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379B1 - 아래층과현재층의모드를이용한신축형이진영상부호화/복호화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아래층과현재층의모드를이용한신축형이진영상부호화/복호화방법및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2379B1 KR100392379B1 KR1019980027641A KR19980027641A KR100392379B1 KR 100392379 B1 KR100392379 B1 KR 100392379B1 KR 1019980027641 A KR1019980027641 A KR 1019980027641A KR 19980027641 A KR19980027641 A KR 19980027641A KR 100392379 B1 KR100392379 B1 KR 1003923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coded
- intra
- layer
- enco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 the spatial doma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2—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 given display mode, e.g. for interlaced or progressive display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 H04N19/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involving scalability at the object level, e.g. video object layer [V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volving multiple description coding [MDC], i.e. with separate layers being structured as independently decodable descriptions of input pictur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0)
- 아래층(lower layer) 및 현재층(current layer)의 모드를 이용하여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binary image)을 부호화하는 장치-상기 장치에서 상기 이진 영상은 상이한 해상도(resolution)를 갖는 복수의 층(layer)으로 인코딩됨-에 있어서,그 전단의 서브샘플링수단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서브샘플링하는 복수의 서브샘플링수단;상기 서브샘플링수단에서 서브샘플링된 각 층의 영상을 입력받아 소정 크기의 매크로 블럭 단위로 분할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스캔순서변환수단; 및각 층의 영상 매크로 블럭(image macro block), 아래층의 영상 블럭(image block) 및 각 층의 이전 영상(previous image)을 상기 스캔순서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받아 "all_0", "all_255" 및 "intra predicted"(종래의 "intra not coded")의 3가지 모드를 하나의 "intra not coded" 모드로 부호화하고, "intra CAE" 또는 "intra coded"모드를 "intra coded" 모드로 부호화하고, "intra not coded && MVD==0" 및 "intra not coded && MVD!=0"를 "intra coded" 모드로 하여 신축형 형상 부호화하는 복수의 신축형형상부호화수단을 포함하되,상기 신축형형상부호화수단은기본층(base layer)의 상기 신축형형상부호화수단으로부터 움직임벡터(motion vector)를 입력받아 상기 움직임 벡터를 상기 현재층과 기본츠의 비율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움직임벡터조정수단;상기 현재층의 이전 영상 및 상기 움직임벡터조정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조정된 움직임 벡터를 입력받아 상기 현재층의 이전 영상으로부터 현재 매크로 블럭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서 출력하는 움직임보상수단;상기 현재층 영상의 매크로 블럭과 움직임 보상된 현재층의 이전 영상을 입력받아 CAE부호화하는 CAE부호화수단;상기 현재층 영상과 아래층 영상의 매크로 블럭을 입력받아 스캔인터리빙 방법으로 부호화하는 스캔인터리빙부호화수단;상기 현재층 영상과 아래층 영상의 매크로 블럭을 입력받아 상기 매크로 블럭이 "intra not coded" 모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intra not coded" 모드결정수단;상기 현재층 영상의 매크로 블럭과 상기 움직임보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현재층의 움직임 보상된 이전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현재층 매크로 블럭이 "intra not coded"모드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intra not coded" 모드결정수단;상기 스캔인터리빙부호화수단 및 CAE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비트 스트림의 크기를 비교하여 작은 비트 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상기 "intra not coded" 모드결정수단, "intra not coded"모드 결정수단 및비교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의 조합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드테이블저장수단; 및상기 "intra not coded" 모드결정신호, "intra not coded"모드 결정신호 및 비교수단의 비교결과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캔인터리빙부호화수단 및 CAE부호화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intra not coded" 모드결정수단은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에 대응하는 아래층의 매크로 블럭을 업샘플링하여 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과 상기 업샘플링된 매크로 블럭의 차분 절대치를 추출하고, 상기 차분 절대치가 임계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물체/배경비부호(non-code)판단수단;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에 