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6417B1 -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 - Google Patents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417B1
KR100386417B1 KR10-2000-0051136A KR20000051136A KR100386417B1 KR 100386417 B1 KR100386417 B1 KR 100386417B1 KR 20000051136 A KR20000051136 A KR 20000051136A KR 100386417 B1 KR100386417 B1 KR 10038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ouling
antifouling agent
methanol
extract
alga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653A (ko
Inventor
신현웅
홍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비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비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비켐
Priority to KR10-2000-0051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417B1/ko
Priority to PCT/KR2001/001460 priority patent/WO2002018500A1/en
Priority to AU2001286280A priority patent/AU2001286280A1/en
Publication of KR2002001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41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C09D5/1612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5/1625Non-macromolecular compounds orga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yc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방오기능이 있는 갈조식물문(Phaeopyta), 갈조강(Phaeophyceae), 민가지말목(Chordariales), 패과(Ishigeaceae)에 속하는 해조류인 넓패(Ishige sinicola)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조류로부터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를 개발함으로써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와 홍합등의 해양 부착 생물에 대하여 강한 방오활성을 나타내며 생태계 파괴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트리부틸틴(TBT)을 대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Antifouling agent extracted from marine algae}
본 발명은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우수한 방오기능이 있는 갈조식물문(Phaeopyta), 갈조강(Phaeophyceae), 민가지말목(Chordariales), 패과(Ishigeaceae)에 속하는 해조류인 넓패(Ishige sinicola)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에 관한 것이다.
방오제란 선박의 표면에 해양 부착생물(미생물 및 동식물)들이 부착 및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료와 혼합된 성분이다. 선체 표면의 불균일성은 선박의 마찰 저항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 해양 생물들이 선체 표면에 부착하여 성장할 경우 선체의 부식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선박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켜 연료 소비량이 급증하고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해진다. 선체에 해양 부착생물의 부착을 방지하고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오 도료에는 주로 유기 주석계의 트리부틸틴이 함유되어 있다. 트리부틸틴은 196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며 방오능은 매우 우수하나 연안 어패류의 생장과 성전환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등 해양 환경 오염의 원인 물질이며 환경 호르몬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1980년대부터 사용에 대한 전면 규제 움직임이 대두되었다. 선진국들은 대부분 1982년부터 트리부틸틴의 사용을 적극 억제하고 있으며 선체의 길이가 25m 이하인 선박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 금지되어 있다. 트리부틸틴을 대체하기 위하여 구리 또는 다른 금속을 포함하는 방오제가 시판되고 있으나 장기 사용시 모두 금속 이온들의 독성에 의한 해양 환경 오염과 비대상 생물에 대한 피해가 가중되고 있으며, 방오활성적인 측면에서 트리부틸틴에 비해 높은 농도의 중금속 사용으로 인해 환경 피해와 경제적 부담이 증가한다. 미국특허 제5,607,741호(1997.3.4)에는 해양 피자 식물의 일종인 거머리말(Zostera marina)에서 방오 활성이 있는 물질인 Zosteric acid를 발견한 예가 있으며, 해면의 일종인 Psammaplysilla purpurea로부터 얻어진 Ceratinamine등이 방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용화하기에는 방오 기능이 미흡하였다.
세계 인구가 계속 증가함으로 인하여 육상의 자원은 한계 상태에 도달하고 있으며, 해양 생물 자원의 개발과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방오제는 해양 환경 보호 및 개발을 위하여 필수적인 물질이지만 기존의 주석 또는 구리를 포함한 방오제가 해양 환경 오염을 야기하여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리부틸틴(TBT)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오제, 환경 친화적인 경향이 큰 해양 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방오활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방오제를 개발하는데 있다.
도 1은 넓패의 건조 분해물로부터 활성 분획의 분리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1)넓패의 채집
넓패는 갈조식물문(Phaeopyta), 갈조강(Phaeophyceae), 민가지말목 (Chordariales), 패과(Ishigeaceae)에 속하며 학명은Ishige sinicola(Setchell et Gardner) Chihara로 명명되어 있다. 이형세대교번을 하며 엽상체는 세포열이 다른것과 서로 붙어서 형성된 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상체는 엽상으로 되어있고 엽상은 분지형태를 갖는다. 엽상체의 색깔은 검은황색을 때며 엽상체 표면에는 미끈미끈한 분비물을 갖는다. 서식지는 열대에서 온대지역의 조간대에서 서식한다.
