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6350B1 - Crt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Crt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350B1
KR100386350B1 KR10-2001-0051367A KR20010051367A KR100386350B1 KR 100386350 B1 KR100386350 B1 KR 100386350B1 KR 20010051367 A KR20010051367 A KR 20010051367A KR 100386350 B1 KR100386350 B1 KR 100386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urrent
cathode
voltag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16587A (en
Inventor
야스이히로노부
헤이시아키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5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350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5Power 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9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beam current of cathode ray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또한 상기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변조용의 Gm 전극이 배치된 전자총을 갖는 Hi-Gm관을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Gm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Gm 전극 전압원(10)은 Cm 전극 전류 측정 회로(11)에 의해 측정된 Gm 전극(5)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허용값을 초과했을 때에는, 측정된 전류의 값에 따라 그 출력 전압, 즉, Gm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켜, 캐소드로부터 스크린으로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 having a cathode and an electron gun including a G1 electrode, a G2 electrode, and a G3 electrode for sequentially drawing electrons from the cathode, and a Gm electrode for modulation is disposed between the G2 electrode and the G3 electrode. In a CRT display device including a Gm tube, by preventing excessive beam current from flowing,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5 is provided by the Cm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1. When the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easured Gm electrode 5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output voltage, that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5 is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the measured current, and the cathode is moved from the cathode to the screen. To prevent excessive beam current from flowing.

Description

CRT 표시 장치{CRT DISPLAY APPARATUS}CRT display device {CRT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CRT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RT.

도 9에 종래의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 부호 18은 CRT, 참조 부호 2는 캐소드, 참조 부호 3은 G1 전극, 참조 부호 4는 G2 전극, 참조 부호 6은 G3 전극, 참조 부호 7은 애노드, 참조 부호 9는 영상 회로, 참조 부호 12는 플라이백 변압기(FBT), 참조 부호 13은 애노드 전류 측정 회로, 참조 부호 14는 저항, 참조 부호 15는 콘덴서, 참조 부호 19는 가변 저항이다. G1 전극(3), G2 전극(4), G3 전극(6)은 전자총 내에 배치되어, 캐소드(2)로부터의 전자의 인출, 프리 포커싱 등을 행하는 원통 형상의 전극이다. G3 전극 이후에 배치되는 포커싱 전극 등은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9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RT display device.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8 is a CRT, reference 2 is a cathode, reference 3 is a G1 electrode, reference 4 is a G2 electrode, reference 6 is a G3 electrode, reference 7 is an anode, reference 9 is an image circuit 12 is a flyback transformer (FBT), 13 is an an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4 is a resistor, 15 is a capacitor, and 19 is a variable resistor. The G1 electrode 3, the G2 electrode 4, and the G3 electrode 6 are arranged in an electron gun, and are cylindrical electrodes for withdrawing electrons from the cathode 2, prefocusing, and the like. The focusing electrode or the like disposed after the G3 electrode is omitted for simplicity.

도 9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영상 신호는 영상 회로(9)에서 증폭되어, 캐소드(2)에 공급된다. 애노드(7)에는 FBT(12)에서 승압된 고압이 인가되어 있다. G2 전극(4)에는, 애노드(7)에 인가되는 고압을 저항(19)으로 분압한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애노드 전류 측정 회로(13)의 저항(14)을 거쳐서 FBT(12)에 전류가 공급되고, 또한, 이 때 콘덴서(15)가 충전된다. 저항(14)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의 값으로부터, 애노드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전압 강하의 값은 영상 회로(9)에 공급된다.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of FIG. 9 will be described. The video signal is amplified by the video circuit 9 and supplied to the cathode 2. The high pressure boosted by the FBT 12 is applied to the anode 7. The voltage obtained by dividing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anode 7 by the resistor 19 is applied to the G2 electrode 4.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FBT 12 via the resistor 14 of the anode current measuring circuit 13, and at this time, the capacitor 15 is charged. The anode current can be measured from the value of the voltage drop caus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sistor 14. The value of this voltage drop is supplied to the video circuit 9.

애노드(7)에 인가되는 약 25kV의 고압은 도시하지 않은 수평 편향 출력 회로에서 생성되는 수평 귀선 펄스를 FBT(12)를 이용하여 승압·정류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G2 전극(4)에 인가되는 약 700V∼1000V의 전압은 이 고압을 저항(19)에 의해 분압되어 만들어지고 있다. G2 전극(4)에 흐르는 전류는 매우 작기 때문에, 고압을 분압하기 위한 저항(19)은 100MΩ 정도의 저항값을 갖는다. G2 전극(4)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흑 레벨을 변동시켜, 스크린 조정(거친 컷오프 조정(coarse cutoff adjustment))을 실행할 수 있다.The high voltage of about 25 kV applied to the anode 7 is produced by boosting and rectifying the horizontal retrace pulse generated by a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not shown) using the FBT 12. The voltage of about 700 V to 1000 V applied to the G2 electrode 4 is made by dividing this high voltage by the resistor 19. Sinc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4 is very small, the resistor 19 for dividing the high voltage has a resistance value of about 100 MΩ. By adjust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4, the black level can be varied to perform screen adjustment (coarse cutoff adjustment).

