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3- 또는 5-아미노 4-이미다졸릴 피라졸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1 내지 3개의 클로로기, 1 내지 3개의 플루오로기, 1 내지 3개의 C1-C3알콕시기, 니트로기, C1-C3트리할로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이고,
Y는 C1-C3알킬기; 수소; 벤젠고리가 1 내지 3개의 클로로기, 1 내지 3개의 플루오로기, 1 내지 3개의 C1-C3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C1-C3트리할로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질기; 또는, 벤젠 고리가 1 내지 3개의 클로로기, 1 내지 3개의 플루오로기, 1 내지 3개의 C1-C3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C1-C3트리할로알킬기로 치환된 펜에틸기이며,
R은 C1-C4알킬기;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클로로기, 1 내지 3개의 플루오로기, 1 내지 3개의 C1-C4알킬기, 1 내지 3개의 C1-C3알콕시기, 니트로기, C1-C3트리할로알킬기로 치환된 페닐기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2의 이미다졸릴 α-옥소 케텐아미노티오아세탈과 하기 화학식 3의 히드라진을 유기 용매 내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의 3- 또는 5-아미노 치환 4-이미다졸릴 피라졸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 식에서,
X, Y 및 R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한 화학식 2는 화학식 4의 이미다졸릴 α-옥소 케텐디티오아세탈과 화학식 5의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4]
[화학식 5]
(상기 식에서, X및 Y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3- 혹은 5-아미노 4-이미다졸릴 피라졸 유도체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농원예용 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골격구조를 가져 내성균을 비롯한 식물 병원균에 대해 살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화합물인 상기 화학식 1의 3- 혹은 5-아미노 4-이미다졸릴 피라졸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신규한 3- 혹은 5-아미노 4-이미다졸릴 피라졸 유도체의 예를 들어보면 하기 표 1 과 같다. 표 1에서, No.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화합물에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 |
X=4-Ph |
Y=n-Pr |
4-MeOC6H4 |
- |
7.68 (s, 1H), 7.61-7.27 (m, 12H), 7.09 (m, 3H), 3.90 (s, 3H), 3.57 (br.t, 1H), 2.65 (m, 2H), 1.38 (m, 2H), 0.76 (m, 3H) |
2 |
Y=n-Pr |
X=4-NO2 |
4-FC6H4 |
176-177 |
8.09 (m, 2H), 7.47 (s, 1H), 7.25-6.96 (m, 8H), 3.52 (br.t, 1H), 3.28 (m, 2H), 1.64 (m, 2H), 0.96 (m, 3H) |
3 |
Y=4-ClC6H4CH2 |
X=4-NO2 |
4-MeOC6H4 |
204 |
8.06 (m, 2H), 7.44 (s, 1H), 7.30 (s, 4H), 7.12 (m, 5H), 6.95-6.83 (m, 3H), 4.45 (d,J= 6.1 Hz, 2H), 3.85 (m, 1H), 3.81 (s, 3H) |
4 |
Y=4-ClC6H4CH2 |
X=4-NO2 |
4-FC6H4 |
194-195 |
8.10 (m, 2H), 7.44 (s, 1H), 7.31-6.95 (m, 12H), 4.46 (d,J= 6.3 Hz, 2H), 3.85 (br.t, 1H) |
5 |
Y=4-ClC6H4CH2 |
X=4-NO2 |
4-ClC6H4 |
199-200 |
8.11 (m, 2H), 7.44 (s, 1H), 7.34-7.13 (m, 11H), 6.94 (s, 1H), 4.46 (d,J= 6.1 Hz, 2H), 3.88 (br.t, 1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6 |
Y=4-ClC6H4CH2 |
X=4-NO2 |
3-Cl,4-MeC6H3 |
211-212 |
8.11 (m, 2H), 7.43-6.82 (m, 12H), 4.46 (d,J= 6.1 Hz, 2H), 3.88 (br.t, 1H), 2.37 (s, 3H) |
7 |
Y=4-ClC6H4CH2 |
X=4-NO2 |
2,5-Me2C6H4 |
179-180 |
7.99 (m, 2H), 7.46 (s, 1H), 7.28 (s, 4H), 7.16-6.98 (m, 7H), 4.44 (d,J= 6.1 Hz, 2H), 3.97 (br.t, 1H), 2.28 (s, 3H), 2.03 (s, 3H) |
8 |
Y=4-MeOC6H4CH2 |
X=2-MeO |
4-FC6H4 |
187-188 |
7.43 (m, 1H), 7.35-7.18 (m, 5H), 7.04-6.78 (m, 9H), 4.42 (br.s, 2H), 3.80 (s, 3H), 3.68 (br.t, 1H), 3.49 (s, 3H) |
9 |
X=2-MeO |
Y=4-MeOC6H4CH2 |
4-FC6H4 |
- |
7.65 (m, 2H), 7.47 (m, 1H), 7.35-7.14 (m, 4H), 7.04-6.76 (m, 8H), 3.77 (m, 5H), 3.71 (br.t, 1H), 3.51 (s, 3H) |
10 |
Y=4-MeOC6H4CH2 |
X=2-MeO |
4-ClC6H4 |
191-192 |
7.40 (s, 1H), 7.35-7.18 (m, 6H), 6.98-6.77 (m, 8H), 4.41 (d,J= 5.7 Hz, 2H), 3.78 (s, 3H), 3.68 (br.t, 1H), 3.48 (s,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1 |
Y=4-MeOC6H4CH2 |
X=2-MeO |
3-Cl,4-MeC6H3 |
189-190 |
7.42-7.26 (m, 5H), 7.07-6.80 (m, 9H), 4.43 (d,J= 5.7 Hz, 2H), 3.81 (s, 3H), 3.65 (br.t, 1H), 3.53 (s, 3H), 2.31 (s, 3H) |
12 |
Y=4-MeOC6H4CH2 |
X=2-MeO |
2,5-Me2C6H4 |
147-148 |
7.44 (m, 1H), 7.30-6.67 (m, 13H), 4.37 (d,J= 4.9 Hz, 2H), 3.78 (s, 3H), 3.61 (br.t, 1H), 3.47 (s, 3H), 2.20 (s, 3H), 2.05 (s, 3H) |
13 |
Y=4-MeOC6H4CH2 |
X=2-MeO |
4-MeC6H4 |
171-172 |
7.43 (s, 1H), 7.34-6.77 (m, 14H), 4.43 (d,J= 5.3 Hz, 2H), 3.81 (s, 3H), 3.62 (br.t, 1H), 3.49 (s, 3H), 2.29 (s, 3H) |
