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83694B1 - 카메라용렌즈지지기구 - Google Patents

카메라용렌즈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694B1
KR100383694B1 KR1019970000415A KR19970000415A KR100383694B1 KR 100383694 B1 KR100383694 B1 KR 100383694B1 KR 1019970000415 A KR1019970000415 A KR 1019970000415A KR 19970000415 A KR19970000415 A KR 19970000415A KR 100383694 B1 KR100383694 B1 KR 100383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lens
lens group
shutter
sup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771A (ko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가즈요시 아제가미
다카미츠 사사키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5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6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05B41/3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 H05B41/3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for single flash operation by measuring the incident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4Adjusting size of aperture formed by members when fully open so as to constitute a virtual diaphragm that is adjus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1Digital circuits
    • G03B7/097Digital circuits for control of both exposure time and aper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 셔터 카메라용 렌즈 지지 기구는 전방 렌즈; 렌즈 지지 배럴; 이동 배럴; 후방 렌즈 그룹; 그리고 AE 기능을 갖춘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장착 배럴을 포함하고 있다.
전방 렌즈 그룹은 렌즈 지지 배럴에 고정되어 있다. 렌즈 지지 배럴과 셔터 장착 배럴 양자는 이동 배럴에 고정되어 있다. 후방 렌즈 그룹은 이동 배럴 또는 셔터 장착 배럴에 부착되고 후방 렌즈 그룹은 이동 배럴에 대하여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줌 렌즈의 작동동안에 이동 배럴은 광축을 따라 전진 및 후퇴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렌즈 지지 기구{LENS SUPPORTING MECHANISM FOR CAMERA}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카메라용 렌즈 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광축방향으로 구동되는 이동 배럴에 렌즈 그룹을 지지하는 렌즈 지지 배럴을 고정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렌즈 셔터 카메라는 촬영 렌즈의 렌즈 그룹 사이에 또는 후방에 배열된 셔터 유니트로 구비되어 있다. 렌즈 그룹이 일반적으로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이들은 렌즈 지지 배럴에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그룹이 셔터 유니트와 함께 광축을 따라 구동되는 경우, 즉 촬영 렌즈가 줌 렌즈이거나 또는 촬영 렌즈가 수축된 위치와 촬영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경우, 렌즈 그룹과 셔터 유니트는 이동 배럴 상에서 배치된다.
종래의 렌즈 셔터 카메라에서, 전방 이동 렌즈 그룹을 위한 렌즈 지지 배럴은 렌즈 지지 배럴의 후방측에서 셔터 유니트에 고정되고 그리고 셔터 유니트는 그 후방측에서 이동 배럴에 고정되거나 또는 렌즈 지지 배럴은 그 전방측에서 이동 배럴에 고정되며 셔터 유니트는 그 전방측에서 이동 배럴에 고정된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에 따라서, 렌즈 지지 배럴을 위한 캔틸레버 지지 때문에 렌즈 지지 배럴을 이동 배럴과 정밀하게 정렬하는 것이 어렵다. 즉, 렌즈 지지 배럴이 셔터 유니트에 고정될 때, 렌즈 지지 배럴은 단지 그 후방측에서 지지된다. 한편, 렌즈 지지 배럴이 그 전방측에서 이동 배럴에 고정될 때, 렌즈 지지 배럴은 단지 그 전방측에서 지지된다. 어느 경우든, 위치 상호관계가 변할 수 있다.
더욱이, 카메라가 전후방 렌즈 그룹을 갖춘 줌 렌즈로 구비될 때, 렌즈 그룹의 광축을 동축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줌밍 작동 동안에 각각 광축을 따라 구동되는 전방 렌즈 그룹과 후방 렌즈 그룹은 종래의 카메라에서 다른 안내기구에 의해 안내되어 줌밍 작동 동안에 동축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발명의 개요)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용의 개선된 렌즈 지지 기구를 구비하여 렌즈 지지 배럴을 이동 배럴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줌 렌즈를 갖춘 카메라용의 개선된 렌즈 지지 기구를 구비하여 줌 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과 후방 렌즈 그룹의 광축을 동축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줌 렌즈 배럴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결합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줌 렌즈 배럴의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줌 렌즈 배럴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줌 렌즈 배럴의 AF/AE 셔터 유니트가 제1 이동 배럴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줌 렌즈 배럴의 AF/AE 셔터 유니트의 주요부분을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줌 렌즈 배럴의 제3 이동 배럴의 외형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줌 렌즈 배럴의 고정 렌즈 배럴 블록의 정면도;
도 8은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줌 렌즈 배럴의 상부 부분의 단면도;
도 9는 격납된 상태에서 줌 렌즈 배럴의 상부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줌 렌즈 배럴의 전체적인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줌 렌즈 배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
도 12는 줌 렌즈 배럴에서 렌즈 지지 배럴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격납된 상태에서 줌 렌즈 배럴의 상부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후방 렌즈 그룹 지지 배럴이 수축된 위치에 있는 상태 하에서 AE/AF 셔터 유니트의 사시도;
도 15는 후방 렌즈 그룹 지지 배럴이 확장된 위치에 있는 상태 하에서 AE/AF 셔터 유니트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지지 기구의 한면에서, 카메라용 렌즈 지지 기구는 광축을 따라 구동되는 이동 배럴, 그리고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해 광축을 따라 전후방측 양자에서 이동 배럴에 고정된 렌즈 지지 배럴, 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 지지 배럴이 전후방측 양자에서 이동 배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 배럴과 렌즈 지지 배럴 사이의 상호관계는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특정의 경우에, 촬영 렌즈는 전방 및 후방 렌즈 그룹을 갖춘 줌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방 렌즈 그룹용 렌즈 지지 배럴은 전방 끝에서 이동 배럴에 고정되고 그리고 렌즈 지지 배럴은 그 후방 끝에서 셔터 유니트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렌즈 지지 기구는 광축을 따라 구동되는 이동 배럴, 상기 이동 배럴에 부착된 셔터 유니트, 셔터 유니트의 대물 측에서 배열된 상기 전방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해 후방 끝에서 셔터 유니트에 고정된 전방 렌즈 지지 배럴, 그리고 셔터 유니트의 영상측에서 배열된 후방 렌즈 그룹을 지지하기 위해 셔터 유니트에 의해 이동적으로 지지된 후방 렌즈 지지 배럴, 로 구성되어 있다.
전후방 렌즈 그룹이 동일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므로, 즉 셔터 유니트가 렌즈 그룹 사이에 위치되므로, 렌즈 그룹이 다른 안내기구에 의해 안내되는 종래의 기구보다 렌즈 그룹을 동축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렌즈 셔터 카메라용 렌즈 지지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렌즈-셔터 타입 줌 렌즈 카메라에 적용하여 설명된다.
