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6614B1 -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614B1
KR100386614B1 KR10-2000-0068406A KR20000068406A KR100386614B1 KR 100386614 B1 KR100386614 B1 KR 100386614B1 KR 20000068406 A KR20000068406 A KR 20000068406A KR 100386614 B1 KR100386614 B1 KR 100386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nano
silicon
forming
crystalline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274A (ko
Inventor
김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6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614B1/ko
Priority to US09/987,738 priority patent/US6734105B2/en
Publication of KR2002003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8Floating-gate IGFETs
    • H10D30/688Floating-gate IGFETs programmed by two single electr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6/00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directly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6/02Structural aspects of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2216/08Nonvolatile memory wherein data storage is accomplished by storing relatively few electrons in the storage layer, i.e. single electron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집적, 초저전력, 초고속 및 실용적인 제조에 용이하도록 한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복수개의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포함한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막 및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forming silicon quantum dot and method for fabricating no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고속 및 초고집적 소자를 제조하는데 적당한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양자점(Quantum Dot)을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EEPROM 동작 원리와 동일하며, 채널을 기존 MOSFET에서와 동일하게 문턱전압 보다 높은 라이트 게이트 전압을 걸면, 반전층을 형성하여 소오스 쪽의 전자가 채널쪽으로 유도되고 이로 인해, 채널 컨닥턴스가 낮아진다.
이 상태에서 채널의 반전층에서의 전자들이 얇은 절연막을 통해 직접 터널링이 일어나, 터널링 절연막 위에 이차원적으로 분포하는 실리콘 양자점들이 하나의 전자씩 터널링 하여 들어간다.
이때 들어간 전자의 전하 에너지에 의해 에너지 장벽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다음 전자가 들어오는 것을 반발한다.
이것은 전자 하나에 의한 전하 에너지가 온도에 의한 전자의 열적 진동보다 높으며, 이 현상은 상온에서도 가능하게 되며, 일정한 밀도를 갖는 실리콘 양자점 당 하나씩만 들어갔을 때도 그것에 의한 채널 컨닥턴스는 떨어지고, 그로 인해 문턱전압의 양의 방향으로 이동이 일어난다.
물론 극단적으로 실리콘 양자점 당 하나의 전자를 사용하여 프로그램밍을 할 수 있으나, 문턱전압의 시프트가 적어 감지하기가 힘들므로 보통 3~4개 정도의 전자를 터널링시켜 이용함으로서 1V 이상의 문턱전압 시프트를 이용하면 실제 실용화가 가능하다.
이러 관점에서 전하 에너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양자점의 셀프 캐패시턴스를 최대 낮추어야 하므로, 실리콘 양자점의 표면적을 최소로 줄여야 하며, 또한 높은 문턱전압 시프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밀도의 실리콘 양자점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정한 문턱전압 시프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실리콘 양자점의 균일성 및 형성공정의 재현성이 가장 큰 문제가 된다.
한편, 여기서 실리콘 양자점은 원자 단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원자 단위로 제조하기 어렵다. 그러나 실리콘 섬(island)이 매우 작게 형성되어 실리콘 양자점과 같은 역할을 기대하기 때문에 실리콘 양자점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의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 영역과 액티브 영역으로 정의된 실리콘 기판(11)의 필드 영역에 LOCOS 공정에 의해 필드 산화막(12)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실리콘 기판(11)상에 터널링 절연막(13)을 형성하고, 상기 터널링 절연막(13)상에 복수개의 실리콘 양자점(14)을 섬(island) 형태로 약 30㎚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양자점(14)을 포함한 실리콘기판(11)의 전면에 절연막(15)을 형성한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막(15)상에 콘트롤 게이트용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고, 포토 및 식각공정으로 통해 상기 폴리 실리콘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트롤 게이트(16)를 형성한다.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게이트(16)를 셀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15) 및 실리콘 양자점(14)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 상기 콘트롤 게이트(16) 양측의 실리콘 기판(11) 표면내에 소오스/드레인용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17)을 형성한다.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게이트(16)와 이후 형성되는 금속 배선의 절연을 위해 상기 실리콘 기판(11)의 전면에 기상 증착 방식으로 층간 절연막(18)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18)상에 SOG(Spin On Glass)막(29)을 형성한다.