14 |
Y=4-MeOC6H4CH2 |
X=2-MeO |
2-MeC6H4 |
149-150 |
7.45 (m, 1H), 7.30-6.67 (m, 14H), 4.38 (d,J= 4.7 Hz, 2H), 3.78 (s, 3H), 3.61 (br.t, 1H), 3.46 (s, 3H), 2.07 (s, 3H) |
15 |
Y=4-MeOC6H4CH2 |
X=2-MeO |
3,5-Cl2C6H3 |
175-176 |
7.42-7.30 (m, 3H), 7.15 (m, 3H), 7.04-6.84 (m, 8H), 4.44 (d,J= 5.7 Hz, 2H), 3.80 (s, 3H), 3.76 (br.t, 1H), 3.56 (s,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6 |
Y=4-MeOC6H4CH2 |
X=2-MeO |
4-iPrC6H4 |
157-158 |
7.43 (s, 1H), 7.34-6.77 (m, 14H), 4.43 (d,J= 5.5 Hz, 2H), 3.80 (s, 3H), 3.61 (br.t, 1H), 3.46 (s, 3H), 2.85 (m, 1H), 1.19 (d,J= 6.9 Hz, 6H) |
17 |
Y=4-MeOC6H4CH2 |
X=2-MeO |
4-CF3C6H4 |
179-181 |
7.53-7.31 (m, 8H), 7.04-6.81 (m, 7H), 4.45 (d,J= 5.1 Hz, 2H), 3.80 (s, 3H), 3.76 (br.t, 1H), 3.48 (s, 3H) |
18 |
Y=4-MeOC6H4CH2 |
X=2-MeO |
2,4-Me2C6H3 |
163-165 |
7.46 (s, 1H), 7.32-7.16 (m, 3H), 7.03-6.69 (m, 10H), 4.39 (d,J= 5.5 Hz, 2H), 3.79 (s, 3H), 3.61 (br.t, 1H), 3.50 (s, 3H), 2.26 (s, 3H), 2.13 (s, 3H) |
19 |
X=2-MeO |
Y=Et |
4-MeOC6H4 |
145-147 |
7.53-6.73 (m, 11H), 3.75 (s, 3H), 3.49 (s, 3H), 3.34 (d,J= 5.7 Hz, 2H), 1.23 (m, 3H) |
20 |
X=2-MeO |
Y=Et |
4-FC6H4 |
176-177 |
7.45 (s, 1H), 7.35-7.15 (m, 3H), 7.07 (s, 1H), 6.99-6.77 (m, 6H), 3.49 (s, 3H), 3.37 (m, 3H), 1.25 (t,J= 6.9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21 |
X=2-MeO |
Y=Et |
4-ClC6H4 |
205-206 |
7.44 (s, 1H), 7.36-6.79 (m, 10H), 3.49 (s, 3H), 3.37 (m, 3H), 1.25 (t,J= 7.1 Hz, 3H) |
22 |
X=2-MeO |
Y=Et |
3-Cl,4-MeC6H3 |
146-148 |
7.42 (m, 1H), 7.30 (m, 2H), 7.03-6.77 (m, 7H), 3.50 (s, 3H), 3.35 (m, 3H), 2.27 (s, 3H), 1.23 (t,J= 7.1 Hz, 3H) |
23 |
X=2-MeO |
Y=Et |
2,5-Me2C6H3 |
153-154 |
7.48 (s, 1H), 7.17 (m, 1H), 7.06-6.87 (m, 6H), 6.73 (m, 2H), 3.49 (s, 3H), 3.32 (m, 3H), 2.20 (s, 3H), 2.02 (s, 3H), 1.22 (m, 3H) |
24 |
X=2-MeO |
Y=Et |
4-MeC6H4 |
186-188 |
7.54-6.74 (m, 11H), 3.46 (s, 3H), 3.36 (m, 3H), 2.26 (s, 3H), 1.22 (m, 3H) |
25 |
X=2-MeO |
Y=Et |
2-MeC6H4 |
175-176 |
7.49 (s, 1H), 7.26-6.69 (m, 10H), 3.49 (s, 3H), 3.33 (m, 3H), 2.20 (s, 3H), 1.24 (m,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26 |
X=2-MeO |
Y=Et |
4-EtC6H4 |
123-124 |
7.48 (s, 1H), 7.22-6.67 (m, 10H), 3.49 (s, 3H), 3.30 (m, 3H), 2.55 (m, 2H), 1.18 (m, 6H) |
27 |
X=2,4-Cl2 |
Y=n-Pr |
4-MeOC6H4 |
167-169 |
7.45 (m, 1H), 7.35 (m, 1H), 7.20-7.06 (m, 5H), 6.93 (m, 1H), 6.79 (m, 2H), 3.77 (s, 3H), 3.44 (m, 1H), 3.25 (m, 2H), 1.64 (m, 2H), 0.96 (t,J= 7.3 Hz, 3H) |
28 |
Y=n-Pr |
X=2,4-Cl2 |
4-FC6H4 |
- |
7.52 (s, 1H), 7.38 (m, 1H), 7.26-6.42 (m, 8H), 3.27 (t,J= 7.1 Hz, 2H), 1.63 (m, 2H), 0.97 (m, 3H) |
29 |
Y=n-Pr |
X=2,4-Cl2 |
n-Bu |
106-108 |
7.47 (m, 1H), 7.40 (m, 1H), 7.30-7.12 (m, 2H), 7.04 (m, 1H), 6.88 (m, 1H), 3.87-3.58 (m, 2H), 3.18 (br.t, 2H), 1.80-1.38 (m, 4H), 1.33-1.12 (m, 2H), 0.99-0.80 (m, 6H) |
30 |
Y=n-Pr |
X=2,4-Cl2 |
3-Cl,4-MeC6H3 |
152-153 |
7.40 (m, 3H), 7.26-7.04 (m, 4H), 6.92-6.81 (m, 2H), 3.50 (br.t, 1H), 3.28 (m, 2H), 2.32 (s, 3H), 1.64 (m, 2H), 0.98 (t,J= 7.3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31 |
Y=n-Pr |
X=2,4-Cl2 |
2,5-Me2C6H3 |
140-147 |
7.47 (s, 1H), 7.28 (m, 1H), 7.13-6.96 (m, 7H), 3.44 (m, 1H), 3.25 (m, 2H), 2.22 (s, 3H), 2.15 (s, 3H), 1.63 (m, 2H), 0.95 (t,J= 7.3 Hz, 3H) |
32 |
Y=n-Pr |
X=2,4-Cl2 |
4-MeC6H4 |
- |
7.44 (s, 1H), 7.34 (m, 1H), 7.24-7.05 (m, 7H), 6.91 (s, 1H), 3.25 (br.t, 2H), 2.28 (s, 3H), 1.60 (m, 2H), 0.95 (t,J= 7.4 Hz, 3H) |
33 |
Y=C6H5CH2 |
X=2,4-Cl2 |
4-MeOC6H4 |
158-160 |
7.42-6.78 (m, 15H), 4.49 (d,J= 5.59 Hz, 2H), 3.78 (s, 3H), 3.72 (m, 1H) |
34 |
Y=C6H5CH2 |
X=2,4-Cl2 |
4-FC6H4 |
147-148 |
7.42-6.91 (m, 15H), 4.50 (d,J= 5.3 Hz, 2H), 3.79 (br.t, 1H) |
35 |
Y=C6H5CH2 |
X=2,4-Cl2 |
3-Cl,4-MeC6H3 |
184-185 |
7.42-7.03 (m, 12H), 6.87 (m, 2H), 4.51 (d,J= 5.5 Hz, 2H), 3.84 (br.t, 1H), 2.33 (s,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36 |
Y=C6H5CH2 |
X=2,4-Cl2 |
2,5-Me2C6H3 |
151-152 |
7.44-6.94 (m, 14H), 4.47 (d,J= 5.9 Hz, 2H), 3.77 (m, 1H), 2.23 (s, 3H), 2.13 (s, 3H) |
