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7777B1 -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777B1
KR100387777B1 KR10-2000-0046527A KR20000046527A KR100387777B1 KR 100387777 B1 KR100387777 B1 KR 100387777B1 KR 20000046527 A KR20000046527 A KR 20000046527A KR 100387777 B1 KR100387777 B1 KR 10038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sensor
vehicl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112A (ko
Inventor
장두익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777B1/ko
Priority to JP2001047224A priority patent/JP3458126B2/ja
Priority to EP01105615A priority patent/EP1180666A1/en
Priority to US09/799,081 priority patent/US6834545B2/en
Publication of KR2002001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01F23/241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for discrete levels
    • G01F23/242Mounting arrangements for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 G01F23/24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thermal devices
    • G01F23/24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thermal devices for discrete levels
    • G01F23/248Constructional details; Mounting of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 센서가 구비된 연료탱크에 있어서 적용 차종의 연료탱크 형상과는 상관없이 공용화가 가능하며, 급제동, 급가속 또는 코너링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연료잔량 경고등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는 연료잔량센서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연료잔량센서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0)의 드레인 플러그(20)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료잔량 센서(30)로 구성되어, 연료잔량 경고등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적용 차량에 따라서 연료 탱크의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공용화된 형태의 연료잔량 센서의 설치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a fuel level sensor in a fuel tank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 센서가 구비된 연료탱크에 있어서 적용 차종의 연료탱크 형상과는 상관없이 공용화가 가능하며, 급제동, 급가속 또는 코너링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연료잔량 경고등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는 연료잔량센서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연료계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연료탱크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일반적인 연료계 및 연료잔량 경고등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종래의 자동차 연료계통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탱크는, 연료탱크(1) 내에 설치되며, 가변저항판(VR2)이 구비된 연료계유니트 몸체(6)와, 이 연료계유니트 몸체(6)의 가변저항판(VR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뜨개(3)로 구성된다.이와 같이 구성된 뜨개에 의한 연료계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연료계 작동용 뜨개(3)는, 연료탱크(1) 내의 연료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연료계유니트의 몸체(6)에서 회동가능하게 되며, 연료계유니트 몸체 내부에는 뜨개(3)와 연동되게 구비된 가변저항판(VR2)에 의해 저항값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계(7)에 인가되는 전압값에 따라 동작하는 지침에 의해 운전자는 연료탱크에 남아있는 연료량을 알 수가 있게 된다.그러나, 연료계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료계 및 뜨개장치의 잦은 고장으로 인하여 운전자에게 혼동을 초래할 수가 있으므로, 연료가 적정량 이하로 줄어들었을때 이것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연료잔량센서가 추가로 구비되게 된다.
연료감지센서(4)는, 서미스터(VR1)로 구성되어 연료계유니트 몸체(6)에서 연장된 지지부(5)의 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게 된다.이와 같이 구성된 연료잔량센서(4)는,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히 저장되어 서미스터(VR1)가 연료에 잠겨있을 때에는 저항이 크므로 경고등(8)이 점등되지 않으나, 연료가 일정량 이하가 되어 서미스터(VR1)가 연료 밖으로 노출되게 되면 기화열에 의해 저항값이 작아져 연료 경고등(8)을 점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된 연료감지센서는, 차종별로 연료탱크의 형상이 달라질 때마다 연료계 유니트도 신규부품으로 설계해야만 하며, 특히 연료잔량센서의 위치 역시 탱크용량 및 차량연비 상황에 맞추어 필요높이(H)를 계산하여 차종마다 신규부품으로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연료계 유니트의 위치에 비하여 연료잔량센서의 고정부위가 연료탱크의 바닥면에 가깝게 위치시켜야 함에 따라 지지부가 주행중 급제동, 급가속 및 코너링시와 같은 차체의 변동으로 인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출렁이면서 연료잔량센서가 순간적으로 노출되거나 연료에 잠기게 되어 연료 경고등이 점등되거나 소등되면서 오동작을 하게 되어 운전자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중 급제동, 급가속 및 코너링시와 같이 연료의 심한 요동에 대해서도 연료탱크 내의 연료잔량센서가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연료잔량센서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적용차종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가능한 것으로, 적용차종에 상관없이 공용화가 가능하게 연료탱크에 설치될 수 있는 연료잔량센서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연료잔량센서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
