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8892B1 - 양식장용 부구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892B1
KR100388892B1 KR10-2000-0011552A KR20000011552A KR100388892B1 KR 100388892 B1 KR100388892 B1 KR 100388892B1 KR 20000011552 A KR20000011552 A KR 20000011552A KR 100388892 B1 KR100388892 B1 KR 10038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member
float
space portion
inner member
hemispher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672A (ko
Inventor
이동한
최선웅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00-0011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8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8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서, 반구형상으로 상호 대칭되게 분활형성되어 내측으로 외공간부(13)를 형성하는 외측부재(11)와, 상기 외측부재(11)의 내측에 위치되어 중심부에 내공간부(14)를 형성하는 내측부재(12)로 구성하여, 외측부재(11) 및 내측부재(12) 사이에 공간부가 2중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부구(10)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파도나 조류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의 힘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부구(10)의 사용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상기 부구(10)의 잦은 교체가 시정됨으로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양식장용 부구 {Float for farming}
본 발명은 어류를 양식하기위해 연안에 설치되는 가두리망을 부상, 지지시켜 주도록 하는 양식장용 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가두리망을 부상 지지시켜 주는 부구를 이중벽으로 구성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양식장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그물을 이용하여 어류를 가두어 양식하는 가두리 및 바다 양식장에는 프레임이 사각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사각형태로 연결된 프레임의 하부에는 추에 의해 하부가 수면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가두리망이 연결되며, 상기 가두리망이 하부에 연결된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이 수면하부로 가라않는 것을 방지하는 부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프레임이 수면하부로 가라않지도록 하는 부구가 썩지도 않고 재활용이 불가능한 스티로폼으로 제작되는 관계로, 상기 부구가 높은 파도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스티로폼 조각들이 해변에 쌓이거나 해안에 부유하게 됨은 물론, 상기 부구를 폐기처분시 자연환경을 파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에 부력을 주는 부자를 UV코팅된 고밀도(High Density)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고강도 고무 파이프 및 우레탄, FRP등으로 제작 하여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부구보다 강도를 향상시키고, 상기 부구를 폐기처분시 재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도 상기 부구가 단일벽으로 형성되는 관계로, 자외선등에 의한 외부의 힘에 견디는 내구성이 약하여 수명이 짧아 부구의 설치간격이 잦아짐으로서, 불필요하게 인력을 낭비하게 됨으로서 부구를 유지 관리시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구형상으로 상호 대칭되게 분활형성되어 내측으로 외공간부를 형성하는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내측에 위치되어 중심부에 내공간부를 형성하는 내측부재로 구성하여 외측부재 및 내측부재 사이에 공간부가 2중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부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파도나 조류와 같은 외부의 힘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부구의 사용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상기 부구의 잦은 교체가 시정됨으로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양식장용 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구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구 11 : 외측부재
11a: 요입홈 11b: 걸림턱
12 : 내측부재 13 : 외공간부
14 : 내공간부 20 : 부자
30 : 체결수단 31 : 리벳팅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양식장용 부구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상호 대칭되게 분활형성되어 내측으로 외공간부(13)를 형성하는 외측부재(11)와, 상기 외측부재(11)의 내측에 위치되어 중심부에 내공간부(14)를 형성하는내측부재(12)로 구성되어 외측부재(11) 및 내측부재(12) 사이에 공간부가 2중으로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외측부재(11) 및 내측부재(12)는 일체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외공간부(13)가 구비됨을 밝혀 둔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내측부재(12)와 외측부재(11)에 외공간부(13)를 갖고있는 각각의 반구형상을 구가 되도록 상호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2중벽을 갖으며 부구가 제작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2중으로 제작된 부구(10)는 파도나 조류와 같은 외부의 힘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부재(11) 사이에 외공간부(13)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열융착되는 내측부재(12)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부력을 갖는 사각형상의 부자(20)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각 부구(10)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자(20) 자체가 이동통로의 발판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발판용 부재를 부구상에 결합시키는 추가 과정이 필요없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하다.
