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6008B1 - 보강링을 구비한 정류자 - Google Patents

보강링을 구비한 정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008B1
KR100386008B1 KR10-1999-7005167A KR19997005167A KR100386008B1 KR 100386008 B1 KR100386008 B1 KR 100386008B1 KR 19997005167 A KR19997005167 A KR 19997005167A KR 100386008 B1 KR100386008 B1 KR 10038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mmutator
metal
rings
ins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7492A (ko
Inventor
포토크닉호제
체린이반
Original Assignee
컴트레이드 한델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트레이드 한델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컴트레이드 한델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5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0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4Commutators
    • H01R39/06Commutators other than with external cylindrical contact surface, e.g. flat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6Manufacture of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부(22) 및 플랜지부(24)를 갖는 계단형 절연링(20) 및 금속링(18)을 포함하는 보강 시스템을 구비한 정류자(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금속링은 직사각형의 크로스-섹션을 포함하며, 금속링의 방사형 외부 표면이 플랜지부(24)의 방사형 내부 표면에 접하고 상기 금속링(18)의 단부 내부 표면이 캐리어부(22)의 단부 외부 표면에 완전히 접하는 방식으로 계단형 절연링 내부로 삽입된다.

Description

보강링을 구비한 정류자 {COMMUTATOR WITH REINFORCING RING}
정류자를 유리 섬유-보강링으로 보강하는, 정류자의 상이한 실시예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섬유링이 바람직한 연신 특성을 가지고 우수하게 초기 응력을 받거나 팽창되며, 또한 보강링이 동시에 전기 절연체임으로 인해 유리 섬유링이 구리로 이루어진 고정 앵커 위로 직접 이동된다는, 상기 정류자의 큰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상기 방식의 정류자는 강 링으로 보강된 정류자에 비해 약점을 갖는다. 그 약점은, 고열의 부하를 받는 모터용으로 상기 정류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또는 고온의 영향하에서 장시간 작동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또한, 임의의 에러로인해 열적 과부하가 야기될 수도 있다. 저렴한 수지가 사용된 경우에는, 어떠한 열적 과부하에서도 절연링 또는 유리 섬유링의 국부적인 연화가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정류자 세그먼트는 허용 오차값을 초과하여 이동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상기 방식의 정류자의 수명은 상당히 감소된다.
보강링이 횡단면으로 볼 때 실제로 직사각형이며 횡단면으로 볼 때 실제로 직사각형인 절연링에 의해서 수용되는 1이상의 금속링으로 이루어진 정류자는 이미 제안되었다. 상기 방식의 정류자는 예를 들어 DE-OS 4302759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은 팬 형태로 둘레에 분배된 구리판을 갖는 전동기용 정류자를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구리판은 후방 절단부를 포함하는 내부 핀에 의해서 플라스틱-압축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 캐리어내에 고정된다. 이 때 1이상의 금속 인장링을 감싸는 보강링은 캐리어내에 삽입되며, 캐리어는 내부 핀을 연장부의 후방 절단부 영역에서 감싸고, 적어도 상기 연장부를 향한 내부면상에서 절연 중간층을 포함한다. 이 경우 중간층은, 높은 작동 온도에서도 압력에 강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인장링에 정확하게 매칭되는 지지링으로 이루어진다.
인장링과 지지링 사이에 프레스 피트(press fit)가 제공됨으로써 인장링과 지지링이 보강링으로서 강하고 견고한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기 때문에, 2개의 링은 결합 전에 매우 정확한 치수로 그리고 그에 따라 매우 좁은 제조 허용 오차로 제조될 뿐만 아니라, 후방 절단부에서도 상응하는 매칭 정확성이 보장될 수 있다. 그 밖에 지지링이 유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프레스 피트를 가능하게 하는 초기 응력이 매우 적은 비용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값싸고 열에 강하지 않은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리 섬유링의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 섬유링이 고온에서 연화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적어도 유리 섬유링 및 금속링으로 이루어진 보강링을 손상시킬 수 있다. 네이브와 금속링 사이에 배치된 절연링 또는 유리링은 또한 정류자내에 장치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초기 응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제안된 방식의 정류자는 WO95/22184호 및 WO95/22185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개문은 금속링 및 유리 섬유링으로 결합된 정류자용 보강링의 제조를 함께 포함한다. 횡단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인 금속링은 전면에서 횡단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인 유리 섬유링 내부로 끼워진다; 그럼으로써 유리 섬유링은 금속에 대해 변위되어 금속링의 방사상 외부면에 접하는 돌출 영역이 형성되도록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본 분야를 형성하는 선행 기술은 WO95/22184호의 도 3 및 도 6 그리고 WO95/22185호의 도 3 및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 기술에서 중요한 점은, 구리 세그먼트의 고정 앵커와 금속링 사이의 중간 공간이 압축형태로 채워진다는 점이다. DE-43027159-A호에 따른 선행 기술에서는 그와 달리, 고정 앵커의 방사상 외부면의 제 1 부분이 고온에서 압력에 강한 압축 재료의 중간층을 통해서 보강링의 금속링 위로 프레스된다.
