Bb)가 부풀어서 형성되어 있고, 각 관절부(148Bb)는 끼워맞춤부(147B)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이렇게 하여, 각 브레이크소자(148B)는, 브레이크링(146B)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통(130)의 회전에 따라서, 각 브레이크소자(148B)는 돌출상태로 되어서, 그 접촉부(148Ba)가 회전통(130)의 내측면(123)에 대하여 접촉해서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제24도의 브레이크링(146C)에서는, 그 하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46Ca)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형상 단면을 보유하는 구멍형상의 끼워맞춤부(147C)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47C)에는, 1쌍의 스토퍼부(147Ca)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47C)중의 여유 구멍부(147Cb)는, 브레이크링(146)의 반지름방향에 여유 공간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소자(148C)(제25도)는, 끼워맞춤부(147C)에 대응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형상을 하고 있고, 그 기단부측에는 1쌍의 빠짐방지부(148C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브레이크소자(148C)는 각 끼워맞춤부(147C)에 대하여, 여유 구멍부(147Cb)의 여유 공간에 의해서 진퇴가능하체 끼워맞춰져 있다. 또, 끼워맞춤부(147C)의 각 스토퍼부(147Ca) 및 브레이크소자(148C)의 각 빠짐방지부(148Cb)에 의해, 브레이크소자(148C)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통(130)의 회전에 따라서, 각 브레이크소자(148C)는 돌출상태로 되어서, 그 접촉부(148Ca)가 회전통(130)의 내측면(123)에 대하여 접촉하여 마찰력이 생기는 것이다.
제26도의 방적용 링(210)에 있어서는, 미끄럼접촉링(240)(제27도, 제28도)에 특징이 있다. 미끄럼접촉링(240)은, 주링(241) 및 보강링(243)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링(241)은 상기 미끄럼접촉링(140)(제17도)과 대략 동일한 구조이고, 보강링(243)의 두께만큼 외경이 작게 되어 있다. 주링(241)은, 제6도나 제17도의 미끄럼접촉링(40),(140)과 마찬가지로, 탄성, 내열성, 내마모성을 보유하고, 마찰계수도 대단히 낮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부에 절단부(241a))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링(243)은 심플한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계적 강도가 특히 뛰어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링(241) 및 보강링(243)의 진동감쇄특성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서로 상이하다.
그리고, 주링(241)의 외주측에 보강링(243)이 헐겁게 끼워져서 미끄럼접촉링(2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미끄럼접촉링(240)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유한 작용 효과가 생긴다.
즉, 회전통(130)의 회전에 따라서 미끄럼접촉링(240),(140)도 회전하고(제26도, 제16도), 상기 미끄럼접촉링(140)(제17도)에서는 그때의 원심력에 의해서 지름이 넓어지고, 고정통(120)(미끄럼접촉링 외측끼워맞춤부(21))에 대하여 밀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고정통(120)과 미끄럼접촉링(140)과의 사이의 마찰력(미끄럼접촉저항)이 커져서, 회전통(130)의 원활한 회전이 방해받을 우려도 있다.
그러나, 이 미끄럼접촉링(240)(제28도)에서는, 보강링(243)때문에 주링(241)의 지름이 소정이상으로는 넓어지지 않고, 미끄럼접촉링(240) 자체의 지름도 소정이상으로는 넓어지지 않기 때문에, 미끄럼접촉링(240)이 고정통(120)(미끄럼접촉링 외측끼워맞춤부(21))에 대하여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회전통(130)의 원활한 회전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 주링(241) 및 보강링(243)의 진동감쇄특성이 상위하기 때문에, 보다 유효하게 진동을 감쇄시킬 수가 있다.
실시형태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3의 방적용 링(310)에 대하여, 제29도에 따라서, 실시형태1의 방적용 링(10)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방적용 링(310)도, 고정통(320), 회전통(330), 트러블러(350)를 가지고 있다. 트래블러(350)는 회전통(330)의 플랜지부(33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회전통(330)은, 제1부재(330a)와 제2부재(330b)로 분할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전통(330)(제1의 부재(320a))에는, 방진플랜지부(344)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통(320)의 내주측의 높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환상돌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환상돌부(325)의 상하에 있어서는, 고정통(320)과 회전통(330)과의 사이에, 각각 미끄럼접촉링(340)이 끼워져 있다. 각 미끄럼접촉링(340)은, 상기 미끄럼접촉링(40)(제4도) 등과 마찬가지로, 고정통(320) 및 회전통(330)의 쌍방모두 슬라이딩가능한 것이다.