자동차 연료탱크의 단면도,
도 2는 연료계 및 연료잔량 경고등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잔량센서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자동차 연료탱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20 : 드레인 플러그
30 : 연료잔량센서 31 : 지지부
32 : 너트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탱크 내에 설치되는 연료잔량센서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드레인 플러그 상측에 연료잔량센서를 고정되게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잔량센서가 구비된 자동차 연료탱크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는, 자동차 연료탱크 내에 설치되는 연료잔량센서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0)의 드레인 플러그(20)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료잔량센서(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드레인 플러그(20)는, 연료탱크(10) 내에 이물질 유입 또는 교환작업시 연료탱크의 연료제거를 위해 설치된 것으로, 연료탱크(10)에 고정되는 연료드레인 플러그(2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을 가공하여 지지부(31)에 의해 연료잔량센서(30)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경고등(미도시)과 커넥터(33)로 연결되게 된다.또한, 상기 연료드레인 플러그(20)와 나사결합하는 지지부(31)에는 너트(32)가 추가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레인 플러그(20)에서 적정한 높이(H)로 연료잔량센서(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드레인 플러그(20)의 나사산에 지지부(31)를 회전시켜 삽입하게 되며, 적당한 위치로 지지부(31)가 삽입이 된 후에는 상측에서 너트(32)로 죄여 고정함에 따라 연료탱크의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연료잔량센서의 설정높이에 맞도록 지지부를 별도로 설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형태와 상관없이 연료잔량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의 높이(H)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으므로 적용차량에 상관없이 연료잔량센서 장치를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연료잔량센서의 위치를 하측에 위치시킴에 따라 지지부의 길이를 종래에 비하여 짧게 할 수가 있으므로 차체의 움직임에 따라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출렁거려 발생할 수 있는 연료잔량 경고등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연료탱크의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연료잔량센서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드레인 플러그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료잔량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에는 너트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의 설치구조.
KR10-2000-0046527A 2000-08-11 2000-08-11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KR100387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527A KR100387777B1 (ko) 2000-08-11 2000-08-11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JP2001047224A JP3458126B2 (ja) 2000-08-11 2001-02-22 自動車の燃料残量センサ設置構造
EP01105615A EP1180666A1 (en) 2000-08-11 2001-03-06 Structure for installing a fuel level sensor in a fuel tank for automobiles
US09/799,081 US6834545B2 (en) 2000-08-11 2001-03-06 Structure for installing a fuel level sensor in a fuel tank for automob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527A KR100387777B1 (ko) 2000-08-11 2000-08-11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112A KR20020013112A (ko) 2002-02-20
KR100387777B1 true KR100387777B1 (ko) 2003-06-18

Family

ID=1968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527A KR100387777B1 (ko) 2000-08-11 2000-08-11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34545B2 (ko)
EP (1) EP1180666A1 (ko)
JP (1) JP3458126B2 (ko)
KR (1) KR100387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0678A1 (de) * 2001-08-24 2003-03-13 Sew Eurodrive Gmbh & Co Verschlussschraube und eine Baureihe von Verschlussschraube
JP2007126981A (ja) * 2005-11-01 2007-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供給装置
US20110132084A1 (en) * 2008-08-07 2011-06-09 Illinois Tool Works Inc Liquid level sensing system
JP5985832B2 (ja) * 2012-02-06 2016-09-06 不双産業株式会社 固体集合体の計量装置
CN104175872A (zh) * 2014-08-07 2014-12-03 东风裕隆汽车有限公司 一种对电喷供油方式的汽车进行快速安全放油的方法
JP5960764B2 (ja) * 2014-09-02 2016-08-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の残燃料量検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345B1 (ko) * 1996-12-31 2000-05-01 정몽규 연료탱크의 연료잔량 검출장치
JP2000145564A (ja) * 1998-11-05 2000-05-26 Toyo Roki Mfg Co Ltd 燃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7986A (en) * 1920-11-09 of toledo
US695007A (en) * 1900-01-02 1902-03-11 Charles Strutt Water-level indicator.
US1132833A (en) * 1912-09-25 1915-03-23 Jeffrey Mfg Co Liquid-fuel tank.