대응하는 아래층의 매크로 블럭을 입력받아 물체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아래층물체모드판단수단;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에 대응하는 아래층의 매크로 블럭을 입력받아 배경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아래층배경모드판단수단;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을 입력받아 배경모드인지를 판단하는 현재층물체모드판단수단;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을 입력받아 물체모드인지를 판단하는 현재층배경에러판단수단; 및상기 물체/배경비부호판단수단, 아래층물체모드판단수단, 아래층배경모드판단수단, 현재층물체모드판단수단 및 현재층배경에러판단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논리연산하여 "all_0", "all_255" 및 "intra prdicted"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발생되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연산수단을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intra not coded" 모드결정수단은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 및 이전영상의 움직임 보상된 대응 매크로 블럭을 입력받아 차분 절대치를 추출하는 차분절대치추출수단;상기 차분 절대치가 임계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에러비교수단; 및상기 에러비교수단의 출력과 현재 입력되는 영상의 모드를 표시하는 정보를 앤드(AND)연산하는 앤드(AND) 게이트를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물체/배경비부호판단수단은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에 대응하는 아래층의 매크로 블럭을 업샘플링하는 업샘플링수단;상기 업샘플링된 아래층 매크로 블럭과 현재 매크로 블럭과의 차분 절대치를 추출하는 차분절대치추출수단; 및상기 추출된 차분 절대치가 임계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에러비교수단을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아래층물체모드판단수단은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에 대응하는 아래층의 모든 영상이 물체값을 갖는지를 판단하여 모두 물체값을 가지면 '1'을 출력하고 모두 물체값을 갖지 않으면 '0'을 출력하는 물체판단수단;상기 아래층의 이전 영상의 매크로 블럭의 모드 및 상기 물체판단수단의 출력을 오어(OR)연산하는 오어(OR)게이트를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츠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아래층배경모드판단수단은상기 아래층 대응 매크로 블럭의 픽셀값이 임계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에러비교수단;상기 현재 매크로 블럭에 대응하는 아래층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모든 픽셀이 배경값으로서 '0'을 갖는지를 판단하는 배경판단수단, 및상기 에러비교수단 및 배경판단수단의 출력을 오어(OR)연산하는 오어(OR)게이트를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현재층물체모드판단수단은입력되는 현재 매크로 블럭과 모드 0 값을 갖는 매크로 블럭의 차분값을 구하고, 상기 차분값의 절대치를 추출하는 물체차분절대치추출수단; 및상기 추출된 차분 절대치가 임계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에러비교수단를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아래층(lower layer)의 블럭 및 현재층(current layer)의 블럭의 관계를 이용하여 각 층의 영상을 소정 사이즈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현재층을 부호화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binary image) 부호화 방법-상기 방법에서 상기 이진 영상은 상이한 해상도(resolution)를 갖느 복수의 층(layer)으로 인코딩됨-에 있어서,상기 아래층의 블럭으로부터 업샘플링되어 상기 현재층이 구성된 경우에 상기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MPEG-4의 기본층에서 "all_0", "all_255" 및 "intra not coded")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intra not coded" 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을 부호화하지 않고 "intra not coded" 모드를 표시하는 부가 정보만을 복호화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intra not coded"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intra coded" 모드 및 "intra not coded" 모드의 움직임벡트를 아래층의 움직임벡터를 현재층 영상과 아래층 영상 크기의 비율로 조정하여 움직임벡터를 재생하는 제3단계;상기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intra not coded" 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을 부호화하지 않고 "intra not coded" 모드를 표시하는 부가정보만을 복호화 장치로 전송하는 제5단계;상기 제4단계의 판단결과, "intra not coded" 모드가 아닌 겨우에는 상기 현재층의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 모드가 "intra coded"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6단계;상기 제6단계의 판단결과, "intra coded" 모드인 경우에는 "intra coded" 모드를 표시하는 부가정보와 함께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을 스캔인터리빙방법으로 부호화한 데이터를 복호화 장치로 전송하는 제7단계; 및상기 제6단계의 판단결과, "intra coded" 모드가 아닌 경우 "intra coded"모드를 표시하는 부가정보와 함께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을 CAE 부호화한 데이터를 복호화 장치로 전송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7단계는ESD(Exceptional Sample Data)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ESD가 존재하면 모든 매크로 블럭에 대해서CAE(Context-based Arithmetic Encode)부호화를 수행하며, ESD가 존재하지 않으면 TSD(Transitional Sample Data)에 대해서만 CAE부호화를 수행하는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