37 |
Y=C6H5CH2 |
X=2,4-Cl2 |
2-MeC6H4 |
154-155 |
7.45-6.95 (m, 15H), 4.47 (d,J= 5.7 Hz, 2H), 3.83 (br.t, 1H), 2.20 (s, 3H) |
38 |
Y=C6H5CH2 |
X=2,4-Cl2 |
Me |
- |
7.48 (m, 1H), 7.37-7.23 (m, 7H), 7.12 (m, 1H), 7.00 (s, 1H), 6.85 (s, 1H), 4.41 (m, 2H), 3.67 (br.t, 1H), 3.56 (s, 3H) |
39 |
X=2,4-Cl2 |
Y=C6H5CH2 |
Me |
- |
7.33-7.09 (m, 9H), 6.96 (s, 1H), 6.64 (s, 1H), 4.00 (d,J= 6.3 Hz, 2H), 3.82 (br.t, 1H), 3.79 (s, 3H) |
40 |
Y=C6H5CH2 |
X=2,4-Cl2 |
n-Pr |
- |
7.47 (m, 1H), 7.36-7.24 (m, 7H), 7.14 (m, 1H), 7.00 (m, 1H), 6.85 (m, 1H), 4.41 (d,J= 5.3 Hz, 2H), 3.83-3.60 (m, 3H), 1.78 (m, 2H), 0.82 (t,J= 7.4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41 |
Y=C6H5CH2 |
X=2,4-Cl2 |
4-ClC6H4 |
182-183 |
7.43-7.07 (m, 14H), 6.91 (s, 1H), 4.50 (d,J= 5.9 Hz, 2H), 3.78 (br.t, 1H) |
42 |
Y=4-MeOC6H4CH2 |
X=3-CF3 |
4-MeOC6H4 |
- |
7.56-6.82 (m, 15H), 4.41 (d,J= 5.3 Hz, 2H), 3.80 (m, 7H) |
43 |
Y=4-MeOC6H4CH2 |
X=3-CF3 |
4-FC6H4 |
136-139 |
7.56-6.82 (m, 15H), 4.41 (d,J= 5.7 Hz, 2H), 3.79 (m, 4H) |
44 |
Y=4-MeOC6H4CH2 |
X=3-CF3 |
4-ClC6H4 |
147-149 |
7.60-7.13 (m, 12H), 6.90 (m, 3H), 4.42 (d,J= 5.9 Hz, 2H), 3.80 (m, 4H) |
45 |
Y=4-MeOC6H4CH2 |
X=3-CF3 |
3-Cl,4-MeC6H3 |
130-132 |
7.59-6.86 (m, 14H), 4.42 (d,J= 5.7 Hz, 2H), 3.80 (m, 4H), 2.35 (s,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46 |
Y=4-MeOC6H4CH2 |
X=3-CF3 |
2,5-Me2C6H3 |
105-106 |
7.76-6.83 (m, 14H), 4.38 (d,J= 5.7 Hz, 2H), 3.79 (s, 3H), 3.63 (br.t, 1H), 2.28 (s, 3H), 1.95 (s, 3H) |
47 |
Y=4-MeOC6H4CH2 |
X=3-CF3 |
4-MeC6H4 |
125-126 |
7.53-7.10 (m, 11H), 6.93-6.83 (m, 4H), 4.40 (d,J= 5.7 Hz, 2H), 3.77 (m, 4H), 2.32 (s, 3H) |
48 |
Y=4-MeOC6H4CH2 |
X=3-CF3 |
2-MeC6H4 |
126-127 |
7.48-6.84 (m, 15H), 4.40 (d,J= 5.7 Hz, 2H), 3.79 (m, 4H), 2.08 (s, 3H) |
49 |
Y=4-MeOC6H4CH2 |
X=3-CF3 |
t-Bu |
117-118 |
7.62-7.25 (m, 7H), 6.94-6.76 (m, 4H), 4.32 (d,J= 4.7 Hz, 2H), 3.80 (s, 3H), 3.50 (br.t, 1H), 1.42 (s, 9H) |
50 |
X=3-CF3 |
Y=4-ClC6H4CH2 |
4-MeOC6H4 |
140-142 |
7.72(s, 1H), 7.54-7.19 (m, 9H), 7.06-6.89 (m, 5H), 4.06 (m, 1H), 3.86 ( m, 5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51 |
X=3-CF3 |
Y=4-ClC6H4CH2 |
3-Cl,4-MeC6H3 |
- |
7.71(m, 1H), 7.50-7.24(m, 10H), 6.93(m, 3H), 4.00-3.84(m, 3H), 2.46(s, 3H) |
52 |
X=3-CF3 |
Y=4-ClC6H4CH2 |
2,5-Me2C6H3 |
124-125 |
7.72(s, 1H), 7.51(m, 2H), 7.37-7.17(m, 8H), 6.94(m, 3H), 3.92(m, 1H), 3.81(d,J= 5.9 Hz, 2H), 2.38(s, 3H), 2.19(s, 3H) |
53 |
X=3-CF3 |
Y=4-ClC6H4CH2 |
4-ClC6H4 |
142-143 |
7.23-6.87(m, 15H), 3.93(m, 1H), 3.84(d,J= 5.7 Hz, 2H) |
54 |
Y=4-ClC6H4CH2 |
X=3-CF3 |
4-ClC6H4 |
168-170 |
7.60-7.12(m, 14H), 6.95(s, 1H), 4.45(d,J= 5.9Hz, 2H), 3.86(br t, 1H) |
55 |
X=3-CF3 |
Y=4-ClC6H4CH2 |
n-Pr |
- |
7.67(s, 1H), 7.48(m, 1H), 7.36-7.04(m, 8H), 6.85(s, 1H), 3.98(m, 4H), 3.70(br t, 1H), 1.95(q,J= 7.4 Hz, 2H), 1.01(t,J= 7.4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56 |
Y=4-ClC6H4CH2 |
X=3-CF3 |
t-Bu |
127-128 |
7.65-7.26(m, 9H), 6.95(s, 1H), 6.77(s, 1H), 4.36(d,J= 5.5 Hz, 2H), 3.64(br t, 1H), 1.40(s, 9H) |
57 |
Y=n-Pr |
X=2,4-F2 |
3-Cl,4-MeC6H3 |
139-140 |
7.44-6.73(m, 9H), 3.55(br t, 1H), 3.26(m, 2H), 2.32(s, 3H), 1.63(m, 2H), 0.96(t,J= 7.3 Hz, 3H) |
58 |
Y=n-Pr |
X=2,4-F2 |
2,5-Me2C6H3 |
126-127 |
7.49(s, 1H), 7.12-6.90(m, 6H), 6.70(m, 2H), 3.47(br t, 1H), 3.24(m, 2H), 2.44(s, 3H), 2.06(s, 3H), 1.62(m, 2H), 0.94(t,J= 7.4 Hz, 3H) |
59 |
Y=n-Pr |
X=2,4-F2 |
4-MeC6H4 |
137-138 |
7.45(s, 1H), 7.09-6.69(m, 9H), 3.48(br t, 1H), 3.25(m, 2H), 2.30(s,.3H), 1.63(m, 2H), 0.95(t,J= 7.3 Hz, 3H) |
60 |
Y=n-Pr |
X=2,4-F2 |
t-Bu |
- |
7.31-6.77(m, 6H), 3.27(br t, 1H), 3.05(m, 2H), 1.53(m, 2H), 1.39(s, 9H), 0.89(t,J= 7.3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61 |
Y=2-MeOC6H4CH2CH2 |
X=2,4-F2 |
4-MeOC6H4 |
- |
7.40(s, 1H), 7.28-6.60(m, 13H), 3.78(s, 3H), 3.72(s, 3H), 3.54(m,2H), 2.97(t,J= 6.5 Hz, 2H) |
62 |
Y=2-MeOC6H4CH2CH2 |
X=2,4-F2 |
4-FC6H4 |
149-150 |
7.40(s, 1H),7.28-6.73(m, 13H), 3.94(br t, 1H), 3.72(s, 3H), 3.55(m, 2H), 2.97(t,J= 6.5 Hz, 2H) |