본 발명은 압축 재료내에 매립된 구리 세그먼트를 갖는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정류자에 관한 것으로, 이 구리 세그먼트는 1이상의 전면의 수용부내에 정류자 회전축에 대해서 동축으로 배치된 보강링을 수용하며, 상기 보강링은 횡단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금속링 및 횡단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금속링과 결합된 절연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식의 정류자를 제조하기 위한 청구항 9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구리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바디를 금속링 및 절연링으로 이루어진 보강링을 위한 1이상의 수용부와 함께 제조하며, 보강링을 상기 수용부상에 제공한 다음에 정류자를 압축 재료로 주조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강링을 갖는 정류자의 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동일한 보강링을 갖는 플랫 정류자의 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3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강링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적으로 간단한 수단으로 높은 작동 온도에서 뿐만 아니라 높은 회전수에서도 계속적으로 안전한 회전 내구성을 갖는 동시에 간단히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절연링의 연신 특성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서문에 언급한 방식의 정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정류자에서, 및 청구항 9의 전제부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절연링의 지지부가 금속링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볼 때 고정 앵커의 방사상 외부면의 제 1 부분에 연결되는 제 2 부분이 절연링의 지지부를 독자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절연링이 축방향으로 내부로부터 외부로 볼 때 지지부 및 방사형 외부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변위된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부분이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본 발명에 따른 정류자에서 중요한 점은, 절연링의 지지부가 전체 축방향 연장부에서 금속링에 비해 더 작은 내경을 가짐으로써 고정 앵커의 방사상 외부면상에 직접 올려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절연링의 지지부 및 금속링이 위치적으로 이상적으로 분리되도록 최상화된 다중 보강 시스템이 얻어진다; 고정 앵커의 방사 방향 외부 각각의 부분은 다른 부분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구리 세스먼트의 원심력 작용에서 야기되는 파워를 고정 앵커의 축방향 높이에서 기능에 따라 지지한다. 그럼으로써, 고온에서 및 높은 회전수에도 정류자의 훨씬 개선된 내구성이 얻어진다; 특히 정류자의 조립시에 및/또는 정류자의 작동시에 유리 섬유링이 파괴될 위험이 실제로 제거된다.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절연링이 축방향으로 내부로부터 외부로 볼 때 지지부 및 방사형 외부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변위된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횡단면으로 볼 때 실제로 직사각형인 1이상의 금속링을 횡단면으로 볼 때 실제로 직사각형인 절연링과 함께 전면 프레스함으로써 보강링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부분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계단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링은, 금속링의 방사형 외부면의 일부분은 플랜지부의 방사형 내부면에 접하고 금속링의 전면은 지지부의 전면 외부면에 완전히 접하는 방식으로 절연링의 계단 형태에 매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또한 결합된 링을 위해서 각각 절연링 및 강 링 또는 금속링의 통상의 축방향 높이의 대략 절반의 높이만이 사용되어 사소하지 않은 재료 절약을 야기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금속링 뿐만 아니라 절연링도 또한 상당히 대략적인 치수 허용 오차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보강링을 위한 제조 비용도 상당히 저하된다.
특히 바람직하고 저렴한 변형예는, 절연링이 유리 섬유링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렴하며 그에 따라 고열에 강하지 않거나 혹은 열에 강하지 않은 수지가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얻어진다.