- 각 층의 비트스트림, 기본층(base layer)의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 아래층(lower layer)의 복호화 영상(decoding image) 및 이전 영상(previous image)을 각각 수신하여 신축형 형상 복호(scalable shape decoding)를 수행하는 복수의 신축형형상복호화 수단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binaryimage)을 복호화하는 장치-상기 장ㅊ치에서 상기 이진 영상은 상이한 해상도(resolution)를 갖는 복수의 층(layer)으로 디코딩됨-에 있어서,상기 신축형 형상 복호화수단은움직임 벡터를 입력받아 상기 움직임 벡터를 현재층(current layer)과 기본층의 비율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움직임벡터조정수단;상기 현재층의 이전 영상과 상기 움직임벡터조정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조정된 움직임 벡터를 입력받아 상기 현재층의 이전 영상으로부터 현재 매크로 블럭에 해당하는 매크로 블럭을 움직임 보상하여 출력하는 움직임보상수단;현재층 비트스트림 및 영상의 모드를 표시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모드정보를 복호하는 모드복호수단;아래층 영상의 매크로 블럭 및 상기 매크로 블럭의 모드를 입력받아 사전에 결정된 규칙에 따라 처리하여 현재 영상 매크로 블럭을 출력하는 "intra not coded" 매크로블럭구성수단;현재층 영상의 비트스트림 및 움직임 보상된 현재층의 이전 영상을 입력받아 CAE를 수행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CAE부호화수단;현재층 영상의 비트스트림 및 아래층 영상의 매크로 블럭을 입력받아 스캔 인터리빙 방법으로 복호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캔인터리빙복호화수단; 및상기 모드복호수단에서 복호된 모드에 따라 상기 각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다중화 수단을 포함하는 아래층과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이진영상 복호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intra not coded" 매크로블럭구성수단은현재 매크로 블럭에 대응하는 아래층의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모든 픽셀이 '255'이면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0"을 출력하는 물체모드판단수단;아래층 매크로 블럭의 모드가 "all_255"이거나 상기 물체모드판단수단의 출력이 '1'이면 "1"을 출력하는 제1오어(OR)게이트;아래층 매크로 블럭 내의 픽셀 중 현재층 매크로 블럭에 해당하는 영역 내의 모든 픽셀이 '0'이면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0"을 출력하는 배경모드판단수단;아래층 매크로 블럭의 모드가 "all_0"이거나 상기 배경모드판단수단의 출력이 '1'이면 "1"을 출력하는 제2오어(OR)게이트;모든 픽셀이 '0'의 값을 갖는 매크로 블럭을 생성하는 "all_0" 블럭생성수단;모든 픽셀이 '255'의 값을 갖는 매크로 블럭을 생성하는 "all_255" 블럭생성수단;아래층의 영역을 업샘플링(up sampling)하여 현재 매크로 블럭을 구성하는 업샘플링수단;상기 제1오어(OR)게이트의 출력신호에 응하여 상기 "all_255" 블럭생성수단또는 상기 업샘플링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는 제1멀티플렉서; 및상기 제2오어(OR)게이트의 출력신호에 응하여 상기 "all_0" 블럭생성수단 또는 상기 제1멀티플렉서의 출력을 선택하는 제2멀티플렉서을 포함하는 아래층과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이진영상 복호화 장치.
- 아래층(lower layer)의 블럭 및 현재층(current layer)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binary image)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입력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의 부호화 모드를 복호하는 제1단계;상기 제1단계에서 복호된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MPEG-4의 기본층에서 "all_0, "all_255 및 "intra not coded")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intra not coded" 모드인 경우에는 아래층의 해당 매크로 블럭의 모드에 따라 복호화 없이 화소를 선택하는 제3단계;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intra not coded"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아래층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하여 "intra coded" 모드 및 "intra not coded" 모드의 움직임벡터를 현재층 영상과 아래층 영상 크기의 비율로 조정하여 움직임벡터를 재생하는 제4단계;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5단계;상기 제5단계의 판단결과, "intra not coded" 모드인 경우에는 복호화하지않고 이전 영상에서 움직임 보상하여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을 채우는 제6단계;상기 제5단계의 판단결과, "intra not coded"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ra coded" 모드인지를 판단하느 제7단계;상기 제7단계의 판단결과, "intra coded" 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을 스캔인터리빙방법으로 복호화하는 제8단계; 및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intra coded" 모드가 이닌 경우에는 현재층의 매크로 블럭을 CAE 복호화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아래층 및 현재층의 모드를 이용한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복호화 방법.