63 |
Y=2-MeOC6H4CH2CH2 |
X=2,4-F2 |
2,5-Me2C6H3 |
- |
7.42(s, 1H), 7.28-6.60(m, 12H), 3.85(br tm 1H), 3.72(s, 3H), 3.53(m, 2H), 2.96(t,J= 6.5 Hz, 2H), 2.26(s, 3H), 2.08(s, 3H) |
64 |
Y=2-MeOC6H4CH2CH2 |
X=2,4-F2 |
Me |
- |
7.33-6.81(m, 10H), 3.72(br t, 1H), 3.71(s, 3H), 3.61(s, 3H), 3.47(m, 2H), 2.93(m,2H) |
X=2,4-F2 |
65 |
Y=2-MeOC6H4CH2CH2 |
Me |
135-136 |
7.42(s, 1H), 7.29-6.70(m, 9H), 3.80(s, 3H), 3.66(s, 3H), 3.60(br t, 1H), 3.07(m, 2H), 3.76(m, 2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66 |
X=4-F |
Y=4-MeOC6H4 |
4-MeOC6H4 |
- |
7.62(m, 1H), 7.51(m, 2H), 7.19(m, 3H), 7.08-6.90(m, 5H), 3.88(s, 3H), 3.57(br t, 1H), 2.62(q,J= 6.9 Hz, 2H), 1.34(m, 2H), 0.73(t,J= 7.3 Hz, 3H) |
67 |
X=4-F |
Y=n-Pr |
3-Cl,4-MeC6H3 |
125-126 |
7.65(m, 2H), 7.48-7.24(m, 5H), 7.07-6.92(m, 3H), 3.59(br t, 1H), 2.66(m, 2H), 2.46(s, 3H), 1.38(m, 2H), 0.76(t,J= 7.4 Hz, 3H) |
68 |
Y=n-Pr |
X=4-F |
3-Cl,4-MeC6H3 |
172-174 |
7.45(m, 1H), 7.38(m, 1H), 7.15-6.85(m, 8H), 3.45(br t, 1H), 3.26(m, 2H), 2.34(s, 3H), 1.63(m, 2H), 0.96(t,J= 7.4 Hz, 3H) |
69 |
Y=n-Pr |
X=4-F |
2,5-Me2C6H3 |
- |
7.51(s, 1H), 7.27-6.82(m, 9H), 3.36(br t, 1H), 3.23(m, 2H), 2.28(s, 3H), 1.96(s, 3H), 1.60(m, 2H), 0.94(m, 3H) |
70 |
Y=n-Pr |
X=4-F |
4-MeC6H4 |
134-136 |
7.62(s, 1H), 7.50-7.25(m, 7H), 7.07-6.90(m, 3H), 3.63(br t, 1H), 2.62(m, 2H), 2.44(s1`, 3H), 1.35(m, 2H), 0.73(m, 3H) |
71 |
X=4-F |
Y=n-Pr |
4-MeC6H4 |
155-158 |
7.47(s, 1H), 7.26-7.10(m, 6H), 6.94(m, 4H), 3.41(br t, 1H), 3.24(m, 2H), 2.33(s, 3H), 1.63(m, 2H), 0.95(t,J= 7.4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72 |
Y=4-ClC6H4CH2 |
X=4-F |
2,5-Me2C6H3 |
158-161 |
7.47(s, 1H), 7.29(m, 4H), 7.14(s, 1H), 7.07(m, 3H), 6.97(m, 1H), 6.85(m, 4H), 4.43(d,J= 6.1 Hz, 2H), 3.88(br t, 1H), 2.29(s, 3H),1.95(s, 3H) |
73 |
Y=4-ClC6H4CH2 |
X=4-F |
4-ClC6H4 |
208-210 |
7.41(m, 1H), 7.31-6.91(m, 14H), 4.45(d,J= 5.9 Hz, 2H), 3.86(br t, 1H) |
74 |
Y=4-ClC6H4CH2 |
X=4-F |
3-Cl,4-MeC6H3 |
182-184 |
7.44(s, 1H), 7.36-6.85(m, 13H), 4.46(d,J=6.1 Hz, 2H), 3.80(br t, 1H), 2.35(s, 3H) |
75 |
Y=4-ClC6H4CH2 |
X=4-F |
t-Bu |
162-164 |
7.31-7.18(m, 7H), 7.05-6.94(m, 3H), 6.77(m, 1H), 4.35(d,J= 5.9 Hz, 2H), 3.63(br t, 1H), 1.40(s, 9H) |
76 |
X=4-MeO |
Y=n-Pr |
4-MeOC6H4 |
115-122 |
7.61(m, 1H), 7.50(m, 2H), 7.24(m, 3H), 7.04(m, 3H), 6.77(m, 2H), 3.85(s, 3H), 3.75(s, 3H), 3.57(br t, 1H), 2.60(m, 2H), 1.32(m, 2H), 0.71(t,J= 7.3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77 |
X=4-MeO |
Y=n-Pr |
4-FC6H4 |
115-117 |
7.63(m, 3H), 7.22(m, 5H), 7.07(s, 1H), 6.79(m, 2H), 3.77(s, 3H), 3.48(br t, 1H), 2.63(m, 2H), 1.33(m, 2H), 0.73(m, 3H) |
78 |
Y=n-Pr |
X=4-MeO |
4-FC6H4 |
174-175 |
7.46(s, 1H), 7.25-6.87(m, 8H), 6.74(m, 2H), 3.75(s, 3H), 3.38(br t, 1H), 3.25(m, 2H), 1.62(m, 2H), 0.95(m, 3H) |
79 |
Y=n-Pr |
X=4-MeO |
2,5-Me2C6H3 |
154-158 |
7.51(m, 1H), 7.17-6.99(m, 5H), 6.79(m, 2H), 6.65(m, 2H), 3.70(s, 3H), 3.38(br t, 1H), 3.24(m, 2H), 2.29(s, 3H), 1.95(s, 3H), 1.60(m, 2H), 0.93(m, 3H) |
80 |
X=4-MeO |
Y=n-Pr |
2,5-Me2C6H3 |
- |
7.64(m, 1H), 7.28-7.08(m,7H), 6.78(m, 2H), 3.77(s, 3H), 3.32(br t, 1H), 2.58(m, 2H), 2.38(s, 3H), 2.20(s, 3H), 1.30(m, 2H), 0.69(m, 3H) |
81 |
Y=4-MeOC6H4CH2 |
X=4-F |
2,5-Me2C6H3 |
142-143 |
7.47(s, 1H), 7.30-6.83(m, 13H0, 4.38(d,J= 4.1 Hz, 2H), 3.79(s, 3H), 3.61(br t, 1H), 2.29(s, 3H), 1.97(s,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82 |
X=4-MeO |
Y=n-Pr |
3-Cl,4-MeC6H3 |
138-140 |
7.70(s, 1H), 7.61(s, 1H), 7.50-7.35(m, 2H), 7.24(m, 3H), 7.06(m, 1H), 6.80(m, 2H), 3.77(s, 3H), 3.58(br t, 1H), 2.65(m, 2H), 2.44(s, 3H), 1.37(m, 2H), 0.75(t,J= 7.3Hz, 3H), |
83 |
Y=n-Pr |
X=4-MeO |
3-Cl,4-MeC6H3 |
- |
7.42(m, 2H), 7.12(m, 2H), 6.98(m, 4H), 6.75(m, 2H), 3.75(s, 3H), 3.45(br t, 1H), 3.24(m,2H), 2.33(s, 3H), 1.62(m, 2H), 0.95(t,J= 7.3 Hz, 3H) |
84 |
X=4-MeO |
Y=n-Pr |
4-ClC6H4 |
125-135 |
7.63(m, 2H),1 7.50(m, 2H), 7.24(m, 4H), 7.06(s, 1H), 6.80(m, 2H), 3.77(s, 3H), 3.54(br t, 1H), 2.65(m, 2H), 1.37(m, 2H), 0.75(m, 3H) |