플랫 정류자에서도 또한 정류자의 양측 정면에는 상기 방식의 보강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절연링의 지지부만이 고정 앵커의 방사형 외부로 향하는 부분상에서 금속링과 별개로 초기 응력을 받는 것도 장점이 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고정 앵커의 방사형 외부면의 외부로 향하는 상기 영역이 회전축에 대해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전술한 명세서는 실제로 통상의 판 정류자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방식의 정류자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플랫 정류자에 사용하는 것도 완전히 가능하다. 즉, 동일한 보강링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링이 링 휠 형태로 형성되고 동축으로 뻗는 그루우브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우브 내부로 금속링에 접하는 부분이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개선예는 플랫 정류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금속링의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서 플랫 정류자의 기울어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절연링이 지지부 및 플랜지부와 함께 계단 형태로 형성되면 장점이 되는데, 이 경우 플랜지부는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금속링의 그루우브 내부로 삽입되며, 금속링의 내부 둘레면과 회전축에 접하도록 배치된 구리 세그먼트의 고정 앵커 사이의 공간은 플랫 정류자의 절연 바디의 일부분인 압축 재료로 채워진다.
금속링은 예를 들어 시이트로부터 펀칭 아웃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금속링의 축방향 높이가 작음으로 인해서 가능하다. 그러나 금속링은 또한 금속 파이프로부터 절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축방향 높이가 비교적 작으면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그럼으로써 주어진 길이를 갖는 금속 파이프로부터 다수의 금속링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장점을 상실하지 않고 오히려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절연링이 유리 섬유링으로 제조되며, 상기 유리 섬유링은 합성 수지를 제공하여 유리 섬유를 적절하게 와인딩함으로써 또는 유리 섬유 파이프로부터 분리해냄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나중에 유리 섬유링을 형성하여 작은 축방향 높이로 절단할 수 있는 유리 섬유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또한 금속 링이 링 형태로 형성되고 동축으로 뻗는 그루브를 포함하며, 결합시에 상기 그루브 내부로 금속링에 접하는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금속링의 횡단면은 더 높은 저항 모멘트를 갖는다.
상기 그루우브를 제조하기 위한 다수의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금속링의 반대쪽 측면상에 링형 연장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그루우브를 금속링 내부로 펀칭-인 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자의 추가 장점은, 보강링이 링의 양측면상에서 직접 구리 세그먼트에 지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보강링을 구리 세그먼트의 그루우브 내부로 직접 삽입하거나 또는 플랫 정류자의 경우에는 시이트 위로 밀어주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 경우에는 보강링이 구리 세그먼트에 접하고 그럼으로써 구리 세그먼트가 정확한 방사 방향 장소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류자의 추가 장점은, 절연링의 지지부만이 금속링과별개로 초기 응력을 받는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추가 종속항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정류자(10)의 부분 횡단면을 보여주는데, 상기 정류자의 구리 세그먼트(26)는 압축 재료(12)내부에 주입되거나 혹은 매립되며, 정류자(10)의 작동시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 정류자(10)의 1이상의 측면,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면에는 각각 하나의 보강링(16)이 제공되며, 이 보강링은 금속링(18) 및 절연링(20)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보강링(16)은 구리 세그먼트(26)내에 존재하는 수용부(15)내에 수용된다. 수용부(15)는 본 실시예에서 그루우브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 절단부에 의해서 개별 구리 세그먼트(26)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방식의 절연링에 대해서는 다수의 실시 형태가 존재하지만, 절연링으로서는 유리섬유링(20)이 바람직하다.
구리 세그먼트(26)는 회전축(14)을 향하고 있는 그것의 측면에 고정 앵커(28)를 포함하며, 이 고정 앵커는 보강링(16)을 위한 수용부(15)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 섬유링(20)은, 상기 링이 지지부(22)를 가지도록 계단 형태로 구성되며, 그 지지부는 고정 앵커(28)의 방사형 외부면에 접할 뿐만 아니라 수용부(15)의 바닥에도 접할 수 있다. 도 1 의 실시예에서 지지부(22)는 다만 고정 앵커(28)의 방사형 외부면에만 접한다.
유리 섬유링(20)의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24)는, 상기 플랜지부(24)가 지지부(22)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계단 형태를 갖도록 지지부(22)에 연결된다. 또한 플랜지부(24)의 방사형 외부면은 구리 세그먼트(26)의 방사 방향 내부로 향해 있는 표면에 접한다.