-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vinary image)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아래층(lower layer) 및 현재층(current layer)의 부호화 모드를 (1) "intra not coded" (2) "intra coded" (3) "intra not coded" 및 (4) "intra coded"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되 하기 표1에 따라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표1상기 아래층 모드가 (1)인 경우 상기 고위층은, 상기 고위층 모드가 (1)이면 "1", 상기 고위층 모드가 (2)이면 "01", 상기 고위층 모드가 (3)이면 "001", 상기 고위층 모드가 (4)이면 "000"로 결정되고;상기 아래층 모드가 (2)인 경우 상기 고위층은, 상기 고위층 모드가 (1)이면 "110", 상기 고위층 모드가 (2)이면 "0", 상기 고위층 모드가 (3)이면 "10", 상기 고위층 모드가 (4)이면 "111"로 결정되고;상기 아래층 모드가 (3)인 경우 상기 고위층은, 상기 고위층 모드가 (1)이면 "001", 상기 고위층 모드가 (2)이면 "01", 상기 고위층 모드가 (3)이면 "1", 상기 고위층 모드가 (4)이면 "000"으로 결정되고;상기 아래층 모드가 (4)인 경우 상기 고위층은, 상기 고위층 모드가 (1)이면 "110", 상기 고위층 모드가 (2)이면 "0", 상기 고위층 모드가 (3)이면 "111", 상기고위층 모드가 (4)이면 "10"으로 결정됨.
- 재13항에 있어서,상기 아래층의 (1), (2), (3) 및 (4)의 모드 각각이 기본층(base layer)의 모드인 경우에 상기 아래층의 (1), (2), (3) 및 (4)의 모드는 아래와 같이 매핑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1) "all_0" 또는 "all_255"(2) "intraCAE"(3) "MVDs == 0 && No Update" 또는 "MVDs! == 0 && No Update"(4) "intraCAE && MVDs == 0" 또는 "intraCAE && MVDs! = 0"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아래층 및 현재층의 부호화 모드가 상기 "intra not coded" 및 "intra coded"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것은하기 표2에 따라 결정되는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부호화 방법.표2상기 아래층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고위층은 "1"로 결정되고;상기 아래층 모드가 "intra coded"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고위층은 "01"로 결정됨.
- 아래층(base layer) 영상보다 높은 해상도(resolution)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위층(enhancement layer) 영상을 포함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binary image)을 고위층의 부호화 모드를 이용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고위층의 영상을 소정 크기의 블럭으로 분할하는 제1단계;상기 고위층의 각 블럭에 있는 화소(pixel)들을 아래층의 해당 영역 화소들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고위층의 각각의 블럭에 대한 부호화 모드를 (1) "intra not coded" 모드,(2) "intra coded" 모드,(3) "intra not coded" 모드 및 (4) "intra coded"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제2단계;상기 고위층에 있는 P-VOP(Predictive-coded Video Object Plane)에 대한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 및 "intra coded" 모드 중 하나일 경우, 상기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제3단계; 및상기 고위층에 있는 B-VOP(Bidirectionally predictive coded VOP)에 대한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 "intra coded" 모드, "intra not coded" 모드 및 "intra coded" 모드 중 하나일 경우, 상기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intra not coded" 모드는각 고위층 블럭에 있는 화소들 중에서 상응하는 아래층의 화소와 다른 값을 가는 화소들의 수가 기준 값보다 적으며, 고위층이 intra mode CAE 부호화되어있지않음을 나타내고,상기 "intra coded" 모드는상기 고위층이 intra mode CAE 부호화되었음을 나타내며,상기 "intra not coded" 모드 및 상기 "intra coded"모드는움직임 벡ㅌ터(motion vector)가 고위층 블럭의 예측을 위해 부호화되지 않았고 아래층 블럭의 움직임 벡터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며,상기 "intra not coded" 모드는현재 VOP의 화소들 중에서 이전의 VOP로부터 예측된 각 고위층 블럭의 화소와 다른 값을 갖는 화소의 수가 기준 값보다 적으며, 고위층의 현재 블럭이 intra mode CAE 부호화 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상기 "intra coded" 모드는고위층의 현재 블럭이 intra mode CAE 부호화 되었음을 나타내는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제3단계는,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er not coded" 모드일 경우, "intra not coded"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ra coded" 모드일 경우, 고위층 블럭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 CAE(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여 제1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intra coded"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 및 제1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제1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ESD(Exceptional Sample Data)의 존재유무에 대한 정보를 보내고, ESD가 존재하면 상기 고위층 블럭 전체를 부호화하고, ESD가 존재하지 않으면 TSD(Transitional Sample Data)만을 