도 11은 줌 렌즈 카메라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줌 렌즈 카메라의 개념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줌 렌즈 카메라는 광축(O)으로 부터 순서적으로 동심으로 배열된 제1 이동 배럴(20), 제2 이동 배럴(19) 및 제3 이동 배럴(16)의 3개의 이동 배럴을 갖춘 3-스테이지 딜리버리 타입의 줌 렌즈 배럴(10)로 구비되어 있다. 줌 렌즈 배럴(10)에서, 2개의 렌즈 그룹이 구비되어 있는데, 말하자면 정(positive)동력을 갖춘 전방 렌즈 그룹(L1)과 부(negative)동력을 갖춘 후방 렌즈 그룹(L2)이다.
카메라 본체에서,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 제어기(60),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 제어기(61), 줌 작동 장치(62), 초점 작동 장치(63), 대물 측정 장치(64), 광측정 장치(65), 그리고 AE(즉 자동 노출)모터 제어기(66)가 구비되어 있다. 물체에서 카메라 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대물 측정 장치(64)는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지만, 이러한 적절한 하나의 시스템이 1996년 2월 22일 미국 특허 출원 08/605,759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출원 08/605,759호에 개시된 초점 맞춤 시스템은 소위 "수동적인" 타입인데, 다른 알려진 자동 초점 시스템(즉, 적외선 및 삼각측량을 근거로 한 능동적인 범위 측정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미국 특허 출원 08/605,7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광측정 시스템은 광측정 장치(65)로서 수행될 수 있다.
줌 작동 장치(62)는 예를들면 카메라 본체에 구비된 수동으로 작동되는 줌 작동 레버(도시생략) 또는 카메라 본체에 구비된 "광각" 줌 버튼과 "망원" 줌 버튼의 한쌍의 줌 버튼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줌 작동 장치(62)가 작동될 때,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 제어기(60)는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를 구동하여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킨다.이하 설명에서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 제어기(60)(모터(25))에 의한 렌즈 그룹(L1, L2)의 전후방 운동은 렌즈 그룹(L1, L2)의 전후방 운동이 줌 작동장치(62)가 "망원"과 "광각" 위치로 작동될 때 일어나므로 "망원" 쪽으로의 운동과 "광각" 쪽으로의 운동으로 각각 언급된다.
카메라 본체에서 구비된 줌 파인더(67)의 시계의 상 배율은 줌 작동 장치(62)의 작동을 통해 초점 길이의 변화에 연속적으로 변한다. 그러므로, 촬영자는 파인더의 시계의 상배율의 변화를 관찰하므로서 줌 작동 장치(62)의 작동을 통해 설정 초점 길이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줌 작동 장치(62)의 작동에 의해 설정된 초점 길이의 LCD(액정 표시) 패널(도시생략) 등에서 지시된 값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초점 작동 장치(63)가 작동될 때,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 제어기(60)는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를 구동한다. 동시에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 제어기(61)는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를 구동한다.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 제어기(60)와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 제어기(61)의 구동으로 인해, 전후방 렌즈 그룹(L1, L2)은 설정 초점 길이와 검출된 대물거리에 상응하는 각각의 위치로 이동하여 줌 렌즈는 피사체에 초점맞춤된다.
특히, 초점작동장치(63)는 카메라 본체의 상부벽에 구비된 릴리즈 버튼(도시생략)으로 구비되어 있다. 광측정 스위치와 릴리즈 스위치(도시생략)는 릴리즈 버튼과 동기적으로 되어 있다. 릴리즈 버튼이 절반 눌려지면(절반 스텝), 광측정 스위치는 ON되고, 대물 거리 측정 및 광측정 명령은 각각 대물 거리 측정 장치(64)와 광측정 장치(65)에 입력된다.
릴리즈 버튼이 완전히 눌려지면(풀 스텝), 릴리즈 스위치는 ON되고, 그리고 대물 거리 측정 명령과 설정 초점 길이의 결과에 따라서,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와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는 구동되고,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이 초점맞춤위치로 이동하는 초점맞춤작동이 수행된다. 더욱이, AF/AE (즉, 자동초점/자동노출)셔터 유니트(21)(도 9)의 AE 모터(29)는 AE 모터 제어기(66)를 통해 구동되어 셔터(27)를 작동시킨다. 셔터 작용동안에, AE 모터 제어기(66)는 광측정 장치(65)로 부터 광측정 정보 출력에 따라서 특정시간 기간동안 셔터(27)의 셔터 블레이드(27a)를 개방하도록 AE 모터(29)를 구동한다.
줌 작동 장치(62)가 작동될 때, 줌 작동 장치(62)는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를 구동하여 광축(O)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전후방 렌즈(L1, L2)를 함께 이동시킨다. 이러한 운동과 동시에,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는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 제어기(61)를 통해 피구동될 수 있어서 제1 렌즈 그룹(L1)에 대하여 후방 렌즈 그룹(L2)을 이동시킨다. 하지만, 이것은 종래의 줌밍 개념하에서는 수행되지 않는데, 여기에서 초점 길이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한편 인-포커스(in-focus) 상태를 유지한다. 줌 작동 장치(62)가 작동될 때,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은 단지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를 구동하므로서 그들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줌밍 작동동안에, 인-포커스 상태는 특정 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하여 항상 얻어질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은 피사체의 상이 사진 광학 시스템을 통해 관찰되는 것이 아니고 사진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하여 구비된 파인더 광학 시스템을 통해 관찰되므로 렌즈 셔터 타입 카메라에서 문제되지 않으며, 인-포커스 상태는 셔터가 릴리즈될 때 얻어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리고, 릴리즈 버튼이 완전히 눌려질 때, 초점맞춤작동(초점조절작동)은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와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므로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2개의 렌즈 그룹(L1, L2)은 독자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초점 작동 장치(63)가 작동될 때, 렌즈 그룹(L1, L2)의 위치는 고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개념에 따른 줌 렌즈 배럴의 실시예가 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줌 렌즈 배럴(10)의 전체적인 구조가 먼저 설명된다.