85 |
Y=n-Pr |
X=4-MeO |
4-ClC6H4 |
- |
7.45(s, 1H), 7.28-6.74(m, 10H), 3.76(s, 3H), 3.47(br t, 1H), 3.26(m, 2H), 1.63(m, 2H), 0.96(t,J= 7.3 Hz, 3H) |
86 |
X=4-MeO |
Y=4-ClC6H4CH2 |
4-MeOC6H4 |
- |
7.52(m, 2H), 7.43(m, 1H), 7.22(m, 6H), 7.03(m, 2H), 6.93(m, 2H), 6.78(m, 2H), 3.87-3.75(m, 9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87 |
X=4-MeO |
Y=4-ClC6H4CH2 |
3-Cl,4-MeC6H3 |
- |
7.70(m, 1H), 7.51-7.21(m, 8H), 6.96-6.92(m, 5H), 3.90-3.76(m,6H), 2.44(s, 3H) |
88 |
Y=4-ClC6H4CH2 |
X=4-MeO |
3-Cl,4-MeC6H3 |
193-195 |
7.41(m, 2H), 7.31(s, 3H), 7.09(m, 2H), 6.92(m, 4H), 6.76(m, 2H), 4.45(d,J= 6.1 Hz, 2H), 3.77(s, 3H), 3.77(br t, 1H), 2.34(s, 3H) |
89 |
X=4-MeO |
Y=4-ClC6H4CH2 |
4-MeC6H4 |
140-142 |
7.53-7.19(m, 10H), 6.93(m, 3H), 6.78(m, 2H), 3.93(br t, 1H), 3.81(m, 2H), 3.76(s, 3H), 2.42(s, 3H) |
90 |
Y=4-ClC6H4CH2 |
X=4-MeO |
4-MeC6H4 |
176-177 |
7.45(s, 1H), 7.31(m, 4H), 7.11(s, 5H), 6.91(m, 3H), 6.73(d,J= 8.9 Hz, 2H), 4.45(d,J= 6.1 Hz, 2H), 3.75(s, 3H), 3.72(br t, 1H), 2.33(s, 3H) |
91 |
Y=4-ClC6H4CH2 |
X=4-MeO |
t-Bu |
163-167 |
7.29(m, 5H), 7.12(m, 2H), 6.91(m, 1H), 6.79(m, 3H), 4.38(d,J= 4.3 Hz, 2H), 3.76(s, 3H), 3.68(br t, 1H), 1.40(s, 9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92 |
X=4-MeO |
Y=4-ClC6H4CH2 |
Et |
- |
7.36-7.05(m, 8H), 6.79(m, 3H), 4.10(q,J= 7.3 Hz, 2H), 3.92(d,J= 6.5 Hz, 2H), 3.75(s, 3H), 3.59(br t, 1H), 1.49(t,J= 7.3 Hz, 3H) |
93 |
X=4-F |
Y=i-Pr |
4-MeOC6H4 |
- |
7.55(m, 3H), 7.32-6.91(m, 8H), 3.88(s, 3H), 3.16(br d, 1H), 2.90(m, 1H), 0.97(d,J= 6.3 Hz, 6H) |
94 |
X=4-F |
Y=i-Pr |
4-ClC6H4 |
- |
7.69-7.26(m,00 8H), 6.98(m, 3H), 3.16(br d, 1H), 2.94(m, 1H), 0.98(d,J= 6.3 Hz, 6H) |
95 |
Y=i-Pr |
X=4-F |
4-ClC6H4 |
- |
7.45-6.93(,. 11H), 3.97(m, 1H), 3.23(br d, 1H), 1.23(d,J= 6.5 Hz, 6H) |
96 |
Y=i-Pr |
X=4-F |
2,5-Me2C6H4 |
- |
7.51(s, 1H), 7.28(m, 1H), 7.19(s, 1H), 7.07(m, 2H), 6.99(s, 1H), 6.85(m, 4H), 3.84(m, 1H), 3.19(br d, 1H), 2.29(s, 3H), 1.98(s, 3H), 1.21(d,J= 6.3 Hz, 6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97 |
X=4-MeO |
Y=4-ClC6H4CH2 |
n-Pr |
123-124 |
7.38-7.05(m, 8H), 6.79(m, 3H), 3.99(m, 4H), 3.75(s, 3H), 3.50(br t, 1H), 1.92(m, 2H), 1.00(t,J= 7.4 Hz, 3H) |
98 |
Y=4-ClC6H4CH2 |
X=4-MeO |
n-Pr |
115-117 |
7.37-6.85(m, 11H), 4.37(s, 2H), 3.82(s, 3H), 3.82(m, 2H), 3.63(br s, 1H), 1.79(m, 2H), 0.82(t,J= 7.3 Hz, 3H) |
99 |
X=3-CF3 |
Y=4-ClC6H4CH2 |
Et |
95-99 |
7.64(s, 1H), 7.46(d,J= 7.5 Hz, 1H), 7.34-7.02(m, 8H), 6.83(m, 1H), 4.12(q,J= 7.3 Hz, 2H), 3.95(m, 3H), 1.49(t,J= 7.3 Hz, 3H) |
100 |
Y=4-ClC6H4CH2 |
X=3-CF3 |
Et |
134-136 |
7.65(d,J= 7.3 Hz, 1H), 7.50(m, 2H), 7.37-7.22(m, 6H), 7.05(s, 1H), 6.87(s, 1H), 4.38(s, 2H), 3.95(q,J= 7.1 Hz, 2H), 3.77(br s, 1H), 1.38(t,J= 7.1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01 |
X=3-CF3 |
Y=4-ClC6H4CH2 |
n-Bu |
81-82 |
7.67(s, 1H), 7.48(d,J= 7.5 Hz, 1H), 7.35-7.04(m, 8H), 6.85(m, 1H), 4.05(t,J= 7.4 Hz, 2H), 3.93(d,J= 5.5 Hz, 2H), 3.72(br t, 1H), 1.89(m, 2H), 1.42(m, 2H), 0.99(t,J= 7.2 Hz, 3H) |
102 |
Y=4-ClC6H4CH2 |
X=3-CF3 |
n-Bu |
132-133 |
7.65(d,J= 7.5 Hz, 1H), 7.51(m, 2H), 7.31(m, 6H), 7.06(s, 1H), 6.87(s, 1H), 4.38(d,J= 6.1 Hz, 2H), 3.89(t,J= 7.2 Hz, 2H), 3.73(br t, 1H), 1.77(m, 2H), 1.24(m, 2H), 0.84(t,J= 7.3 Hz, 3H) |
103 |
X=4-F |
Y=i-Pr |
Et |
118-120 |
7.51(m, 1H), 7.23(m, 3H), 6.94(m, 3H), 4.09(q,J= 7.3 Hz, 2H), 3.05(m, 1H), 2.84(br d, 1H), 1.50(t,J= 7.3 Hz, 3H), 1.05(d,J= 6.3 Hz, 6H) |
104 |
X=4-F |
Y=i-Pr |
n-Pr |
192-193 |
7.49(s, 1H), 7.20(m, 3H), 6.91(m, 3H), 3.96(m, 2H), 3.10-2.85(m, 2H), 1.92(m, 2H), 1.00(m, 9H) |
105 |
Y=i-Pr |
X=4-F |
n-Pr |
128-129 |
7.38(s, 1H), 7.19-7.01(m, 5H), 6.86(s, 1H), 3.83(m, 2H), 3.73(m, 1H), 3.07(br s, 1H), 1.77(m, 2H), 1.19(d,J= 6.5 Hz, 6H), 0.82(t,J= 7.4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06 |
Y=i-Pr |
X=4-F |
t-Bu |
156-160 |
7.30-7.07(m, 3H), 6.99(m, 3H) 6.78(m, 1H), 3.70(m, 1H), 3.00(br s, 1H), 1.40(s, 9H), 1.18(d,J=6.5Hz, 6H) |