지지부(22) 및 플랜지부(24)로 형성된 계단내에는 금속링(18)이 수용되는데, 상기 링의 방사형 외부 표면은 부분적으로 플랜지부(24)에 접하는 한편, 그것의 축방향으로 내부로 향해 있는 전면 표면은 완전히 지지부(22)에 접하도록 수용된다. 금속링(18)의 방사형 내부 표면과 고정 앵커(18)의 방사형 외부 표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공간은 압축 재료(12)로 이루어진 중간층(30)으로 채워질 수 있다.
도 1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고정 앵커(28)의 축방향 외부 표면은 밖으로부터 안으로 볼 때 제 1부분(a)을 형성하는데, 상기 부분을 통해서 고정 앵커(28)는 고온에서 압력에 강한 압축 재료(12)의 중간층(30)에 의해 금속링(18)상에 압력을 가하는 한편, 내부에서 상기 금속링에 연결되는 제 2부분(b)은 실제로 지지부(22)의 방사형 내부 표면에 접한다.
도 2에는 플랫 정류자(11)의 부분 횡단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정류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형성하며, 특히 도 1 에 도시된 보강링을 사용한다. 도 2 에서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동일한, 특히 100만큼 증가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2 에 도시된 플랫 정류자(110)는 횡단면으로 볼 때 L-형의 구리 세그먼트(126)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브러시 작동면은 플랫 정류자(110)의 회전축(114)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한다. 함께 보강링(116)용 수용부(115)를 형성하는 구리 세그먼트의 고정 앵커(128)는 회전축(114)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한다.
보강링(116)은 절연링(120) 및 금속링(118)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절연링(120)은 유리 섬유링으로 이루어진다.
유리 섬유링(120)은 재차, 내부로 향해 있는 고정 앵커(128)의 표면에 뿐만 아니라 브러시 작동면으로부터 떨어진 구리 세그먼트(126)의 표면에도 접하는 지지부(122)로 이루어진다.
도 1 에서와 유사하게 도 2의 유리 섬유링(120)에서도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124)는, 유리 섬유링(120)이 금속링(118)을 수용하기 위한 계단을 형성하도록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1 의 동일 영역에 상응하는 제 1부분(a) 및 제2부분(b)이 형성되는데, 상기 부분을 통해서 고정 앵커(128)의 원심력이 금속링(118) 또는 유리 섬유링(120)상에 전달된다. 또한, 플랫 정류자(110)는 압축 재료(112)로 주조되거나 가압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류자, 즉 플랫 정류자(210)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정류자는 수용부(215)내에 보강링(216)을 포함한다. 또한, 도 2 와 동일하지만 100만큼 증가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도 1 및 도 2 의 금속링(18 및 118)과 달리 제 3실시예의 금속링(218)은, 상기 링이 링 휠(ring wheel)의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축(214)에 대해 동축으로 뻗으며 브러시 작동면을 향한 그루우브(234)를 가질 정도로 변형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그루우브내로는 절연링(220)의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224)의 부분이 삽입된다.
도 3 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24)는 계단 형태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지지부(222)에 연결되며, 플랜지부의 돌출 영역은 그루우브(234) 내부로 삽입된다. 방사형 외부로 플랜지부(224)에 연결되는 금속링(218)의 섹션은 브러시 작동면을 형성하는 구리 세그먼트(226)의 섹션을 추가로 지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그럼으로써 또한 압축 재료(212)가 부착될 수 있는 표면이 증가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방식의 정류자(10, 110 및 210)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기술된다. 상기 제조 방식에서 구리 세그먼트(26, 126 및 226)로 이루어진 바디는 금속링(18, 118 및 218) 및 절연링(21, 120 및 220)으로 이루어진 보강링(16, 116 및 216)을 위한 1이상의 시이트와 함께 제조된다. 그 다음에, 보강링(16, 116 및 126)이 상기 시이트상에 제공된 후에 정류자(10, 110 및 210)가 압축 재료(12, 112 및 212)로 주조되거나 가압된다.