이어, 포토 및 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17)의 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SOG막(19) 및 층간 절연막(18) 및 터널링 산화막(1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20)을 형성한다.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택홀(20)을 포함한 실리콘 기판(11)의 전면에 금속막을 스퍼터링 증착한 후, 포토 및 식각공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콘택홀(20)을 통해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17)에 연결되는 금속 배선(21)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폴리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 증착시 인큐베이션 시간(실리콘이 형성되기 위한 조건하에서 초기 실리콘 시드가 착점되기 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비정질 실리콘 시딩(seeding)만 하기 때문에 공정의 안정성 및 제어성이 없다.
둘째, 실리콘 양자점의 분포 균일성이 좋지 않고, 그 크기가 크며 밀도가 작아 실용적인 메모리로서의 가치가 없다.
셋째,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경우 이후 열공정에서 그레인 형성 및 재결정 등과 같은 과정에 의해 실리콘 양자점 자체 형태(configuration)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넷째, 로코스(LOCOS) 소자 격리를 이용함으로서 인접 드레인에 의한 필드 장해(field disturbance) 등을 유발하여 메모리의 펑션(function) 등 많은 문제가 일어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초고집적, 초저전력, 초고속 및 실용적인 제조에 용이하도록 한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의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을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실리콘 기판 32 : 절연막
33 :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 34 : 제 1 산화막
35 : 제 2 산화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복수개의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포함한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막 및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터널링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터널링 절연막상에 복수개의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포함한 상기 터널링 절연막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막 및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포함한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막상에 콘트롤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트롤 게이트를 마스크로 하여 제 2 절연막,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 그리고 터널링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콘트롤 게이트 양측의 반도체 기판 표면내에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 양자점은 원자 단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원자 단위로 제조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실리콘 섬(island)이 매우 작게 형성되어 실리콘 양자점과 같은 역할을 기대하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을사용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31)상에 절연막(32)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막(32)상에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nano-crystalline silicon)(실리콘 양자점)(33)을 섬(island) 형태로 약 30㎚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33)을 포함한 실리콘 기판(31)의 전면에 기상 증착 방식으로 제 1 산화막(34)을 형성한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산화막(34) 및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33)의 전면에 CMP 공정을 이용하여 제 1 산화막(34) 및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33)을 약 10㎚정도까지 식각한다.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기판(31)에 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33)의 5㎚까지 산화시키어 약 5㎚의 크기 및 20㎚정도의 반구형를 갖는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33)과 제 2 산화막(35)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산화막(34)은 산화 공정전에 제거할 수도 있고, 그대로 잔류한 상태에서 재산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거하였다.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을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으로 정의된 실리콘 기판(41)의 필드 영역으로 포토 및 식각공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트랜치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트랜치가 완전히 매립되도록 절연 물질을 매립하여 소자 격리막(42)을 형성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기판(41)의 전면에 터널링 절연막(43)을 형성한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널링 절연막(43)위에 비정질 기상 증착에 의해 5㎚ 이하의 입자를 갖는 복수개의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실리콘 양자점(44)을 섬(Island) 형태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44)은 전술한 도 2a 내지 도 2d와 같이 형성한 후, 제 2 산화막(35)을 제거한다.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44)을 포함한 실리콘 기판(41)의 전면에 절연막(45)을 형성한다.
도 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막(45)상에 콘트롤 게이트용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고, 포토 및 식각공정으로 통해 상기 폴리 실리콘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트롤 게이트(46)를 형성한다.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게이트(46)를 셀프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절연막(45) 및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 양자점(44)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 상기 콘트롤 게이트(46) 양측의 실리콘 기판(41) 표면내에 소오스/드레인용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7)을 형성한다.
도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 게이트(46)와 이후 형성되는 금속 배선의 절연을 위해 상기 실리콘 기판(41)의 전면에 기상 증착 방식으로 층간 절연막(48)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48)상에 SOG(Spin On Glass)막(49)을 형성한다.
이어, 포토 및 식각공정을 통해 상기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7)의 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SOG막(49) 및 층간 절연막(48) 및 터널링 산화막(4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50)을 형성한다.