107 |
X=4-F |
Y=4-MeOC6H4CH2 |
Et |
114-115 |
7.33-6.81(m, 1H), 4.10(q,J= 7.1 Hz, 2H), 3.90(d,J= 5.7 Hz, 2H), 3.78(s, 3H), 3.43(br t, 1H), 1.49(t,J= 7.1 Hz, 3H) |
108 |
Y=4-MeOC6H4CH2 |
X=4-F |
Et |
109-111 |
7.35-6.81(m, 1H), 4.33(s, 2H), 3.96(q,J= 7.1 Hz, 2H), 3.79(s, 3H), 3.54(br s, 1H), 1.37(t,J= 7.1 Hz, 3H) |
109 |
X=4-F |
Y=4-MeOC6H4CH2 |
n-Pr |
82-84 |
7.31(m, 1H), 7.22-6.79(m, 10H), 3.98(m, 2H), 3.86(s, 2H), 3.76(s, 3H), 3.60(br t, 1H), 1.91(m, 2H), 0.98(t,J= 7.3 Hz, 3H) |
110 |
Y=4-MeOC6H4CH2 |
X=4-F |
n-Pr |
103-104 |
7.35-7.02(m, 8H), 6.85(m, 3H), 4.33(s, 2H), 3.85(m, 2H), 3.78(s, 3H), 3.54(br s, 1H), 1.82(m, 2H), 0.83(t,J= 7.4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11 |
X=4-F |
Y=4-MeOC6H4CH2 |
4-MeOC6H4CH2 |
101-102 |
7.27-6.77(m, 11H), 3.92(d,J= 5.3 Hz, 2H), 3.78(s, 6H), 3.67(br t, 1H) |
112 |
Y=4-MeOC6H4CH2 |
X=4-F |
t-Bu |
130-133 |
7.32-7.18(m, 5H), 7.04-6075(m, 6H), 4.31(s, 2H), 3.79(s, 3H), 3.53(br s, 1H), 1.42(s, 9H) |
113 |
X=4-F |
Y=n-Pr |
Et |
112-114 |
7.50(s, 1H), 7.21(m, 3H), 6.91(m, 3H), 4.05(q,J= 7.3 Hz, 2H), 3.32(br t, 1H), 2.73(m, 2H), 1.43(m, 5H), 0.80(t,J= 7.4 Hz, 3H) |
114 |
Y=n-Pr |
X=4-F |
Et |
140-141 |
7.39(m, 1H), 7.20-7.01(m, 5H), 6.87(m, 1H), 3.94(q,J= 7.1 Hz, 2H), 3.30(br t, 1H), 3.18(m, 2H), 1.59(m, 2H), 1.35(t,J= 7.1 Hz, 3H), 0.94(t,J= 7.4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15 |
X=4-F |
Y=n-Pr |
n-Pr |
120-121 |
7.53(m, 1H), 7.23(m, 3H), 6.94(m, 3H), 3.96(m, 2H), 3.26(br t, 1H), 2.75(m, 2H), 1.93(m, 2H), 1.44(m, 2H), 1.01(t,J= 7.4 Hz, 3H), 0.83(r,J= 7.4 Hz, 3H) |
116 |
Y=Pr |
X=4-F |
n-Pr |
138-139 |
7.37(s, 1H), 7.09(m, 5H), 6.86(s, 1H), 3.83(t,J= 7.4 Hz, 2H), 3.30(br s, 1H), 3.16(m, 2H), 1.77(m, 2H), 1.58(m, 2H), 0.93(t,J= 7.4 Hz, 3H), 0.81(t,J= 7.4 Hz, 3H) |
117 |
Y=Et |
X=4-F |
Et |
147-148 |
<DMsO-d67.53(s, 1H), 7.39-7.20(m, 4H), 7.08(s, 1H), 6.90(s, 1H), 4.89(br t, 1H), 3.82(q,J= 7.2 Hz, 2H), 3.07(m, 2H), 1.23(t,J= 7.1 Hz, 3H), 1.01(t,J= 7.1 Hz, 3H) |
118 |
X=4-F |
Y=Et |
n-Pr |
128-131 |
7.53(s, 1H), 7.23(m, 3H), 6.94(m, 3H), 3.97(t,J= 7.4 Hz, 2H), 3.08(br t, 1H), 2.84(m, 2H), 1.93(,. 2H), 1.05(m, 6H) |
119 |
Y=Et |
X=4-F |
n-Pr |
138-139 |
7.39(m, 1H), 7.20-7.02(m, 5H), 6.88(m, 1H), 3.85(m, 2H), 3.24(m, 3H), 1.79(m, 2H), 1.21(m, 3H), 0.83(t,J= 704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20 |
Y=Et |
X=4-F |
t-Bu |
- |
7.32-7.18(m, 3H), 7.00(m, 3H), 6.79(m, 1H), 3.21(m, 3H), 1.41(s, 9H), 1.19(m, 3H) |
121 |
X=4-F |
Y=n-Pr |
Me |
130-131 |
7.49(m, 1H), 7.19(m, 3H), 6.91(m, 3H), 3.74(s, 3H), 3.30(br t, 1H), 2.77(m, 2H), 1.43(m, 2H), 0.82(t,J= 7.4 Hz, 3H) |
122 |
X=4-F |
Y=n-Pr |
n-Bu |
97-106 |
7.52(s, 1H), 7.22(m, 3H), 6.93(m, 3H), 4.00(m, 2H), 3.12(br t, 1H), 2.76(m, 2H), 2.16-1.80(m, 2H), 1.43(m, 4H), 0.99(t,J= 7.3 Hz, 3H), 0.83(t,J= 7.4 Hz, 3H) |
123 |
X=4-F |
Y=4-CF3C6H4CH2 |
Et |
134-138 |
7.56(d,J= 8.1 Hz, 2H), 7.34-7.11(m, 6H), 6.9-6.81(m, 3H), 4.18-3.87(m, 5H), 1.50(t,J= 7.2 Hz, 3H) |
124 |
Y=4-CF3C6H4CH2 |
X=4-F |
n-Pr |
145-148 |
7.58(d,J= 8.2 Hz, 2H), 7.48(d,J= 8.2 Hz, 2H), 7.37(m, 1H), 7.20-7.02(m, 5H), 6.86(m, 1H), 4.48(d, 5.7 Hz, 2H), 3.84(m, 3H), 1.78(m, 2H), 0.81(t,J= 7.3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25 |
X=4-F |
Y=4-CF3C6H4CH2 |
n-Bu |
- |
7.56(d,J= 8.3 Hz, 2H), 7.36(m, 1H), 7.28-7.14(m, 5H), 6.97-6.82(m, 3H), 4.04)m, 4H), 3.84(br t, 1H), 1.88(m, 2H), 1.41(m, 2H), 0.98(t,J= 7.3 Hz, 3H) |
126 |
Y=4-CF3C6H4CH2 |
X=4-F |
n-Bu |
145-146 |
7.60(d,J= 8.2 Hz, 2H), 7.49(d,J= 8.2 Hz, 2H), 7.39(m, 1H), 7.21-7.03(m, 5H), 6.87(m, 1H), 4.48(d,J= 6.1 Hz, 2H), 3.89(m, 2H), 3.77(br t, 1H), 1.73(m, 2H), 1.27(m, 2H), 0.84(t,J= 7.3 Hz, 3H) |
127 |
Y=4-CF3C6H4CH2 |
X=4-F |
t-Bu |
125-126 |
7.60(d,J= 8.3 Hz, 2H), 7.51(d,J= 8.3 Hz, 2H), 7.31-7.19(m, 3H), 7.00(m, 3H), 6.78(m, 1H), 4.46(d,J= 5.1 Hz, 2H), 3.73(br t, 1H), 1.40(s, 9H) |
128 |
X=4-F |
Y=2-MeOC6H4CH2CH2 |
Et |
119-121 |