이 경우 보강링(16, 116 및 216)은, 횡단면으로 볼 때 실제로 직사각형인 1이상의 금속링(18, 118 및 218)을 횡단면으로 볼 때 실제로 직사각형인 절연링(20, 120 및 220)과 함께 전면 프레스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작용은, 절연링(20, 120 및 220)의 1이상의 플랜지부(24, 124 및 224)가 정류자(10, 110 및 210)의 축방향으로 내부로부터 외부로 밀려지고, 금속링(18, 118 및 218)을 그것의 방사형 외부면에서 감싸거나 그루우브(234) 내부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금속링의 제조는 바람직하게, 상응하는 금속링(18, 118)이 하나의 시이트로부터 펀칭 아웃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조는, 금속링(18, 118 및 218)의 축방향 높이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금속링(18, 118 및 218)은 금속 파이프로부터 절단해낼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축방향 높이가 작음으로 인해 비교적 많은 개수의 금속링(18, 118 및 218)이 하나의 파이프에 주어진 길이로부터 분리되어 나올 수 있다.
특히 절연링으로서 유리 섬유링(20, 120 및 220)이 사용되면 절연링의 제조도 또한 매우 간단하다. 유리 섬유링(20, 120 및 220)은 합성 수지를 제공하여 유리 섬유를 상응하게 와인딩함으로써 또는 상응하는 부분을 유리 섬유 파이프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또한 축방향 높이가 작음으로 인해 더 많은 유리 섬유링이 주어진 길이를 갖는 유리 섬유 파이프로부터 분리되어 나올 수 있다.
보강링(16, 116 및 216)의 제조는, 각각의 축방향 응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상응하는 전면과 함께 이전에 접혀진 링을 간단히 프레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2개의 링은 다만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며, 이 경우 상응하는 플랜지부(24, 124 및 224)는 유리 섬유링(20, 120 및 220)의 직사각형 횡단면에 의해서 금속링(18, 118 및 218)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단 방식으로 밀려진다.

Claims (14)

  1. 압축 재료(12;112;212)내에 매립된 구리 세그먼트(26;126;226)를 갖는 정류자로서, 상기 구리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5;115;215)내에 정류자 회전축(14;114;124)에 대해서 동축으로 배치된 보강링(16;116;216)을 수용하며, 상기 보강링은 금속링(18;118;218) 및 상기 금속링(18;118;218)과 결합된 절연링(20;120;220)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계단 형태로 형성된 절연링(20;120;220)은 지지부(22;122;222) 및 방사형으로 외부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축방향으로 변위된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24;124;224)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부분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금속링(18;118;218)은, 금속링(18;118;218)의 방사형 외부면의 일부분은 플랜지부(24;124;224)의 방사형 내부면에 접하고 금속링(18;118;218)의 전면은 지지부(22;122;222)의 전면에 접하는 방식으로 절연링(20;120;220)의 계단 형태에 매칭되며,
    그럼으로써, 금속링(18;118;218) 및 절연링(20;120;220)의 지지부(22;122;222)가 위치적으로 분리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구리 세그먼트(26;126;226)의 원심력의 작용으로부터 야기되는 파워를 고정 앵커(28;128;228)의 축방향 높이에서 지지하는 방식으로 보강링(16;116;216)이 다중의 보강 시스템을 형성하며, 이 경우 축방향으로 볼 때 고정 앵커(28;128;218)의 방사형 외부면의 제 1부분(a)은 고온에서 압력에 강한 압축 재료(12;112;212)의 중간층(30;130;230)을 통해서 금속링(18;118;218)상에 프레스되도록 구성된 정류자에 있어서,
    절연링(20;120;220)의 지지부(22;122;222)는 금속링(18;118;218) 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볼 때 고정 앵커(28;128;228)의 방사형 외부면의 제 1부분(a)에 연결되는 제 2부분(b)은 절연링(20;120;220)의 지지부(22;122;222)를 독자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10;110;210).
  2. 제 1항에 있어서,
    플랫 정류자(110;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10;110;21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218)은 링 휠 형태로 형성되고 동축으로 뻗는 그루우브(234)를 포함하며, 상기 그루우브 내부로는 금속링(218)에 접하는 플랜지부(224)가 삽입되며,
    상기 그루우브(234)와 반대 방향인 금속링(218)의 측면상에는 링형 연장부(2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210).
