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132B1 -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90132B1 KR100390132B1 KR1019950044599A KR19950044599A KR100390132B1 KR 100390132 B1 KR100390132 B1 KR 100390132B1 KR 1019950044599 A KR1019950044599 A KR 1019950044599A KR 19950044599 A KR19950044599 A KR 19950044599A KR 100390132 B1 KR100390132 B1 KR 1003901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rding
- winding
- body portion
- main body
- external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자기 테이프와 같은 기록 매체용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본체부와, 신호선 및 권취 기구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수용한다. 외부 기기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조작 모드를 설정해주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유니트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로부터의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 음향 변환기를 포함한다. 외부 기기는 본체부로부터 착탈될 수 있으며,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신호를 교환한다. 신호선은 외부 기기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상호 접속시킨다. 신호선은 한 단부가 외부 기기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가 본체부 내에 수용된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정보 신호를 교환한다. 권취 기구는 신호선을 권취하고 이를 본체부 내에 수용한다.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for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tape includes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 main body portion, a signal line and a winding mechanism. The body portion houses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he external device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ignal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nd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converting a signal from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into an audible sound. The external device can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and exchanges signals with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he signal line interconnects the external device and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he signal line is connected at one end to an external device and at the other end to a circuit board housed in the body portion to exchange information signals with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he winding mechanism winds up the signal line and accommodates it in the body portion.
권취 기구는 본체부 내의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다.The winding mechanism is disposed on a circuit board in the main body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코드 권취 기능을 갖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code winding function.
이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중에는, 자기 테이프와 같은 테이프형 기록 매체를 사용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와 광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용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있다.Among thes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es, there are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tape-type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tape, and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disc-shaped recording medium such as an optical disk.
이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중에는, 본체부 내에 수용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신호 케이블을 통해 조작 모드들 사이를 절환시키기 위한 절환신호를 기록 및 재생 유니트로 입력 및 공급하기 위한 외부 기기로서 작동하는 원격 제어기를 구비한 바와 같은 장치가 있다.Among thes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es,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external device for inputting and supplying a switching signal for switching between operation modes via a signal cable to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are provided. There is an apparatus a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ler.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는 테이프 카세트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와 같은 기록 매체용의 로더(loader)와, 광 픽업 유니트 또는 자기 헤드와 같은 헤드 기기를 구비한다.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includes a loader for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tape cassette or a disc cartridge, and a head device such as an optical pickup unit or a magnetic head.
원격 제어 유니트는 신호 케이블을 통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로 조작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수동 조작에 대응해서 조작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remote control unit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in response to manual operation to supply the operation signal to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via a signal cable.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는 공급된 조작 신호에 반응하여 기록, 재생, 선곡 및 정지 사이를 절환하고 선택된 동작을 수행한다.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switches between recording, reproducing, selecting and stopping in response to the supplied operation signal and performs a selected operation.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의해 출력된 음향 신호는 신호 케이블을 통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접속된 외부 기기를 구성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헤드폰 장치)에 의해 가청 신호로 변환된다.The acoustic signal output by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ignal by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headphone device) constitut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via a signal cable.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원격 제어기를 상호 접속시키는 신호 케이블 및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헤드폰 장치를 상호 접속시키는 신호 케이블은 하나의 케이블로 합체되며, 상술한 원격 제어기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헤드폰 장치를 상호 접속시키는 신호 케이블의 중간부에 제공된다.The signal cable interconnecting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nd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signal cable interconnecting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nd the headphone device are combined into one cable, and the above-described remote controller is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nd an intermediate portion of a signal cable for interconnecting the headphone device with the headphone device.
이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중에는 본체부에 접속되어아 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헤드폰 장치를 상호 접속시키는 신호 케이블의 단부가 케이블 릴에 제공된 브러시형 전극부에 접속되는 바와 같은 장치가 있다. 이 브러시형 전극부는 본체부 내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전극부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Among thes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es, there is an apparatus such that an end of a signal cable for connecting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nd the headphone apparatus, which should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rushed electrode portion provided in the cable reel. . The brush-shaped electrod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lectrode portion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within the main body portion.
신호 케이블의 단부는 케이블 릴이 본체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후에 케이블 릴의 브러시형 전극부에 납땜된다.The end of the signal cable is soldered to the brushed electrode portion of the cable reel after the cable reel is rotatably mounted in the body portion.
케이블 릴이 본체부 내에 이미 조립되었고, 신호 케이블에 접속된 브러시형 전극부 부분이 케이블 릴의 중심에 있는 허브부 내에 있기 때문에, 신호 케이블의 단부를 브러시형 전극부에 납땜하는 작업은 곤란하고 힘든 작업이다. 즉, 납땜 작업 시에 전기적 및 기계적 신뢰도를 유지하면서도 즉각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지극히 곤란하다.Since the cable reel is already assembl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brushed electrode portion connected to the signal cable is in the hub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cable reel, the operation of soldering the end of the signal cable to the brushed electrode portion is difficult and difficult. It's work. In other word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erform work immediately while maintaining electrical and mechanical reliability during soldering.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릴 지지 축은 브리시형 전극부에 의해 접촉되도록 구성된 전극부를 갖는 인쇄 기판과는 별도로 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인쇄 기판 및 지지 부재는 케이블 릴의 근방에 중첩된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장치의 치수를 복잡화 및 대형화시킨다.In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the reel support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cable reel is supported by a support member separate from a printed board having an electrode portion configured to be contacted by a bristle electrode portion. Therefore, the printed board and the supporting member are arranged in a shape superimposed in the vicinity of the cable reel, which makes the dimensions of the device complicated and larg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which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에 따른면,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수용하는 본체부,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과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외부 기기, 및 외부 기기와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상호 접속시키는 선형 접속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선형 접속 수단을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과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외부 접속 기기에 접속된 한 단부와 본체부 내에 수용된 회로 기판에 접속된 다른 단부를 구비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본체부 내의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배치되어 접속 수단을 권취하고 본체부 내애 권취된 접속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권취 수단을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a main body portion accommodating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an external device for exchanging signals with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and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with an external device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is provided, comprising linear connecting means for interconnecting the two. And one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devi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housed in the main body portion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linear connection means with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es winding means for being disposed on a circuit board in the main body portion to wind up the connecting means and to receive the connecting means wound in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수용하는 본체부, 및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과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외부 기기를 포함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외부 기기는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comprising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a main body portion for receiving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and an external device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Is provided. The external device has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from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또한 출력 수단으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선형 접속 수단을 제1 선형 접속 수단을 권취하기 위한 제1 권취 수단, 및 외부 기기와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을 상호 접속시키는 제2 선형 접속 수단을 포함한다. 제2 선형 접속 수단을 기록 및/또는 재생 수단과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외부 기기에 접속된 한 단부와 본체부 내에 수용된 회로 기판에 접속된 다른 단부를 구비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또한 본체부 내의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제2 접속 수단을 권취하고 본체부 내에 권취된 접속 수단을 수용 하기 위한 제2 권취 수단을 구비한다.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rst linear connecting means for supplying a signal to the output means, a first winding means for winding the first linear connecting means, and interconnecting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with an external device. A second linear connecting means. And one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another end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housed in the body portion for exchanging signals with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means for the second linear connecting means.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also has second winding means arranged on a circuit board in the main body portion to wind the second connecting means and to receive the connecting means wound in the main body portion.
이하, 도면들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예로서 취해진, 테이프 카세트 상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를 참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는 이하와 같은 순서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ption is made with reference to a tape player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a tape cassette, taken as an example of 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 player devic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1] 본체부[1] body parts
[2] 원격 제어기[2] remote controls
[3] 전자 기기용 클립[3] clips for electronic devices
[4] 제1 케이블 릴[4] first cable reels
[5] 헤드폰[5] headphones
[6] 신호 케이블[6] signal cables
[7] 제2 케이블 릴[7] second cable reels
[8] 원격 제어기용 홀더[8] holders for remote control
[9] 헤드폰 홀더[9] headphone holders
[10]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조작[10] tape player operations
[1] 본체부[1] body parts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체부(1)를 구비한다. 이 본체부(1)는 섀시(2) 섀시(2)의 전방측 상에 장착된 전방 패널(3), 및 섀시(2)의 후방측 상에 장착된 카세트 리드(135)를 포함하는 외부 케이싱을 구비한다.The tape player apparatus has a main body portion 1 as shown in FIG. This body portion 1 has an outer casing comprising a front panel 3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assis 2 and a cassette lid 135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chassis 2. It is provided.
카세트 리드(135)는 한 측면측이 섀시(2)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섀시(2)와 카세트 리드(135), 즉 카세트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는 위치와, 카세트 하우징을 개방하기 위해 섀시(2)를 이격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즉, 카세트 리드(135)는 제1도의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본체부(1) 상에 장착된다.The cassette lid 135 is pivotally mount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hassis 2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chassis 2 and the cassette lid 135, i.e., the cassette housing, and to open the cassette housing. To rotate between the spaced apart chassis 2. That is, the cassette lid 135 is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1 so as to open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C in FIG.
카세트 리드(135)는 섀시(2) 내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리드 로크 기구에 의해 섀시(2)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로크된다. 섀시(2) 상에 제공된 로크 해제 레버(10)를 조작하면, 리드 로크 기구에 의한 카세트 리드(135)의 로킹이 해제되어 카세트 리드(135)가 제1도의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cassette lid 135 is lock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chassis 2 by a lead lock mechanism (not shown) provided in the chassis 2. By operating the lock release lever 10 provided on the chassis 2, the locking of the cassette lid 135 by the lid lock mechanism is released, and the cassette lid 135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C in FIG. have.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회로 기판이 섀시(2) 상에 장착되고, 이러한 상태로 섀시(2)와 본체부(1) 내의 전방 패널(3)사이에 수용된다.An electronic circuit board (not shown) constituting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is mounted on the chassis 2 and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hassis 2 and the front panel 3 in the main body 1 in this state.
섀시(2)와 카세트 리드(135) 사이의 간격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1a)을 나타낸다. 섀시(2)의 후방측 상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한 쌍의 릴 구동 축(48, 49)이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1a)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이들 릴 구동 축(48, 49)은 섀시(2) 내에 배치된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1a) 상에 로딩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카세트의 한 쌍의 테이프 릴과 결합되어 테이프 릴을 회전 구동시킨다.The gap between the chassis 2 and the cassette lid 135 represents the tape cassette housing 1a as described above. On the rear side of the chassis 2, a pair of reel drive shafts 48 and 49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are mounted to protrude into the tape cassette housing 1a. These reel drive shafts 48, 49 are rotationally driven by a motor disposed in the chassis 2 and are coupled with a pair of tape reels of a tape cassette (not shown) loaded on the tape cassette housing 1a to tape reel. Drive rotation.