CRT 표시 장치에는, 캐소드로부터 스크린에 흐르는 평균 전자빔 전류가 허용값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 자동 계조 제한(ACL) 회로(자동 휘도 제한(ABL) 회로라고도 함)가 구비되고 있다. 애노드 전류는 전자빔 전류(이하, 빔 전류라고 함)에 비례하기 때문에, FBT(12)에 흐르는 애노드 전류를 측정하면 빔 전류의 값을 알 수 있다. 측정된 애노드 전류의 값은 ACL 회로에 공급된다. 애노드 전류를 측정하는 회로는 여러 가지 고안되어 있지만, 도 9의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14)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의 값으로부터 애노드 전류를 측정하고 있다. 이 전압 강하의 값은 프리앰프나 화질 보정 회로 등을 포함하는 영상 회로(9)에 공급된다. 영상 회로(9)는 애노드 전류의 값이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영상 신호의 증폭률을 작게 함으로써 캐소드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진폭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계조가 저하하여, 빔 전류가 억제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average electron beam current flowing from the cathode to the screen from exceeding the allowable value, the CRT display device is usually provided with an automatic gradation limit (ACL) circuit (also called an automatic luminance limit (ABL) circuit). Since the anode current is proportional to the electron beam curr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am current), the value of the beam current can be known by measuring the anod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BT 12. The value of the measured anode current is supplied to the ACL circuit. Although various circuits for measuring the anode current have been devised, the apparatus of FIG. 9 measures the anode current from the value of the voltage drop caus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sistor 14 as described above. The value of this voltage drop is supplied to the video circuit 9 including a preamplifier, an image quality correction circuit, and the like. The video circuit 9 suppresses the amplitude of the video signal supplied to the cathode by reducing the amplification factor of the video signal when the value of the an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As a result, the gradation decreases and the beam current is suppressed.

최근, CRT 표시 장치에 대한 휘도 및 해상도 향상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24618호 공보에는 이러한 요구에 응하는 고휘도·고해상도의 CRT(이하, Hi-Gm관이라고 함)가 개시되어 있다. 이 Hi-Gm관은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새롭게 변조용의 Gm 전극을 배치한 전자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improving the luminance and resolution of CRT displays, bu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24618 discloses a high-brightness and high-resolution C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Hi-Gm tube) in response to such a requirement. It is. This Hi-Gm tube is characterized by using an electron gun in which a Gm electrode for modulation is newly placed between the G2 electrode and the G3 electrode.

도 10은 Hi-Gm관에 이용되는 전자총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은 G1 전극, 참조 부호 21은 G2 전극, 참조 부호 22는 G3 전극, 참조 부호 23은 캐소드, 참조 부호 24는 캐소드의 표면에 마련된 전자 방사 물질, 참조 부호 25는 Gm 전극이다. G3 전극 이후에 배치되는 다른 포커싱 전극 등의 구성은 종래의 전자총과 같다.10 shows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 gun used for a Hi-Gm tube.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G1 electrode,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G2 electrode,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G3 electrode,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a cathode, reference numeral 24 denotes an electrospinning material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reference numeral 25 denotes Gm Electrode.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focusing electrode or the like disposed after the G3 electrod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electron gun.

도 11은 Hi-Gm관 전자총의 캐소드 근방의 전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은 캐소드 면으로부터의 거리(㎜), 종축은 전위(V)를 각각 나타내고, 전위 분포 곡선(26)은 캐소드 근방의 회전축 대칭인 전위 분포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27로 나타내는 화살표는 캐소드 면에서 약 0.5㎜의 거리에 있는 Gm 전극(25)의 존재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11 is a graph show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 near the cathode of a Hi-Gm tube electron gun. In this graph,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distance (mm) from the cathode surfac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otential (V), respectively, and the potential distribution curve 26 represents the shape of the potential distribution that is the rotation axis symmetry near the cathode. Incidentally, the arrow indicated by 27 indicates the presence range of the Gm electrode 25 at a distance of about 0.5 mm from the cathode surface.

Gm 전극(25)의 전위는 약 DC 80V로 설정되어, Gm 전극(25)의 존재 범위(27) 내에 낮은 전위를 갖는 위치(28)가 존재한다. 파선으로 나타낸 캐소드(23)의 전위가, 이 위치(28)의 전위보다 낮으면, 전자는 위치(28)를 통과하여 스크린으로 향하지만, 그 전위보다 높으면, 전자는 상기 낮은 전위를 갖는 위치(28)를 통과할 수없어 스크린 쪽으로 흐르지 않는다.The potential of the Gm electrode 25 is set to about DC 80V, so that there is a position 28 having a low potential within the existence range 27 of the Gm electrode 25. If the potential of the cathode 23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s lower than the potential of this position 28, the electron passes through the position 28 to the screen, but if it is higher than the potential, the electron has the position having the low potential ( 28) It cannot pass through and does not flow towards the screen.

도 11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캐소드(23)와 낮은 전위를 갖는 위치(28) 사이에는, 전자가 항상 풍부하게 존재하고, 또한, Gm 전극(25) 후방의 전위 구배는 106(V/m)의 차수이다. 이것은 캐소드와 G1 전극 사이의 전위 구배와 비교하여 1자리수 정도 크다. 따라서, 전자가 Gm 전극(25)을 통과한 후에는, 많은 전자는 공간 전하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그대로 스크린으로 향할 수 있어, 스크린으로 흐르는 전자빔의 강도는 낮은 전위를 갖는 위치(28)를 통과하는 전자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graph of FIG. 11, between the cathode 23 and the position 28 having a low potential, electrons are always abundant, and the potential gradient behind the Gm electrode 25 is 10 6 (V / m). This is about one order of magnitude larger than the potential gradient between the cathode and the G1 electrode. Therefore, after the electrons have passed through the Gm electrode 25, many of the electrons can be directed to the scree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pace charge,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electron beam flowing to the screen passes through the position 28 having a low electric potential. It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electrons to be made.

