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5305B1 -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 Google Patents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305B1
KR100385305B1 KR10-2000-0085826A KR20000085826A KR100385305B1 KR 100385305 B1 KR100385305 B1 KR 100385305B1 KR 20000085826 A KR20000085826 A KR 20000085826A KR 100385305 B1 KR100385305 B1 KR 10038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upling structure
handle
connection member
type sli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467A (ko
Inventor
김경환
안종섭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3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3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6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for raising wings before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4Scissor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상부안내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롤러가 설치되는 호차와; 상기 창짝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행잉 타입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상기 호차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간격확장수단을 구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고정되며, 상기 창짝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구조체와; 상기 결합구조체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확장수단을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로더와; 상기 핸들의 개폐시 상기 슬라이드 로더를 작동시켜 상기 간격확장수단이 연결부재와 결합구조체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켜 상기 창짝이 리프트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간격확장수단은 상기 결합구조체의 내벽 상측에 형성되는 원호형 궤적공과, 상기 원호형 궤적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중심부가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로더의 결합공에 끼워지는 회동핀에 삽입되는 회동캠을 구비함으로써 핸들 오픈시에는 창짝이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하고, 핸들 클로우즈시에는 창짝이 바닥면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키며, 바닥면의 돌출부를 배제하여 청소 및 통행이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Lifter of hanging type sliding window and door}
본 발명은 행잉 슬라이딩 타입 창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호의 개폐시에는 창호의 창짝이 창틀 바닥면에서 리프트된 상태로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하고, 창호가 닫히거나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는 바닥면과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한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창과 문의 총칭으로서, 창은 주로 채광, 환기 등의 목적에 사용되고, 문은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에 이용된다. 이러한 창호는 기밀성, 단열성, 수밀성, 방음성, 내풍압성이 우수해야 하며, 기타 결로현상, 난열성, 개폐유연성, 내후성, 유지보수성이 좋아야 한다.
또한, 창호는 개폐시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해야 하므로 구동바퀴인 호차(롤러)를 구비하는데 창짝 또는 문짝의 하단부에 롤러가 설치되는 타입과, 창짝의 상단부에 롤러가 구비되는 행잉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종래 창짝의 하단에 호차가 설치되는 창호는 호차를 가이드하는 안내레일이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고, 안내레일이 통행에 방해물로 작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행잉 슬라이딩 타입의 창호의 경우에는 호차의 안내레일이 천장측에 설치되어 있어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한다는 이점은 있으나, 창짝과 바닥면 사이에 공간부가 발생됨으로써 기밀성, 단열성 및 방음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호의 하단부에 기밀재를 부착시키고 있으나 이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창짝이 개폐되어 슬라이딩되는 상태에서는 창짝을 바닥면과 이격시키고 창호의 개폐후에는 창짝이 창틀의 바닥면에 기밀하게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창호의 기밀성, 단열성 및 방음성을 극대화시키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의 돌출부를 배제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해지고, 통행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 거주자의 편의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행잉 리프트 슬라이드 시스템이 적용된 창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상부측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 수단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 동작 상태도로서,
도 5a는 창짝이 리프트되기 전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도.
도 5b는 창짝이 리프트된 상태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창틀 2 ; 안내레일
3 ; 호차 3a ; 롤러
4 ; 창호 5 ; 창짝
6 ; 결합구조체 6a ; 삽입홈
6b ; 원호형 궤적공 6c ; 회전축
7 ; 핸들 8 ; 연결부재
8a ; 사각통공 9 ; 승강체
10 ; 수직레버 11 ; 수평링크
12 ; 3점지지링크 13,14 ; 슬라이드 로더
15 ; 커넥터 16 ; 커플링
17 ; 회동핀 18 ; 회동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는 창호가 설치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을 가이드하기 위해 창틀 상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상기 안내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롤러가 설치되는 호차와; 상기 창짝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행잉 타입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상기 호차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간격확장수단을 구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고정되며, 상기 창짝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구조체와; 상기 결합구조체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확장수단을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로더와; 상기 핸들의 개폐시 상기 슬라이드 로더를 작동시켜 상기 간격확장수단이 연결부재와 결합구조체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켜 상기 창짝이 리프트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간격확장수단은 상기 결합구조체의 내벽 상측에 형성되는 원호형 궤적공과, 상기 원호형 궤적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중심부가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로더의 결합공에 끼워지는 회동핀에 삽입되는 회동캠을 구비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창호의 개폐시에는 창호가 바닥면에서 리프트되어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하도록 하고, 창호의 개폐후에는 창호가 자중에 의해 바닥면과 기밀하게 밀착되는 효과가 있고, 바닥면에 창호를 안내하기 위한 돌출부가 배제되어 청소 및 통행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행잉 리프트 슬라이드 시스템이 적용된 창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부측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 수단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 동작 상태도로서, 도 5a는 창짝이 리프트되기 전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도, 도 5b는 창짝이 리프트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는 행잉타입 슬라이드 창호이기 때문에 하부측 안내레일이 배제되어 있고, 상부측 창틀(1)에만 안내레일(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레일에는 호차의 롤러(3a)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창호(4)가 설치되는 창짝(5)의 상단부에는 호차(3)의 몸체가 결합되는 결합구조체(6)가 고정되어 있고, 창짝(5)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있는 핸들(7)은 리프트 수단과 연결설치되어 있다.
