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784B1 -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2784B1 KR100392784B1 KR10-2001-0054636A KR20010054636A KR100392784B1 KR 100392784 B1 KR100392784 B1 KR 100392784B1 KR 20010054636 A KR20010054636 A KR 20010054636A KR 100392784 B1 KR100392784 B1 KR 100392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ss
- power supply
- mode
- power
- power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14—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in which the output signal represents a discontinuous function of the deviation from the desired value, i.e. discontinuous controllers
- G05B11/16—Two-step controllers, e.g. with on/off a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01C17/02—Magnetic compasses
- G01C17/28—Electromagnetic compas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as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
-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형성된 나침반에 소정 광원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신호에 따라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전원 제어 모드 또는 일반 전원 공급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전환스위치;소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광원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원 제어 모드시에, 상기 나침반에서 반사되는 광의 강도를 측정하여 측정 광 강도에 대응하는 광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반사광센서;상기 전원 제어 모드시에, 상기 반사광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광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 전환스위치의 전원 공급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모드 전환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변경하는 릴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모드 전환스위치는,상기 전원 제어 모드에서 상기 반사광센서측으로 스위칭되며, 일반 전원 공급 모드에서 상기 부하측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장치는 레이저 포인터 또는 총기류의 전원 제어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 소정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형성된 나침반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의 강도를 측정하는 반사광센서와, 상기 반사광센서로의 전원 연결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모드 전환스위치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장치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반사광센서를 회전시켜 전원 제어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전원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단계와;전원 제어 모드인지 일반 전원 공급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일반 전원 공급 모드이면, 상기 모드 전환스위치를 부하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3 단계와;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전원 제어 모드이면,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를 상기 반사광센서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반사광센서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4 단계와;상기 나침반에서 반사되는 광의 세기를 감지하고, 감지되는 광의 세기가 기설정 강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와;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되는 광의 세기가 상기 기설정 강도 이상이면, 상기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형성하는 제 6 단계와;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되는 광의 세기가 상기 기설정 강도 이하이면, 상기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광센서에서 출력된 광원이 상기 나침반의 밝은 부분에서 반사될 때 구현되며, 상기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광센서에 출력된 광원이 상기 나침반의 어두운 부분에서 반사될 때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6 단계 및 제 7 단계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은 레이저 포인터 또는 총기류의 전원 제어 방법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4636A KR100392784B1 (ko) | 2001-09-06 | 2001-09-06 |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4636A KR100392784B1 (ko) | 2001-09-06 | 2001-09-06 |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1387A KR20030021387A (ko) | 2003-03-15 |
KR100392784B1 true KR100392784B1 (ko) | 2003-07-25 |
Family
ID=2772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46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2784B1 (ko) | 2001-09-06 | 2001-09-06 |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9278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1263Y1 (ko) * | 1989-11-14 | 1993-03-22 | 대우전자 주식회사 | 상부 캐비넷 고정장치 |
KR950012823A (ko) * | 1993-10-08 | 1995-05-17 | 김주용 |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KR950020587U (ko) * | 1993-12-30 | 1995-07-26 | 엘지전자주식회사 | 광센서를 이용한 노트북피씨의 전원제어장치 |
US6188182B1 (en) * | 1996-10-24 | 2001-02-13 | Ncon Corporation Pty Limited | Power control apparatus for lighting systems |
-
2001
- 2001-09-06 KR KR10-2001-0054636A patent/KR10039278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01263Y1 (ko) * | 1989-11-14 | 1993-03-22 | 대우전자 주식회사 | 상부 캐비넷 고정장치 |
KR950012823A (ko) * | 1993-10-08 | 1995-05-17 | 김주용 |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KR950020587U (ko) * | 1993-12-30 | 1995-07-26 | 엘지전자주식회사 | 광센서를 이용한 노트북피씨의 전원제어장치 |
US6188182B1 (en) * | 1996-10-24 | 2001-02-13 | Ncon Corporation Pty Limited | Power control apparatus for lighting system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1387A (ko) | 2003-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84708B2 (en) | Remote processing of workpieces | |
JPH0760753B2 (ja) | 照明装置 | |
WO2003036364A3 (en) | System architecture of optical switching fabric | |
KR100392784B1 (ko) | 나침반을 이용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20140001343A1 (en) | Antiglare apparatus having a self-diagnosis mode | |
US7612764B2 (en) | Position tracking sensor of optical mous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9921061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construction laser | |
JP4683790B2 (ja) | 感度設定機能付センサ | |
EP0624422B1 (en) | Status indicator system for a laser beam | |
US20230218363A1 (en) | System for monitoring a surgical luminaire assembly | |
JP3804194B2 (ja) | 照明制御装置 | |
JPH10125479A (ja) | 照明制御システム | |
JPH09105855A (ja) | カメラのレンズ制御装置及び交換レンズ | |
JP2001264118A (ja) | 回転監視装置 | |
JPH11307279A (ja) | 照明装置 | |
JP2885290B2 (ja) | レーザ装置 | |
JPH05134751A (ja) | 光信号受信装置における光ビーム自動追尾装置 | |
KR19990068903A (ko) | 평판표시기기의 화면밝기 자동조절회로 | |
JPH07124107A (ja) | 内視鏡用光源装置 | |
JP2646722B2 (ja) | 注視方向検出装置 | |
KR980003949A (ko) | 빛 감지에 의한 전원 자동차단장치 및 방법 | |
KR970037392A (ko) | 광센서를 이용한 헤드라이트 자동조절장치 | |
KR100237956B1 (ko) | 컴퓨터용 모니터의 전원 제어장치 | |
KR0173748B1 (ko) | 지능형 조명기구 | |
KR19980057845U (ko) | 프로젝터의 조작키 자동 점등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