이러한 이유로부터, 상기 Hi-Gm관에 있어서, 캐소드 전위를 어느 일정한 값만큼 변동시켰을 때의 빔 전류의 변화는 종래의 CRT에 비해 약 2배로 된다. 즉, Hi-Gm관에서는, 빔 전류를 소정값만큼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캐소드 전위의 변동폭을 종래의 절반 이하로 할 수 있고, 또한, 캐소드 전위의 변동폭이 같으면, 종래의 CRT에 비해 빔 전류의 변화량을 2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Hi-Gm관을 이용하면 고 주파수의 영상 신호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고휘도·고해상도의 표시 장치가 얻어진다.For this reason, in the Hi-Gm tube, the change in the beam current when the cathode potential is changed by a certain value is about twice that of the conventional CRT. That is, in the Hi-Gm tube,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cathode potential required to change the beam current by a predetermined value can be made less than half the conventional one, and if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cathode potential is the sam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beam curr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RT Can be more than doubled. Therefore, by using the Hi-Gm tube,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a high frequency video signal, thereby obtaining a display device with high brightness and high resolution.

도 12는, 상기 Hi-Gm관에 있어서, 캐소드 전압이 변화되었을 때 각 전류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참조 부호 29는 캐소드 전류, 참조 부호 30은 빔 전류, 참조 부호 31은 G2 전극 전류, 참조 부호 32는 Gm 전극 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는 G2 전극 전압이 500V, Gm 전극전압이 80V일 경우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캐소드 전압이 저하함에 따라서 빔 전류가 증가하여 화면의 휘도가 높아지고, 또한, Gm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80V 이기 때문에, 캐소드 전압이 80V 이하로 되면 빔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그래프로부터, Hi-Gm관에서는, Gm 전극 전류 및 G2 전극 전류는 빔 전류의 증대에 따라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12 is a graph showing how each current changes when the cathode voltage is changed in the Hi-Gm tube. In this graph, reference numeral 29 denotes a cathode current,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beam current,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G2 electrode current, and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 Gm electrode current. This graph shows a case where the G2 electrode voltage is 500V and the Gm electrode voltage is 80V. From this graph, it can be seen that as the cathode voltage decreases, the beam current increases and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ncreases, and since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is 80V, the beam current starts to flow when the cathode voltage becomes 80V or less. have.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from the graph that in the Hi-Gm tube, the Gm electrode current and the G2 electrode current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beam current.

상기 Hi-Gm관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서는, 통상의 전자총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캐소드 전압의 변동폭이 같으면, 빔 전류의 변화량이 2배 이상으로 되어,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를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진다. 과도한 빔 전류를 계속 흘리면, 에미션 불량 등이 발생하여, CRT 수명이 짧게 되기 때문에, Hi-Gm관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서는, 빔 전류의 제어는 종래 이상으로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Hi-Gm관의 상기한 특성을 고려하여, 과도한 빔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을 구비한 CRT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Hi-Gm tube, when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cathode voltage is the same as compared with the CRT display device using a normal electron gun, the change amount of the beam current is twice or more, and the likelihood of excessive beam current flowing also increases. . If excessive beam current continues to flow, emission failures occur and the CRT life is shortened. Therefore, in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Hi-Gm tube, the control of the beam current becomes more important than the prior art.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T display device having new means for preventing excessive beam current, in view of the above characteristics of the Hi-Gm tube.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spects, advantage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의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RT display;

도 10은 Hi-Gm관 전자총의 캐소드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ructure near a cathode of a Hi-Gm tube electron gun;

도 11은 Hi-Gm관 전자총 내의 전위 분포를 설명하는 그래프,11 is a graph illustrating a potential distribution in a Hi-Gm tube electron gun;

도 12는 Hi-Gm관의 캐소드 전압과 각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12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athode voltage and each current of a Hi-Gm tube.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Invention

1 : Hi-Gm관 2 : 캐소드1: Hi-Gm tube 2: cathode

3 : G1 전극 4 : G2 전극3: G1 electrode 4: G2 electrode

5 : Gm 전극 6 : G3 전극5: Gm electrode 6: G3 electrode

7 : 애노드 9 : 영상 회로7: anode 9: video circuit

10 : Gm 전극 전압원 11 : Gm 전극 전류 측정 회로10: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1: Gm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2 : 플라이백 변압기 13 : 애노드 전류 측정 회로12 flyback transformer 13 an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4 : 저항 15 : 콘덴서14 resistance 15 capacitor

16 : G2 전극 전압원 17 : G2 전극 전류 측정 회로16: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7: G2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8 : CRT 19 : 가변 저항18: CRT 19: variable resistor