부호화하는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4단계는,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ra coded" 모드일 경우, 고위층 블럭을 인터 모드(intra mode) CAE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여 제2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intra coded"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 및 제2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에서 B-VOP를 위한 상기 부가정보는다음의 표3에 기재된 값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표3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아래층의 부호화 모드들 (1), (2), (3) 및 (4)가 기본층(base layer)의 부호화 모드들일 경우, 각각 다음과 같이 매핑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1) "all_0" 또는 "all_255"(2) "intraCAE"(3) "MVDs == 0 && No Update" 또는 "MVDs! = 0 && No Update"(4) "intraCAE && MVDs == 0" 또는 "intraCAE && MVDs! = 0"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에서 P-VOP를 위한 상기 부가정보는다음의 표4에 기재된 값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표 4
- 아래층(base layer) 영상보다 높은 해상도(resolution)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위층(enhancement layer) 영상을 포함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binary image)을 고위층의 부호화 모드를 이용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1) "intra not coded" 모드,(2)"intra coded" 모드,(3)"intra not coded" 모드 및 (4)"intra coded" 모드 중 하나인 상기 고위층의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는 제1단계;상기 고위층에 있는 P-VOP(Predictive-coded Video Object Plane)에 대한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 및 "intra coded" 모드 중 하나일 경우, 상기 부호화 모드에 따라 상기 고위층 블럭에 존재하는 화소들을 재생하는 제2단계; 및상기 고위층에 있는 B_VOP(Bidirectionally predictive coded VOP)에 대한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 "intra coded" 모드, "intra not coded" 모드 및 "intra coded" 모드 중 하나일 경우, 상기 부호호ㅘ 모드에 따라 상기 고위층의 블럭을 재생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신축형 이진 영상 복호화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intra not coded" 모드는각 고위층 블럭에 있는 화소들 중에서 상응하는 아래층의 화소와 다른 값을 갖는 화소들의 수가 기준 값보다 적으며, 고위층이 intra mode CAE 부호화되어있지 않음을 나타내고,상기 "intra coded" 모드는상기 고위층이 intra mode CAE 부호화되었음을 나타내며,상기 "intra not coded" 모드 및 상기 "intra coded"모드는움직임 벡터(motion vector)가 고위층블럭의 예측을 위해 부호화되지 않았고 아래층 블럭의 움직임 벡터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며,상기 "intra not coded" 모드는현재 VOP의 화수들 중에서 이전의 VOP로부터 예측된 각 고위층 블럭의 화소와 다른 값을 갖는 화소의 수가 기준 값보다 적으며, 고위층의 현재 블럭이 intra mode CAE 부호화 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상기 "intra coded" 모드는고위층의 현재블럭이 intra mode CAE 부호화 되었음을 나타내는신축형 이진 영상 복호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는,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이고, 상기 고위층 블럭에 상응하는 아래층 블럭의 모든 화소가 "0" 인 경우, 상기 고위층 블럭내의 모든 화소를 "0"으로 치환하는 단계;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이고, 상기 고위층 블럭에 상응하는 아래층 블럭의 모든 화소가 "255" 인 경우, 상기 고위층 블럭내의 모든 화소를 "255"로 치환하는 단계;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이고, 상기 고위층 블럭에 상응하는 아래층 블럭의 모든 화소가 "0" 도 아니고 "255"도 아닌 경우, 상기 아래층 블럭으로부터 예측되어 구성된 블럭을 고위층 블럭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축형 이진 영상 복호화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에서 B-VOP를 위한 상기 부가정보는다음의 표5에 기재된 값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복호화 방법.표5
- 제27항에 있어서,상기 아래층의 부호화 모드들, 즉 (1), (2), (3) 및 (4)가 기본층(base layer)의 부호화 모드일 경우, 각각 다음과 같이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복호화 방법.(1) "all_0" 또는 "all_255"(2) "intraCAE"(3) "MVDs == 0 && No Update" 또는 "MVDs! = 0 && No Update"(4) "interCAE && MVDs == 0" 또는 "interCAE && MVDs! = 0"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에서 P-VOP를 위한 상기 부가정보는다음의 표6에 기재된 값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복호화 방법.표6