섀시(2)의 후방측 상에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캡스턴 축(51, 51)과 한 쌍의 카세트 위치 결정 핀(50, 50)이 배치되며, 이들축(51, 51)과 위치 결정 핀(50, 50)은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1a)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이들 카세트 위치 결정 핀(50, 50)은 테이프 카세트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에 결합되어 테이프 카세트를 위치 결정한다. 캡스턴 축(51, 51)은 섀시(2) 내에 제공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동시에 테이프 카세트 내에 수용된 자기 테이프에 접촉되어 자기 테이프를 공급해준다.On the rear side of the chassis 2, a pair of capstan shafts 51, 51 and a pair of cassette positioning pins 50, 50 constituting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re disposed, and these shafts 51, 51 ) And positioning pins 50, 50 protrude inwardly of the tape cassette housing 1a. These cassette positioning pins 50, 50 are engaged with positioning holes formed in the tape cassette to position the tape cassette. The capstan shafts 51 and 51 are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e mo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chassis 2 and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tape contained in the tape cassette to supply the magnetic tape.
카세트 리드(135)의 측면측 상에는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1a) 내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한 쌍의 핀치 롤(54, 54)과,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52)가 배치되어 있다.On the side of the cassette lid 135, a pair of pinch rolls 54, 54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tape cassette housing 1a, and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head 52 are disposed. have.
기록 및/또는 재생 헤드(52)는 자기 테이프에 미끄럼 접촉해서 자기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판독한다. 핀치 롤(54, 54)은 고무와 같은 큰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며, 캡스턴 축(51, 51)과 상호 작용하여 자기 테이프를 클램핑함으로써 캡스턴 축(51, 51)에 의한 확실한 테이프 공급 조작을 보장한다.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head 52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magnetic tape to read signals from the magnetic tape. The pinch rolls 54, 54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such as rubber, and operate with the capstan shafts 51 and 51 by clamping the magnetic tape by interacting with the capstan shafts 51 and 51. To ensure.
헤드의 양측면 상에는 한 쌍의 테이프 안내 부재(53, 53)가 장착된다. 이들 테이프 안내 부재(53, 53)는 그 중앙 절취부에 자기 테이프를 통과시켜서 헤드(52)에 대한 자기 테이프의 주행 위치를 설정한다. 섀시(2)와 카세트 리드(135)는 그들 중앙부에서 선회 가능한 링크 부재(55, 5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On both sides of the head, a pair of tape guide members 53 and 53 are mounted. These tape guide members 53 and 53 pass the magnetic tape through the center cutout portion thereof to set the traveling position of the magnetic tape relative to the head 52. The chassis 2 and the cassette lid 1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ivotable link members 55, 56 at their centers.
이들 링크 부재(55, 56)는 섀시(2)와 카세트 리드(135) 상에 선회 가능하게장착되어 섀시(2)와 카세트 리드(135) 사이의 개방 각도를 조절한다.These link members 55 and 56 are pivotally mounted on the chassis 2 and the cassette lid 135 to adjust the opening angle between the chassis 2 and the cassette lid 135.
전방 패널(3)의 측면 연부 근방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격 제어기용 홀더(17)가 형성된다. 홀더(1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 제어기와 대응하는 절취부로서 형성되어 이를 수용한다.Near the side edges of the front panel 3, a holder 17 for a remote controller as shown in FIGS. 2 and 3 is formed. The holder 17 is formed as a cutout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ler as described later and accommodates it.
[2] 원격 제어기[2] remote controls
원격 제어기(4)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케이싱(76, 77)을 서로 접촉하게 해서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수용된 인쇄 기판과 인쇄 기판 상에 인쇄된 원격 제어 회로로 구성된 회로 기판(79)을 포함한다.The remote controller 4 is composed of a casing formed by bringing the upper and lower casings 76 and 77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7, a printed board accommodated in the casing, and a remote control circuit printed on the printed board. A circuit board 79.
회로 기판(79)은 그 전방측이 복수개의 전자 부품을 장착하는 부품 장착 표면으로 설계되어 있다.The circuit board 79 is designed as a component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front side mounts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원격 제어기(4)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와 조작 신호를 교환하도록 설계되고, 또 본체부(1)의 전방 패널(3)에 대해 착탈되도록 설계된다.The remote controller 4 is designed to exchange operation signals with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nd is designed to be detached from the front panel 3 of the main body 1.
즉, 회로 기판(79)은 후술한 신호 케이블(5)과 제1 케이블 릴(29)을 통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전자 회로 기판에 접속된다. 신호 케이블(5)을 구성하는 각각의 도체 다발은 한 단부가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의 회로 패턴 상의 소정 랜드(81)에 납땜된다.That is, the circuit board 79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via the signal cable 5 and the first cable reel 29 described later. Each conductor bundle constituting the signal cable 5 has one end soldered to a predetermined land 81 on the circuit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79 of the remote controller 4.
신호 케이블(5)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과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 사이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출력 신호와 원격 제어기(4)로부터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로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복수개의 도체 다발을 구비한다.The signal cable 5 is between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nd the circuit board 79 of the remote controller 4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nd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from the remote controller 4. A plurality of conductor bundles are provided for exchanging operation signals input to the unit.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다이어프램 스위치, 홀드 스위치(80), 볼륨 손잡이(9), 및 제2 조작 신호용 접점으로서 작동하는 한 쌍의 로크 홈 부재(46, 46)가 장착된다.On the circuit board 79 of the remote controller 4, a pair of lock groove members 46 acting as a plurality of diaphragm switches, hold switches 80, volume knobs 9, and second operating signal contacts, not shown, 46) is mounted.
복수개의 다이어프램 스위치 상에는 조작 스위치(6)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대응하는 푸쉬버튼(6a, 6b, 6c 및 6d)이 장착된다. 이들 푸쉬버튼(6a, 6b, 6c 및 6d)은 가요성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며, 직경이 감소하는 지지봉(6a1, 6a2, 6b1, 6b2, 6c1, 6c2, 6d1및 6d2)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푸쉬버튼(6a 내지 6d)은 지지봉(6a1, 6a2, 6b1, 6b2, 6c1, 6c2, 6d1및 6d2)에 의해 서로 접속됨으로써 하나의 호형 연속 부재로서 형성된다.On the plurality of diaphragm switches,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pushbuttons 6a, 6b, 6c and 6d constituting the operation switch 6 are mounted. These pushbuttons 6a, 6b, 6c, and 6d are formed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supporting rods 6a 1 , 6a 2 , 6b 1 , 6b 2 , 6c 1 , 6c 2 , 6d 1, and 6d are reduced in diameter. 2 ) is formed integrally with. That is, the push buttons 6a to 6d are formed as one arc continuous member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upporting rods 6a 1 , 6a 2 , 6b 1 , 6b 2 , 6c 1 , 6c 2 , 6d 1, and 6d 2 .
푸쉬버튼(6a 내지 6d)은 원격제어기(4)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 구멍(78)을 통해 원격 제어기(4)의 상부측에 대면한다. 이들 푸쉬버튼(6a 내지 6d)은 원격 제어기(4)의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가압되어 그 하부에 배치된 관련 다이어프램 스위치를 누른다.The push buttons 6a to 6d face the upper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4 via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8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4. These pushbuttons 6a to 6d are press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4 and press the associated diaphragm switches disposed thereunder.
조작 스위치(6)의 푸쉬버튼(6a 내지 6d)은 또한 플레이백 스위치(PLAY), 되감기 스위치(REW), 급송 스위치(FF), 및 정지 스위치(STOP)로서 사용된다. 즉, 원격 제어기(4)는 가압된 푸쉬버튼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으로 입력시킨다.The push buttons 6a to 6d of the operation switch 6 are also used as the playback switch PLAY, the rewind switch REW, the feed switch FF, and the stop switch STOP. That is, the remote controller 4 inputs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sh button pushed in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예를 들면, 제7도에서 ▷ 또는 ◁ 로서 플레이백 스위치(PLAY)가 눌려지면, 헤드(52)에 의해 신호를 판독하기 위해 캡스턴 축(51, 51)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소정 속도로 자기 테이프를 공급해서 플레이백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 신호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입력되어 플레이백 모드를 수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playback switch PLAY is pressed as? Or? In Fig. 7, the magnetism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capstan shafts 51 and 51 to read out the signal by the head 52. An operation signal for supplying the tape to perform the playback mode is input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o perform the playback mode.
급송 스위치(FF)가 눌러지면, 자기 테이프를 정방향으로 고속으로 공급해서 급송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 신호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입력되어 급송 모드를 수행한다.When the feed switch FF is pressed, an operation signal for supplying the magnetic tape at high spe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perform the feed mode is input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o perform the feed mode.
되감기 스위치(REW)가 눌려지면, 자기 테이프를 역방향으로 고속으로 공급해서 되감기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 신호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입력되어 되감기 모드를 수행한다.When the rewind switch REW is pressed, an operation signal for supplying the magnetic tape in the reverse direction at high speed to perform the rewind mode is input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o perform the rewind mode.
정지 스위치(STOP)가 눌러지면, 플레이백 모드, 급송 모드 또는 되감기 모드를 해제시켜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작 신호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입력되어 플레이백 모드, 급송 모드 또는 되감기 모드를 해제한다.When the stop switch STOP is pressed, an operation signal for releasing the playback mode, the feed mode or the rewind mode to stop the operation is input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so that the playback mode, the feed mode or the rewind mode is performed. Release it.
홀드 스위치는 투입되었을 때 현재 수행되고 있는 모드를 유지시키는 스위치이다. 이 홀드 스위치(80)는 원격 제어기(4)의 상부 덮개(76)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홀드 스위치 슬라이더(8)에 의해 조작된다.The hold switch is a switch that maintains the mode currently being executed when it is turned on. This hold switch 80 is operated by a hold switch slider 8 which is slidably mounted on the top cover 76 of the remote controller 4.
볼륨 손잡이(9)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볼륨 손잡이(9)는 회로 기판(79)에 대해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그 외주연부의 일부가 상부 덮개(76)에 형성된 슬릿(90)을 통해 원격 제어기(4)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volume knob 9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c as shown in FIG. The volume knob 9 is support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circuit board 79, and a part of its outer circumferen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4 through the slit 90 formed in the upper cover 76.