도 3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택홀(50)을 포함한 실리콘 기판(41)의 전면에 금속막을 스퍼터링 증착한 후, 포토 및 식각공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콘택홀(50)을 통해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영역(47)에 연결되는 금속 배선(51)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정질 실리콘을 시딩한 후 기상 증착 방식에 의해 절연막을 형성하고 CMP를 통해 비정질 실리콘을 폴리싱한 후 산화 공정을 이용하여 고밀도의 실리콘 양자점을 형성할 수 있고, 자체의 재현성 및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STI 구조의 소자 격리막을 사용함으로서 초고집적 회로에서 나타날 수있는 인접 드레인에 의한 필드 장해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실리콘 양자점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게 제어함으로서 양자점 메모리가 요구하는 높고 일정한 문턱전압 시프트 및 상온에서 안정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실리콘 양자점 당 전자 3~4개 정도가 터널링 절연막을 통해 직접 터널링을 함으로서 낮은 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고, 또한 라이트/소거(write/erase)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다섯째, 실리콘 양자점의 크기를 줄임으로서 비휘발 메모리 소자를 초고집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섯째, 터널링 절연막을 통해 직접 터널링을 이용함으로서 저전력 및 고속동작이 가능하여 상온에서의 쿨롬 블록카드(blockcade) 효과에 의해 기억(retention)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복수개의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포함한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절연막 및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의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은 약 30㎚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막 및 나노-크리스탈라인은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약 10㎚까지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은 약 5㎚까지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5. 반도체 기판상에 터널링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널링 절연막상에 복수개의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포함한 상기 터널링 절연막상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막 및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일부를 식각하는 단계;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
    상기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을 포함한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절연막상에 콘트롤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트롤 게이트를 마스크로 하여 제 2 절연막, 나노-크리스탈라인 실리콘, 그리고 터널링 절연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콘트롤 게이트 양측의 반도체 기판 표면내에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0-0068406A 2000-11-17 2000-11-17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8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406A KR100386614B1 (ko) 2000-11-17 2000-11-17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09/987,738 US6734105B2 (en) 2000-11-17 2001-11-15 Method for forming silicon quantum dots and method for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406A KR100386614B1 (ko) 2000-11-17 2000-11-17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274A KR20020038274A (ko) 2002-05-23
KR100386614B1 true KR100386614B1 (ko) 2003-06-02

Family

ID=1969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406A KR100386614B1 (ko) 2000-11-17 2000-11-17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34105B2 (ko)
KR (1) KR100386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93B1 (ko) 2004-08-24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크리스탈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936A (ko) * 2002-01-03 2003-07-12 강윤묵 실리콘 나노 결정을 형성하는 새로운 공정.
US20040004863A1 (en) * 2002-07-05 2004-01-08 Chih-Hsin Wang Nonvolatile electrically alterable memory device and array made thereby
KR100558287B1 (ko) * 2002-12-10 2006-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전자 소자, 그 제조 방법 및 단전자 소자와 mos트랜지스터를 동시에 형성하는 제조방법
US7613041B2 (en) * 2003-06-06 2009-11-03 Chih-Hsin Wang Methods for oper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759719B2 (en) * 2004-07-01 2010-07-20 Chih-Hsin Wang Electrically alterable memory cell
US7550800B2 (en) * 2003-06-06 2009-06-23 Chih-Hsin Wang Method and apparatus transporting charges i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115942B2 (en) * 2004-07-01 2006-10-03 Chih-Hsin Wang Method and apparatus for nonvolatile memory
US7297634B2 (en) * 2003-06-06 2007-11-20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58513B2 (en) 2003-06-06 2005-10-25 Chih-Hsin Wang Floating-gate memory cell having trench structure with ballistic-charge injector, and the array of memory cells
KR100545898B1 (ko) * 2003-07-02 2006-01-25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양자점 형성방법
KR100521433B1 (ko) * 2003-08-12 2005-10-13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 방법
US20080203464A1 (en) * 2004-07-01 2008-08-28 Chih-Hsin Wang Electrically alterable non-volatile memory and array
KR101105456B1 (ko) * 2004-12-21 2012-01-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양자점을 구비한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제조방법
KR100652134B1 (ko) * 2005-06-20 2006-11-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7411244B2 (en) 2005-06-28 2008-08-12 Chih-Hsin Wang Low power electrically alterable nonvolatile memory cells and arrays