- 아래층(base layer) 영상보다 높은 해상도(resolution)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위층(enhancement layer) 영상을 포함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binary image)을 고위층의 부호화 모드를 이용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의 영상을 소정 크기의 블럭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 수단;상기 고위층의 각 블럭에 있는 화소들을 아래층의 해당 영역 화소들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고위층의 각각의 블럭에 대한 부호화 모드를 (1) "intra not coded" 모드,(2) "intra coded" 모드,(3) "inter not coded" 모드 및 (4) "inter coded"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기위한 부호화 모드 결정 수단;상기 고위층에 있는 P-VOP(Predictive-coded Video Object Plane)에 대한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 및 "intra coded" 모드 중 하나일 경우, 상기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1부호화 수단; 및상기 고위층에 있는 B-VOP(Bidirectionally predictive coded VOP)에 대한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 "intra coded" 모드, "inter not coded" 모드 및 "inter coded" 모드 중 하나일 경우, 상기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2부호화 수단를 포함하는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intra not coded" 모드는각 고위층 블럭에 있는 화소들 중에서 상응하는 아래층의 화소와 다른 값을 갖는 화소들의 수가 기준 값보다 적으며, 고위층이 intra mode CAE 부호화되어있지 않음을 나타내고,상기 "intra coded" 모드는상기 고위층이 intra mode CAE 부호화되었음을 나타내며,상기 "inter not coded" 모드 및 상기 "inter coded"모드는움직임 벡터가 고위층블럭의 예측을 위해 부호화되지 않았고 아래층 블럭의 움직임 벡터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며,상기 "inter not coded" 모드는현재 VOP의 화소들 중에서 이전의 VOP로부터 예측된 각 고위층 블럭의 화소와 다른 값을 갖는 화소의 수가 기준 값보다 적으며, 고위층의 현재 블럭이 intermode CAE 부호화 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inter coded" 모드는고위층의 현재블럭이 inter mode CAE 부호화 되었음을 나타내는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제1부호화 수단은,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ra coded" 모드일 경우, 고위층 블럭을 부호화하여 인트라(intra) 모드 CAE(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 방식에 따라 제1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intra coded"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와 제1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제2부호화 수단은,상기 부호화 모드가 "inter coded" 모드일 경우, 고위층 블럭을 부호화하여 인터(inter) 모드 CAE 방식에 따라 제2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inter coded"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와 제2부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에서 B-VOP를 위한 상기 부가정보는다음의 표7에 기재된 값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표7
- 제31항에 있어서,상기 아래층의 부호화 모듣들 즉, (1), (2), (3) 및 (4)가 기본 계층 (base layer)의 부호화 모드들일 경우, 각각 다음과 같이 매핑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1) "all_0" 또는 "all_255"(2) "intraCAE"(3) "MVDs == 0 && No Update" 또는 "MVDs! = 0 && No Update"(4) "interCAE && MVDs == 0" 또는 "interCAE && MVDs! = 0"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에서 P-VOP를 위한 상기 부가정보는다음의 표8에 기재된 값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표8
- 아래층(lower layer) 영상보다 높은 해상도(resolution)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위층(enhancement layer) 영상을 포함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scalable shape binary image)을 고위층의 부호화 모드를 이용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신축형 이진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1) "intra not coded" 모드, (2)"intra coded" 모드, (3)"inter not coded" 모드 및 (4)"inter coded" 모드 중 하나인 상기 고위층의 부호화 모드를 나타내는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부호화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부호화 모드 결정 수단;상기 고위층에 있는 P-VOP(Predictive-coded Video Object Plane)에 대한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 및 "intra coded" 모드 중 하나일 경우, 상기 부호화 모드에 따라 상기 고위층 블럭에 존재하는 화소들을 재생하기 위한 제1복호화 수단; 및상기 고위층에 있는 B-VOP(Bidirectionally predictive coded VOP)에 대한 부호화 모드가 "intra not coded" 모드, "intra coded" 모드, "inter not coded" 모드 및 "inter coded" 모드 중 하나일 경우, 상기 부호화 모드를에 따라 상기 고위층의 블럭을 재생하기 위한 제2복호화 수단를 포함하는 신축형 이진 영상 부호화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intra not coded" 모드는각 고위층 블럭에 있는 화소들중에서 상응하는 아래층의 화소와 다른 값을 갖는 화소들의 수가 기준 값보다 적으며, 고위층이 부호화되어있지 않음을 나타내고,상기 "intra coded" 모드는상기 고위층이 부호화되었음을 나타내며,상기 "inter not coded" 모드 및 상기 "inter coded"모드는움직임 벡터가 고위층 블럭의 예측을 위해 부호화되지 않았고 아래층 블럭의 움직임 벡터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며,상기 "inter not coded" 모드는현재 VOP의 화소들 중에서 이전의 VOP로부터 예측된 각 고위층 블럭의 화소와 다른 값을 갖는 화소의 수가 기준 값보다 적으며, 고위층의 현재 블럭이 부호화 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상기 "inter coded" 모드는고위층의 현재 블럭이 부호화 되었음을 나타내는신축형 이진 영상 복호화 장치.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에서 B-VOP를 위한 상기 부가정보는다음의 표9에 기재된 값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표9