줌 렌즈 배럴(10)은 제1 이동 배럴(20), 제2 이동 배럴(19), 제3 이동 배럴(16), 그리고 고정된 렌즈 배럴 블록(12)으로 구비되어 있다. 제3 이동 배럴(16)은 고정된 렌즈 배럴 블록(12)의 원통형 부분(12p)과 결합하고 그리고 회전하면서 광축(O)을 따라 이동한다. 제3 이동 배럴(16)은 회전이 제한된 선형 안내 배럴(17)을 그 내주에 구비하고 있다. 선형 안내 배럴(17)과 제3 이동 배럴(16)은 광축(O)을 따라 전체적으로 함께 이동하고 제3 이동 배럴(16)은 선형 안내 배럴(17)에 대하여 회전한다. 제1 이동 배럴(20)은 광축(O)을 따라 이동하는데 그 회전은 제한된다. 제2 이동 배럴(19)은 광축(O)을 따라 이동하는 한편, 선형 안내 배럴(17)과 제1 이동 배럴(20)에 대하여 회전한다.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구동 모터(25)는 고정된 렌즈 배럴 블록(12)에 체결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제1 이동 배럴(20)에 체결된다. AE 모터(29)와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서 장착된다.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은 각각 렌즈 지지 배럴(34)(렌즈 지지 환형 부재)과 렌즈 지지 배럴(50)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 렌즈 배럴(12)은 카메라 본체에 고정된 구멍판(14)의 전방에 고정된다.구멍판(14)은 노출된 각각의 프레임의 한계를 형성하는 사각형 구멍(14a)이 중앙에 구비되어 있다.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은 그 원통형 부분(12p)의 내주에 암나선체(12a)로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복수의 선형 안내 홈(12b)은 각각 광축(O)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데, 즉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선형 안내홈(12b, 12b') 중의 하나의 바닥에 코드판(13a)이 소정의 코드 패턴을 갖추고 고정되어 있다. 코드판(13a)은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고정렌즈 배럴 블록(12)의 전체적인 길이를 따라 뻗어 있다. 코드판(13a)은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의 외부에 위치한 유연한 프린트 회로판(13)의 부분이다.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의 원통형 부분(12p)의 내주로 부터 바깥쪽으로 오목한 그리고 광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어 하우징(12c)이 도 7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12c)에서, 구동 피니언(15)은 광축방향으로 뻗어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해 있다. 구동 피니언(15)의 축(7)의 양끝은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에 구비된 지지 중공부(4)에 의해, 그리고 각각 세트 스크류(도시생략)에 의해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 상에 고정된 기어 지지판(31) 상에 구비된 지지 중공부(31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 피니언(15)의 이빨부분은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의 원통형 부분의 내주로 부터 안쪽으로 돌출하여 구동 피니언(1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이동 배럴(16)의 외주 기어(16b)와 맞물린다.
제3 이동 배럴(16)의 내주에, 각각 광축(O)에 평행하게 뻗은 복수의 선형 안내홈(16c)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이동 배럴(16)의 후방 끝의 외주에서, 숫나선체(16a)와 상기한 외주 기어(16b)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 있다. 숫나선체(16a)는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의 암나선체(12a)와 결합되어 있다. 외주기어(16b)는 구동 피니언(15)과 결합되어 있다. 구동 피니언(15)은 광축방향으로 제3 이동 배럴(16)의 운동의 전체 범위를 통해서 외주 기어(16b)와 결합될 수 있는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갖추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안내 배럴(17)은 그 외주의 후방 부분에서 후방 끝 플랜지(17d)로 구비되어 있다. 후방 끝 플랜지(17d)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O)으로 부터 멀리 각각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 돌출부(17c)를 갖추고 있다. 선형 안내 배럴(17)은 후방 끝 플랜지(17d)의 전방에 낙하 방지 플랜지(17e)로 더 구비되어 있다. 주변홈(17g)은 후방 끝 플랜지(17d)와 낙하 방지 플랜지(17e)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낙하 방지 플랜지(17e)는 후방 끝 플랜지(17d)보다 작은 반경을 갖추고 있다. 낙하 방지 플랜지(17e)는 복수의 절결부(17f)로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절결부(17f)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결합 돌출부(16d)가 주변홈(17g)내로 삽입되게 한다.
제3 이동 배럴(16)은 그 후방 끝의 내주에서 복수의 결합 돌출부(16d)로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결합 돌출부(16d)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O) 쪽으로 돌출해 있다. 대응하는 절결부(17f)를 통해서 주변홈(17g)내로 결합 돌출부(16d)를 삽입하므로서, 결합 돌출부(16d)는 플랜지(17d, 17e)(도 9 참조) 사이에서 주변홈(17g)에 위치한다. 제3 이동 배럴(16)을 선형 안내 배럴(17)에 대하여 회전시키므로서, 결합 돌출부(16d)는 선형 안내 배럴(17)과 결합한다.
선형 안내 배럴(17)의 후방 끝에서, 구멍(14a)과 대략 동일한 모양의 사각형 구멍(23a)을 갖춘 구멍판(23)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에 대하여 선형 안내 배럴(17)의 상대 회전은 광축(O)과 평행하게 형성된 대응하는 선형 안내홈(12b)으로 복수의 결합 돌출부(17c)의 미끄럼 가능한 결합에 의해 제한된다.
접촉 단자(9)가 결합 돌출부(17c, 17c') 중의 하나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 단자(9)는 선형 안내홈(12b')의 바닥에 고정된 코드판(13a)과 미끄럼 접촉하여 줌밍 동안에 초점 길이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선형 안내 배럴(17)의 내주에서, 복수의 선형 안내홈(17a)이 형성되는데, 각각은 광축(O)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복수의 리드 슬롯(17b)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안내 배럴(17) 상에 역시 형성되어 있다. 리드 슬롯(17b) 각각은 광축(O)에 기울어져(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동 배럴(19)은 선형 안내 배럴(17)의 내주와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 배럴(19)의 내주에서, 복수의 리드홈(19c)이 리드 슬롯(17b)에 대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제2 이동 배럴(19)의 후방 끝의 외주에서, 복수의 종동자 돌출부(19a)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종동자 돌출부(19a)는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O)으로 부터 멀리 돌출한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추고 있다. 종동자 핀(18)은 종동자 돌출부(19a)에 위치해 있다. 각각의 종동자 핀(18)은 링 부재(18a)와, 대응하는 종동자 돌출부(19a) 상에서 링 부재(18a)를 지지하는 센터 고정 스크류(18b)로 구성되어 있다. 종동자 돌출부(19a)는 선형 안내 배럴(17)의 리드 슬롯(17b)과 미끄럼가능하게 결합하고 종동자 핀(18)은 제3 이동 배럴(16)은 선형 안내홈(16c)과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장치로, 제3 이동 배럴(16)이 회전할 때, 제2 이동 배럴(19)은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선형으로 이동한다.