1998년 10월부터 2000년 7월에 걸쳐 한국의 연안 해안(속초, 대천, 거제도, 완도, 부산, 성산포)에서 실험에 사용할 넓패(Ishige sinicola)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해조류의 엽상체는 부드러운 붓으로 이물을 제거하고 깨끗한 담수로 씻어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2)방오 활성의 시험
넓패의 방오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대상생물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부착 빈도가 높은 해조류인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와 패류인 홍합(Mytilus edulis)을 사용하였다.
가시파래는 한국(김해)연안의 해조류 양식장에서 채취하였으며 홍합은 한국(부산)연안에서 채취하였다. 가시파래에 대해서는 엽상체의 성장률, 포자 착생률 등을 시험하였고, 홍합에 대해서는 발의 반발정도와 홍합 유생의 착생 정도를 확인하였다. 넓패는 상온에서 3∼7일간 완전히 건조한 후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넓패의 분쇄물 약 1g에 대하여 50㎖의 메탄올을 가하여 약 하루동안 상온에서 추출한 후 농축하였으며, 농축물 40㎎을 1㎖의 메탄올에 녹여 시험에 사용하였다(메탄올 분획). 메탄올로 추출하고 남은 잔류물은 메탄올과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1일 동안 추출한 후 농축하였다. 수용성 농축물도 40㎎을 1㎖의 증류수에 녹여 시험에 사용하였다(수용성 분획).
3)방오 물질의 분리 및 분석
채집해 온 넓패를 완전히 건조 후 분쇄하였으며 도 1과 같은 과정을 거쳐 넓패의 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넓패의 건조 분말 1g에 약 10ml 의 메탄올-물(4 : 1) 혼합 용매를 가하고 5분여 동안 마쇄한 후 여과하였다. 잔류된 고상 물질은 5ml 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분획Ⅱ로 하였다. 또 남은 잔류물은 분획Ⅰ로 하였다. 메탄올-물(4 : 1)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약 1/10로 농축(40℃ 이하)시킨 후 2M 황산을 가하여 pH1∼2로 조절하고 클로로포름(CHCl35ml)으로 3회 추출하여 분획Ⅲ으로 하였다. 남아있는 수용액 층은 암모니아 수로 pH10이 되게 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3 : 1)의 혼합 용매(5ml )로 2회 추출하여 분획Ⅳ로 하였다. 잔류 수용액은 분획Ⅴ로 하였으며 각 분획에 대하여
가시파래 포자의 착생률과 홍합발의 반발시험을 통하여 방오활성이 있는 분획을 선별하였다.
실험예 1. 가시파래의 성장률 실험
가시파래의 엽상체를 5㎜의 크기로 잘라서 PES(Provasoli's enrichment, Jap. Soc. Plant Physiol, 1968, 63∼75)에서 15일간 배양하여 최적 성장시간을 파악한다. 2일 간격으로 가시파래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7일차에 일일 성장률이 12.1±2.7%로 최대가 되었고 이 때의 길이는 9.2±0.7㎜였다.