  4. 제 1항에 있어서,
    로울링 정류자로서 형성되며, 2개의 보강링(6)이 제공되고, 각각의 보강링은 전면 수용부(15)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10).
  5. 제 4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볼 때 절연링(20)의 지지부(2)는 내부에 배치되고,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24)는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링(16;116;216)을 형성하기 위해서 금속링(18;118;218) 및 절연링(20;120;220)이 금속링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원래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절연링 내부로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24;124;224)를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10;110;210).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링(20;120;220)의 지지부(22;122;222)만이 고정 앵커(28;128;228)의 방사형 외부로 향하는 부분상에서 금속링(18;118;218)과 별개로 초기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10;110;210).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링이 유리 섬유링(20;120;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10;110;210).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정류자(10;110;2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구리 세그먼트(26;126;226)로 이루어진 바디를 금속링(18;118;218) 및 절연링(20;120;220)으로 이루어진 보강링(16;116;216)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와 함께 제조하며, 보강링(16;116;216)을 상기 수용부(15;115;215)상에 제공한 다음에 정류자를 압축 재료(12;112;212)로 주조하며,
    계단 형태로 형성된 절연링(20;120;220)이 지지부(22;122;222) 및 방사형 외부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축방향으로 변위된 센터링부 또는 플랜지부(24;124;224)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금속링(18;118;218)을 횡단면으로 볼 때 실제로 직사각형인 절연링(20;120;220)과 함께 전면 프레스함으로써 보강링(16;116;216)을 형성하며, 상기 2개의 부분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금속링(18;118;218)은, 금속링(18;118;218)의 방사형 외부면의 일부분은 플랜지부(24;124;224)의 방사형 내부면에 접하고 금속링(18;118;218)의 전면은 지지부(22;122;222)의 전면면에 접하는 방식으로 절연링(20;120;220)의 계단 형태에 매칭되며,
    그럼으로써, 금속링(18;118;218) 및 절연링(20;120;220)의 지지부(22;122;222)가 위치적으로 분리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구리 세그먼트(26;126;226)의 원심력의 작용으로부터 야기되는 파워를 고정 앵커(28;128;228)의 축방향 높이에서 지지하는 방식으로 보강링(16;116;216)이 다중의 보강 시스템을 형성하며, 이 경우 축방향으로 볼 때 고정 앵커(18;118;218)의 방사형 외부면의 제 1부분(a)은 고온에서 압력에 강한 압축 재료(12;112;212)의 중간층(30;130;230)을 통해서 금속링(18;118;218)상에 프레스되도록 구성된 방법에 있어서,
    절연링(20;120;220)의 지지부(22;122;222)는 금속링(18;118;218) 보다 더 작은 내경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볼 때 고정 앵커(28;128;228)의 방사형 외부면의 제 1부분(a)에 연결되는 제 2부분(b)은 절연링(20;120;220)의 지지부(22;122;222)를 독자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따른 정류자(10;110;2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18;118;218)을 시이트로부터 펀칭하거나 또는 금속 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항에 따른 정류자(10;1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링은, 합성 수지를 제공하여 유리 섬유를 상응하게 와인딩함으로써 또는 유리 섬유 파이프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조되는 유리 섬유링(20;120;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정류자가 플랫 정류자(210)인, 제 9항에 따른 정류자(2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218)은 링 휠 형태로 형성되고 동축으로 뻗는 그루우브(234)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우브 내부로는 프레싱시에 금속링(218)에 접하는 부분(224)이 삽입되며, 상기 그루우브(234)는 금속링(218)의 반대 측면상에서 링형 연장부(236)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금속링(218) 내부로 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따른 정류자(212)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링(220)을 프레싱시에 지지부(222) 및 플랜지부(224)와 함께 계단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224)를 축방향으로 변위시켜 금속링(218)의 그루우브(234) 내부로 삽입하며,
    그 다음에 금속링(218)의 내부 둘레면과 회전축(214)에 접하도록 배치된 구리 세그먼트(226)의 레그(128;228) 사이의 공간을 플랫 정류자(210)의 절연 바디의 일부분인 압축 재료(212)로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9항에 따른 정류자(10;110;2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보강링(16;116;216)을 삽입한 후에는 다만 절연링(20;120;220)의 지지부(22;122;222)만이 고정 앵커(28;128;228)의 방사형 외부로 향하는 부분상에서 금속링(18;118;218)과 별개로 초기 응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5167A 1996-12-12 1996-12-12 보강링을 구비한 정류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386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1996/005576 WO1998026478A1 (de) 1996-12-12 1996-12-12 Kommutator mit armierungsring