제2 이동 배럴(19)의 내주에서, 제1 이동 배럴(20)이 결합되어 있다. 제1 이동 배럴(20)은 그 후방의 외주에서 각각 대응하는 내부 리드홈(19c)과 결합되는 복수의 종동자 핀(24)으로 구비되어 있고, 동시에 제1 이동 배럴(20)은 선형 안내 부재(22)에 의해 선형으로 안내된다. 제1 이동 배럴(20)은 장식판(41)이 그 전방 끝에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안내 부재(22)는 환형 부재(22a), 한쌍의 안내 다리(22b)그리고 복수의 결합 돌출부(28)로 구비되어 있다. 안내 다리(22b)쌍은 광축방향으로 환형 부재(22a)로 부터 돌출해 있다. 복수의 결합 돌출부(28) 각각은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O)으로 부터 멀리 환형부재(22a)로 부터 돌출해 있다. 결합 돌출부(28)는 선형 안내홈(17a)과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안내 다리(22b)는 AF/AE 셔터 유니트(21)와 제1 이동 배럴(20)의 내주 표면사이에서 선형 안내부(40c)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선형 안내 부재(22)의 환형 부재(22a)는 제2 이동 배럴(19)의 후방에 연결되어 선형 안내 부재(22)와 제2 이동 배럴(19)은 전체적으로 광축(O)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광축(O) 주위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선형 안내 부재(22)는 그 후방 끝의 외주 상에서 후방 끝 플랜지(22d)로 더 구비되어 있다. 선형 안내 부재(22)는 후방 끝 플랜지(22d)의 전방에서 낙하 방지 플랜지(22c)로 구비되어 있다. 주변홈(22f)은 후방 끝 플랜지(22d)와 낙하 방지 플랜지(22c)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낙하 방지 플랜지(22c)는 후방 끝 플랜지(22d) 보다 작은 반경을 갖추고 있다. 낙하 방지 플랜지(22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절결부(22e)로 구비되어 있는데, 각각은 대응 결합 돌출부(19b)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홈(22f)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제2 이동 배럴(19)은 그 후방 끝의 내주에서 복수의 결합 돌출부(19b)로 구비되어 있는데, 각각은 방사상 방향으로 광축(O) 쪽으로 돌출해 있다. 대응하는 절결부(22e)를 통해서 결합 돌출부(19b)를 주변홈(22f)내로 삽입함으로서, 결합 돌출부(19b)는 플랜지(22c, 22d) 사이에서 주변홈(22f)에 위치한다. 제2 이동 배럴(19)을 선형 안내 부재(22)에 대하여 회전시키므로서, 결합 돌출부(19b)는 선형 안내 부재(22)와 결합된다. 상기한 구조로, 제2 이동 배럴(19)이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이동 배럴(20)은 광축(O)을 따라서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선형으로 이동하지만 회전은 억제된다.
제1 이동 배럴(20)의 전방에서, 배리어(barrier) 블레이드(48a, 48b)를 갖춘배리어 장치(35)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이동 배럴(20)의 내주면에서,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로 이루어진 셔터(27)를 갖춘 AF/AE 셔터 유니트(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AF/AE 셔터 유니트(21)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외주에 균일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 구멍(40a)으로 구비되어 있다. 단지 하나의 고정 구멍(40a)이 도 1 내지 도 5의 각각에 나타나 있다.
내부 리드홈(19c)과 결합되는 상기한 복수의 종동자 핀(24)은 제1 이동 배럴(20)에 AF/AE 셔터 유니트(21)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역시 작용한다. 종동자 핀(24)은 제1 이동 배럴(20) 상에 형성된 구멍(20a)에 그리고 고정 구멍(40a)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로, AF/AE 셔터 유니트(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배럴(20)에 체결된다. 도 4에서, 제1 이동 배럴(20)은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종동자 핀(24)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또는 핀(24)은 고정 구멍(40a)내로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AF/AE 셔터 유니트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로 구비되어 있고,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에 고정되어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내에 위치하며, 렌즈 지지 배럴(50)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지지된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서, 렌즈 지지 배럴(34), AE 모터(29), 그리고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가 지지되어 있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환형 구멍(40d)을 갖춘 환형 부재(40f)로 구비되어 있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또한 환형 부재(40f)로 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3개의 다리(40b)로 구비되어 있다. 3개의 슬릿이 3개의다리(40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 중에서 2개는 선형 안내 부재(22)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선형 안내 부재(22)의 안내 다리(22b)의 각각의 쌍과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된 상기한 선형 안내부(40c)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AE 모터(29)의 회전을 셔터(27)에 전달하는 AE 기어열(45)과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의 회전을 스크류축(43)에 전달하는 렌즈 구동 기어열(42), 유연한 프린트 회로판(6)에 연결된 광차단기(56, 57) 그리고 주변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방사상으로 형성된 슬릿을 갖춘 회전 디스크(58, 59)를 지지하고 있다.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가 회전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리고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는 광차단기(57)와 회전 디스크(59)로 구성되어 있다. AE 모터(29)가 회전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그리고 AE 모터(29)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한 AE 모터 엔코더는 광차단기(56)와 회전 디스크(58)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27), 셔터(27)의 셔터 블레이드(27a)를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47), 그리고 셔터 블레이드(27a)에 회전력을 주는 원형 구동 부재(49)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체결된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 사이에 위치해 있다. 원형 구동 부재(49)는 균일한 각도 간격으로 3개의 작동 돌출부(49a)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은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각각에 결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은 그 전방 끝에서 원형 구멍(46a), 원형 구멍(46a) 주위에 균일한 각도 간격으로 위치한 3개의 지지 구멍(46b)으로 구비되어 있다. 2개의 편향 억제 표면(46c)은 셔터 블레이드 지지링(46)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편향 억제 표면(46c)은 대응하는 선형 안내부(40c)로 부터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고 대응하는 안내 다리(22b)의 내주면을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한다.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의 전방에 위치한 지지 부재(47)는 3개의 지지 구멍(46b)과 대향한 각각의 위치에서 3개의 피벗축(47b)(그중 단지 한 개만이 도 10에 예시됨)과, 그리고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의 원형 구멍(46a)과 정렬되어 있다.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는 대응하는 피벗축(47b)이 삽입되는 구멍(27b)으로 그 한 끝에서 구비되어 있어서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는 대응하는 피벗축(47b)에 대하여 회전한다. 피벗 끝으로 부터 광축(O)에 직각으로 뻗어 있는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주요부분은 광차단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셔터 블레이드(27a)의 모두 3개의 광차단 부분은 함께 셔터 블레이드(27a)가 폐쇄될 때 전방 렌즈 그룹(L1)을 들어가는 주변 빛이 원형구멍(46a, 47a)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는 구멍(27b)과 광차단 부분 사이에서 슬롯(27c)으로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것을 통해 대응하는 작동 돌출부(49a)가 삽입된다. 지지 부재(47)는 대응하는 셔터 블레이드(27a)를 지지하는 각각의 축(47b)이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의 대응하는 지지 구멍(46b)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에 고정된다.