호차(3)는 몸체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롤러(3a)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호차(3)의 하단부에는 결합구조체(6)에 삽입고정되어 호차(3)와 결합구조체(6)를 연결하는 연결부재(8)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재(8)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사각통공(8a)이 천공되어 있다.
결합구조체(6)의 내부에는 연결부재(8)가 압입고정되는 삽입홈(6a)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벽 상단에는 원호형 궤적공(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호형 궤적공(6b)의 하부에는 회전축(6c)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8)의 내부에는 원호형 궤적공(6b)에 일단이 삽입됨과 아울러 타단이 슬라이드 로더(13)에 결합되는 회동핀(17)과, 이 회동핀(17)이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6c)에 회전중심부(18a)가 삽입되는 회동캠(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구조체(6)에는 원호형 궤적공(19a) 및 회전축(6c)에 끼워지는 회전축공(19b)이 형성된 덮개(19)가 복개되어 있다.
한편, 핸들(7)과 연동되는 리프트 수단중 핸들의 오픈 및 클로우즈시 연동되는 승강체(9)가 창짝(5)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승강체(9)의 상단에는 승강체의 이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동되는 수직레버(10)가 결합되어 있으며, 수직레버(10)에는 수직레버(10)의 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동되는 수평링크(11)가 연결되되, 상기 수직레버(10)와 수평링크(11) 사이에는 수직레버의 이동에 의해 수평링크가 연동되도록 3개의 지지점을 갖는 3점지지링크(1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링크(11)의 타단에는 결합구조체(6)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로더(13)(14)가 연결되어 있다.
3점지지링크(12)의 3개의 지지점 중에서 제1 지지점(12a)은 수직레버(10)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있고, 제2 지지점(12b)은 수평링크(11)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나머지 지지점(12c)은 결합구조체(6)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결합구조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로더는 이웃하는 슬라이드 로더와 커넥터(15) 및 커플링(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 로더(13)(14)에는 회동핀(17)이 결합되어 슬라이드 로더에 이동에 의해 회동핀(17)이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창호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호가 닫힌 상태에서 창 또는 도어의 개방시 핸들(7)을 오프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7)의 회전운동이 상하운동방향으로 전달되어 승강체(9)가 하강하게 되며, 승강체(9)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수직레버(10)도 연동되어 하강된다. 수직레버(10)의 하강동작에 의하여 수직레버(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3점지지링크(12)의 제1 지지점(12a)이 당겨지면서 3점지지링크가 힌지점인 제3 지지점(12c)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3전지지링크(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결합구조체(6)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던 제1 지지점(12a)은 결합구조체(6)의 측면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제2 지지점(12b)도 결합구조체(6)의 상면에서 좌측단부로 이동되어 제2 지지점(12b)과 연결된 수평링크(11)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수평링크(11)의 이동에 의하여 이에 연결된 좌우측 슬라이드 로더(13)(14)들도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슬라이드 로더(13)의 이동시 슬라이드 로더에 결합된 회동핀(17)도 연동되면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회동핀(17)은 결합구조체(6)의 원호형 궤적공(6b)을 따라서 이동된다. 이때 회동캠(18)은 회전중심부(18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회동캠(18)의 하단부가 연결부재(8)의 바닥을 밀어주게 된다. 그런데 연결부재(8)는 호차(3)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게 되고, 오히려 회동캠(18)의 회전중심부(18a)에 축(6c)이 고정되어 있는 결합구조체(6)가 반작용을 받아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결합구조체(6)와 결합되어 있는 창짝(5)이 상측으로 리프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핸들(7)을 오픈시켜 창짝(5)이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리프트된 상태에서 핸들(7)을 파지하여 창호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게 되면, 창호는 바닥면과 마찰되지 않고 호차의 롤러(3a)가 안내레일(2)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창호를 슬라이딩시킨 후에 핸들(7)을 클로우즈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체(9)는 상승되고, 승강체(9)의 상승동작에 의해 수직레버(10)가 연동되어 상승되며, 수직레버(10)에 의해 3점지지링크(12)가 제3 지지점(12c)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수평링크(11)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수평링크(11)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로더(13)(14)가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슬라이드 로더에 결합된 회동핀(17)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회동핀(17)에 상단이 결합된 회동캠(1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동캠(18)이 회전되어 도 5a에 도시한 상태와 같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회동캠(18)은 연결부재(8)의 바닥을 지지하지 않게 됨으로써 결합구조체의 회전축(6c)을 지지하고 있던 힘이 제거되어 결합구조체(6)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창짝(5)는 자중에 의하여 바닥면과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핸들을 오픈시키면 창짝은 바닥면에서 리프트되어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실시되도록 하고, 핸들을 클로우즈시키면 창짝은 바닥면에 기밀하게 밀착됨으로써 창호의 기밀성, 방음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행잉 리프트 슬라이드 시스템에 의하면, 창호의 개폐동작시에 핸들의 조작에 의해 창호 창짝을 바닥면과 이격시켜슬라이딩 동작을 원활하게 구현하도록 하고, 창호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는 창짝이 바닥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창호의 본래 목적인 기밀성, 방음성 및 단열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창짝을 안내하기 위한 돌출부가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통행이 자유로와 거주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창호가 설치되는 창짝과; 상기 창짝을 가이드하기 위해 창틀 상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롤러가 설치되는 호차와; 상기 창짝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행잉 타입 슬라이딩 창호에 있어서,