FR9715463A FR2772196B3 (fr) 1996-12-12 1997-12-08 Collecteur comprenant des segments en cuivre dans une matiere comprim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492A KR20000057492A (ko) 2000-09-15
KR100386008B1 true KR100386008B1 (ko) 2003-06-09

Family

ID=2607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1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6008B1 (ko) 1996-12-12 1996-12-12 보강링을 구비한 정류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57108A (ko)
EP (1) EP0944938B1 (ko)
JP (1) JP3382253B2 (ko)
KR (1) KR100386008B1 (ko)
AT (1) ATE217457T1 (ko)
BR (1) BR9612814A (ko)
DE (1) DE59609195D1 (ko)
DK (1) DK0944938T3 (ko)
ES (1) ES2175172T3 (ko)
FR (1) FR2772196B3 (ko)
SI (1) SI0944938T1 (ko)
WO (1) WO1998026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33518C2 (ru) * 2002-03-19 2004-07-27 Донник Валерий Иванович Коллектор электрических машин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3972729B2 (ja) * 2002-05-23 2007-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直流モータおよびエンジン始動装置
FR2912847B1 (fr) * 2007-02-20 2009-05-01 Valeo Equip Electr Moteur Collecteur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notamment un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51583A1 (de) * 2007-10-29 2009-04-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ommutatorrings für einen Rollkommutator einer Elektromaschine, sowie Elektromaschine
GB0800464D0 (en) * 2008-01-11 2008-02-20 Johnson Electric Sa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a commutator
CN105811207A (zh) * 2016-05-24 2016-07-27 薛瑞华 槽型换向器
CN105790037A (zh) * 2016-05-24 2016-07-20 薛瑞华 一种换向器制作工艺
CN105811206A (zh) * 2016-05-24 2016-07-27 薛瑞华 钩型换向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9911C (de) * 1931-11-01 1934-07-11 Heinrich Menke Jr Herstellung von Kollektoren mit in eine Isoliermasse eingebetteten Kupfersegmenten
DE918458C (de) * 1941-03-22 1954-09-27 Siemens Ag Lamellenbefestigung fuer Kommutatoren, insbesondere fuer elektrische Maschinen
DE1056256B (de) * 1956-03-26 1959-04-30 Bisterfeld & Stoltin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ollektoren fuer elektrische Maschinen
DE1155528B (de) * 1959-04-03 1963-10-10 Bosch Gmbh Robert In einer Pressform hergestellter Kollektor fuer elektrische Maschin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R1264476A (fr) * 1959-11-23 1961-06-23 Acec Collecteur radial pour machines électriques
US3253172A (en) * 1962-03-05 1966-05-24 Dayton Prec Corp Sub-flush commutator
CH464334A (de) * 1968-02-21 1968-10-31 Siemens Ag Kommutator für elektrische Maschin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CH506897A (de) * 1970-04-20 1971-04-30 Ganz Villamossagi Muevek Kommutator für umlaufende elektrische Maschin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US4056882A (en) * 1973-10-05 1977-11-08 Airscrew Howden Limited Method of making a dimensionally stable commutator
JPS56136159A (en) * 1980-03-28 1981-10-24 Toyo Electric Mfg Co Ltd Manufacture of mold commutator
DE3048470C2 (de) * 1980-12-22 1992-03-05 Kautt & Bux Kg, 7000 Stuttgart Kommuta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3245699A1 (de) * 1982-12-10 1984-06-14 Kautt & Bux Kg, 7000 Stuttgart Kommuta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559464A (en) * 1983-06-27 1985-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ommuta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DE3714098A1 (de) * 1987-04-28 1988-11-10 Kautt & Bux Kg Kommutator fuer maschinen kleiner bis mittlerer groess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3823845A1 (de) * 1988-07-14 1990-01-18 Kautt & Bux Kg Kommuta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008577A (en) * 1988-10-13 1991-04-16 Johnson Electric S.A. Assembled commutator with heat-resisting ring
JPH0771387B2 (ja) * 1990-05-31 1995-07-31 株式会社マキタ 整流子
FR2670334A1 (fr) * 1990-12-06 1992-06-12 Cheveux Yves Collecteur moule pour machine tournante electrique du type tambour.