US1357988A (en) * 1919-04-18 1920-11-09 Ind Res Corp Fuel-reserve-supply system
US1613028A (en) * 1925-01-13 1927-01-04 Charles O Fisher Gasoline-reserve control
US1714250A (en) * 1927-03-14 1929-05-21 Samuel S Stahl Reserve valve for tanks
US1904793A (en) * 1932-04-02 1933-04-18 Lavoie Louis Outlet control for liquid containers
US2191700A (en) * 1938-04-19 1940-02-27 George W Stetson Liquid level controller
US2468676A (en) * 1945-04-20 1949-04-26 Premier Crystal Lab Inc Level indicating device for fluent materials
US3258968A (en) * 1963-10-02 1966-07-05 Stewart Warner Corp Liquid level indicating device
US3326264A (en) * 1964-11-05 1967-06-20 Durrell U Howard Reserve fuel systems
US4051726A (en) * 1976-04-06 1977-10-04 Hastbacka Albin A Electro-optical liquid level indicator
JPS533059U (ko) * 1976-06-25 1978-01-12
GB2065336B (en) * 1979-11-23 1983-12-07 Mackenzie J R S Automatic level control system for an oil contaminant
US4338907A (en) * 1981-08-28 1982-07-13 Lindbeck Laurel B Gasoline fume generator and mixer
CA1165835A (en) * 1981-12-23 1984-04-17 Stephen M. Stenstrom Conductive fluid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4454759A (en) * 1982-05-10 1984-06-19 Ogontz Controls Company Fuel gauge for locomotives
US4591839A (en) * 1982-05-20 1986-05-27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System for detecting low liquid level and probe therefor
US4470301A (en) * 1982-09-22 1984-09-11 Fram Corporation Probe and drain assembly for fuel oil/water separator
US4649898A (en) * 1984-03-05 1987-03-17 Martinson Monitor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ensate level in steam retort
US4854406A (en) * 1986-10-20 1989-08-08 Breakthru Industries, Inc. Weighing system
JPH05312621A (ja) * 1992-05-12 1993-11-22 Hino Motors Ltd 液面レベルセンサ
US5789665A (en) * 1996-04-25 1998-08-04 Voelker Sensors, Inc. Oil quality sensor for use in a motor
GB2289542B (en) * 1994-05-09 1998-08-26 Automotive Tech Int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fuel in a land vehicle fuel tank subject to external forces
US5808187A (en) * 1997-03-31 1998-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luid level indicator
US6223765B1 (en) * 1997-10-09 2001-05-01 Marley Pump Casing construction for fuel dispensing systems
US6538261B1 (en) * 2000-10-27 2003-03-25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Wet line fluid removal system with optical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345B1 (ko) * 1996-12-31 2000-05-01 정몽규 연료탱크의 연료잔량 검출장치
JP2000145564A (ja) * 1998-11-05 2000-05-26 Toyo Roki Mfg Co Ltd 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34545B2 (en) 2004-12-28
JP3458126B2 (ja) 2003-10-20
JP2002059751A (ja) 2002-02-26
US20020029631A1 (en) 2002-03-14
EP1180666A1 (en) 2002-02-20
KR20020013112A (ko)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777B1 (ko)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EP1338497B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a side stand of a motorcycle
KR970008125B1 (ko) 자동차용 연료 게이지
KR970008123B1 (ko)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유동가능하도록 설치한 연료탱크
KR0144600B1 (ko) 연료보충 경고등의 오동작 방지용 플로팅 구조
US11772621B2 (en) Brake oil reservoir for vehicles
KR200175417Y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경고등어셈블리
KR100231998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게이지 유니트
KR19980030303U (ko) 파워 스티어링 오일탱크 감지 장치
KR200142049Y1 (ko) 자동차의 연료량 표시장치
KR960000848Y1 (ko) 자동차용 연료보충 경고장치의 고정구조
KR100309414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연료량감지장치
KR100314171B1 (ko) 연료 경고위치 감지장치
KR19980049285U (ko) 자동변속기 오일감지 장치
KR940006758Y1 (ko) 엔진오일 자동공급장치
JPH0449551Y2 (ko)
KR0138891Y1 (ko) 브레이크액 및 냉각수 상태 감지장치
KR20030043539A (ko) 자동차 엔진오일 레벨센서 겸용 드레인 플러그
KR20060116603A (ko) 자동차용 연료센더
JP2004276773A (ja) 車両用液圧マスタシリンダのリザーバ
JPH0129677Y2 (ko)
JPS6021329Y2 (ja) マスタシリンダの油槽内の油量警報装置
JPS6255407A (ja) 車両用潤滑油交換警告装置
KR20020049618A (ko) 일체형 오일 압력 센더 및 오일 압력 스위치
JPH04136525U (ja) 液面レベル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