7.49(s, 1H), 7.19(m, 4H), 7.02-6.83(m, 6H), 3.93(q,J= 7.3 Hz, 2H), 3.79(s, 3H), 3.58(br t, 1H), 3.03(m, 2H), 2.75(m, 2H), 1.38(t,J= 7.3 Hz, 3H) |
129 |
Y=2-MeOC6H4CH2CH2 |
X=4-F |
Et |
130-131 |
7.31(s, 1H), 7.26-7.00(m, 7H)< 6.90-6.79(m, 3H), 3.92(q,J= 7.1 Hz, 2H), 3.70(s, 3H), 3.70(br s, 1H), 3.46(m, 2H), 2.91(m, 2H), 1.34(t,J= 7.1 Hz,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30 |
X=4-F |
Y=2-MeOC6H4CH2CH2 |
n-Pr |
- |
7.49(m, 1H), 7.12(m, 4H), 6.99-6.83(m, 6H), 3.81(m, 2H), 3.78(s, 3H), 3.58(br t, 1H), 3.00(m, 2H), 2.74(m, 2H), 1.79(m, 2H), 0.93(t,J= 7.4 Hz, 3H) |
131 |
X=4-F |
Y=2-MeOC6H4CH2CH2 |
n-Bu |
- |
7.51(s, 1H), 7.21(m, 4H), 7.04-6.85(m, 6H), 3.86(m, 2H), 3.80(s, 3H), 3.48(br t, 1H), 3.02(m, 2H), 2.76(m, 2H), 1.75(m, 2H), 1.33(m, 2H), 0.95(t,J= 7.1 Hz, 3H) |
132 |
Y=2-MeOC6H4CH2CH2 |
X=4-F |
n-Bu |
- |
7.31-6.80(m, 11H), 3.86(m, 3H), 3.71(s, 3H), 3.46(m, 2H), 2.91(m, 2H), 1.73(m, 2H), 1.25(m, 2H), 0.83(t,J= 7.3 Hz, 3H) |
133 |
Y=2-MeOC6H4CH2CH2 |
X=4-F |
t-Bu |
144-145 |
7.26-6.73(m, 11H), 3.74(s, 3H), 3.57(br s, 1H), 7.45(m, 2H), 2.93(m, 2H), 1.42(s, 9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34 |
X=4-F |
Y=2-MeOC6H4CH2CH2 |
Me |
155-156 |
7.49(s, 1H), 7.20(m, 4H), 7.03-6.84(m, 6H), 3.80(s, 3H), 3.65(s, 3H), 3.56(m, 1H), 3.06(m, 2H), 2.76(m, 2H) |
135 |
Y=2-MeOC6H4CH2CH2 |
X=4-F |
Me |
126-127 |
7.31(s, 1H), 7.22-7.00(m, 7H), 6.90(m, 3H), 3.72(m, 1H), 3.70(s, 3H), 3.66(s, 3H), 3.45(m, 2H), 2.91(m, 2H) |
136 |
X=4-F |
Y=4-CF3C6H4CH2 |
Me |
122-123 |
7.58(d,J= 8.1 Hz, 2H), 7.36(m, 1H), 7.30-7.14(m, 5H), 6.94(m, 2H), 6.79(m, 1H), 4.06(d,J= 6.5 Hz, 2H), 3.81(s, 3H), 3.61(br t, 1H) |
137 |
X=4-F |
Y=Et |
Me |
134-135 |
7.51(m, 1H), 7.21(m, 3H), 6.94(m, 3H), 3.77(s, 3H), 3.13(br t, 1H), 2.90(m, 2H), 1.10(t,J= 7.1 Hz, 3H) |
138 |
Y=Et |
X=4-F |
Me |
164-165 |
<DMsO-d67.51(s, 1H), 7.38-7.10(m, 4H), 7.07(s, 1H), 6.92(s, 1H), 4.86(br t, 1H), 3.56(m, 2H), 1.10(m, 3H) |
No. |
3- |
5- |
R |
mp(℃) |
1HNMR (200MHz) |
139 |
X=4-F |
Y=Et |
n-Bu |
113-115 |
7.52(m, 1H), 7.23(m, 3H), 6.94(m, 3H), 4.01(m, 2H), 3.04(br t, 1H), 2.84(m, 2H), 1.88(m, 2H), 1.45(m, 2H), 1.12-0.96(m, 6H) |
140 |
Y=Et |
X=4-F |
n-Bu |
- |
7.39(M, 1H), 7.20-7.02(m, 5H), 6.86(m, 1H),3.88(m, 2H), 3.23(m, 3H), 1.74(m, 2H), 1.21(m, 5H), 0.84(t,J= 7.3 Hz, 3H) |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서 하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4-(1H-1-이미다졸릴)-1-(4-메톡시페닐)-3-(4-페닐페닐)-5-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이미다졸릴)-1-(2,5-디메틸페닐)-5-(4-니트로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1H-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n-부틸)-5-(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2,5-디메틸페닐)-5-(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이미다졸릴)-1-(4-메틸페닐)-5-(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메틸-5-(2,4-디클로로페닐)-3-벤질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메틸-3-(2,4-디클로로페닐)-5-벤질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4-클로로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클로로벤질)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4-클로로페닐)-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메틸-5-(2,4-디플루오로페닐)-3-(2-메톡시펜에틸)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메틸-3-(2,4-디플루오로페닐)-5-(2-메톡시펜에틸)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4-메틸페닐)-5-(4-플루오로페닐)-3-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4-메틸페닐)-3-(4-플루오로페닐)-5-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4-메톡시페닐)-4-(4-메톡시페닐)-5-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에틸-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클로로벤질)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에틸-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에틸-3-(4-플루오로페닐)-5-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에틸-5-(4-플루오로페닐)-3-프로필아미노-1H-5-피라졸, 4-(1H-1-이미다졸릴)-1-메틸-3-(4-플루오로페닐)-5-(2-메톡시펜에틸)아미노-1H-5-피라졸 및 4-(1H-1-이미다졸릴)-1-메틸-5-(4-플루오로페닐)-3-(2-메톡시펜에틸)아미노-1H-5-피라졸.