한편, 본 발명의 부구(10)를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와 같이,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요입홈(11a)이 형성되어 외공간부(13)를 형성하는 외측부재(11)와, 내부에 내공간부(14)가 형성되고 외측부재(11) 사이에 내주면과 접속되게 위치되는 구형상의 내측부재(12)로 구성하여도 무방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반구형상의 외측부재(11)는 상호 단부가 열융착되는 것에 의해 결합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반구형상의 외측부재(11)가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걸림턱(11b)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외측부재(11)와 내측부재(12)는 리벳팅(31)등과 같은 체결수단(30)에 의해 상호 결합됨을 밝혀 둔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어류를 가두어 양식하는 가두리양식장에 부력을 제공하기위해 설치되는 부구(10)가 이중벽으로 구조로 형성되는 관계로 구조적으로 강하여 자외선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서, 상기 부구(10)의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상기 부구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것에 의해 잦은 교체를 수행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불필요한 인력을 낭비하지 않게 됨은 물론, 폐부구로 인해 자연환경이 오염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중심부에 내공간부가 형성되어있는 내측부재와, 상기 내측부재의 외측면에 외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반구형상의 외측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상의 외측부재에 내측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사이에 외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공간부가 형성된 반구형상의 외측부재는 결합수단으로 공간부가 2중으로 형성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가 외공간부를 형성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외측부재는 부력을 갖는 부자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양식장용 부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에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부재의 내주면에는 내부에 내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부재의 외측면이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해 외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구형상의 외측부재가 열융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반구형상의 외측부재가 걸림턱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외측부재와 내측부재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이 리벳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부구.
KR10-2000-0011552A 2000-03-08 2000-03-08 양식장용 부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38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552A KR100388892B1 (ko) 2000-03-08 2000-03-08 양식장용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552A KR100388892B1 (ko) 2000-03-08 2000-03-08 양식장용 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672A KR20010087672A (ko) 2001-09-21
KR100388892B1 true KR100388892B1 (ko) 2003-06-25

Family

ID=1965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5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8892B1 (ko) 2000-03-08 2000-03-08 양식장용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8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35B1 (ko) 2004-08-11 2006-08-29 박승호 어패류 양식용 개량부자
KR100646744B1 (ko) 2004-09-15 2006-11-23 강연자 수상구조물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72264Y1 (ko) 2013-10-02 2014-04-15 (주)정진누리마루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047B1 (ko) * 2009-04-23 2009-11-03 이보형 어로용 부구의 마찰융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32U (ko) * 1993-08-09 1995-03-20 구상태 공기실이 이중으로 형성된 부구
KR960005079B1 (ko) * 1992-11-16 1996-04-20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79B1 (ko) * 1992-11-16 1996-04-20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950006232U (ko) * 1993-08-09 1995-03-20 구상태 공기실이 이중으로 형성된 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35B1 (ko) 2004-08-11 2006-08-29 박승호 어패류 양식용 개량부자
KR100646744B1 (ko) 2004-09-15 2006-11-23 강연자 수상구조물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72264Y1 (ko) 2013-10-02 2014-04-15 (주)정진누리마루 해양 생태계 보호용 친환경 부력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672A (ko)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80B1 (ko)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US11259507B2 (en) Roof cover for fish farm
KR102322875B1 (ko)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KR102218769B1 (ko) 스테인레스 캡슐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KR100388892B1 (ko) 양식장용 부구
KR200435836Y1 (ko)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CN201194502Y (zh) 圆环形框架式潮浪水下自动清洗网箱的装置
KR101188910B1 (ko) 중공 다중셀 부구
KR20120058475A (ko)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KR102117573B1 (ko) 친환경 발포형 부표
KR200448442Y1 (ko) 체결구조를 단순화한 일체형 부구
KR200194974Y1 (ko) 양식장용 부자
CN205632948U (zh) 一种人工浮岛结构
KR20020072385A (ko) 양식장용 부자
KR20180107993A (ko)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KR100281367B1 (ko) 잠수 조절 기능을 갖는 양식장용 가두리 틀 구조물
KR102460710B1 (ko) 선박 계류시스템
CN111264438A (zh) 一种碟形柔性边缘的半潜式深海养殖装置
CN212138930U (zh) 一种养殖浮球
KR200284652Y1 (ko) 표면 코팅막과 내부 지지틀을 갖는 바다양식용 부구
KR200343158Y1 (ko) 양식장용 부구
KR20090030637A (ko) 잠수가 가능한 프레임을 가지는 가두리
KR102798371B1 (ko) 수상 부유 구조물 연결체
KR20190000769U (ko) 이중 파이프로 이루어진 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02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