이 방적용 링(310)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유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즉 실(T)(방적사T2)의 장력을 수반한 트래블러(35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통(330)이 미소하게 진동을 하고자 한다(제4도의 방적용 링(10)참조). 그러나, 이 방적용 링(310)에서는, 고정통(320) 및 회전통(330)의 중심축선방향(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미끄럼접촉링(340)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미진동이 저지되어 회전통(330)이 그 중심축선둘레에 정확하게 회전한다.
그 때문에, 회전통(330)의 미진동에 의해서 트래블러(350)의 회전이 불균일한 것으로 되는 일이 없고, 트래블러(350)의 원활한 고속회전이 확보된다. 또, 회전통(330)의 미진동에 의하여 고정통(320)과의 마찰(회전저항)이 커져서 회전통(330)의 원활한 회전이 저해되는 일도 없고, 회전통(330)이 원활하게 고속회전할 수가 있다.
또, 방적용 링(10)(제4도) 등에서는, 미끄럼접촉링(40)은, 고정통(20) 및 회전통(30)에 의하여 전단력을 받으나, 이 방적용 링(310)에서는 고정통(20) 및 회전통(30)으로부터 압축력을 받는다. 그리고, 미끄럼접촉링(10),(310)은, 전단력에 대한 강도보다도 압축력에 대한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미끄럼접촉링(3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실시형태3의 변형예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3의 방적용 링(310)의 변형예인 방적용 링(410)에 대하여 제30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방적용 링(410)도, 고정통(420), 회전통(430), 트래블러(450)를 가지고 있다. 트래블러(450)는, 회전통(430)의 플랜지부(43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회전통(43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환상돌출부(435)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환상돌출부(435)의 상하에서는, 고정통(420)과 회전통(430)과의 사이에 각각 미끄럼접촉링(440)이 끼워져 있다.
각 미끄럼접촉링(440)은, 상기 미끄럼접촉링(40)(제4도) 등과 마찬가지로, 고정통(420) 및 회전통(430)의 쌍방모두 슬라이딩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회전통(430)에는 방진커버(444)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통(420)에는 라이너커버(4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방적용 링(410)에서도, 상기 방적용 링(310)(제29도)과 마찬가지로 회전통(430)의 미진동이 방지된다.
또, 상기 방적용 링(310)(제29도)에서는, 회전통(330)이 제1부재(330a)와 제2부재(330b)로 분할되어 있어서, 그 분할상태에서 미끄럼접촉링(340)이 결합되고, 그 결합후에 양 부재(330a) 및 (330b)가 결합된다. 그러나 이 방적용 링(410)에서는, 그와 같이 회전통(410)이 분할형성되지 않더라도 미끄럼접촉링(440)이 결합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보빈에 권취하기 위한 방적용 링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부착되는 고정통과,
    상기 고정통의 내측에서 고정통과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그 내측에 상기 보빈이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대하여 회전통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상기 보빈에 안내하는 트래블러를 보유하며,
    상기 회전통은 상기 고정통에 대하여 미끄럼접촉링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통에 대해 그 회전속도에 따른 브레이크력을 더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의 회전이 대략 정상상태인 때에는, 상기 트래블러를 상기 회전통에 대한 상대속도가 대략 제로로, 상기 트래블러 및 상기 회전통이 대략 일체적으로 고정통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회전통 주위의 공기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브레이크력을 상기 회전통에 부여하는 에어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레이크가, 요철형상의 에어브레이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레이크부가, 해당 회전통의 반지름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레이크부가 상기 회전통의 반지름방향으로 진퇴가능한 복수개의 브레이크소자로서, 해당 회전통이 회전할 때의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소자가 돌출상태로 되고, 그 돌출상태 시에 그 브레이크소자가 상기 회전통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하나의 절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복수개의 분할 미끄럼접촉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그 중의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얇은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절단부를 가지는 주링과, 절단부를 가지지 아니하고 해당 주링의 외주측에 끼워지는 보강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링 및 상기 보강링의 진동감쇄특성이 다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11.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보빈에 권취하기 위한 방적용 링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에 대하여 부착되는 고정통과,
    상기 고정통의 내측에서 고정통과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그 내측에 상기 보빈이 동심적으로 또한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대하여 그 회전통의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공급부로부터 인도되는 실을 상기 보빈에 안내하는 트래블러를 가지며,
    상기 고정통과 상기 회전통과의 사이에서, 해당 고정통 및 해당 회전통의 쌍방에 슬라이딩가능하게, 해당 양쪽의 통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미끄럼접촉링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접촉링이,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엘라스토머, 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13. 제1항 내지 제5항,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부착구멍에 끼워맞춰져서 부착되는 것이며, 그 고정통의 적어도 상기 베이스부재에 접하는 부분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14. 제1항 내지 제5항,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적용 링.