볼륨 손잡이(9)는 신호 케이블(5)을 통해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으로 그 다음 후술할 전기-음향 변환기인 헤드폰(57)으로 전송되는 음향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조작된다. 즉, 볼륨 손잡이(9)는 원격 제어기(4)의 회로기판(79)의 표면 상에 형성된 볼륨 패턴과 더불어 레벨 조정 회전 볼륨을 구성한다.The volume knob 9 is manipulated to adjust the level of the acoustic signal transmitted via the signal cable 5 to the circuit board 79 of the remote controller 4 and then to the headphone 57 which is an electro-acoustic convert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o. That is, the volume knob 9 constitutes a level adjusting rotational volume together with the volum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79 of the remote controller 4.
볼륨 손잡이(9)에는 회로 기판(79) 상의 볼륨 패턴에 미끄럼 접촉을 하도록 설계된 브러시 전극(124)이 끼워 맞추어진다. 볼륨 손잡이(9)는 회로 기판(79) 상에 배치된 정지 갈고리(122)에 의해 회전 가능한 범위를 갖는다. 볼륨 손잡이(9)는 정지 갈고리(122)가 제공된 판 금속에 의해 회로 기판(79)에 코오킹되어 있다.The volume knob 9 is fitted with a brush electrode 124 designed to make sliding contact with the volume pattern on the circuit board 79. The volume knob 9 has a range rotatable by the stop hook 122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79. The volume knob 9 is caulked on the circuit board 79 by a sheet metal provided with a stop hook 122.
회전 볼륨은 회로 기판(79)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볼륨 손잡이(9)와 회로 기판(79) 상에 형성된 볼륨 패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 회로 기판(79)으로부터의 회전 볼륨의 높이는 예를 들어, 1.1 mm 정도가 되도록 억제될 수 있다.Since the rotational volume consists of a volume knob 9 rotatably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79 and a volume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board 79, the height of the rotational volume from the circuit board 79 is for example. , 1.1 mm can be suppressed.
로크 홈 부재(46, 46)은 금속과 같은 전도 재료로 형성되고, 조작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신호 케이블의 도체 다발에 대해 평행하게 회로 기판(79)상의 회로에 접속된다. 이들 로크 홈 부재(46, 46)는 원격 제어기(4)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들 관통 구멍은 상부 및 하부 덮개(76, 77)의 양 측면에 형성된 절취부(92, 92, 91, 91)를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된다.The lock groove members 46 and 46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metal, and are connected to a circuit on the circuit board 79 in parallel with the conductor bundle of the signal cable configured to exchange the operation signals. These lock groove members 46 and 46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air of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mote controller 4. These through holes are formed by contacting cutouts 92, 92, 91, 9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lids 76, 77.
이들 로크 홈 부재(46, 46)에는 원격 제어기의 외부로 향한 측면 상에 홈형 리세스가 형성된다.These lock groove members 46, 46 are provided with recessed recesses on the outward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3] 전자 기기용 클립[3] clips for electronic devices
원격 제어기(4)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용 클립을 구비한다.The remote controller 4 has a clip for an electronic device as shown in FIG.
전자 기기용 클립은 제25도,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하부 케이싱(76, 77)으로 구성된 케이싱 내에 배치된 클립 지지 축(125)과 클립 지지 축(125)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판(116)을 포함한다.The clip for an electronic device is placed on a clip support shaft 125 and a clip support shaft 125 disposed in a casing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casings 76 and 77 as shown in FIGS. 25, 26 and 27. And a rotating plate 116 rotatably mounted thereto.
클립 지지 축(125)은 원격 제어기(4)의 케이싱 내에 형성된 관통 구멍(126)을 통해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된다. 회전판(116)은 대체로 스트립 형상이며, 그 기단축에 지지 구멍(28)을 구비한다. 회전판(116)은 지지 구멍(28)내로 클립 지지 축(125)은 삽입시킴으로써 클립 지지 축(12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판(116)은 그 기단부를 관통 구멍(126) 내로 진입시키고 그 선단부를 원격 제어기(4)의 케이싱의 기저부를 따라 연장시킨다.The clip support shaft 125 is exposed out of the casing through a through hole 126 formed in the ca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4. The rotating plate 116 is generally strip-shaped and has a support hole 28 in its proximal axis. The rotating plate 116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clip support shaft 125 by inserting the clip support shaft 125 into the support hole 28. The rotating plate 116 enters its proximal end into the through hole 126 and extends its proximal end along the base of the ca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4.
회전판(116)은 도시하지 않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같은 편향 부재에 의해 원격 제어기(4)의 케이싱의 기저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 편향된다.The rotating plate 116 is rotationally deflec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base surface of the ca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4 by a biasing member such as a torsion coil spring, not shown.
따라서, 통상적인 상태에 있어서, 회전판(116)은 케이싱 기저부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유지된다.Therefore, in the normal state, the rotating plate 116 is maintained so that there is no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asing base.
회전판(116)은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기(4)의 케이싱의 외부 측면과 상호 작용하여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사용자의 의복(130)의 연부를 클램핑한다. 이 때, 원격 제어기(4)는 사용자의 의복(130)상에 유지된다.The rotating plate 116 interacts with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4 as shown in FIG. 27 to clamp the edge of the user's garment 130 of the tape player device.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4 is held on the user's garment 130.
지지 구멍(128)은 회전판(116)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신장 구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보다 큰 두께의 옷(129)이 회전판(116)과 케이싱 사이에 클램핑되는 경우에, 회전판(116)은 클립 지지 축(125) 둘레로 회전하는 동시에, 지지 구멍(128) 내에서 클립 지지 축(116)을 이동시키면서 그 기단부가 원격 제어기(4)의 케이싱으로부터 멀어지게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회전판(116)은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에 대한 원격 제어기(4)의 회전각(θ)을 보다 작은 값으로 억제하면서, 케이싱과 협력해서 보다 큰 두께의 옷(29)을 확실하게 클램핑할 수가 있다.The support hole 128 is formed as an extension hole extending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116. Thus, when a larger thickness of clothing 129 is clamped between the rotating plate 116 and the casing, the rotating plate 116 rotates around the clip support axis 125 while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clip in the support hole 128. While moving the shaft 116 its proximal end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4. Thus, the rotating plate 116 assures a larger thickness of clothing 29 in cooperation with the casing, while suppressing the rotation angle θ of the remote controller 4 relative to the casing to a smaller value as shown in FIG. Can be clamped.
[4] 제1 케이블 릴[4] first cable reels
본체부(10) 내에는 신호 케이블(5)을 권취해서 신호 케이블(5)을 본체부(1) 내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케이블 릴(29)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In the main body portion 10, a first cable reel 29 configured to wind the signal cable 5 to receive the signal cable 5 in the main body portion 1 is rotatably mounted.
제1 케이블 릴(29)은 나사(75)에 의해 전방 패널(3)의 배면 상에 장착된 회로 기판 또는 중계 기판(73)에 설치된 릴 지지 축(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중계 기판(73)과 전방 패널(3) 사이에 배치된다. 릴 지지 축(22)은 제15도 및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기판(73) 상에 설치되며, 그 선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릿(74)을 구비하고, 그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릴지지 축(22)에 의해 제1 케이블 릴(29)을 유지시키기 위한 홈(22a)을 구비한다.The first cable reel 29 is rotatably supported by a reel support shaft 22 mounted on a circuit board or relay board 73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3 by a screw 75, and the relay It is disposed between the substrate 73 and the front panel 3. The reel support shaft 22 is provided on the relay board 73 as shown in FIGS. 15 and 22, and has a slit 74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its tip,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A groove 22a is provided to hold the first cable reel 29 by the reel support shaft 22.
제1 케이블 릴(29)은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100)와, 플랜지 부재(100)가 결합되어 장착되는 제1 래칫 휘일(28)을 구비한다.The first cable reel 29 has a flange member 100 and a first ratchet wheel 28 to which the flange member 100 is coupled and mounted as shown in FIGS. 20 and 21.
플랜지 부재(100)는 대체로 금속 재료로부터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플랜지 부재(100)는 릴 지지 축(22)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100a)과, 관통 구멍(100a)을 둘러싸는 일련의 원추형으로 배치된 결합 갈고리(106)를 구비한다. 플랜지 부재(100)가 제1 래칫 휘일(28)상에 장착되기 전에, 플랜치 부재(100)의 결합 갈고리(106)의 내부 측면은 나선형으로 권취된 제1 탄성 부재(30)의 외주면을 유지시킨다. 제1 래칫 휘일(28)은 합성 수지로 대체로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 릴 지지 축(22)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112)을 구비하며, 관통 구멍(112)을 둘러싸고 플랜지 부재(100)의 결합 갈고리(106)와 결합되는 결합 벽 구역(102)을 구비한다.The flange member 100 is gene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from a metallic material. The flange member 100 has a through hole 100a through which the reel support shaft 22 passes, and a coupling hook 106 arranged in a series of conical shapes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100a. Before the flange member 100 is mounted on the first ratchet wheel 28, the inner side of the engaging hook 106 of the plant member 100 hol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 spirally wound. Let's do it. The first ratchet wheel 28 is gene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through hole 112 through which the reel support shaft 22 passes, and surrounds the through hole 112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flange member 100. And a joining wall zone 102 that engages the joining hook 106.
즉, 래칫 휘일(28)의 결합 벽 구역(102)이 결합 갈고리(106)와 결합되면, 제1 래칫 휘일(28)은 플랜지 부재(100)와 상호 작용하여 제1 주 스프링(30)을 클램핑한다.That is, when the engagement wall section 102 of the ratchet wheel 28 engages with the engagement hook 106, the first ratchet wheel 28 interacts with the flange member 100 to clamp the first main spring 30. do.
제1 케이블 릴(29)은 제1 래칫 휘일(28)과 플랜지 부재(100)의 관통 구멍(100a, 112)을 통과하는 릴 지지 축(22)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케이블 릴(29)은 릴 지지 축(22)의 선단부 상에 와셔(76)를 끼워 맞춤으로써 릴 지지 축(22)으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된다.The first cable reel 29 is supported by a reel support shaft 22 passing through the first ratchet wheel 28 and the through holes 100a and 112 of the flange member 100. The first cable reel 29 fits the washer 76 on the tip of the reel support shaft 22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reel support shaft 22.