기어 부분(49b)은 원형 구동 부재(49)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기어 부분(49b)은 기어열(45)로 부터의 회전을 수용하기 위해서 기어열(45)에서 복수의 기어중의 하나와 결합된다. 지지 부재(47)는 3개의 피벗축(47b)에 밀접한 각각의위치에서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3개의 아치형 홈(47c)으로 구비되어 있다. 원형 구동 링(49)의 3개의 작동 돌출부(49a)는 각각의 아치형 홈(47c)을 통해 각각의 셔터 블레이드(27a)의 슬롯(27c)과 결합된다. 셔터 블레이드지지 링(46)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후방으로 부터 삽입되어 원형 구동 링(49), 지지 부재(47) 그리고 셔터(27)를 지지하고 그리고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에 구비된 구멍(46d)을 통해 각각 삽입된 세트 스크류(90)에 의해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상에 고정되어 있다.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 뒤에서, 안내축(51, 52)을 통해서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렌즈 지지 배럴(50)이 위치해 있다.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와 렌즈 지지 배럴(50)은 안내축(51)에 끼워진 코일 스프링(3)에 의해 서로로 부터 멀리 대향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그러므로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와 렌즈 지지 배럴(50) 사이의 유극은 감소된다. 또한, 기어열(42)에서 기어중의 하나로서 구비된 구동 기어(42a)는 축선 중심에서 암나사 구멍(도시생략)으로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한 끝이 렌즈 지지 배럴(50)에 고정된 스크류축(43)은 구동 기어(42a)의 암나사 구멍과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 기어(42a)와 스크류축(43)은 함께 피드 스크류 기구를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에 의해 구동되므로서 구동 기어(42a)가 전후방으로 회전할 때, 구동 기어(42a)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각각 이동하며, 그러므로 후방 렌즈 그룹(L2)을 지지하는 렌즈 지지 배럴(50)은 전방 렌즈 그룹(L1)에 대하여 이동한다.
유지 부재(53)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전방에 고정된다. 유지 부재(53)는 유지 부재(53)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사이에서 모터(29, 30)를 유지한다. 유지 부재(53)는 세트 스크류(도시생략)에 의해 전방에 고정된 금속 유지판(55)을 갖추고 있다. 모터(29, 30)와 광차단기(56, 57)는 유연한 프린트 회로 기판(6)에 연결된다. 유연한 프린트 회로기판(6)의 한 끝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고정된다.
제1, 제2 및 제3 이동 배럴(20, 19, 16) 그리고 AF/AE 셔터 유니트(21) 등이 조립된 후, 구멍판(23)은 선형 안내 배럴(17)의 후방에 고정되고, 원형인 지지 부재(33)는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의 전방에 고정된다.
줌 렌즈 배럴의 상기 실시예에서, 줌 렌즈 광학 시스템이 2개의 이동 렌즈 그룹, 말하자면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고정 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줌 렌즈 광학 시스템의 다른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후방 렌즈 그룹(L2)은 AF/AE 셔터 유니트(21) 상에서 지지되며, AE 모터(29)와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는 AF/AE 셔터 유니트(21)에 장착되어 있다. 전후방 렌즈 그룹(L1, L2)을 지지하는 구조와 후방 렌즈 그룹(L2)을 구동하는 구조는 모두 단순하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는 대신, 줌 렌즈 배럴(10)은 후방 렌즈 그룹(L2)이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원형 구동 부재(49), 지지 부재(47), 셔터 블레이드(27), 셔터 블레이드 지지 링(46) 등으로 구비된 AF/AE 셔터 유니트(2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방식으로 또한 실현될 수 있고 후방 렌즈 그룹(L2)은 AF/AE 셔터 유니트(21)와 다른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와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를 회전시키므로서, 줌 렌즈 배럴(10)의 작동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렌즈 배럴(10)이 가장 수축된(후퇴된) 위치, 즉 렌즈 격납 위치에 있을 때, 동력 스위치가 ON될 때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는 구동되어 구동축을 소량 전방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모터(25)의 이러한 회전은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 부재(32)에 의해 지지된 기어열(26)을 통해 구동 피니언(15)에 전달되며, 이것에 의해 제3 이동 배럴(16)을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광축(O)을 따라서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그러므로, 제2 이동 배럴(19)과 제1 이동 배럴(20)은 각각 제3 이동 배럴(16)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소량 전진한다. 결과적으로, 카메라는 줌 렌즈가 가장 넓은 위치 즉 와이드 끝에 위치하여 촬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에 대하여 선형 안내 배럴(17)의 운동량이 코드판(13a)과 접촉 단자(9) 사이에서 상대 미끄럼을 통해 검출되므로, 초점 길이는 검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영가능한 상태에서, 상기한 줌 작동 레버가 "망원" 쪽으로 수동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망원" 줌 버튼이 수동으로 눌려져 ON되면,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는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 제어기(60)를 통해 전방 회전 방향으로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되어, 제3 이동 배럴(16)은 외주 기어(16b)와 구동 피니언(15)을 통해 광축(O)을 따라 전진하도록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제3 이동 배럴(16a)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으로 부터 전진한다. 동시에, 선형 안내 배럴(17)은 결합 돌출부(17c)와 선형 안내홈(12b)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에 상대회전하지 않고 제3 이동 배럴(16)과 함께 광축(O)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종동부 핀(18)이 각각의 리드 슬롯(17b)과 선형 안내홈(16c)과 동시에 결합하여 광축방향으로 제2 이동 배럴(19)이 제3 이동 배럴(16)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한편,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에 대하여 동일 회전 방향으로 제3 이동 배럴(16)과 함께 회전한다. 제1 이동 배럴(20)은 제1 이동 배럴(20)이 선형 안내 부재(22)에 의해 선형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종동자 핀(24)이 리드 홈(19c)에 의해 안내된다는 상기한 구조로 인해서,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에 대한 상대 회전 없이 제2 이동 배럴(19)로 부터 AF/AE 셔터 유니트(21)와 함께 광축(O)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운동 동안에,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에 대한 선형 안내 배럴(17)의 이동 위치가 코드판(13a)과 접촉 단자(9) 사이에 상대적인 미끄럼을 통해 검출된다는 사실에 따라서, 초점 길이는 검출된다.
역으로, 줌 작동 레버가 "광각" 쪽으로 수동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광각" 줌 버튼이 수동으로 눌려져 ON되면,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는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 제어기(60)를 통해서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되어, 제3 이동 배럴(16)은 선형 안내 배럴(17)과 함께 고정 렌즈 배럴 블록(12)내로 수축하도록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동시에, 제2 이동 배럴(19)은 제3 이동 배럴(16)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3 이동 배럴(16)내로 수축하고,제1 이동 배럴(20)은 AF/AE 셔터 유니트(21)와 함께 제2 이동 배럴(19)을 회전시키도록 수축된다. 상기 수축 구동 동안에, 상기한 전진 구동의 경우와 유사하게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는 구동되지 않는다.
줌 렌즈 배럴(10)이 줌밍 작동동안에 구동되면서,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은 전체적으로 이동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로 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줌 코드판(13a)과 접촉단자(9)를 통해서 입력된 초점 길이는 카메라 본체에 구비된 LCD 패널(도시생략) 상에 표시된다.