20 : G1 전극 21 : G2 전극20: G1 electrode 21: G2 electrode

22 : G3 전극 23 : 캐소드22: G3 electrode 23: cathode

24 : 전자 방사 물질 25 : Gm 전극24: electron emitting material 25: Gm electrode

26 : 전위 분포 곡선 27 : Gm 전극이 존재하는 범위26: potential distribution curve 27: the range where the Gm electrode is present

28 : 낮은 전위 위치 29 : 캐소드 전류28: low potential position 29: cathode current

30 : 빔 전류 31 : G2 전극 전류30 beam current 31 G2 electrode current

32 : Gm 전극 전류32: Gm electrode current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또한 상기 G2 전극과 G3 전극사이에 변조용의 Gm 전극이 배치된 전자총을 갖는 CRT를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상기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수단과, 상기 전류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값에 따라 상기 Gm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값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provided with a cathode, an electron gun including a G1 electrode, a G2 electrode, and a G3 electrode for taking out electrons from the cathode, in order, and a modulation Gm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G2 electrode and the G3 electrode. A CR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RT having: a curren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y on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and a current flowing through an anode of the CRT; and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means.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ue of the voltage applied to said Gm electrode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said current.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또한 상기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변조용의 Gm 전극이 배치된 전자총을 갖는 CRT를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상기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수단과, 상기 전류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값에 따라 상기 G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값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ncludes a cathode, an electron gun provided with a G1 electrode, a G2 electrode, and a G3 electrode for taking out electrons from the cathode in that order, and a Gm electrode for modulation is disposed between the G2 electrode and the G3 electrode. A CR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RT having: a curren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y on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and a current flowing through an anode of the CRT; and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means.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ue of the voltage applied to said G2 electrode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said current.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캐소드와, 상기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또한 상기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변조용의 Gm 전극이 배치된 전자총을 갖는 CRT와,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진폭을 갖는 영상 신호를 상기 캐소드에 공급하는 영상 회로를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상기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 신호로서 상기 영상 회로에 공급하는 전류 측정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comprises a cathode, an electron gun provided with a G1 electrode, a G2 electrode, and a G3 electrode for taking out electrons from the cathode in that order, and a Gm electrode for modulation is disposed between the G2 electrode and the G3 electrode. A CR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RT having a CRT and an image circuit for supplying an image signal having an amplitude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supplied to the cathod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and the anode of the CRT. And a curren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value of any one of the currents flowing through and supplying the measured value as the control signal to the video circuit.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drawing which shows the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Hi-Gm관, 참조 부호 2는 캐소드, 참조 부호 3은 G1 전극, 참조 부호 4는 G2 전극, 참조 부호 5는 Gm 전극, 참조 부호 6은 G3 전극, 참조 부호 7은 애노드, 참조 부호 9는 영상 회로, 참조 부호 10은 Gm 전극 전압원, 참조 부호 11은 Gm 전극 전류 측정 회로이다. Gm 전극 이후의 구조는 종래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Hi-Gm tube,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cathode,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G1 electrode, reference numeral 4 denotes a G2 electrode,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Gm electrode, reference numeral 6 denotes a G3 electrode, and a reference numeral 7 is an anode, 9 is an image circuit, 10 is a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1 is a Gm electrode current measuring circuit. Since the structure after the Gm electrod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the illustration is omitted for simplicity.

영상 신호는 영상 회로(9)에서 반전 증폭되어, 캐소드(2)에 인가된다. Gm 전극 전압원(10)은 Gm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원이다. Gm 전극 전류 측정 회로(11)는 Gm 전극(5)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그 값을 Gm 전극 전압원(10)에 공급한다. 실시예 1에서는, 예컨대, G1 전극(3)에는 0V가, G2 전극(4)에는 500V가, G3 전극에는 5.5KV가, Gm 전극에는 80V가, 애노드(6)에는 25KV의 고압이 각각 인가되고 있다.The video signal is inverted and amplified by the video circuit 9 and applied to the cathode 2.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is a voltage source that generates a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5. The Gm electrode current measuring circuit 11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5, and supplies the value to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In Example 1, for example, a high voltage of 0 V is applied to the G1 electrode 3, 500 V to the G2 electrode 4, 5.5 KV to the G3 electrode, 80 V to the Gm electrode, and 25 KV to the anode 6, respectively. have.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빔 전류와 Gm 전극 전류는 비례 관계에 있고, 실시예 1에서는 이 특성을 이용하여, Gm 전극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빔 전류를 측정하고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the beam current and the Gm electrode current have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nd in Example 1, the beam current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Gm electrode current using this characteristic.

Gm 전극 전류의 측정값이 허용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Gm 전극 전압원(10)은 그 값에 따라 출력 전압, 즉, Gm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킨다. Gm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은 CRT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의 캐소드 전압을 규정하고 있고, 캐소드 전압이 Gm 전극의 전압보다 낮게 되면 전자빔이 스크린에 조사되어, 화면이 발광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Gm 전극 전압을 낮출 경우, 캐소드 전압에 대한 화면이 발광되기 시작하는 점이 낮아져 빔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m electr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lowers the output voltage, that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according to the value.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5 defines the cathode voltage at which the CRT screen starts to emit light. When the cathode voltage becomes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Gm electrode, the electron beam is irradiated onto the screen, and the screen starts to emit light. Therefore, when the Gm electrode voltage is lowered, the point at which the screen for the cathode voltage starts emitting light is lowered, so that the beam current can be suppressed.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애노드 전류를 측정하여 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출력 전압이 100V 이하이며, 출력 전류가 1mA 이하인 Gm 전극 전압원(10)으로부터 Gm 전극(5)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때문에, 간단한 회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고, 예컨대, Gm 전극에 직렬 접속된 저항의 전압 강하값을 전압값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In Example 1 described above, the anode current is not measured to measure the beam current, bu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5 from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having an output voltage of 100 V or less and an output current of 1 mA or less is measured. Therefore, the beam current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a simple circui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can be measur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the voltage drop value of the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Gm electrode can be measured as a voltage value.