제1 케이블 릴(29)의 허브로서 작동하는 제1 래칫 휘일(28)의 결합 벽 구역(102)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케이블(5)의 양단부를 유지시킨다. 신호 케이블(5)의 각 도체 다발의 양단부는 제1 래칫 휘일(28)상에 제공된 복수개의 브러시 전극(101)의 각각과 대응해서 접속된다. 이들 브러시 전극(101)은 구리판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The engaging wall section 102 of the first ratchet wheel 28 acting as a hub of the first cable reel 29 holds both ends of the signal cable 5 as shown in FIG. Both ends of each conductor bundle of the signal cable 5 are connected correspondingly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rush electrodes 101 provided on the first ratchet wheel 28. These brush electrodes 101 are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copper plate.
제1 래칫 휘일(28) 상에 장착된 브러시 전극(101)은 중계 기판(73)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동심 배치 전극 링 패턴(104, 105)에 미끄럼 접촉된다.The brush electrode 101 mounted on the first ratchet wheel 28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ncentrically arranged electrode ring patterns 104 and 105 formed on the relay substrate 73.
중계 기판(73)상에 제공된 전극 링 패턴(104, 105)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복수개의 단자편(65)에 접촉해서 이들 접촉편(65)에 의해 회로 기판에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즉, 신호 케이블(5)의 도체 다발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접속된다.The electrode ring patterns 104 and 105 provided on the relay substrate 73 are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terminal pieces 65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as shown in FIG. The contact piece 65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That is, the conductor bundle of the signal cable 5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제1 주 스프링(30)은 그 외주연 단부를 플랜지 부재(100)의 결합 갈고리(106)에 의해 보유시킨다. 제1케이블 릴(29)이 릴 지지 축(22)에 의해 지지될 때, 제1 주 스프링은 그 내주연 단부를 릴 지지 축(22)에 형성된 슬릿(74)에 의해 보유시킨다. 제1 탄성 부재(30)는 제2도의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릴(29) 상에 신호 케이블(5)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제1 케이블 릴(29)을 회전 편향시킨다.The first main spring 30 holds its outer peripheral end by the engaging hook 106 of the flange member 100. When the first cable reel 29 is supported by the reel support shaft 22, the first main spring holds its inner peripheral end by a slit 74 formed in the reel support shaft 22. As shown by arrow F in FIG. 2, the first elastic member 30 rotationally deflects the first cable reel 29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ignal cable 5 is wound on the first cable reel 29.
제1 케이블 릴(29)은 제15도 및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단부를 원격 제어기(4)에 접속된 신호 케이블(5)의 다른 단부에 접속시켜서 중계 기판(7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다음에 중계 기판(73)을 본체부(1)의 외부 케이싱 내에 장착시킴으로써, 외부 케이싱 내에 장착된다.The first cable reel 29 is supported by the relay board 73 by connecting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ignal cable 5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4 as shown in FIGS. 15 and 23. Then, the relay board 73 is mounted in the outer casing of the main body 1 by attaching the relay substrate 73 in the outer casing.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중계 기판(73)을 전방 패널(3) 상에 장착하기 전에, 중계 기판(73)에서 제1 케이블 릴(29)과 신호 케이블(5)을 통한 원격 제어기(4)로의 접속 상태를 완료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tape play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relay board 73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3, the relay board 73 is remoted via the first cable reel 29 and the signal cable 5. The connection state to the controller 4 can be completed.
전방 패널(3)은 원격 제어기(4)가 도입될 수 있는 개구(3a)를 구비한다. 이 개구(3a)는 중계 기판(73)이 전방 패널(3)의 내부면 상에 장착된 후에 판금속 부재(117)에 의해 폐쇄된다. 이 개구(3a)는 판 금속 부재(117)와 함께 원격 제어기(4)용의 홀더(17)를 구성한다. 판 금속 부재(117)는 전방 패널(3)을 기계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고정 나사(119)에 의해 전방 패널(3)에 고정된다.The front panel 3 has an opening 3a into which the remote controller 4 can be introduced. This opening 3a is closed by the sheet metal member 117 after the relay substrate 73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3. This opening 3a together with the plate metal member 117 constitutes a holder 17 for the remote controller 4. The sheet metal member 117 is fixed to the front panel 3 by fixing screws 119 to mechanically reinforce the front panel 3.
원격 제어기(4)의 홀더(17)의 제1 케이블 릴(29) 쪽으로 향해진 부분은 캡부재(118)를 휴대한다. 캡 부재(118)는 신호 케이블(5)의 통과를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작은 개구를 남겨두고는 판 금속 부재(117)와 전방 패널(5) 사이에 한정된 틈새를 폐쇄한다.The portion directed toward the first cable reel 29 of the holder 17 of the remote controller 4 carries the cap member 118. The cap member 118 closes the defined gap between the plate metal member 117 and the front panel 5, leaving an opening small enough to allow passage of the signal cable 5.
본체부 내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릴(29)의 회전에 대해 호전 억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억제하는 제1 보유 기구가 배치된다. 이 제1 보유 기구는 보유 레버(31)와 보유 해제 레버(35)로 구성된다.In the main body portion, as shown in FIG. 2, a first holding mechanism for suppressing in a manner capable of releasing the improvement suppress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cable reel 29 is disposed. This first retaining mechanism is composed of a retaining lever 31 and a retaining release lever 35.
보유 레버(31)는 전방 패널(3)의 배면 상에 설치된 지지 축(23)을 보유 레버(31)의 기단부에 형성된 지지 구멍(32)을 통과시킴으로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유 레버는 그 선단부에 제1 래칫 휘일(28)의 치형부(103)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후크형 리테이너(31a)를 구비한다.The retention lever 31 is rotatably supported by passing the support shaft 23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3 through the support hole 32 formed in the proximal end of the retention lever 31. The retaining lever has a hooked retainer 31a configured at its distal end to engage the teeth 103 of the first ratchet wheel 28.
이 보유 레버(31)는 일체로 형성된 판 스프링 부재(33)와 인장 스프링(63)에 의해 제2도의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31a)를 제1 레칫 휘일(28)의 치형부(103)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편향된다. 인장 코일 스프링(63)은 인장력 하에서 보유 레버(31)의 기단측 상의 보유 핀(64)과 전방 패널(3)의 배면 사이에 장착된다.The retaining lever 31 is formed by the plate spring member 33 and the tension spring 63 integrally formed with the teeth 103 of the first ratchet wheel 28 as shown by the arrow F in FIG. Is rotatably deflected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The tension coil spring 63 is mounted between the retaining pin 64 on the proximal side of the retaining lever 3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3 under the tensile force.
이 보유 레버(31)는 리테이너(31a)를 제1 래칫 휘일(28)의 치형부(103)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 케이를 릴(29)의 제1 탄성 부재(30)의 편향력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제1 케이블 릴(29)의 회전을 억제한다. 보유 레버(31)는,리테이너(31a)를 제1 래칫 휘일(28)의 치형부(103)에 결합시키고 있더라도, 제1 케이블 릴(29)이 제1 탄성 부재(30)의 편향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1 케이블 릴(29)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리테이너(31a)를 제1 래칫 휘일(28)에 미끄럼 접촉시킨다.The retaining lever 31 couples the retainer 31a to the teeth 103 of the first ratchet wheel 28 so that the first k is in the direction of the bias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 of the reel 29. The rotation of the first cable reel 29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suppressed. Even if the retaining lever 31 couples the retainer 31a to the teeth 103 of the first ratchet wheel 28, the first cable reel 29 faces the deflection direct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 When it is rotat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retainer 31a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first ratchet wheel 28 without disturb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cable reel 29.
보유 해제 레버(35)는 안내 슬릿(36, 37)을 구비하며, 이 안내 슬릿 내로 전방 페널(3)의 배면 상에 설치된 안내 지지 축을 삽입시켜서 보유 해제 레버(35)를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holding release lever 35 has guide slits 36 and 37, and slides the holding release lever 35 into the guide slit by inserting a guide supporting shaf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3.
이 보유 해제 레버(35)는 한 단부에 있는 결합 핀(41)을 보유 레버(31)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 슬릿(34)에 결합시킨다. 이 보유 해제 레버(35)는 인장 코일 스프링(40)에 의해 제2도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유 레버(31)의 리테이너(31a)가 제1 래칫 휘일(28)의 치형부(103)에 결합하게 되는 방향으로 보유 래버(31)의 리테이너(31a)를 선회시키는 방향으로 편향된다.The retention release lever 35 engages the engagement pin 41 at one end with the engagement slit 34 formed at the tip end of the retention lever 31. The retaining lever 35 has a retainer 31a of the retaining lever 31 on the teeth 103 of the first ratchet wheel 28 as shown by arrow A in FIG. 2 by the tension coil spring 40. It is biased in the direction which turns the retainer 31a of the retaining lever 31 in the direction to engage.
이 보유 해제 레버(35)는 인장 코일 스프링(40)의 편향력에 대향해서 미끄러져서 제2도의 화살표 D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보유 레버(31)를 선회시켜서 보유 레버(31)의 리테이너(31a)를 제1 래칫 휘일(28)로부터 분리시킨다.The retaining release lever 35 slides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40 to pivot the retaining lever 31 as indicated by arrow D in FIG. 2 to lift the retainer 31a of the retaining lever 31. Separate from first ratchet wheel 28.
보유 해제 레버(35)는 전방 패널(3)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된 케이블 결합 슬라이더(20)에 정합된 정합 돌기(39)를 구비한다. 이 슬라이더(20)는 전방 패널(3)에 형성된 관통 구멍(3a)의 연부에 의해 지지되어 전방 패널(3)의 전방측과 배면측에 대면하며, 그 배면 상에서 보유 해제 레버(35)의 정합 돌기(39)와 정합된다.The retention release lever 35 has a mating protrusion 39 that is mated to the cable engaging slider 20 that is slidably arranged on the front panel 3. The slider 20 is supported by the edges of the through holes 3a formed in the front panel 3 to face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front panel 3, and the registration of the holding release lever 35 on the back side thereof. It is matched with the projection 39.
케이블 결합 슬라이더(20)는 제2도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40)의 편향력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보유 해제 레버(35)를 통해 보유 레버(31)를 선회시켜서 보유 레버(31)의 리테이너(31a)를 제1 래칫 휘일(28)로부터 분리시킨다.The cable coupling slider 20 slid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biasing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40 as indicated by arrow B in FIG. 2 to pivot the retaining lever 31 through the retaining release lever 35. The retainer 31a of the retaining lever 3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ratchet wheel 28.