임의의 초점 길이에서, 릴리즈 버튼이 반-스텝으로 눌려질 때, 대물 거리 측정 장치(64)는 작동하여 대물 거리를 측정한다. 동시에, 광 측정 장치(65)는 작동하여 피사체의 광도를 측정한다. 그후, 릴리즈 버튼이 완전히 눌려질 때,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와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는 미리 설정된 초점 길이 정보와 대물 거리 측정 장치(64)로 부터 얻은 대물 거리 정보에 각각 상응하는 각각의 양만큼 구동되어 전후방 렌즈 그룹(L1, L2)은 특정 위치로 각각 이동하여 특정 초점 거리를 얻고 그리고 피사체를 초점에 맞춘다. 피사체가 초점에 맞추어진 직후, AE 모터 제어기(66)를 통해서, AE 모터(29)는 광측정 장치(65)로 부터 얻어진 피사체 광도 정보에 상응하는 양만큼 원형 구동 부재(49)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되어, 셔터(27)는 필요한 노출을 만족시키는 소정의 양만큼 셔터 블레이드(27a)를 개방시키도록 구동된다. 3개의 셔터 블레이드(27a)가 개방되고 이어서 폐쇄된 직후, 전체적인 광학 유니트 구동 모터(25)와 후방 렌즈 그룹 구동모터(30)는 모두 구동되어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이 셔터가 릴리즈되기 전에 이들이 있었던 최초의 위치로 각각 이들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전후방 렌즈 그룹(L1, L2), 제1 이동 배럴(20)과 AF/AE 셔터 유니트(21) 사이의 연결이 도 9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줌 렌즈 배럴(10)에서, 전방 렌즈 그룹(L1)을 제1 이동 배럴(20)에 정확하게 정렬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전방 렌즈 그룹(L1)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 렌즈 배럴(34)은 전방측에서 착탈식으로 제1 이동 배럴(20)에 고정되고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후방 끝은 제1 이동 배럴(20)에 고정되는 AF/AE 셔터 유니트(21)에 끼워진다. 그러므로,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은 전방에서 제1 이동 배럴(20)에 직접 고정되고 그리고 후방에서 AF/AE 셔터 유니트(21)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1 이동 배럴(20)에 고정되어, 전방 렌즈 그룹(L1)은 제1 이동 배럴(20)에 대하여 정밀하게 위치된다.
더욱이, 줌 렌즈를 방수로 만들기 위해서, O-링(70)과 같은 탄성 부재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과 제1 이동 배럴(20) 사이에 배치되어 물이 제1 이동 배럴(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 렌즈 그룹(L2)은 AF/AE 셔터 유니트(21)에 의해 지지되는 후방 렌즈 지지 배럴(50)에 의해 지지되어 후방 렌즈 지지 배럴(50)은 AE/AF 셔터 유니트(21)에 대하여 광축을 따라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므로,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과 후방 렌즈 지지 배럴(50)은 제1 이동 배럴(20)에 의해 양자 지지되며 전체적으로 구동되어 전후방 렌즈 그룹이 독자적으로 구동되는 각각의 배럴에 의해 지지되는 종래의 줌 렌즈와 비교하여 전후방 렌즈 그룹(L1, L2)의 광축을 동축으로 유지하기가 더 쉽다.
특히, 전방 렌즈 그룹(L1), 후방 렌즈 그룹(L2), 렌즈 지지 배럴(34),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그리고 제1 이동 배럴(20)의 장치는 다음과 같다.
카메라 렌즈 또는 카메라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통상 말하는 특정 부분의 전방 또는 후방을 고려해 보자.
도 12를 참조하면,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은 소정의 직경의 원통형상을 갖춘 중간부분(34c); 중간 부분(34c) 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춘, 중간 부분(34c)의 전방에서의 전방 환형 피팅 부분(34e); 중간 부분(34c)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춘, 중간 부분(34c)의 후방에서의 후방 환형 피팅 부분(34a); 을 포함하고 있다. 전방 환형 피팅 부분(34e)은 그 전방으로 부터 환형 피팅 부분(34e) 보다 큰 직경을 갖춘 외부 플랜지(34j)와, 둘레를 따라 전방 환형 피팅 부분(34e)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홈(34g)을 갖추고 있다. O-링(70)은 홈(34g)내에 끼워져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안쪽 플랜지(34b)는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안쪽 후방 끝에 형성되어 있다. 안쪽 플랜지(34b)는 전방 렌즈 그룹(L1)이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전방으로 부터 삽입될 때, 전방 렌즈 그룹(L1)의 후방면과 접촉한다.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은 또한 전방 내주 부분에서 암스크류 나사(34i)를 포함하고 있다. 전방 렌즈 그룹(L1)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암스크류 나사(34i)에 나사결합되는 숫스크류 나사(72a)를 포함하는 렌즈 프레서 링(72)에 의해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에 고정된다. 렌즈 프레서 링(72)은 또한 전방 렌즈 그룹(L1)의전방면의 주변 에지 부분과 실제로 면접촉하는 환형 접촉면(72b)을 포함하고 있다. 방수 코팅이 환형 접촉면(72b)의 외부에 적용되어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과 전방 렌즈 그룹(L1) 사이의 조인트는 방수로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이동 배럴(20)은 전방 근처에서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된 안쪽 플랜지(20b)로 구비되어 있다. 안쪽 플랜지(20b)는 중앙구멍(20e)(도 3 참조)을 형성하는 소정의 내경을 갖추고 있다. 중앙 구멍(20e)의 직경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전방 환형 피팅 부분(34e)의 직경보다 약간 커서, 전방 환형 피팅 부분(34e)은 중앙구멍(20e)내에 끼워진다. 그러므로, 중앙 구멍(20e)의 둘레(즉, 안쪽 플랜지(20b)의 에지)는 방사상 방향으로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전방 부분의 운동을 제한하며 그러므로 제1 이동 배럴(20)에 대하여 전방 렌즈 그룹(L1)의 위치, 말하자면 방사상 방향으로의 위치를 설정한다.
제1 렌즈 배럴(20)과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을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잠금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들면, 3개의 결합 클로(20c)가 안쪽 플랜지(20b)의 내주 에지에 등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립동안에, 결합 클로(20c)는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상에서 홈(34g)내에 삽입된다. 결합 클로(20c)는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상에서 대응 노치(34f)(도 12 참조)를 통해서 홈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제1 이동 배럴(20)에 대하여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을 회전시키므로서, 결합 클로(20c)는 노치(34f) 근처에서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전방 환형 피팅 부분(34e)상에 구비되는 대응 후크 부분(34h)과 결합된다.