US5602438A (en) * 1991-02-28 1997-02-11 Robert Bosch Gmbh Roll commutator for electric motors and dynamo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GB9118086D0 (en) * 1991-08-22 1991-10-09 Johnson Electric Sa A cylindrical carbon segment commutator
DE4201593C2 (de) * 1992-01-22 1999-06-10 Bosch Gmbh Robert Kommutator für elektrische Maschin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GB9217259D0 (en) * 1992-08-14 1992-09-30 Johnson Electric Sa A planar carbon segment commutor
DE9321246U1 (de) * 1993-02-01 1996-09-26 Friedrich Nettelhoff KG Spezialfabrik für Kleinkollektoren, 58708 Menden Kollektor und Armierungsring hierzu
SI9300660A (en) * 1993-12-16 1995-06-30 Kolektor D O O Idrija Commutator for small and midle electric machines and process for making it
WO1995022184A1 (de) * 1994-02-10 1995-08-17 Comtrade Handelsgesellschaft Mbh Armierungsring für rotationskörp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313508B2 (ja) * 1994-04-25 2002-08-12 株式会社ミツバ コミテータ
DE19530051C2 (de) * 1995-08-16 2002-02-07 Kirkwood Ind Gmbh Steckkommutator
US5925962A (en) * 1995-12-19 1999-07-20 Walbro Corporation Electric motor commutator
US5925961A (en) * 1996-04-05 1999-07-20 Sugiyama Seisakusyo Co., Ltd. Plane carbon commut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GB9614485D0 (en) * 1996-07-10 1996-09-04 Johnson Electric Sa A miniature motor
US5912523A (en) * 1997-10-03 1999-06-15 Mccord Winn Textron Inc. Carbon commutator
US5932949A (en) * 1997-10-03 1999-08-03 Mccord Winn Textron Inc. Carbon commu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492A (ko) 2000-09-15
ES2175172T3 (es) 2002-11-16
SI0944938T1 (en) 2002-10-31
US6157108A (en) 2000-12-05
ATE217457T1 (de) 2002-05-15
JP3382253B2 (ja) 2003-03-04
EP0944938A1 (de) 1999-09-29
DE59609195D1 (de) 2002-06-13
DK0944938T3 (da) 2002-07-01
FR2772196B3 (fr) 1999-10-15
BR9612814A (pt) 2000-05-02
JP2001505713A (ja) 2001-04-24
FR2772196A3 (fr) 1999-06-11
EP0944938B1 (de) 2002-05-08
HK1023856A1 (en) 2000-09-22
WO1998026478A1 (de) 199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008B1 (ko) 보강링을 구비한 정류자
KR0184611B1 (ko) 모터의 회전자 및 모터 구조
US11183902B2 (en)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and method for assembling of the device
US4868440A (en) Commutator for small to medium-sized machines
US4598463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commutator
JPH06236789A (ja) 電気機械に用いられるドラム形コレクタ
JP4695774B2 (ja) スロットレス型ステータ用巻線の単位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74488A (ko) 전기 기계용 정류자 및 상기 정류자의 제조 방법
US5736804A (en) Reinforcement ring for rotating bodie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0706254B1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010090528A (ko) 평면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CN1037558C (zh) 集流环及其加强环
JPH0736346B2 (ja) 電気機器用の整流子
EP1134874B1 (en) Commutator integrated armature of electric rotary machine
WO2000014859A1 (en) An electric motor rotor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n electric motor rotor
JPS5826546A (ja) スリツプリング装置
US5604391A (en) Armature
KR20000053043A (ko) 고정자 단부 와인딩 코일의 클램프용 예압 시스템
WO2000036732A3 (en) Electric motor and a method for making an electric motor
US6525445B2 (en) Plane commut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067981A1 (en) Commutator for an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4629923A (en) Commutator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JP3691731B2 (ja) 整流子、及び整流子の製造方法
JPH11136887A (ja) 回転電機の回転子
JP4569796B2 (ja) 整流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