보유 레버(31)의 리테이너(31a)가 제1 래칫 휘일(28)로부터 분리될 때, 제1 케이블 릴(29)은 제1 탄성 부재(30)의 편향력 하에서 회전된다.When the retainer 31a of the retaining lever 31 is detached from the first ratchet wheel 28, the first cable reel 29 is rotated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
[5] 헤드폰 장치[5] headphone equipment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에는 헤드폰 장치(57)가 두 개의 신호 케이블이 한 세트로 된 케이블 다발(61)을 통해서 그리고 후술할 제2 케이블 릴(15)을 통해서 접속된다.The headphone device 57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79 of the remote controller 4 via a cable bundle 61 in which two signal cables are set and through a second cable reel 15 to be described later.
헤드폰 장치(57)는 제2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니트부, 즉 좌우 유니트부(58, 59)를 구비한다. 이들 유니트부(58, 59)는 스피커 유니트(68)를 형성한다. 이 스피커 유니트(68)는 다이어프램, 다이어프램 상에 장착된 보이스 코일(voice coil), 및 보이스 코일을 이동시키기 위한 자기 회로를 구비하며, 입력 전기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한다.The headphone device 57 is provided with a pair of unit portions, that is, left and right unit portions 58 and 59, as shown in FIGS. These unit portions 58 and 59 form a speaker unit 68. This speaker unit 68 has a diaphragm, a voice coil mounted on the diaphragm, and a magnetic circuit for moving the voice coil, and converts an input electrical signal into an audible sound.
케이블 다발(61)은 유니트부(58, 59)에 대응하여 2개의 신호 케이블이 한 세트로 구성된다. 이 케이블 다발(61)은 원격 제어기(4)의 상부 덮개(76)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13)을 통해서 원격 제어기(4)의 외부로 인출된다.The cable bundle 61 is composed of one set of two signal cables corresponding to the unit portions 58 and 59. This cable bundle 61 is drawn out of the remote controller 4 through the through hole 13 formed in the side of the top cover 76 of the remote controller 4.
유니트부(58, 59)의 각각은 스피커 유니트(68)의 외부면을 피복하는 덮개(66)를 구비한다. 이 덮개(66)는 스피커 유니트(68)의 전방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마우스피스(음 방출 개구)(67)를 구비한다.Each of the unit portions 58 and 59 has a cover 66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peaker unit 68. This cover 66 has a mouthpiece (sound emission opening) 67 for exposing the front face of the speaker unit 68 to the outside.
이 헤드폰 장치(57)는 케이블 다발(61)과 신호 케이블(5)을 통해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과 신호를 교환한다.This headphone device 57 exchanges signals with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via the cable bundle 61 and the signal cable 5.
[9] 신호 케이블[9] signal cables
신호 케이블(5)은 이른 바 4심(four-core) 신호 케이블이며,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세트의 도체 다발(134)과, 이들 도체 다발(134)의 외부에서 이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5개의 보강사(132) 및 도체 다발(134)과 보강사(132)를 덮는 피복부(131)로 구성된다. 도체 다발(134)은 피복부(131)의 내부 면을 따라 호형으로 배치된다. 보강사(132) 중 4개는 도체 다발(134)과 교대로 피복부(131)의 내부면을 따라 호형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보강사는 신호 케이블(5)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어 있다.The signal cable 5 is a so-called four-core signal cable and, as shown in FIG. 29, four sets of conductor bundles 134 and parallel to them outside of these conductor bundles 134. It consists of five reinforcement yarns 132 and the conductor bundle 134 and the cover portion 131 covering the reinforcement yarns 132. The conductor bundle 134 is disposed in an arc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ing portion 131. Four of the reinforcement yarns 132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heath 131 alternately with the conductor bundle 134 and the other reinforcement yarn is locat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ignal cable 5. .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신호 케이블(5)의 도체 다발(134)은 조작 신호용, 우측 채널 신호용, 좌측 채널 신호용 및 접지선용으로 사용된다.In the tape player apparatus, the conductor bundle 134 of the signal cable 5 is used for the operation signal, the right channel signal, the left channel signal, and the ground wire.
케이블 다발(61)을 구성하는 각 신호 케이블은 소위 2심 신호 케이블이며,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세트의 도체 다발(134)과, 이들 도체 다발(134)의 외부에서 이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보강사(132), 및 도체 다발(134)과 보강사(132)를 덮는 피복부(131)로 구성된다. 도체 다발(134)과 보강사(132)는 피복부(131)의 내부면을 따라 교대로 호형으로 배열된다.Each signal cable constituting the cable bundle 61 is a so-called two-core signal cable, and as shown in FIG. 28, two sets of conductor bundles 134 and parallel to them outside of these conductor bundles 134. It consists of two reinforcement yarns 132, and a covering portion 131 covering the conductor bundle 134 and the reinforcement yarns (132). The conductor bundle 134 and the reinforcement yarn 132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n arc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ating portion 131.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다발(61)을 구성하는 각 신호 케이블의 도체 다발(134)은 우측 또는 좌측 채널용 및 접지선용으로 각각 사용된다.In the tape player apparatus, the conductor bundle 134 of each signal cable constituting the cable bundle 61 is used for the right or left channel and the ground wire, respectively.
보강사(132)는 직격이 200μm 정도인 합성 수지 재료로 된 실 모양 부재이다. 보강사(132)를 형성하는 재료로는 "벡토란(Vectoran)" 또는 "케플러(Kepler)" (둘 다 상품명임) 등이 있다.The reinforcement yarn 132 is a thread-shaped member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direct line of about 200 mu m. Materials for forming the reinforcement yarn 132 include "Vectoran" or "Kepler" (both trade names).
각 도체 다발(134)은 3개 내지 6개의 에나멜선으로 구성된다. 이들 에나멜선으로서는 약 0.06A·2UE의 정도의 것이 사용된다.Each conductor bundle 134 consists of three to six enameled wires. As these enameled wires, about 0.06A * 2UE is used.
도체 다발(134)에 있어서 에나멜선의 수가 6개인 경우, 즉 케이블 다발(61)을 형성하는 신호 케이블에 있어서는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사(132)를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합성 수지로 형성된 직경이 약 100μm인 실 모양의 재료가 각각의 에나멜선들 사이에 권취된다.When the number of enameled wires in the conductor bundle 134 is six, that is, the signal cable forming the cable bundle 61 is formed of the same synthetic resin as the material forming the reinforcing yarn 132 as shown in FIG. A thread-shaped material of about 100 μm in diameter is wound between each enamelled wire.
피복부(131)는 비닐 클로라이드 및 탄성 중합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복부(131)는 두께가 감소되거나 신호 케이블에 인장력 또는 굽힘력이 인가되더라도 파손되지 않는 우수한 내구력을 나타낸다.The coating 131 is formed of a material composed of a mixture of vinyl chloride and elastomer. Accordingly, the sheath 131 exhibits excellent durability that does not break even if the thickness is reduced or a tensile or bending force is applied to the signal cable.
이 피복부(131)는 제1 케이블 릴(29) 또는 후술할 제2 케이블 릴(15)에 권취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인출되는 때에도 양호한 활성(lubricity)을 나타내고, 원활한 권취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This covering portion 131 exhibits good lubricity even when being wound on or withdrawn from the first cable reel 29 or the second cable reel 15 to be described later, and enables smooth winding and withdrawal.
보강사(132)는 도체 다발(134)의 외부에서 이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피복부(131)는 두께가 감소되어 4심 신호 케이블인 신호 케이블(5)의 외경이 약 0.85mm 정도로 된다.The reinforcement yarn 132 is disposed parallel to them outside the conductor bundle 134, and the covering portion 131 is reduced in thickness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signal cable 5, which is a four-core signal cable, is about 0.85 mm. .
보강사(132)는 도체 다발(134)의 외부에서 이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피복부(131)는 두께가 감소되어 2심 신호 케이블인 케이블 다발(61)을 구성하는 신호 케이블(5)의 외경이 약 0.7mm 정도로 된다.The reinforcement yarn 132 is disposed parallel to them outside of the conductor bundle 134, and the covering portion 131 is reduced in thickness to form the signal bundle 5, which is a cable bundle 61 which is a two-core signal cable. The outer diameter of is about 0.7 mm.
[7] 재2 케이블 릴[7] reel cable reels
원격 제어기(4) 내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다발(61)을 권취해서 이 케이블 다발(61)을 원격 제어기(4) 내에 수용하기 위한 제2 케이블 릴(1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In the remote controller 4, as shown in FIG. 7, a second cable reel 15 is rotatable for winding the cable bundle 61 to receive the cable bundle 61 in the remote controller 4; Is fitted.
제2 케이블 릴(15)은 원격 제어기(4)의 상부 덮개(76)의 하부면 상에서 원격 제어기(4)의 내부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회로 기판(79)을 통과한 릴 지지축(8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원격 제어기(4) 내에 수용된다. 즉, 제2 케이블 릴(15)은 회로 기판(79)의 이면 상에 위치된다.The second cable reel 15 is installed to face the in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4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cover 76 of the remote controller 4, and the reel support shaft 82 passed through the circuit board 79.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and accommodated in the remote controller 4. That is, the second cable reel 15 is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79.
케이블 다발(61)의 한 단부는 케이블 릴(15)의 허브부에 의해 유지된다. 케이블 다발(61)을 구성하는 각 신호 케이블의 도체 다발의 한 단부는 제2 케이블 릴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브러시 전극의 각각에 접속된다. 이들 브러시 전극은 구리판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다.One end of the cable bundle 61 is held by the hub of the cable reel 15. One end of the conductor bundle of each signal cable constituting the cable bundle 61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orresponding brush electrodes provided on the second cable reel. These brush electrodes are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copper plate.
제2 케이블 릴(15) 상에 제공된 브러시 전극은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동심 전극 링 패턴에 미끄럼 접촉되어 이들 전극 링 패턴을 통해 회로 기판(79)에 접속된다.The brush electrode provided on the second cable reel 15 is in sliding contact with a plurality of concentric electrode ring pattern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79 of the remote controller 4 and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79 through these electrode ring patterns. do.
즉, 케이블 다발(61)을 구성하는 각 신호 케이블의 도체 다발은 원격 제어기(4)의 회로 기판(79)에 접속되며, 회로 기판(79)과 신호 케이블(5)을 통해 본체부(1)의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에 접속된다.That is, the conductor bundle of each signal cable constituting the cable bundle 61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79 of the remote controller 4, and the main body portion 1 via the circuit board 79 and the signal cable 5. Is connected to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제2 케이블 릴(15)은 제2 래칫 휘일(14)을 구비한다. 제2 케이블 릴(15)에는나선형의 제2 탄성 부재(16)가 끼워 맞추어져서 케이블 다발(61)의 권취 방향으로 제2 케이블 릴(15)을 회전 편향시킨다.The second cable reel 15 has a second ratchet wheel 14. A spiral second elastic member 16 is fitted to the second cable reel 15 to rotationally deflect the second cable reel 15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able bundle 61.