KR100690911B1 (ko) 2005-07-1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2비트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96965B1 (ko) * 2005-07-20 2007-03-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나노입자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단위 소자의 제조방법
US7927660B2 (en) * 2006-08-21 2011-04-1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nano-crystalline silicon dot layer
US7829162B2 (en) 2006-08-29 2010-11-09 international imagining materials, inc Thermal transfer ribbon
KR20090017128A (ko) * 2007-08-14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분자 박막 안에 포함된 나노입자가 전하 포획영역으로작용하는 비휘발성 유기 쌍안정성 기억소자 제조방법
US8072023B1 (en) 2007-11-12 2011-12-06 Marvell International Ltd. Isolation for non-volatile memory cell array
US8120088B1 (en) 2007-12-07 2012-02-21 Marvell International Ltd. Non-volatile memory cell and array
US8242542B2 (en) 2009-02-24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employing a quantum dot structure
US8227300B2 (en) 2009-03-18 2012-07-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switching circuit employing quantum dot structures
US10109983B2 (en) 2016-04-28 2018-10-2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evices with quantum dots
US11158714B2 (en) * 2016-06-09 2021-10-26 Intel Corporation Quantum dot devices with trenched substrates
US10566765B2 (en) 2016-10-27 2020-02-18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ulti-wavelength semiconductor lasers
US10680407B2 (en) 2017-04-10 2020-06-09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ulti-wavelength semiconductor comb lasers
US10396521B2 (en) 2017-09-29 2019-08-27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La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57A (ko) * 1999-06-01 2001-01-05 김영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4435A (en) 1994-10-27 1997-03-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Quantum dot fabrication process using strained epitaxial growth
US6060743A (en) * 1997-05-21 2000-05-09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multilayer group IV nanocrystal quantum dot floating g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854731B2 (ja) * 1998-03-30 2006-12-06 シャープ株式会社 微細構造の製造方法
US6344403B1 (en) * 2000-06-16 2002-02-05 Motorola, In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e
US6518194B2 (en) * 2000-12-28 2003-02-11 Thomas Andrew Winningham Intermediate transfer layers for nanoscale pattern transfer and nanostructure 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57A (ko) * 1999-06-01 2001-01-05 김영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93B1 (ko) 2004-08-24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크리스탈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274A (ko) 2002-05-23
US20020068457A1 (en) 2002-06-06
US6734105B2 (en) 200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614B1 (ko) 실리콘 양자점의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휘발성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4065414B2 (ja) 埋設ソースライン及び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を伴う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メモリセルの半導体メモリアレーを形成する自己整列型方法及びそれにより作られたメモリアレー
EP0054117A1 (en) Method of forming integrated MOSFET 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TWI654744B (zh) 積體晶片與其形成方法
US6010934A (en) Method of making nanometer Si islands for single electron transistors
US4713142A (en) Method for fabricating EPROM array
KR10052647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734058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20060091467A1 (en) Resonant tunneling device using metal oxide semiconductor processing
JPH027267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25298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7129541B2 (en) Field effect transistors including vertically oriented gate electrodes extending inside vertically protruding portions of a substrate
KR100276431B1 (ko) 규칙적인 실리콘 양자점 형성방법 및 그를 이용한 초미세 반도체 소자 제작방법
US6524883B2 (en) Quantum dot of single electro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100418182B1 (ko) 실리콘 단전자 기억 소자의 제작방법
US6849552B2 (en) Vertical type trans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9990007264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240389319A1 (en) Memory Device Formed On Silicon-On-Insula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949665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20084881A (ko) 측면게이트를 이용한 실리콘 단전자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WO2024237933A1 (en) Memory device formed on silicon-on-insulator substr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551942B1 (ko) Soi 기판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6274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76435B1 (ko) 자기정렬된 소오스/드레인 씨엠오에스 소자 제조방법
US20010004541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field-effect transistor having an anti-punch-through implantation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