(실시예 2)(Example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의 요소와 같은 구성의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빔 전류와 Gm 전극 전류는 비례 관계에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Gm 전극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빔 전류를 측정하고 있다. 영상 회로 내의 프리앰프나, 비디오 크로마틱 정글(VCJ : Video Chromatic Jungle) 등의 화질 조정 회로에는, 통상, 계조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이 구비되고 있고, 실시예 2는 Gm 전극 전류 측정 회로(11)의 측정 결과를, Gm 전극 전압원(10)이 아닌, 상기 영상 회로(9)의 제어 입력에 공급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element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element of FIG. In Example 2, similarly to Example 1, the beam current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Gm electrode current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beam current and the Gm electrode current are in proportional relationship. Image quality adjustment circuits such as preamplifiers and video chromatic jungles (VCJs) in a video circuit are usually provided with control inputs for control of gradation and the like,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a Gm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 11)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measurement result of 11) is supplied to the control input of the video circuit 9 rather than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FIG.

Gm 전극 전류의 측정값이 허용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영상 회로(9)는 그 값에 따라 증폭기의 이득을 작게 하여, 캐소드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함으로써 휘도를 낮춘다. 이것에 의해 빔 전류가 억제된다. 또한, Gm 전극 전류 측정 회로(11)의 출력에 적분 회로를 마련하면 평균 빔 전류는 억제되지만, 화면상의 고휘도인 소면적 부분에 대응하는 빔 전류의 고주파 성분은 그 만큼 억제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피크 휘도가 얻어져, 텔레비전 영상 등의 동영상에서는 개선된 영상(enhanced image)이 얻어진다.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m electr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video circuit 9 reduces the gain of the amplifier according to the value and decreases the brightness by reducing the amplitude of the video signal supplied to the cathode. This suppresses the beam current. In addition, when the integrating circuit is provided at the output of the Gm electrode current measuring circuit 11, the average beam current is suppressed. However, since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of the beam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mall-area portion having high brightness on the screen is not so suppressed, the peak peak luminance is sufficient. Is obtained, and an enhanced image is obtained in a moving picture such as a television picture.

종래의 CRT 표시 장치나 TV 등에서는, 통상, 애노드 전류를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영상 회로의 계조 제어 회로에 공급하는데 비하여, 상술한 실시예 2에서는, Gm 전극 전류를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영상 회로의 계조 제어 회로에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영상 회로에 통상 구비되어 있는 계조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빔 전류를 제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애노드 전류를 측정하여 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출력 전압이 1O0V 이하이며 출력 전류가 1mA 이하인 Gm 전극 전압원(10)으로부터 Gm 전극(5)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때문에, 간단한 회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In conventional CRT displays or TVs, the anode current is usually measured and the measurement result is supplied to the gradation control circuit of the video circuit. In Example 2, the Gm electrode current is measured and the measurement result. Is supplied to the gradation control circuit of the video circuit.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beam current is controlled by using the gradation control circuit usually provided in the video circui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as in Example 1, instead of measuring the anode current to measure the beam curren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5 from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having an output voltage of 10 V or less and an output current of 1 mA or less is measured. Using a simple circuit, the beam current can be easily measured.

(실시예 3)(Example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의 요소와 같은 구성의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실시예 3은 Gm 전극 전류 측정 회로(11) 대신에,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애노드 전류 측정 회로(13)를 구비하고, Gm 전극 전압원(10)에 애노드 전류 측정 회로(13)의 측정 결과를 공급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element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element of FIG. Embodiment 3 includes the an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3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nstead of the Gm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1,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n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3 is applied to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FIG. It differs from Example 1 in the point which is supplied.

Hi-Gm관에서는, 애노드 전류는 빔 전류의 증대에 따라 증가한다. 실시예 3에서는, 애노드 전류를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에 따라서, Gm 전극 전압원(1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류 측정 회로(13)의 저항(14)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압 강하의 값으로부터 애노드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Hi-Gm tube, the anode current increases with increasing beam curren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anode current is measured, an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the output voltage of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is controlled to prevent excessive beam current from flowing. As described above, the beam current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anode current from the value of the voltage drop caused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sistor 14 of the an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3.