KR1019960702495A 1994-09-16 1995-09-18 방적용 링 Expired - Fee Related KR100393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69094A JP3549585B2 (ja) 1994-09-16 1994-09-16 紡績用ロータリーリング
JP22168994A JPH0892825A (ja) 1994-09-16 1994-09-16 紡績用回転リング
JP94-221689 1994-09-16
JP94-221690 1994-09-16
JP95-16606 1995-02-03
JP1660695A JPH08209470A (ja) 1995-02-03 1995-02-03 紡績用回転リング及びその回転制動法
JP2925895A JPH08226028A (ja) 1995-02-17 1995-02-17 紡績用回転リング
JP95-29258 1995-02-17
JP95-48223 1995-03-08
JP4822395A JPH08246262A (ja) 1995-03-08 1995-03-08 紡績用ロータリーリング
JP17623895A JPH0931767A (ja) 1995-07-12 1995-07-12 紡績用リング
JP95-176238 1995-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971A KR960705971A (ko) 1996-11-08
KR100393143B1 true KR100393143B1 (ko) 2003-11-28

Family

ID=2754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4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3143B1 (ko) 1994-09-16 1995-09-18 방적용 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5881546A (ko)
EP (1) EP0730054B1 (ko)
KR (1) KR100393143B1 (ko)
CN (1) CN1135776A (ko)
AU (1) AU3485395A (ko)
DE (1) DE69530671T2 (ko)
WO (1) WO1996008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30A (ja) * 1996-07-04 1998-01-20 Howa Mach Ltd 紡績用リング
EP0843034A3 (en) * 1996-11-14 1999-02-17 Howa Machinery, Ltd. Rotary spinning ring structure
US20050126826A1 (en) * 2003-12-12 2005-06-16 Moriarty Keith A. Directional casing and liner drilling with mud motor
WO2012070063A2 (en) * 2010-11-24 2012-05-31 Lakshmi Machine Works Ltd. Improved textile spinning and twisting ring
DE102011111207A1 (de) 2011-08-20 2013-02-21 Oerlikon Textile Components Gmbh Ringspinnvorrichtung
CN107475831A (zh) * 2017-09-01 2017-12-15 上海牛城机器人有限责任公司 钢领
CN108301078A (zh) * 2018-04-13 2018-07-20 经纬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内外均为球形滚道支承的可驱动旋转钢领组件
ES2934068T3 (es) * 2020-02-20 2023-02-16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Dispositivo de enrollamiento y torsión para una máquina de hilado de anillos o de torsión de anillos
CN111979619A (zh) * 2020-08-27 2020-11-24 山东岱银纺织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细纱机分体式旋转钢领总成
CN113430685A (zh) * 2021-07-26 2021-09-24 新疆大学 一种环锭纺纱机的钢丝圈安装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0331A (ja) * 1989-05-15 1990-12-12 Hiroshi Yamaguchi 紡績用回転リング
JPH038821A (ja) * 1989-06-02 1991-01-16 Hiroshi Yamaguchi 紡績用回転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6716C (de) * 1950-11-15 1952-11-04 Alfred Gauthier Bremsung fuer Kugellagerlaufringe von Ringspinnmaschinen
US3494120A (en) * 1968-01-02 1970-02-10 Maremont Corp Rotating ring spinning or twisting frame
DE1964478A1 (de) * 1969-12-23 1971-07-01 Karlsruhe Augsburg Iweka Vorrichtung zum Aufwickeln,insbesondere textiler Faeden
DE2435770A1 (de) * 1974-07-25 1976-02-12 Heidenhain Gmbh Dr Johannes Spinnringlager oder zwirnringlager
US4114359A (en) * 1975-03-15 1978-09-19 Spurmach Espana S. L. Driven spinning ring device for yarn machines
JPS5255731A (en) * 1975-10-28 1977-05-07 Hiroshi Yamaguchi Rotary ring for spinning mathine
FR2425485A1 (fr) * 1978-05-09 1979-12-07 Alsacienne Constr Meca Procede et dispositif de filage a anneau tournant
DE2917857A1 (de) * 1979-05-03 1980-11-20 Zinser Textilmaschinen Gmbh Ringbank mit luftgelagerten spinn- oder zwirnringen
JPS5860028A (ja) * 1981-09-30 1983-04-09 Kanai Hiroyuki 紡機用回転リング
JPS58156037A (ja) * 1982-03-04 1983-09-16 Hiroshi Yamaguchi 紡績用回転リング
IT1210038B (it) * 1982-12-23 1989-09-06 Savio Spa Dispositivo di sostentamento e rotolamento isostatico a corpi volventi quale anello rotante.