또한, 안쪽 플랜지(20b)의 내주 에지에서, 환형 노치(20d)는 조립할 때, 환형 노치(20d)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 상의 바깥쪽 플랜지(34j)가 끼워지고 그리고 O-링(70)을 압축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O-링(70)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바깥쪽 플랜지(34j) 그리고 제1 이동 배럴(20)의 안쪽 플랜지(20b)사이에 위치하여 제1 이동 배럴(20)과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 사이에 방수 조인트를 이룬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환형 부재(40f)는 원형 개구(40d)를 포함하고 있다.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후방 환형 피팅 부분(34a)은 원형 개구(40d)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추고 있다.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은 원형 개구(40d)에 끼워져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후방 부분의 운동이 원형 개구(40d)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제한되어 전방 렌즈 그룹(L1)의 방사상 방향으로의 위치는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대하여 설정되고 그러므로, 제1 이동 배럴(20)과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양자에 의해 지지되는 후방 렌즈 그룹(L2)에 대하여 설정된다.
후방 렌즈 지지 배럴(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축(51, 52)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스크류축(43)에 의해 구동된다.
스크류축(43)은 피팅 부분(43a)과 스크류 부분(43b)을 포함하고 있다. 피팅 부분(43a)은 후방 렌즈 지지 배럴(50)에 형성된 고정 구멍(50a)내에 끼워지고 그리고 스크류축(43)은 후방 렌즈 지지 배럴(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스크류 부분(43b)은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43a)의 암나사 구멍과 결합된다. 구동 기어(42a)는 유지 부재(53)상에 형성된 기어 지지 부분(53a)에 의해 유지되어 구동 기어(42a)는 스크류 부분(43b)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축(43)은 광축을 따라 이동하여 구동기어(42a)가 기어열(42)을 통해서 후방 렌즈 그룹 구동 모터(30)에 의해 회전하면서 후방 렌즈 지지 배럴(50)을 구동한다.
도 14는 후방 렌즈 그룹 지지 배럴(50)이 수축 위치에 있는 상태하에서 AE/AF 셔터 유니트(21)를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후방 렌즈 그룹 지지 배럴(50)이 확장된 위치에 있는 상태하에서 유니트(21)를 도시하고 있다.
전방 렌즈 그룹(L1)과 렌즈 지지 기구의 조립체는 예를들면 아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AF/AE 셔터 유니트(21)는 후방 렌즈 그룹(L2)을 유지하는 후방 렌즈 지지 배럴(50),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원형 구동 부재(49), 지지 부재(47), 셔터(27) 그리고 셔터 블레이드 프레서 링(46) 등을 포함하여 조립된다. 후방 렌즈 그룹(L2)은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에 의해 지지되어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의 원형 개구(40d)와 소정의 위치 상호관계에 있다.
AF/AE 셔터 유니트(21)는 제1 이동 배럴(20)의 후방 내부측에 삽입되고 그리고 종동자 핀(24)은 구멍(20a)을 통해 삽입되고, 그리고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상에 구비된 고정 구멍(40a)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셔터 장착 스테이지(40)는 제1 이동 배럴(20)에 고정되어 후방 렌즈 그룹(L2)은 이동 렌즈 배럴(2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상호관계에 있다. 종동자 핀(24)은 예를들면 접착, 스크류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후, 전방 렌즈 그룹(L1)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내부에 끼워져 안쪽 플랜지(34b)에 대하여 접합되고 렌즈 프레서 링(72)을 스크류 체결하므로서 암스크류 나사(34i)에 고정된다. 또한, O-링(70)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홈(34g)에 끼워진다.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은 전방(즉, 먼저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후방측)으로 부터 중앙 구멍(20e)을 통해서 제1 이동 배럴(20)내에 삽입된다.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후방 부분은 후방 환형 피팅 부분(34a)이 원형 개구(40d)내에 끼워질 때까지 AF/AE 셔터 유니트(21)를 통과한다(즉, AE 모터(29)와 다른 부품의 내측에서). 후방 환형 피팅 부분(34a)(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후방에서)이 원형 개구(40d)에 들어감과 동시에, 결합 클로(20c)는 전방 환형 피팅 부분(34e)(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전방에서)에서 노치(34f)로 들어가고 그리고 O-링(70)은 환형 노치(20d)와 바깥쪽 플랜지(34j) 사이에 끼워진다.
이 지점에서,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의 전방 끝(즉, 전방 환형 피팅 부분(34e))은 안쪽 플랜지(20b)에 대하여 밀리고(O-링(70)을 약간 압축하도록) 그리고 시계방향(도 12 참조)으로 약간 회전한다. 그러므로,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이 릴리즈될 때, O-링(70)은 원래의 모양으로 팽창되며, 3개의 결합 클로(20c)는 3개의 후크 부분(34h)과 각각 결합하여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을 제1 이동 배럴(20)에 견고하게 체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방 렌즈 지지 배럴(34)은 제1 이동 배럴(20)과 셔터 장착 스테이지(40) 양자에 대하여 소정의 상호관계로 정확하게 위치되므로 그리고 후방 렌즈 그룹(L2)이 셔터 장착 스테이지(40)와 소정의 상호관계로 정확하게 위치되므로, 후방 렌즈 그룹(L2)에 대한 전방 렌즈 그룹(L1)의 특히 방사상 방향으로의위치는 정확하게 설정되고 그리고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의 광축은 서로 정렬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렌즈 셔터 카메라용 렌즈 지지 기구는 전방 렌즈 그룹(L1)과 후방 렌즈 그룹(L2)의 광축이 서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게 한다.
렌즈 셔터 카메라용 렌즈 지지 기구의 구조와 작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과 변화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 렌즈가 줌 렌즈로 구성되어 있지 않을지라도 렌즈 배럴과 셔터 유니트가 구비된 이동 배럴을 갖춘 렌즈 셔터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렌즈 지지 배럴을 이동 배럴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게 하고, 줌 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과 후방 렌즈 그룹의 광축을 동축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카메라용 렌즈 지지 기구를 제공한다.

Claims (11)

  1. 전방 렌즈 그룹을 고정한 전방 렌즈 그룹 배럴; 이 전방 렌즈 그룹 배럴을 고정하여 광축방향으로 진퇴운동 가능한 렌즈 지지배럴; 상기 렌즈 지지배럴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이동 가능한 후방 렌즈 그룹; 그리고 상기 렌즈 지지배럴에 고정된, AE 기능을 갖는 셔터를 탑재한 셔터 장착배럴;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렌즈 그룹 배럴은 그 전방에 렌즈 지지배럴과의 제 1 피팅부를 갖고, 후방에 셔터 장착배럴과의 제 2 피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배럴을 줌밍시 및 셔터 릴리즈시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후방 렌즈 그룹을 셔터 릴리즈시에 렌즈지지배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 렌즈 그룹은 렌즈지지배럴 또는 셔터 장착배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시킨 가이드 로드에 지지되어 있고,렌즈 지지배럴 또는 셔터 장착배럴에는 후방 렌즈 그룹을 이 셔터 장착배럴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이동시키는 모터와 AE용 모터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배럴을 이동시키는 수단은 카메라 몸체측에 고정된 모터와 이 모터에 구동지령을 주는 줌밍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기구.