제2 탄성 부재(16)는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그 외주연 단부를 제2 케이블 릴(15)의 허브부에 보유시키며, 그 내주연 단부를 릴 지지 축(82)에 형성된 슬릿(83)에 보유시킨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6 is wound in a spiral shape and retains its outer peripheral end portion in the hub portion of the second cable reel 15, and its inner peripheral end portion in the slit 83 formed in the reel support shaft 82. Keep it.
제2 탄성 부재(16)는 제7도의 화살표 G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 릴(15) 상에 케이블 다발(61)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제2 케이블 릴(15)을 회전 편향시킨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6 rotationally deflects the second cable reel 15 in the direction of winding the cable bundle 61 on the second cable reel 15, as indicated by arrow G in FIG.
원격 제어기(4) 내에는 제2 케이블 릴(15)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제2 보유 기구가 장착되어, 회전 억제의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 제2 보유 기구는 보유 슬라이더(7)로 구성된다.The remote controller 4 is equipped with a second retaining mechanism for suppressing rotation of the second cable reel 15, to enable the release of the rotation suppression. This second retaining mechanism is composed of a retaining slider 7.
제2 슬라이더(7)는 원격 제어기(4)의 측면측에 제공된 관통 구멍(93)의 연부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보유 슬라이더(7)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 판 스프링부(7a)와 제2 래칫 휘일(14)의 치형부(95)와 결합된 리테이너(7b)를 구비한다.The second slider 7 is slidably supported by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93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4. The retaining slider 7 has a leaf spring 7a formed integrally therewith and a retainer 7b engaged with the teeth 95 of the second ratchet wheel 14.
이 보유 슬라이더(7)는 일체식 판 스프링부(7a)를 원격 제어기(4) 상에 직립으로 설치된 접촉 핀(89)에 접촉시켜서, 보유 슬라이더가 제2도의 화살표 L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 즉 리테이너(7b)를 제2 래칫 휘일(14)의 치형부(95)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편향 이동되게 한다.This retaining slider 7 brings the integral leaf spring portion 7a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in 89 provided upright on the remote controller 4 so that the retaining slider faces the direction of arrow L in FIG. The retainer 7b is allowed to deflect in the direction to engage the teeth 95 of the second ratchet wheel 14.
이 보유 슬라이더(7)는 리테이너(7b)를 제2 래칫 휘일(14)의 치형부(95)와결합시켜서 제2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16)의 편향력에 부합하는 방향으로의 제2 케이블 릴(15)의 회전을 억제한다. 보유 슬라이더(7)는, 리테이너(7b)를 제2 래칫 휘일(14)의 치형부(95)와 결합시키고 있더라도, 제1 케이블 릴(159)이 제2 탄성 부재(16)의 편향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제2 케이블 릴(15)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리테이너(7b)를 제2 래칫 휘일(14)에 미끄럼 접촉시킨다.The retaining slider 7 couples the retainer 7b with the teeth 95 of the second ratchet wheel 14 to form a secon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iasing force of the second coil spring (elastic member) 16. The rotation of the cable reel 15 is suppressed. The retaining slider 7 is opposed to the bia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 by the first cable reel 159 even though the retainer 7b is engaged with the teeth 95 of the second ratchet wheel 14. When it is rotat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retainer 7b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second ratchet wheel 14 without disturb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cable reel 15.
보유 슬라이더(7)는 제7도의 화살표 L로 표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부(7a)의 편향력에 대항해서 미끄러져서, 제7도의 화살표 M로 표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부(7a)가 결합 핀(89)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제2 래칫 휘일(14)로부터 리테이너(7b)를 이격시킨다.The retaining slider 7 slides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leaf spring portion 7a as indicated by arrow L in FIG. 7, so that the leaf spring portion 7a engages the engagement pin 89 as indicated by arrow M in FIG. 7. The retainer 7b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atchet wheel 14 by bringing into contact with.
보유 슬라이더(7)의 리테이너(7b)가 제2 래칫 휘일(14)로부터 이격될 때, 제2 케이블 릴(15)은 제2 탄성 부재(16)의 편향력 하에서 회전된다.When the retainer 7b of the retaining slider 7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atchet wheel 14, the second cable reel 15 is rotated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
원격 제어기(4)가 본체부(1) 내에 제공된 홀더(17) 내에 수용되어 유지되어 있을 때, 본체부(1) 내에 제공된 제1 보유 기구에 의한 제1 케이블 릴(29)의 회전 억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기(4)의 제2 보유 기구가 해제 조작에 대응해서 조작되어 제2 보유 기구에 의한 제2 케이블 릴(15)의 회전 억제가 해제된다.When the remote controller 4 is received and held in the holder 17 provided in the main body 1, the suppression of rotation of the first cable reel 29 by the first retaining mechanism provided in the main body 1 is released. In this case, the second holding mechanism of the remote controller 4 is operated in response to the release operation, and the suppression of rotation of the second cable reel 15 by the second holding mechanism is released.
즉, 케이블 결합 슬라이더(20)가 제2도의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40)의 편향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보유 해제 레버(35)의 대향 단부에 형성된 작동 갈고리(38)는 제2도 및 제9도의 화살표 K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17) 내에 위치된 원격 제어기(4)의 보유 슬라이더(7)의 미끄럼 방향으로 미끄러진다.That is, when the cable engaging slider 20 slides in a direction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40 as indicated by arrow B in FIG. 2, an operation hook 38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retaining lever 35. ) Slides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retaining slider 7 of the remote controller 4 located in the holder 17 as indicated by arrows K in FIGS. 2 and 9.
작동 갈고리(38)는 홀더(17)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19)을 통해 홀더(17)의 내부로 진입된다.The working hook 38 enters the inside of the holder 17 through a through hole 19 formed in the side of the holder 17.
따라서, 원격 제어기(4)가 홀더(17) 내부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작동 갈고리(38)는 보유 슬라이더(7)를 보유 슬라이더(7)의 판 스프링부(7a)의 편향력에 대항해서 이동시킨다.Thus, when the remote controller 4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older 17, the operation hook 38 holds the retaining slider 7 to the biasing force of the leaf spring portion 7a of the retaining slider 7. Move against.
원격 제어기(4) 내에는, 제7도 및 제16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 릴(15)의 근방에서 제2 케이블 인출 릴(15)의 측면에 제1 맞물림부(113)를 갖는 제1 케이블 인출 롤(107)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제1 케이블 인출 롤(107)은 원격 제어기(4)의 케이싱 내애 직립으로 장착된 롤 지지축(109)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케이블 인출 롤(107)을 지지하는 롤 지지 축(109)은 제2 케이블 릴(15)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제공된다.Within the remote controller 4,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able lead-out reel 15 near the second cable reel 15, as shown in FIGS. 7 and 16-19. The first cable take-out roll 107 having 113 is rotatably mounted. The first cable take-out roll 107 is supported by a roll support shaft 109 mounted upright in the ca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4. A roll support shaft 109 supporting the first cable pull roll 107 is provided to extend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cable reel 15.
원격 제어기(4) 내에는, 제1 맞물림부(113)와 결합되는 제2 맞물림부(114)를 갖는 제2 케이블 인출 롤(86)이 제2 케이블 릴(15)과 제1 케이블 인출 롤(107)의 근방에서 제1 케이블 인출 릴(15)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제2 케이블 인출 롤(86)은 제2 케이블 릴(15)의 측면에 제공된 회전 레버(84)의 선단부에 제공된 롤 지지 축(1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케이블 인출 롤(86)을 지지하는 롤 지지 축(110)은 제2 케이블 릴(15)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제공된다.In the remote controller 4, a second cable retracting roll 86 having a second engagement portion 114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13 includes a second cable reel 15 and a first cable extraction roll ( 107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rst cable lead-out reel 15. The second cable take-out roll 86 is rotatably supported by a roll support shaft 110 provided at the tip end of the rotation lever 84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able reel 15. A roll support shaft 110 for supporting the second cable pull roll 86 is provided to extend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cable reel 15.
회전 레버(84)는 그 기단부에 지지 구멍(85)을 구비하고, 원격 제어기(4)내에 직립으로 설치된 지지 축(87)을 지지 구멍(85) 내로 도입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rotary lever 84 has a support hole 85 at its proximal end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introducing a support shaft 87 installed upright in the remote controller 4 into the support hole 85.
회전 레버(84)는 지지 축(7)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되어,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 인출 롤(86)을 제2 케이블 릴(15)에 접근하는 위치와 제1 케이블 인출 롤(107)에 접근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The rotary lever 84 is rotated about the support shaft 7 to position the second cable lead roll 86 close to the second cable reel 15 as shown in FIGS. 16 and 17. And a position approaching the first cable take-out roll 107.
회전 레버(84)는 원격 제어기(4)내에 장착된 인장 코일 스프링(94)에 의해, 제17도의 화살표 P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 인출 롤(86)을 제2 케이블 릴(15)에 대해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편향된다.The rotary lever 84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ble reel 15 by means of a tension coil spring 94 mounted in the remote controller 4, as indicated by arrow P in FIG. 17. Rotationally deflect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
제1 및 제2 맞물림부(113, 114)는 케이블 인출 롤(107, 86)의 하부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 맞물림부(113, 114)에는 통상적인 스퍼어 기어의 치형부보다 긴 절취 기어 치형 형태의 복수개의 등각도로 이격된 방사상 연장 치형부가 형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113 and 114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cable lead rolls 107 and 86,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s 113, 114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equally spaced radially extending teeth in the form of a cutting gear tooth longer than the teeth of a conventional spur gear.
이들 제1 및 제2 맞물림부(113, 114)는 각각의 케이블 인출 롤(107, 86)들 사이에 길이 약 1mm 정도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맞물림 상태가 유지된다.Thes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113 and 114 are held in engagement even if a gap of about 1 mm in length i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cable lead rolls 107 and 86.
제1 케이블 인출 롤(107)과 제2 케이블 인출 롤(86)은 상호 작용하여 제2 케이블 릴(15)로부터 인출된 케이블 다발(61)을 클램핑시킨다.The first cable takeout roll 107 and the second cable takeout roll 86 interact to clamp the cable bundle 61 drawn out from the second cable reel 15.