PES 배양액에 넓패의 메탄올 분획 또는 수용성 분획을 200㎍/㎖가 되도록 첨가하고, 가시파래의 성장률을 상기와 같이 시험하였다. 각각 7일간 배양한 후 길이를 측정하였는데 넓패는 메탄올 분획에서 강한 방오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험예 2. 가시파래의 포자 착생률 실험
가시파래의 포자 착생률을 Fletcher(Int. Biodeterior, 25, 407∼422)의 방법에 의해 시험하였다. 넓패의 메탄올 분획은 매우 강한 착생 저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험예 3. 홍합 발의 반발 실험
홍합 발의 반발 실험은 Hayashi Miki(J. mar. Biotechnol. 4, 127∼130)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홍합은 양식한 성숙된 것으로 크기가 4.5±0.2㎝인 것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1㎕의 넓패 추출물(40㎎/㎖)을 10배의 해수에 희석하여 반발시험을 하였으며 넓패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홍합발의 반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실험예 4. 홍합 유생의 착생 실험
홍합 유생의 착생실험은 Kitamura(Noppon Suisan Gakkaishi, 58, 75∼78)의 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부착 기질은 Whatman paper를 사용했으며 메탄올 분획을 농도별로 Whatman 여과지에 흡착시켰다. 이 여과지를 홍합의 유생이 들어있는 해수액에 4일 동안 담궈서 유생의 착생 정도를 확인하였다. 넓패의 메탄올 분획은 0.8㎎/㎖이상의 농도에서 홍합 유생의 착생이 완전히 저지되었다. 그 결과는 표-3과 같으며 착생률은 사용한 해수액에 들어있는 전체 유생의 개수에 대해 착생한 유생의 개수의 비율이다.
실험예 5. 방오 물질의 분리
넓패의 건조 분쇄물을 도 1과 같은 과정으로 분리하였다. 분획Ⅰ∼분획Ⅴ에 대하여 가시파래의 포자 착생시험과 홍합 발의 반발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이상 설명하고 실험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조류로부터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를 개발함으로써 가시파래(Enteromorpha prolifera)와 홍합등의 해양 부착 생물에 대하여 강한 방오활성을 나타내며 생태계 파괴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TBT를 대체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넓패(Ishige sinicola)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오제.
  7. 제 6항에 있어서, 넓패의 추출물은 메탄올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제.
  8. 제 7항에 있어서, 메탄올 추출물은 0.1㎎/㎖ 내지 4.0㎎/㎖의 농도를 갖는 메탄올 분획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제.
KR10-2000-0051136A 2000-08-31 2000-08-31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386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36A KR100386417B1 (ko) 2000-08-31 2000-08-31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
PCT/KR2001/001460 WO2002018500A1 (en) 2000-08-31 2001-08-29 Anti-fouling agent extracted from marine algae
AU2001286280A AU2001286280A1 (en) 2000-08-31 2001-08-29 Anti-fouling agent extracted from marine alg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36A KR100386417B1 (ko) 2000-08-31 2000-08-31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53A KR20020017653A (ko) 2002-03-07
KR100386417B1 true KR100386417B1 (ko) 2003-06-02

Family

ID=1968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1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6417B1 (ko) 2000-08-31 2000-08-31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86417B1 (ko)
AU (1) AU2001286280A1 (ko)
WO (1) WO2002018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21B1 (ko) * 2006-09-27 2007-08-01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넓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DE102007030406A1 (de) * 2007-06-29 2009-01-08 Henkel Ag & Co. Kgaa Verminderung der Adhäsion von biologischem Material durch Algenextrakte
AU2008300156B2 (en) * 2007-09-20 2014-10-30 Tel Hashomer Medical Research Infrastructure And Services Ltd Compositions of aquatic origin for prevention of cell adhes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528548B1 (ko) * 2014-06-12 2015-06-12 대진건설(주) 해조류를 이용한 고내수성 및 고접착력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CN107306998A (zh) * 2017-06-10 2017-11-03 威海温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稻专用拌种剂
KR102486727B1 (ko) * 2022-08-19 2023-01-10 (주)베누스타 희토류를 포함하는 기능성 분말과 목초액과 해조류 농축액을 이용한 친환경 도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009A (ja) * 1989-08-31 1991-04-16 Lion Corp 藻類発生抑制物質
JPH08104833A (ja) * 1994-10-03 1996-04-23 Oobusu Kk 船舶用塗料