  6. 전방 렌즈 그룹을 고정한 전방 렌즈 그룹 배럴; 이 전방 렌즈 그룹 배럴을 고정해서 광축방향으로 진퇴운동가능한 렌즈 지지배럴; 상기 렌즈지지배럴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이동 가능한 후방 렌즈 그룹; 상기 렌즈 지지배럴에 고정된, AE 기능을 갖는 셔터를 탑재한 셔터 장착배럴; 상기 렌즈지지배럴에 일체로 형성한, 상기 전방 렌즈 그룹배럴의 전방을 끼워 맞춤시키는 중심 구멍을 가지고 있는 제 1 안쪽 플랜지; 그리고
    상기 셔터 장착배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전방 렌즈 그룹 배럴의 후방을 끼워 맞춤시키는 중심 구멍을 가지고 있는 제 2 안쪽 플랜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배럴의 안쪽 플랜지와 전방 렌즈 그룹 배럴 사이에 환형상의 강성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그룹의 지지기구.
  8. 전방 렌즈 그룹을 고정한 전방 렌즈 그룹 배럴; 이 전방 렌즈 그룹 배럴의 전방 끝을 지지하고 광축방향으로 진퇴운동가능한 렌즈지지배럴; 이 렌즈 지지배럴에 고정된 후방 렌즈 그룹 지지부재; 그리고
    이 후방 렌즈 그룹 지지부재에 광축방향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후방 렌즈 그룹;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렌즈 그룹 배럴의 후방 끝은 상기 후방 렌즈 그룹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전방 렌즈 그룹 배럴의 전방 끝은 렌즈 지지배럴에 형성된 제 1 안쪽 플랜지에 지지되고 전방 렌즈 그룹 배럴의 후방 끝은 후방 렌즈 그룹 지지부재에 형성된 제 2 안쪽 플랜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 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배럴의 안쪽 플랜지와 전방 렌즈 그룹 배럴과의 사이에 환형상의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기구.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렌즈 지지배럴의 안쪽에는 셔터 유니트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후방 렌즈 그룹 지지부재는 이 셔터 유니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전방 렌즈 그룹의 지지 기구.
KR1019970000415A 1996-01-26 1997-01-10 카메라용렌즈지지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383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317 1996-01-26
JP1231796 1996-01-26
JP96-13387 1996-01-29
JP1338796 1996-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771A KR970059771A (ko) 1997-08-12
KR100383694B1 true KR100383694B1 (ko) 2004-05-20

Family

ID=2634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4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3694B1 (ko) 1996-01-26 1997-01-10 카메라용렌즈지지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92999A (ko)
KR (1) KR100383694B1 (ko)
DE (1) DE19702485B4 (ko)
FR (1) FR2744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036B2 (ja) 1997-12-16 2006-05-2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カメラ
JP3655865B2 (ja) 2001-10-31 2005-06-0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3728311B2 (ja) * 2003-10-14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US10935783B1 (en) * 2019-09-17 2021-03-02 Aquabyte, Inc. Optical system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in an aquaculture environment in situ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4056A (en) * 1956-10-31 1960-11-16 Foreign Dieterich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saic photography
GB1238668A (ko) * 1967-09-23 1971-07-07
JPS6336328Y2 (ko) * 1979-01-18 1988-09-27
US4865432A (en) * 1986-02-26 1989-09-12 Canon Kabushiki Kaisha Lens mounting
US5157429A (en) * 1986-05-12 1992-10-2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4910544A (en) * 1988-02-15 1990-03-20 Asahi Kogaku Kogyo K.K. Focus adjusting apparatus in zoom lens camera
US5231449A (en) * 1988-06-03 1993-07-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US5245476A (en) * 1989-03-14 1993-09-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JPH03177805A (ja) * 1989-12-05 1991-08-01 Canon Inc ズームレンズ鏡筒
JP2562095Y2 (ja) * 1991-07-04 1998-02-0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レンズ
JP2728330B2 (ja) * 1992-01-17 1998-03-1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鏡筒位置検出装置
JPH05215950A (ja) * 1992-01-31 1993-08-27 Canon Inc レンズ鏡筒
JPH05346527A (ja) * 1992-06-12 1993-12-27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3276171B2 (ja) * 1992-08-17 2002-04-22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3367166B2 (ja) * 1993-10-25 2003-01-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位置調整機構
US5774748A (en) * 1995-07-07 1998-06-3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having such a barr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2999A (en) 1999-04-06
FR2744233B1 (fr) 1998-12-31
DE19702485A1 (de) 1997-07-31
DE19702485B4 (de) 2007-06-21
KR970059771A (ko) 1997-08-12
FR2744233A1 (fr) 199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449B1 (ko) 렌즈셔터타입의 카메라의 렌즈안내기구
US5991097A (en) Lens barrel having a linear guide mechanism
KR100333505B1 (ko) 선형가이드메카니즘을구비한렌즈배럴
KR100322207B1 (ko) 텔레스코프식 줌 렌즈
KR100371774B1 (ko) 렌즈지지구조
KR100334700B1 (ko) 렌즈구동기구
KR100364151B1 (ko) 셔터가설치된렌즈배럴
US5821531A (en) Dual sensor encoder for detecting forward/reverse rotation having light modulating patterns with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t
KR100276801B1 (ko) 망원형줌렌즈
KR100276164B1 (ko) 가요성 인쇄회로보드
KR100370813B1 (ko) 렌즈셔터 타입 카메라
US5886836A (en) Lens barrel having a cam mechanism
US5809348A (en) Zoom compact camera
KR100383694B1 (ko) 카메라용렌즈지지기구
KR100322206B1 (ko) 이동렌즈 위치검출장치
KR100371769B1 (ko) 카메라용렌즈셔터형의광차단장치
KR100371770B1 (ko) 방수구조를가진렌즈배럴
JP3260290B2 (ja) レンズ鏡筒の防水構造
JP3831439B2 (ja) ズームレンズのレンズ駆動方法
JP3249047B2 (ja) レンズの支持構造
GB2309518A (en) Encoder for detecting forward/reverse rotation
JP3200004B2 (ja) シャッタを有するレンズ鏡筒
GB2309544A (en) Lens supporting mechanism for camera
GB2309543A (en) Moving lens extreme position detecting device
JP3288917B2 (ja) レンズ鏡筒の直進ガイ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04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0410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