- 제38항에 있어서,상기 아래층의 부호화 모드들 (1), (2), (3) 및 (4)이 기본 계층(base layer)의 부호화 모드들일 경우, 각각 다음과 같이 매핑되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복호화 장치.(1) "all_0" 또는 "all_255"(2) "intraCAE"(3) "MVDs == 0 && No Update" 또는 "MVDs! = 0 && No Update"(4) "interCAE && MVDs == 0" 또는 "interCAE && MVDs! = 0"
- 제36항에 있어서,상기 고위층에서 P-VOP를 위한 상기 부가정보는다음의 표10에 기재된 값을 갖는 신축형 형상 이진 영상 부호화 장치.표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7-31815 | 1997-07-02 | ||
KR19970031815 | 1997-07-09 | ||
KR1019970031815 | 1997-07-09 | ||
KR1019970032644 | 1997-07-14 | ||
KR19970032644 | 1997-07-14 | ||
KR97-32644 | 1997-07-14 | ||
KR1019970038946A KR19990016416A (ko) | 1997-08-14 | 1997-08-14 | 이진 모양정보의 신축형 모양정보 부호화시 부가정보 부호화방법 |
KR97-38946 | 1997-08-14 | ||
KR1019970038946 | 1997-08-14 | ||
KR98-09479 | 1998-03-19 | ||
KR1019980009479 | 1998-03-19 | ||
KR1019980009479A KR19990075333A (ko) | 1998-03-19 | 1998-03-19 | 모양정보의 신축형 부호화시에 부호화모드를 결정하는 부가정보부호화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3733A KR19990013733A (ko) | 1999-02-25 |
KR100392379B1 true KR100392379B1 (ko) | 2003-11-28 |
Family
ID=2748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276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2379B1 (ko) | 1997-07-09 | 1998-07-09 | 아래층과현재층의모드를이용한신축형이진영상부호화/복호화방법및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0890923A3 (ko) |
JP (2) | JP3596728B2 (ko) |
KR (1) | KR1003923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7197B2 (en) | 2021-01-25 | 2022-12-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13001B1 (fr) * | 2000-08-11 | 2002-12-20 | Thomson Multimedia Sa | Procede de conversion de format couleur d'une sequence d'images |
FI120125B (fi) * | 2000-08-21 | 2009-06-30 | Nokia Corp | Kuvankoodaus |
KR100472457B1 (ko) * | 2002-06-21 | 2005-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차등 영상 압축 방법 및 그 장치 |
KR100679025B1 (ko) * | 2004-11-12 | 2007-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 계층 기반의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
KR100896279B1 (ko) | 2005-04-15 | 2009-05-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 신호의 스케일러블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
KR100703776B1 (ko) * | 2005-04-19 | 2007-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향상된 코딩 효율을 갖는 컨텍스트 기반 적응적 산술 코딩및 디코딩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이를 포함하는 비디오코딩 및 디코딩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
CN101288311B (zh) * | 2005-10-12 | 2011-05-11 | 汤姆森特许公司 | 用于可分级视频编码和解码中的加权预测的方法和装置 |
KR100763196B1 (ko) * | 2005-10-19 | 2007-10-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어떤 계층의 플래그를 계층간의 연관성을 이용하여부호화하는 방법, 상기 부호화된 플래그를 복호화하는방법, 및 장치 |
US9100621B2 (en) | 2010-12-08 | 2015-08-04 | Lg Electronics Inc. | Intra prediction in image processing |
US9743097B2 (en) * | 2013-03-01 | 2017-08-22 | Qualcomm Incorporated | Spatial motion vector scaling for scalable video coding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49812A (en) * | 1987-03-10 | 1989-07-18 | U.S. Philips Corporation | Television system in which digitized picture signals subjected to a transform coding are transmitted from an encoding station to a decoding station |
KR940025195A (ko) * | 1993-04-13 | 1994-11-19 | 김광호 | 동작추정에 의한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
WO1995004914A1 (en) * | 1993-08-04 | 1995-02-16 | Data Measurement Corporation | Virtual two gauge profile system |