US5695552A (en) * 1993-12-09 1997-12-09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quatic antifou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JPH11180813A (ja) * 1997-12-19 1999-07-06 Ichimaru Pharcos Co Ltd 海藻抽出物含有抗菌・防腐剤
US5989323A (en) * 1993-12-09 1999-11-23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quatic antifou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00119297A (ja) * 1998-10-09 2000-04-25 Marine Biotechnol Inst Co Ltd 新規物質エピジオキシステロ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4749B2 (ja) * 1989-12-22 1999-12-27 コートールズ コーティングス(ホールディングス) リミテッド 汚染物付着防止被覆組成物
US5143545A (en) * 1991-09-20 1992-09-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ntifouling marine coatings
US5384176A (en) * 1992-12-11 1995-01-24 Zimmerman; Richard C. Phenolic acid sulfate esters for prevention of marine biofouling
CA2158191A1 (en) * 1994-09-16 1996-03-17 Junji Yokoi Method for preventing settlement of aquatic fouling organism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009A (ja) * 1989-08-31 1991-04-16 Lion Corp 藻類発生抑制物質
US5695552A (en) * 1993-12-09 1997-12-09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quatic antifou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5989323A (en) * 1993-12-09 1999-11-23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quatic antifouling compositions and methods
JPH08104833A (ja) * 1994-10-03 1996-04-23 Oobusu Kk 船舶用塗料
JPH11180813A (ja) * 1997-12-19 1999-07-06 Ichimaru Pharcos Co Ltd 海藻抽出物含有抗菌・防腐剤
JP2000119297A (ja) * 1998-10-09 2000-04-25 Marine Biotechnol Inst Co Ltd 新規物質エピジオキシステロ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53A (ko) 2002-03-07
WO2002018500A1 (en) 2002-03-07
AU2001286280A1 (en)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ker et al. Cattle mortality attributed to the toxic cyanobacterium Cylindrospermopsis raciborskii in an outback region of north Queensland
Hellio et al. Inhibition of marine bacteria by extracts of macroalgae: potential us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ntifouling paints
Beaumont et al. High mortality of the larvae of the common mussel at low concentrations of tributyltin
MacKenzie et al. Mass accumulation of mucilage caused by dinoflagellate polysaccharide exudates in Tasman Bay, New Zealand
CN101715770B (zh) 环(脯氨酸-苏氨酸)在海洋污损生物防除中的应用
Wang et al. Effects of three macroalgae, Ulva linza (Chlorophyta), Corallina pilulifera (Rhodophyta) and Sargassum thunbergii (Phaeophyta) on the growth of the red tide microalga Prorocentrum donghaiens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Oshima et al. Short Paper Production of Paralytic Shellfish Toxins by the Dinoflagellate Alexandrium minutum Halim from Australia
KR100386417B1 (ko)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방오제
Manilal et al. Antifouling potentials of seaweeds collected from the southwest coast of India
Brown et al. Chemistry and biology of maculalactone A from the marine cyanobacterium Kyrtuthrix maculans
Prakash et al. Antimicrofouling properties of chosen marine plants: An eco-friendly approach to restrain marine microfoulers
CN101724305B (zh) 环(脯氨酸-丙氨酸)在海洋污损生物防除中的应用
CN104592798B (zh) 乙酸橙酰胺在海洋污损生物防除中的应用
CN101717594B (zh) 环脯氨酸-亮氨酸在海洋污损生物防除中的应用
KR102610598B1 (ko) 선박 도료 첨가 조성물
CN102093770B (zh) 杨梅栲胶在制备海洋防污涂料中的应用
Taylor A review of the lethal and sub-lethal effects of mercury on aquatic life
CN111269603B (zh) 一种吡嗪喹唑啉二酮生物碱化合物在制备海洋污损生物防除剂中的应用
CN111234586B (zh) 一种吡嗪喹唑啉三酮生物碱化合物在制备海洋污损生物防除剂中的应用
CN108056113B (zh) 亨氏马尾藻乙酸乙酯萃取物分离组分e及其制备方法和在海洋污损生物防除中的应用
CN106810926A (zh) 一种阿朴菲类生物碱的应用
CN101485321A (zh) 齐墩果酸在制备海洋环保防污剂中的应用
CN101724306B (zh) 环脯氨酸-2-n-羟基-异亮氨酸在海洋污损生物防除中的应用
CN111296462A (zh) 一种吲哚喹唑啉二聚体生物碱化合物在制备海洋污损生物防除剂中的应用
CN108056112B (zh) 亨氏马尾藻乙酸乙酯萃取物分离组分a及其制备方法和在海洋污损生物防除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