US4769689A (en) * 1984-12-13 1988-09-06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Stress relief in epitaxial wafers
GB2176601B (en) * 1985-06-10 1989-02-01 Bio Rad Laboratories Test plate assembly defining discrete regions on a microporous membrane with low boundary distortion
US4760689A (en) * 1985-12-16 1988-08-02 Arce Raul O Improvements in spinning ring assembly for textile twisting apparatus
JPH065569B2 (ja) * 1986-08-08 1994-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消去ヘツド装置
JPH0643647B2 (ja) * 1987-07-16 1994-06-08 博史 山口 紡績用回転リング
JPH07122175B2 (ja) * 1988-07-12 1995-12-25 金井重要工業株式会社 紡機用回転リング
EP0368608A1 (en) * 1988-11-08 1990-05-16 Hiroshi Yamaguchi Rotary ring spinning device provided with a ring mo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inning operation thereof
JP3119045B2 (ja) * 1993-08-02 2000-12-18 村田機械株式会社 組紐自動成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0331A (ja) * 1989-05-15 1990-12-12 Hiroshi Yamaguchi 紡績用回転リング
JPH038821A (ja) * 1989-06-02 1991-01-16 Hiroshi Yamaguchi 紡績用回転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971A (ko) 1996-11-08
US5819519A (en) 1998-10-13
DE69530671D1 (de) 2003-06-12
DE69530671T2 (de) 2004-04-08
CN1135776A (zh) 1996-11-13
US6047533A (en) 2000-04-11
EP0730054A1 (en) 1996-09-04
EP0730054A4 (en) 1997-01-02
US5881546A (en) 1999-03-16
AU3485395A (en) 1996-03-29
WO1996008592A1 (fr) 1996-03-21
EP0730054B1 (en)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143B1 (ko) 방적용 링
US4934493A (en) Frictional damper
JP2846344B2 (ja) 弾性伸長体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EP1072451B1 (de) Federbeinstützlager
CN111185938B (zh) 护线装置和机器人
KR20050008645A (ko) 증가된 고유 진동수를 가지는 권취 스핀들
US3183730A (en) High speed spindle assembly
US2698772A (en) Twister mounting
KR940002800B1 (ko) 방적용 회전링 장치
EP0535443A1 (de) Reibungsdämpfer für Waschmaschinen
US3877659A (en) Bobbin hanger
US3724772A (en) Reel spindle
US2699230A (en) Backlash eliminating brake
US5829239A (en) Spinning ring structure
WO1999050568A2 (en) A friction vibration damper
SU1212907A1 (ru) Бобинодержатель
JPS63158332A (ja) 振動減衰ばね装置
CN214736302U (zh) 一种倍捻机的夹头装置
KR20010075524A (ko) 보빈홀더와, 사조권취기, 사조패키지 제조장치,사조권취방법 및 사조패키지 제조방법
KR950003361Y1 (ko) 실 권취용 실린더 회전축
US5099639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resisting the rotation of spindles of a textile machine
JP4264224B2 (ja) ボビンホルダー
EP3296243B1 (en) Cylindrical paper bobbin for winding yarns
US3949950A (en) Yarn winding bobbin
RU2649977C1 (ru) Кольцевая конусная пружина с демпфирующим основа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9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