    상기 호차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간격확장수단을 구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고정되며, 상기 창짝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구조체와; 상기 결합구조체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확장수단을 작동시키는 슬라이드 로더와; 상기 핸들의 개폐시 상기 슬라이드 로더를 작동시켜 상기 간격확장수단이 연결부재와 결합구조체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켜 상기 창짝이 리프트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간격확장수단은 상기 결합구조체의 내벽 상측에 형성되는 원호형 궤적공과, 상기 원호형 궤적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중심부가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로더의 결합공에 끼워지는 회동핀에 삽입되는 회동캠을 구비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창짝의 핸들과 연결되어 핸들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힘을 수직방향으로 전달하도록 승강체의 상단부에 연결설치되는 수직링크와, 상기 수직링크의 힘을 상기 슬라이드 로더에 수평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평링크와, 상기 수직링크의 동력전달방향을 상기 수평링크측에 90도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구조체에 힌지점을 갖고 상기 수직링크 및 수평링크과 연결고정되는 3점지지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KR10-2000-0085826A 2000-12-29 2000-12-29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38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26A KR100385305B1 (ko) 2000-12-29 2000-12-29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26A KR100385305B1 (ko) 2000-12-29 2000-12-29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467A KR20020056467A (ko) 2002-07-10
KR100385305B1 true KR100385305B1 (ko) 2003-05-23

Family

ID=2768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8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5305B1 (ko) 2000-12-29 2000-12-29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2915A1 (it) * 2022-02-17 2023-08-17 Titawin Sa Sistema di movimentazione manuale per un’anta di una porta o porta - finestra alzante scorrevole, nonché porta o porta - finestra alzante scorrevole che include tale sistema di movimentazione
WO2023156901A1 (en) * 2022-02-17 2023-08-24 Titawin Sa Movement system for one leaf of a lift-sliding door or lift-sliding door - window, as well as lift-sliding door or lift-sliding door - window including the mov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84Y1 (ko) * 2013-03-06 2014-09-18 (주)삼우 호차 회동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2915A1 (it) * 2022-02-17 2023-08-17 Titawin Sa Sistema di movimentazione manuale per un’anta di una porta o porta - finestra alzante scorrevole, nonché porta o porta - finestra alzante scorrevole che include tale sistema di movimentazione
WO2023156901A1 (en) * 2022-02-17 2023-08-24 Titawin Sa Movement system for one leaf of a lift-sliding door or lift-sliding door - window, as well as lift-sliding door or lift-sliding door - window including the mov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467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0536B (zh) 配备通风和锁闭系统的闭合装置
EP0965715A2 (en) Door assembly
EP0876954A3 (en) Plug-type overwing emergency exit door assembly
KR100385305B1 (ko)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KR100754021B1 (ko) 다양한 개폐구조를 갖는 전시용 실내벽체
KR102745022B1 (ko)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KR100385304B1 (ko) 행잉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0385303B1 (ko) 행잉 리프트 슬라이드 시스템
KR100402558B1 (ko) 행잉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KR200457120Y1 (ko) 리프트 슬라이딩식 시스템창호용 잠금장치의 기어박스
KR100332344B1 (ko) 사이드 슬라이딩 플러그 도어
KR100402557B1 (ko) 행잉 타입 슬라이딩 창호의 리프터
KR101876811B1 (ko) 외부로 여닫이 개방과 하측 틸팅이 가능한 창호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CN218599912U (zh) 一种建筑幕墙隐藏式通风器结构
KR200382496Y1 (ko) 창호의 리프팅장치
KR200281176Y1 (ko) 여닫이 창을 가지는 미닫이 창
KR102800678B1 (ko) 댐퍼가 부착된 접이식 스윙 중문
CN215292153U (zh) 篷房
KR20100100356A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JP3502059B2 (ja) 折戸のシール構造
KR0137104Y1 (ko) 도어의 저면과 바닥면사이의 밀폐장치
JP3479156B2 (ja) 横開きシャッターのコーナ部の遮蔽構造
JPS6037990Y2 (ja) 障子の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