애노드 전류의 측정값이 허용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Gm 전극 전압원(10)은 그 값에 따라 출력 전압, 즉, Gm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킨다. 이미 설명했듯이, Gm 전극의 전압은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의 캐소드 전압을 규정하고 있어, 캐소드 전압이 Gm 전극(5)의 전압보다 낮게 되면 전자빔이 스크린에 흘러,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Gm 전극 전압을 낮춘 경우, 캐소드 전압에 대한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이 낮아져 빔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노드 전류의 값에 따라 Gm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RT 표시 장치에서의 애노드 전류의 측정은 빔 전류의 측정을 위해 종래부터 잘 이용되고 있는 수법이며, 이 수법을 도입하는 것은 용이하다.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an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lowers the output voltage, that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5 according to the value. As already explained, the voltage of the Gm electrode defines the cathode voltage at the point at which the screen starts to emit light. When the cathode voltage becomes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Gm electrode 5, the electron beam flows to the screen and the screen starts to emit light. Therefore, when the Gm electrode voltage is lowered, the point at which the screen for the cathode voltage starts emitting light is lowered, so that the beam current can be suppressed. As such,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anode current, excessive beam curren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The measurement of the anode current in the CRT display device is a method well used in the past for measuring the beam current, and it is easy to introduce this method.

(실시예 4)(Example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의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실시예 4는 Gm 전극 전류 측정 회로(11)의 측정 결과를, Gm 전극 전압원(10)이 아니라, G2 전극 전압원(16)에 공급하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G2 전극 전압원(16)은 G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원이며, 그 출력 전압을 Gm 전극 전류 측정 회로(11)가 측정한 전류의 값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same as the component of FIGS. The four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Gm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1 are supplied to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instead of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is a voltage source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and its output voltag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Gm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1.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Hi-Gm관에서는, 빔 전류가 증가하면, 그것에 비례하여 Gm 전극 전류가 증가하기 때문에, Gm 전극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빔 전류의 측정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in the Hi-Gm tube, when the beam current increases, the Gm electrode current increases in proportion to it, so that the beam current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Gm electrode current.

통상의 CRT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G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스크린 조정이라고 불리는 캐소드 전압에 대하여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의 컷오프 조정의 거친 조정을 하고 있었다(통상, 컷오프 조정은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 통상의 CRT에서는 G2 전극 전압을 낮춤으로써 캐소드 전압과의 상대적인 전위차가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흑 레벨은 가라앉아 버린다. Hi-Gm관에서도 G2 전극 전압을 낮추면, 캐소드 전압과의 상대적인 전위차가 내려가 빔 전류는 감소하지만,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은 Gm 전극의 전압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G2 전극 전압을 낮춘 폭만큼 커지면, 흑 레벨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Hi-Gm관에서는, G2 전극 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흑레벨을 변경하지 않고, 빔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In a display device having an ordinary CRT, rough adjustment of the cutoff adjustment of the point at which the screen starts to emit light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athode voltage called screen adjustment by adjust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Adjusting the cathode bias voltage). In a typical CRT, the relative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cathode voltage is reduced by lowering the G2 electrode voltage, and as a result, the beam current can be reduced, but the black level sinks. Even in the Hi-Gm tube, when the G2 electrode voltage is lowered, the relative potential difference with the cathode voltage decreases and the beam current decreases, but since the point at which the screen starts emitting light is determined by the voltage of the Gm electrode, , Black level does not change. Therefore, in the Hi-Gm tube, the beam current can be suppressed without changing the black level by lowering the G2 electrode voltage.

즉, 실시예 4에서는, Gm 전극 전류의 측정값이 허용값을 초과한 경우, G2 전극 전압원(16)은 그 값에 따라 출력 전압, 즉, G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흑 레벨을 변경하지 않고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Example 4,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m electr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lowers the output voltage, that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according to the value. As a result, excessive beam curren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without changing the black level.

(실시예 5)(Example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의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참조 부호 17은 G2 전극 전압원(16)의 출력에 접속되어, G2 전극(4)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G2 전극 전류 측정 회로이다. G2 전극 전류 측정 회로(17)의 출력은 G2 전극 전압원(16)에 공급된다. G2 전극 전압원(16)은 G2 전극 전류 측정 회로(17)가 측정한 전류의 값에 따라 그 출력 전압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s. 1 to 4. In FIG. 5, reference numeral 17 is a G2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and measur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4. The output of the G2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7 is supplied to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is configured to change its output voltage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G2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7.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Hi-Gm관에서는, 캐소드 전압이 저하함에 따라서, G2 전극 전류는 빔 전류의 증대에 따라 증가한다. 실시예 5에서는, 이 특성을 이용하여, G2 전극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빔 전류를 측정하고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in the Hi-Gm tube, as the cathode voltage decreases, the G2 electrode curren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beam current. In Example 5, the beam current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G2 electrode current using this property.

즉, 실시예 5에서는, G2 전극 전류의 측정값이 허용값을 초과한 경우, G2 전극 전압원(16)은 그 값에 따라 출력 전압, 즉, G2 전극(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킨다. 실시예 4에 설명한 바와 같이, Hi-Gm관에서는, G2 전극 전압을 낮추는 것에 의해 빔 전류를 낮출 수 있고, G2 전극 전압값의 하강 폭만큼 커지면, 흑 레벨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G2 전극(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흑 레벨을 변경하지 않고 빔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ifth embodiment,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2 electr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lowers the output voltage, that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4 according to the value.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Hi-Gm tube, the beam current can be lowered by lowering the G2 electrode voltage, and the black level does not change when the beam current is increased by the falling width of the G2 electrode voltage value. Therefore, by lower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4, the beam current can be suppressed without changing the black level.