케이블 다발(61)의 신호 케이블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케이블 릴(15)로 부터 인장됨으로써 인출되는 경우에는, 제2케이블 인출 롤(86)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신호 케이블에 의해 인장되어 인장 코일 스프링(94)의 편향력에 대항해서 회전 레버(84)를 회전시켜서 제1 케이블 인출 롤(107)에 회전 레버(84)를 접근시킨다.When at least one of the signal cables of the cable bundle 61 is drawn out by being pulled out of the second cable reel 15, the second cable drawing roll 86 is the one signal as shown in FIG. It is tensioned by the cable and rotates the rotary lever 84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94 to bring the rotary lever 84 close to the first cable pull-out roll 107.
이렇게 인출된 신호 케이블이 제2 케이블 릴(15)로부터 외측으로 인장될때, 제1 및 제2 케이블 인출 롤(107, 86)은 맞물림부(113, 114)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동기해서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케이블 다발(61)의 다른 신호 케이블을 제2 케이블 릴(15)로부터 외측으로 인출한다.When the signal cable thus drawn out is stretched outward from the second cable reel 15, the first and second cable drawing rolls 107, 86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by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ortions 113, 114. Then, the other signal cable of the cable bundle 61 is pulled out from the second cable reel 15.
케이블 다발(61)이 제2 케이블 릴(15) 상에 귄취될 때, 제2 케이블 인출롤(86)은 회전 레버(84)가 인장 코일 스프링(94)의 편향력 하에서 선회함으로써 제1 케이블 인출 롤(107)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 케이블 인출 롤(107, 86)은 제2 케이블 릴(15)에 의한 케이블 다발(61)의 권취를 저해하지 않는다. [8] 원격 제이기용 홀더When the cable bundle 61 is picked up on the second cable reel 15, the second cable pull-out roll 86 is pulled out of the first cable by turning the rotary lever 84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94. Spaced apart from the roll 107. At this time, the cable takeout rolls 107 and 86 do not inhibit the winding of the cable bundle 61 by the second cable reel 15. [8] holders for remote jig
본체부(1)의 외부측 상에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작 신호용의 접점으로서 작동하는 한 쌍의 로크 바아(24, 24)가 원격 제어기(4)용 홀더(17) 내에 위치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에 접속된다. 이들 로크 바아(24, 24)는 홀더(17)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 구멍(18, 18)을 통해 서로 대면하여 배치된다.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 a pair of lock bars 24, 24 acting as contacts for the first operation signal, as shown in Figs. 1 and 3, are provided with a holder for the remote controller 4 ( 17) and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hese lock bars 24 and 24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rough a pair of through holes 18 and 18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der 17.
각 로크 바아(24)는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이고, 중앙의 직경 축소부(71)와 말단의 직경 축소부(70, 70)를 구비한다. 로크 바아(24, 24)는 그들의 축을 홀더(17)의 기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시킴으로써 지지되고, 각가의 말단 직경 축소부(70, 70)를 관통 구멍(18, 18)의 양측면에서 연장시킴으써 관통 구멍(18, 18)으로부터의 인출을 방지한다.Each lock bar 24 is cylindrical as shown in FIGS. 8 to 11 and has a central diameter reduction portion 71 and a diameter reduction portion 70 and 70 at the distal end. The lock bars 24, 24 are supported by extending their axes parallel to the base surface of the holder 17 and by extending the respective end diameter reduction portions 70, 70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s 18, 18. Withdrawal from the through holes 18 and 18 is prevented.
로크 비아(24, 24)는 제8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패널(3)의배면 상에 배치된 한 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25, 25)에 의해 홀더(17)의 내측 쪽으로, 즉 제10도 및 제11도의 화살표 H로 표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8, 18)을 통해 외측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편향된다. 각 코일 스프링(25, 25)은 그 아암(27)을 전방 패널(3)의 배면에 의해 보유시키며, 그 대향 아암(26)을 로크 바아(24)의 중심 직경 축소부(71)의 내부면에 접촉시킨다.The lock vias 24, 24 are inside the holder 17 by a pair of tension coil springs 25, 25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panel 3 as shown in FIGS. 8 to 11. Towards, ie as indicated by arrows H in FIGS. Each coil spring 25, 25 holds its arm 27 by the back of the front panel 3, and its opposing arm 26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ral diameter reducing portion 71 of the lock bar 24. Contact with.
원격 제어기(4)가 홀더(17) 내에 수용될 때,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바아(24, 24)는 원격 제어기(4)의 양측면에서 로크 홈 부재(46, 46)의 홈형 리세스 내에 결합된다.When the remote controller 4 is received in the holder 17, the lock bars 24, 24 are recessed in the groove grooves of the lock groove members 46, 46 on both sides of the remote controller 4, as shown in FIG. Are incorporated into the seth.
이 때, 원격 제어기(4)는 로크 바아(24, 24)에 의해 홀더(17) 내에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4 is held in the holder 17 by lock bars 24 and 24.
원격 제어기(4)는 로크 홈 부재(46, 46)를 로크 바아(24, 24)에 접속시켜서 이들 로크 홈 부재(46, 46)와 로크 바아(24, 24)를 통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과 조작 신호를 교환한다.The remote controller 4 connects the lock groove members 46 and 46 to the lock bars 24 and 24 so that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can be made through these lock groove members 46 and 46 and the lock bars 24 and 24. Exchange the operation signal with the circuit board.
[9] 헤드폰 홀더[9] headphone holders
한 쌍의 헤드폰 홀더(42, 43)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외부 측면측이 되는 전방 패널(3)의 전방면 상에 제공된다.A pair of headphone holders 42 and 43 are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front panel 3, which is the outer lateral side of the main body 1, as shown in FIGS. 3 and 4.
헤드폰 홀더(42, 43)는 전방 패널(3)을 프레스 가공하거나 또는 전방 패널의 전방면 상에 합성 수지 재료로 된 부재를 접합시킴으로써 유니트부(58, 59)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높이가 감소된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 패널(3)의 전방측 쪽으로 돌출된다.The headphone holders 42 and 43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unit portions 58 and 59 by pressing the front panel 3 or by joining a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Is formed in a reduced columnar shape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3.
헤드폰 홀더(42, 43)에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의 둘레에서 연장된 플랜지(42a, 43a)가 마련된다. 이들 플랜지(42a, 43a)의 전방측 및 후방측은 R형 표면(62)과 C형 표면(47)으로서 각각 형성된다. R형 표면(62)은 원환체(toric)형이거나 구형면의 일부를 구성하며, C형 표면(47)은 원추면의 일부를 구성한다.The headphone holders 42 and 43 are provided with flanges 42a and 43a extending around the tip as shown in FIG.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se flanges 42a and 43a are formed as R-shaped surface 62 and C-shaped surface 47, respectively. The R-shaped surface 62 is toric or forms part of a spherical surface, and the C-shaped surface 47 forms part of a conical surface.
헤드폰 홀더(42, 43)는 스피커 유니트(68)의 전방측 상의 볼록면에 대응하는 오목면을 구비한다.The headphone holders 42 and 43 have a concav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surface on the front side of the speaker unit 68.
헤드폰 홀더(42, 43)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42a, 43a)를 덮개(66)의 음 방출 개구(67) 내에 결합시킴으로써 유니트부(58, 59)를 유지시킨다.The headphone holders 42 and 43 hold the unit portions 58 and 59 by engaging the flanges 42a and 43a into the sound emission openings 67 of the lid 66 as shown in FIG.
유니트부(58, 59)의 각가의 덮개(66)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음 방출 개구(67)의 내주연부는 플랜지(42a, 43a)에 대해 가압되어 음 방출 개구(67)의 내주연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헤드폰 홀더(42, 43)에 의해 유지된다.Since each cover 66 of the unit portions 58 and 59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 inner periphery of the sound emission opening 67 is pressed against the flanges 42a and 43a so that It is held by the headphone holders 42 and 43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inner periphery.
따라서, 유니트부(58, 59)는 제14도의 화살표 J로 표시된 바와 같이 헤드폰 홀더(42, 43) 쪽으로 가압되어 헤드폰 홀더(42, 43)에 의해 유지된다. 유니트부(58, 59)는 헤드폰 홀더(42, 4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제14도의 화살표 J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장되어 헤드폰 홀더(42, 43)로부터 분리된다. [10]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조작Thus, the unit portions 58, 59 are pressed toward the headphone holders 42, 43 and held by the headphone holders 42, 43 as indicated by arrow J in FIG. The unit portions 58 and 59 are pulled apart from the headphone holders 42 and 4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eadphone holders 42 and 43, that i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J in FIG. [10] tape player operations
상술한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기(4)가 홀더(17) 내에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홀더(58, 59)가 헤드폰 홀더(42, 43)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tape player apparatus, as shown in FIG. 3, the remote controller 4 can be held in the holder 17, while the holders 58, 59 are held by the headphone holders 42, 43. Can be.
이 때, 케이블 결합 슬라이더(20)를 조작함으로써 신호 케이블(5)은 제1탄성 부개(30)의 편향력 하에서 제1 케이블 릴(29) 상에 권취되는 동시에, 케이블 다발(61)은 제2 탄성 부재(16)의 편향력 하에서 제2 케이블 릴(15) 상에 권취된다.At this time, by operating the cable coupling slider 20, the signal cable 5 is wound on the first cable reel 29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uckle 30, and the cable bundle 61 is connected to the second. It is wound on the second cable reel 15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6.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부(58,59)를 헤드폰 홀더(42, 43)로부터 분리시켜 인장함으로써 케이블 다발(61)을 제2 케이블 릴(15)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동시에, 제2케이블 릴(15)을 제2 탄성 부재(16)의 편향력에 대항해서 회전시킬 수가 있다.Therefore, in the tape play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unit bundles 58 and 59 are separated from the headphone holders 42 and 43 to tension the cable bundle 61 to the second cable reel ( 15 can be taken out and the second cable reel 15 can be rotated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
이러한 상태에서 유니트부(58, 59)의 인장력이 제거되면 보유 슬라이더(7)가 제1 래칫 휘일(14)에 결합해서 제2 탄성 부재(16)의 편향력 하에서 제2 래칫 휘일(14)의 회전을 억제해서 케이블 다발(61)을 인출 상태로 남아 있게 한다.In this state, when the tension force of the unit portions 58 and 59 is removed, the retaining slider 7 is engaged with the first ratchet wheel 14 so that the second ratchet wheel 14 of the second ratchet wheel 14 is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 The rotation is suppressed so that the cable bundle 61 remains in the pulled out state.