US5414469A (en) * | 1991-10-31 | 1995-05-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otion video compression system with multiresolution features |
KR950026255A (ko) * | 1994-02-28 | 1995-09-18 | 배순훈 | 계층적 부호화를 이용한 개선된 상위계층의 움직임 벡터 전송 장치 및 방법 |
-
1998
- 1998-07-09 KR KR1019980027641A patent/KR10039237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7-09 JP JP19480998A patent/JP3596728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7-09 EP EP19980305471 patent/EP0890923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4
- 2004-03-02 JP JP2004058266A patent/JP2004242341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49812A (en) * | 1987-03-10 | 1989-07-18 | U.S. Philips Corporation | Television system in which digitized picture signals subjected to a transform coding are transmitted from an encoding station to a decoding station |
US5414469A (en) * | 1991-10-31 | 1995-05-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otion video compression system with multiresolution features |
KR940025195A (ko) * | 1993-04-13 | 1994-11-19 | 김광호 | 동작추정에 의한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
WO1995004914A1 (en) * | 1993-08-04 | 1995-02-16 | Data Measurement Corporation | Virtual two gauge profile system |
KR950026255A (ko) * | 1994-02-28 | 1995-09-18 | 배순훈 | 계층적 부호화를 이용한 개선된 상위계층의 움직임 벡터 전송 장치 및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7197B2 (en) | 2021-01-25 | 2022-12-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90923A2 (en) | 1999-01-13 |
KR19990013733A (ko) | 1999-02-25 |
JPH11150730A (ja) | 1999-06-02 |
JP3596728B2 (ja) | 2004-12-02 |
EP0890923A3 (en) | 2005-06-15 |
JP2004242341A (ja) | 2004-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8083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decoding scalable shape binary image, using mode of lower and current layers | |
US6983018B1 (en) | Efficient motion vector coding for video compression | |
US10390028B2 (en) | Methods for palette coding of image and video data | |
JP7085021B2 (ja) | 動画の符号化並びに復号の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CN112470474A (zh) | 基于历史的仿射合并和运动矢量预测 | |
US9020047B2 (en) | Image decoding device | |
US6690724B1 (en) |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and data recording medium | |
CN113424541A (zh) | 用于变换跳过模式和块差分脉冲编码调制的残差编解码 | |
KR19990071425A (ko) | 이진 형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방법_ | |
KR100392379B1 (ko) | 아래층과현재층의모드를이용한신축형이진영상부호화/복호화방법및장치 | |
CN110971902A (zh) | 视频解码的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 | |
CN113615201A (zh) | 点云压缩的方法和装置 | |
JP3518733B2 (ja) | 物体単位映像信号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方法 | |
EP0939554A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 transparency signal | |
US6133955A (en) | Method for encoding a binary shape signal | |
JP3466164B2 (ja) |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化方法、及び媒体 | |
CN113841412A (zh) | 基于cu的插值滤波器选择的信令 | |
KR102794774B1 (ko) | 미러링 기반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 |
KR100535632B1 (ko) | 적응적으로 보더링하는 모양정보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 |
KR100476386B1 (ko) | 신축형대상물영상의스캔인터리빙방법및이를이용한mpeg-4의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방법 | |
KR100466591B1 (ko) | 영상정보부호화시물체경계블록합병후합병된블록내의픽셀값을부호화하는방법 | |
KR100477795B1 (ko) | 이진모양정보의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시부가정보부호화방법 | |
HK40070671A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for video decoding | |
HK4006413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 cloud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 |
KR100476384B1 (ko) | 신축형대상물영상의스캔인터리빙방법및이를이용한mpeg-4의신축형모양정보부호화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3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7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1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