(실시예 6)(Example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실시예 6은 G2 전극 전류 측정 회로(17)의 출력을 G2 전극 전압원(16)이 아니라, 영상 회로(9)의 제어 입력에 공급하는 점에서 실시예 5와 다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element same as the element shown in FIGS. The six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fth embodiment in that the output of the G2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7 is supplied to the control input of the video circuit 9 rather than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실시예 6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Hi-Gm관에서는, 캐소드 전압이 저하됨에 따라서, G2 전극 전류는 빔 전류의 증대에 수반하여 증가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G2 전극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빔 전류를 측정하고 있다.In Example 6, as in Example 5, in the Hi-Gm tube, the G2 electrode curren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beam current as the cathode voltage decreases, thereby measuring the G2 electrode current to measure the beam current. Is being measured.

G2 전극 전류의 측정값이 허용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영상 회로(9)는 그 값에 따라 증폭기의 이득을 작게 하여, 캐소드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진폭을 작게 하여 휘도를 낮춘다. 그에 따라 빔 전류가 억제된다. 또한, G2 전극 전류 측정 회로(17)의 출력에 적분 회로를 마련하면, 평균 빔 전류는 억제되지만 화면상의 고휘도인 소면적 부분에 대응하는 빔 전류의 고주파 성분은 그만큼 억제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피크 휘도가 얻어져, 텔레비전 영상 등의 동영상에서는 개선된 영상이 얻어진다.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2 electr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video circuit 9 reduces the gain of the amplifier according to the value, reduces the amplitude of the video signal supplied to the cathode, and lowers the brightness. The beam current is thereby suppressed. In addition, when an integrating circuit is provided at the output of the G2 electrode current measuring circuit 17, the average beam current is suppressed, but since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of the beam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mall-area portion having high brightness on the screen is not so suppressed, sufficient peak brightness Is obtained, and an improved image is obtained from a moving image such as a television image.

(실시예 7)(Example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실시예 7은,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통상의 CRT나 Hi-Gm관에 관계없이, 애노드 전류는 빔 전류의 증대에 따라 증가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애노드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지만, 애노드 전류 측정 회로(13)의 측정 출력을, Cm 전극 전압원(10)이 아닌, G2 전극 전압원(16)에 공급하는 점에서 실시예 3과 다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element same as the element shown in FIGS. Example 7, like Example 3, measures the beam current by measuring the anode current,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anode curren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beam current, regardless of a normal CRT or Hi-Gm tube. Is different from Example 3 in that the measurement output of the an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3 is supplied to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instead of the C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애노드 전류의 측정값이 허용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G2 전극 전압원(16)은 그 값에 따라 출력 전압, 즉, G2 전극(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킨다. 실시예 4에서 설명했듯이, Hi-Gm관에서는, G2 전극 전압을 낮추는 것에 의해 빔 전류를 낮출 수 있어, G2 전극의 전압 하강 폭이 그만큼 커지면, 흑 레벨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Hi-Gm관에서는, G2 전극(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킴으로써, 흑 레벨을 변경하지 않고 빔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an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G2 electrode voltage source 16 lowers the output voltage, that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4 according to the value.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Hi-Gm tube, the beam current can be lowered by lowering the G2 electrode voltage, so that the black level is not changed when the voltage drop width of the G2 electrode increases by that much. Therefore, in the Hi-Gm tube, the beam current can be suppressed without changing the black level by lower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4.

(실시예 8)(Example 8)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미 설명했듯이, Hi-Gm관에서는, 캐소드 전압이 저하함에 따라서, G2 전극 전류는 빔 전류의 증대에 따라 증가한다. 실시예 8은, 실시예 5 및 6과 마찬가지로, 이 특성을 이용하여, G2 전극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빔 전류를 측정하고 있다. 실시예 8은 G2 전극 전류 측정 회로(17)의 출력을 Gm 전극 전압원(10)에 공급하는 점에서 실시예 5 및 6과 다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R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element same as the element shown in FIGS. As already explained, in the Hi-Gm tube, as the cathode voltage decreases, the G2 electrode curren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beam current. Example 8 measures beam current by measuring G2 electrode current using this characteristic similarly to Examples 5 and 6. Example 8 differs from Examples 5 and 6 in that the output of the G2 electrode current measurement circuit 17 is supplied to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Gm 전극 전압원(10)은 Gm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원이며, G2 전극 전류 측정 회로(17)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값에 따라 그 출력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G2 전극 전류의 측정값이 허용값을 초과한 경우, Gm 전극 전압원(10)은 그 값에 따라 출력 전압, 즉, Gm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하시킨다.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is a voltage source for genera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and may change its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G2 electrode current measuring circuit 17.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G2 electrode current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Gm electrode voltage source 10 lowers the output voltage, that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5 according to the value.