이 때, 케이블 결합 슬라이더(20)를 조작하면, 보유 해제 레버(35)를 통해 보유 레버(7)가 조작되어 케이블 다발(16)이 제2 탄성 부재(16)의 편향력 하에서 제2 케이블 릴(15)상에 권취된다.At this time, when the cable engaging slider 20 is operated, the retaining lever 7 is operated through the retaining release lever 35 so that the cable bundle 16 can receive the second cable reel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 It is wound up on (15).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기(4)를 홀더(17)로부터 분리해서 인장시키면, 제1 케이블 릴(29)이 제1 탄성 부재(30)의 편향력에 대항해서 회전됨과 동시에 신호 케이블(15)은 제1케이블 릴(29)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In the tape play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mote controller 4 is pulled apart from the holder 17 as shown in FIG. 5, the first cable reel 29 deflects the first elastic member 30. As shown in FIG. The signal cable 15 can be drawn out of the first cable reel 29 while being rotated against the force.
이러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기(4) 상의 인출력이 제거되면, 보유 레버(31)가 제1 래칫 휘일(28)에 결합해서 제1 탄성 부재(30)의 편향력 하에서 제1 래칫 휘일(28)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신호 케이블(5)이 인출 상태로 유지된다.In this state, when the in-output on the remote controller 4 is removed, the retaining lever 31 is engaged with the first ratchet wheel 28 so that the first ratchet wheel 28 of the first ratchet wheel 28 is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 By suppressing rotation, the signal cable 5 is kept in the drawn out state.
이 때, 케이블 결합 슬라이더(20)가 조작되면, 보유 레버(31)가 보유 해제 레버(35)를 통해 조작되며, 이에 의해 신호 케이블(5)은 제1 탄성 부재(30)의 편향력 하에서 제1 케이블 릴(29) 상에 권취된다.At this time, when the cable engaging slider 20 is operated, the retaining lever 31 is operated through the retaining release lever 35, whereby the signal cable 5 is removed under the bias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 It is wound up on one cable reel 29.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1a) 내에 수용되고 카세트 리드(135)가 섀시(2)에 접촉할 때, 즉 카세트 리드(135)가 카세트 하우징(1a)을 폐쇄시킬 때, 원격 제어기(4)의 플레이백 스위치가 조작되면,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판독하는 플레이백 모드가 수행된다.In the tape play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pe cassette is accommodated in the cassette housing 1a and the cassette lid 135 contacts the chassis 2, that is, the cassette lid 135 may close the cassette housing 1a. When the playback switch of the remote controller 4 is operated, a playback mode of reading out a signal from the magnetic tape of the tape cassette is performed.
원격 제어기(4)가 홀더(17) 내에 유지되면, 원격 제어기(4)의 각각의 스위치가 작동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는 신호 케이블(5)을 통해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으로 입력될 뿐만 아니라 로크 홈 부재(46, 46)및 로크 바아(24, 24)를 통해서도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원격 제어기(4)로부터의 조작 신호의 교환이 신호 케이블(5)의 파손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When the remote controller 4 is held in the holder 17, an operation signal indicating that each switch of the remote controller 4 has been operated is input via the signal cable 5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In addition, the lock groove members 46 and 46 and the lock bars 24 and 24 are also input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Thus, in this case, the exchange of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4 is not affected by the breakage of the signal cable 5.
원격 제어기(4)가 홀더(17)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기(4)의 각각의 스위치가 작동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가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의 회로 기판으로 입력된다.In the case where the remote controller 4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17, an operation signal indicating that each switch of the remote controller 4 has been operated is input to the circuit board of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자기 테이프로부터 판독된 신호는 전기 신호로서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를 통해 섀시(2)의 측면부 상에 제공된 출력 잭(12)과 헤드폰 장치(57)로 전달된다.The signal read out from the magnetic tape is transmitted a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headphone device 57 and the output jack 1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hassis 2 via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헤드폰 장치(57)는 기록 및/또는 재생 유니트로부터 제1 및 제2 신호 케이블(5, 61)을 통해 음향 신호가 공급되는 유니트부(58, 59)를 구비한다. 음향 신호는 유니트부(58, 59)의 스피커 유니트(68,68)에 의해 가청 신호로 변환된다.The headphone device 57 has unit units 58 and 59 to which sound signals are supplied from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unit via the first and second signal cables 5 and 61. The sound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ignal by the speaker units 68, 68 of the unit portions 58, 59.
출력 잭은 전방 채널(3)의 측면측에 형성된 헤드폰 잭(4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헤드폰 장치(57)와는 별도로 헤드폰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put jack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eadphone jack 44 formed on the side of the front channel 3 and is connected to the headphone device separately from the headphone device 57.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는 급송 및 되감기 모드 중에, 자기 테이프의 재생중의 구동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자기 테이프를 공급함으로써 자기 테이프 상에서 플레이백 위치를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The tape player apparatus can quickly position the playback position on the magnetic tape by feeding the magnetic tape at a faster speed than the driving speed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magnetic tape during the feeding and rewinding mode.
본 발명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로서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테이프 레코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또는 디스크 플레이어로서도 구성될 수 있다.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not only as the tape player apparatu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as a tape recorder, a video tape recorder or a disc player, for example.
디스크 레코더 장치 또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서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는 디스크는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와 같은 정보 신호 기록 디스크일 수 있다.The disc used as the recording medium in the disc recorder apparatus or the disc player apparatus may be an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disc such as an optical disc, a magnetic disc or a magneto-optical disc.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pe play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본체부의 외부 케이싱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uter casing of the body portion of the tape player apparatus.
제3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ape player device.
제4도는 헤드폰 장치를 인출한 상태의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the tape player device with the headphone device taken out.
제5도는 헤드폰 장치와 원격 제어기를 인출한 상태의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tape player device with the headphone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ler pulled out.
제6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본체부의 외부 케이싱의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Fig. 6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outer casing of the body portion of the tape player device.
제7도는 원격 제어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mote controller.
제8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본체부의 외부 케이싱의 한 측면측의 주요부의 구조를, 그 내측부가 외부에서 보이질 수 있도록 일부분을 절취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por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casing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tape player device with a portion thereof cut out so that the inner portion thereof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제9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본체부의 외부 케이싱의 대향 측면측의 주요부의 구조를, 그 내측부가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일부분을 절취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casing of the body portion of the tape player device with a portion thereof cut out so that the inner portion thereof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제10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본체부의 외부 케이싱의 주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outer casing of the body portion of the tape player device.
제11도는 원격 제어기가 끼워 맞춤된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본체부의 외부 케이싱을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FIG. 1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er casing of the body portion of the tape player device to which the remote controller is fitted; FIG.
제12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헤드폰 장치의 유니트부의 구조를 일부를 절취해서 도시한 측면도.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unit portion of the headphone device of the tape player device.
제13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헤드폰 장치의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lder of the headphone device of the tape player device.
제14도는 헤드폰 장치의 유니트부가 헤드폰 장치의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 1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it portion of the headphone device is supported by the holder of the headphone device.
제15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제1 케이블 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cable reel of the tape player device.
제16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제1 케이블 릴의 근방에 제공된 케이블 인출 롤의 작동 상태에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ble take-out roll provided near the first cable reel of the tape player device; FIG.
제17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케이블 인출 롤의 비작동 상태에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FIG. 1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ble takeout roll of the tape player apparatus in an inoperative state. FIG.
제18는 케이블 인출 롤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1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ble takeout roll;
제19도는 케이블 인출 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ble lead-out roll.
제20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제1 케이블 릴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Fig. 2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cable reel of the tape player device.
제21도는 제1 케이블 릴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FIG. 21 is a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 of the first cable reel; FIG.
제22도는 제1 케이블 릴을 지지하는 릴 지지 축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FIG. 2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el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a first cable reel; FIG.
제23도는 제1 케이블 릴의 장착 과정을 도시한 분해 평면도.FIG. 23 is an exploded plan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process of the first cable reel; FIG.
제24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원격 제어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종단면도.Fig. 2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remote control of the tape player device.
제25도는 원격 제어기 상에 장착되는 전자 기기용 클립의 주요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Fig. 2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main parts of a clip for an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a remote controller.
제26도는 전자 기기용 클립의 제1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Fig. 2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first use state of a clip for an electronic device.
제27도는 전자 기기용 클립의 제2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Fig. 27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econd use state of a clip for an electronic device.
제28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케이블 다발을 구성하는 신호 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Fig. 2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ignal cable constituting a cable bundle of a tape player device.
제29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장치의 신호 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Fig. 2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ignal cable of the tape player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부 3 : 전방 패널1 main body 3 front panel
5 : 신호 케이블 22 : 릴 지지 축5 signal cable 22 reel support shaft
28 : 제1 래칫 휘일 29 : 제1 케이블 롤28: first ratchet wheel 29: first cable roll
73 : 중계 기판 100 : 플랜지 부재73: relay substrate 100: flange member
135 : 카세트 리드135: cassette lead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9718494A JP3303568B2 (en) | 1994-11-30 | 1994-11-30 | Playback device |
JP94-297184 | 1994-11-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9287A KR960019287A (en) | 1996-06-17 |
KR100390132B1 true KR100390132B1 (en) | 2003-09-26 |
Family
ID=4938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445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90132B1 (en) | 1994-11-30 | 1995-11-29 |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90132B1 (en) |
-
1995
- 1995-11-29 KR KR1019950044599A patent/KR10039013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9287A (en) | 1996-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55198B2 (en) | Recording / playback device | |
US5867355A (en) |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external controller and headset and separate take-up reels therefor | |
KR100390132B1 (en) |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
US4419749A (en) |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radio broadcast programs | |
JP3303568B2 (en) | Playback device | |
US3352169A (en) | Reversible two speed tape drive | |
JP3407437B2 (en) |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 |
JP3448992B2 (en) | Electronic equipment clip | |
EP0044678A1 (en) |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radio broadcast programmes | |
JPH08163685A (en) | Electronic equipment | |
JPH0545479A (en) |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JPH08161879A (en) | Electronic apparatus | |
JPH08161945A (en) | Signal cable | |
WO1996033517A1 (en) | Electronic appliance with battery compartment | |
US4152732A (en) |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and playback by a tape recorder | |
JP3500731B2 (en) | Recording / playback device | |
JPH06269073A (en) | Earphone and winder for earphone cord | |
JPH08129799A (en) |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 |
JPH10243490A (en) | Attachment/detachment mechanism for adaptor and attachment/detachment mechanism for speaker unit | |
JP3642074B2 (en) | Enclosure for electronic equipment | |
JPH08116180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3528276B2 (en) | Outer housing reinforcement | |
JP3551505B2 (en) |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JPH09187092A (en) | Earphone cord take-up device | |
JPH08138367A (en) | Housing for electronic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