이미 설명했듯이, Gm 전극의 전압은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의 캐소드 전압을 규정하고 있고, 캐소드 전압이 Gm 전극의 전압보다 낮게 되면 전자빔이 스크린에 흘러,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한다. Gm 전극 전압을 낮춘 경우, 캐소드 전압에 대한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이 낮아져 빔 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G2 전극 전류의 값에 따라 Gm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으로부터,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lready explained, the voltage of the Gm electrode defines the cathode voltage at the point where the screen starts to emit light, and when the cathode voltage is lower than the voltage of the Gm electrode, an electron beam flows to the screen and the screen starts to emit light. When the Gm electrode voltage is lowered, the point at which the screen for the cathode voltage starts to emit light is lowered to suppress the beam current. Thus,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G2 electrode curr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essive beam current from flowing.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빔 전류에 각각 비례하는,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여, 측정된 전류의 값에 따라 Gm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any on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and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node of the CRT, respectively proportional to the beam current, is measured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measured current.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beam current from flowing.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빔 전류에 각각 비례하는,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여, 측정된 전류의 값에 따라 G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any on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and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node of the CRT, respectively,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beam current, is measured, and the G2 electrod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measured current.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beam current from flowing.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빔 전류에 각각 비례하는,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측정하여, 영상 회로로부터 캐소드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진폭을, 상기 측정된 값에 따라 제어하기 때문에, 과도한 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3, an image supplied to the cathode from an image circuit by measuring a value of any on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and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node of the CRT, respectively,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beam current Since the amplitude of the signal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value, excessive beam curren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Claims (3)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또한 해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변조용의 Gm 전극이 배치된 전자총을 갖는 CRT를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A CRT comprising a cathode and a CRT having a G1 electrode, a G2 electrode, and a G3 electrode, in order to extract electrons from the cathode, and an electron gun having a Gm electrode for modulation disposed between the G2 electrode and the G3 electrode; In a display device, 상기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상기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수단과,Curren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y on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and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node of the CRT; 해당 전류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값에 따라 상기 Gm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값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u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Gm electrod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means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CR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또한 해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변조용의 Gm 전극이 배치된 전자총을 갖는 CRT를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A CRT comprising a cathode and a CRT having a G1 electrode, a G2 electrode, and a G3 electrode, in order to extract electrons from the cathode, and an electron gun having a Gm electrode for modulation disposed between the G2 electrode and the G3 electrode; In a display device, 상기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상기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수단과,Curren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y one of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m electrod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2 electrode, and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anode of the CRT; 해당 전류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값에 따라 상기 G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값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alu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G2 electrod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means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CR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캐소드와, 해당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을 순서대로 구비하고, 또한 해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변조용의 Gm 전극이 배치된 전자총을 갖는 CRT와,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진폭을 갖는 영상 신호를 상기 캐소드에 공급하는 영상 회로를 포함하는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A CRT having a cathode, an electron gun provided with a G1 electrode, a G2 electrode, and a G3 electrode for taking out electrons from the cathode in this order, and wherein a Gm electrode for modulation is disposed between the G2 electrode and the G3 electrode; A CRT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mage circuit for supplying an image signal having an amplitude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to the cathode. 상기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 상기 G2 전극에 흐르는 전류 및 상기 CRT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측정하여, 해당 측정된 값을 상기 제어 신호로서 상기 영상 회로에 공급하는 전류 측정 수단Current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value of any on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Gm electrode, the current flowing in the G2 electrode and the current flowing in the anode of the CRT, and supplies the measured value as the control signal to the video circuit.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CR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KR10-2001-0051367A 2000-08-25 2001-08-24 Crt display apparatus Expired - Fee Related KR10038635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5281 2000-08-25
JPJP-P-2000-00255281 2000-08-25
JP2001046577A JP2002142172A (en) 2000-08-25 2001-02-22 Crt display
JPJP-P-2001-00046577 200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587A KR20020016587A (en) 2002-03-04
KR100386350B1 true KR100386350B1 (en) 2003-06-09

Family

ID=2659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3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6350B1 (en) 2000-08-25 2001-08-24 Crt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142172A (en)
KR (1) KR100386350B1 (en)
CN (1) CN1227706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79493C (en) * 2005-01-26 2009-04-1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Automatic dynamic limiting method and circuit for CRT beam curr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42172A (en) 2002-05-17
CN1340842A (en) 2002-03-20
KR20020016587A (en) 2002-03-04
CN1227706C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14253A (en) Display device and cathode ray tube
KR100323001B1 (en) Cathode ray tube driving circuit
KR100229969B1 (en) Raster size regulating apparatus
KR100386350B1 (en) Crt display apparatus
US6404147B1 (en) Display apparatus monitoring a threshold level for controlling a dynamic focusing circuit
US6384536B1 (en) CRT display apparatus
KR100400119B1 (en) Crt display and cut-off adjustment method
KR100541731B1 (en) Crt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440526B1 (en) Crt display apparatus
KR100210185B1 (en) Power supply for an electrode of a crt
KR200330773Y1 (en) CRT display apparatus
KR100588139B1 (en) Automatic Control of Focus Voltage and Automatic Control of Image Display Equipment
US7248233B2 (en) Control circuit and process for a cathode ray tube display control apparatus
US5032770A (en) Image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JP3470360B2 (en) Cathode ray tube display
KR930010030B1 (en) Time base circuits and television receivers comprising these time base circuits
KR100575629B1 (en) High pressure stabilization circuit
KR20020018306A (en) Automatic beam limit circuit for monitor
KR830002172B1 (en) Auto kinescope bias device
KR0174624B1 (en) CRT focus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using high frequency components
KR19990007143U (en) Image signal level control device of high pressure variable compensation method
EP192797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athode ray tube display screen by controlling the voltage of a reference electrode and corresponding circuit
KR19990080539A (en) Raster Stabilization Circuit of Monitor
KR19990005593A (en) Auto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BL adjustment in monitor
JPH06222725A (en) Flat type cathode ray tu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