본 발명의 3- 또는 5-아미노 4-이미다졸릴 피라졸 유도체는 식물 병원균에 대해 높은 치료 및 예방적 항균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균의 예로는 벼의 도열병균(Piricularia oryzae), 벼의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오이 회색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오이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liginea), 오이의 노균병균(Pseudoperonospora cubensis), 포도의 노균병균(Plasmopora viticola), 토마토의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깨씨무늬병균(Cochliobolus miyabeanus), 땅콩의 갈색무늬병균(Cercopora arachidicola), 보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graminis), 밀의 붉은 녹병균 (Puccinia recondita) 및 밀의 줄기 녹병균(Puccinis graminis)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벼의 도열병균 및 흰가루병균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살균 효과를 나타내므로, 살균제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3- 또는 5-아미노 4-이미다졸릴 피라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 화학식 2의 이미다졸릴 α-옥소 케텐아미노티오아세탈을 하기 화학식 3의 히드라진과 유기 용매 내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하기 반응식 1에 도시한다.
[반응식 1]
위의 반응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 1a과 1b의 2가지 이성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a]
[화학식 1b]
(상기 식에서, X, Y, R 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1 내지 1.2 당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의 화합물이 산부가염일 경우에는, 산 제거제를 가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산 제거제로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트리알킬아민류; 및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및 가성소다와 같은 무기염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1 내지 2 당량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및 디페닐에테르 등의 에테르;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및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등의 알코올;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등의 트리알킬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아민과 같은 입체장해 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는 50 내지 150℃가 바람직하며,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적으로 1 내지 24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가 50℃ 미만인경우에는 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으며, 150℃면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므로, 더 이상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
반응 종료 후 바로 용매를 증류하거나, 또는 반응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물에 녹지 않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상기 화학식 1의 1-페닐 4-아졸릴 피라졸 유도체의 조 생성물을 수득한다. 이 조 생성물은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콜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산의 에스테르; 펜탄 및 헥산과 같은 탄화수소; 에틸에테르 및 테트라히드로퓨란과 같은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부터 재결정하거나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정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학식 2의 이미다졸릴 α-옥소 케텐아미노티오아세탈은 하기 화학식 4의 이미다졸릴 α-옥소 케텐디티오아세탈과 하기 화학식 5의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는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에서, X 및 Y 는 상기 화학식 1에서의 정의와 동일하다.)
상기 화학식 4의 이미다졸릴 α-옥소 케텐디티오아세탈은 공지된 방법(유럽특허 제 508527호 참조)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 화학식 5의 화합물은 화학식 4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1 내지 1.2 당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5의 화합물이 산부가염인 경우에는, 산 제거제를 가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산 제거제로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트리알킬아민류; 및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륨 및 가성소다와 같은 무기염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1 내지 2 당량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및 디페닐에테르 등의 에테르;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및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등의 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에테르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온도는 50 내지 150℃가 바람직하며,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적으로 1 내지 24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응 종료 후 바로 용매를 증류하거나, 또는 반응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물에 녹지 않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후 용매를 증류하여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조 생성물이 수득한다. 이 조 생성물은 메탄올 및 에탄올과 같은 알콜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산의 에스테르; 펜탄 및 헥산과 같은 탄화수소; 에틸에테르 및 테트라히드로퓨란과 같은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부터 재결정하거나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정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약 0.01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또한, 고체 또는 액체 담체, 표면활성제, 희석제, 전착제, 상승제, 접착제 및 분산제 등과 같은 적당한 보조제와 함께 혼합하여 농업용 살균제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 제제화에 사용가능한 고체 담체로는 활석, 점토, 벤토나이트, 피로필라이트, 카올린, 규조토 및 실리카 등을 들 수 있고, 액체 담체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미드, 에테르, 벤젠, 크실렌, 톨루엔 및 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으며, 표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와 같은 비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알킬벤젠설폰산염, 리그닌설폰산염 및 디나프틸메탄설폰산염과 같은 음이온 표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제로서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아라비아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분말 또는 수화 분말, 과립, 유화농축물, 현탁액, 훈증제, 기체 및 페이스트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적당한 표면활성제와 함께 탄화수소, 아세톤 또는 알콜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유화 농축물 또는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무기분말 및 적당한 표면활성제와 혼합하고 미세 분말이 되도록 분쇄 및 균질화하여 수화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조성물은 바람직한 농도로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무기 분말과 혼합하고 균질하게 파쇄 및 혼합하여 분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제 조성물은 토양을 살균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농산물, 묘종 및 종자 등을 살균하는데도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량 함유하는 살균 조성물은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식물성장 조절제 및 살진드기제 등과 같은 다른 농화학물질, 및 영양물질 등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출발 물질의 합성은 참고예로 표시하였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참고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또는 참고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2-(1
H
-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페닐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2-(1H-1-이미다졸릴)-3,3-디(메틸설파닐)-1-(4-페닐페닐)-2-프로펜-1-온 3.66g(1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0ml 내에 용해시킨 후, n-프로필아민 0.59g(1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ml 내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0분간 적하하였다. 적하가 끝나면 환류시켰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00g(53%)의 노란색 고체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페닐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을 얻었다.
1H NMR (200MHz) 12.56 (br.t, 1H), 7.55-7.15 (m, 10H), 7.04 (s,1H), 6.88 (s, 1H), 3.61 (m, 2H), 1.99 (s, 3H), 1.78 (m, 2H), 1.09 (m, 3H)
[참고예 2]
2-(1
H
-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니트로페닐)-3-(p-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펜-1-온
2-(1H-1-이미다졸릴)-3,3-디(메틸설파닐)-1-(4-니트로페닐)-2-프로펜-1-온 3.35g(10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ml 내에 용해시킨 후, p-클로로벤질아민 1.42g(1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ml 내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0분간 적하하였다. 적하가 끝나면 환류시켰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96g(59%)의 노란색 고체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니트로페닐)-3-(p-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펜-1-온을 얻었다.
1H NMR (200MHz) 12.75 (br.t, 1H), 8.03 (m, 2H), 7.41-7.22 (m, 7H), 7.02 (m, 1H), 6.87 (m, 1H), 4.83 (d,J= 5.7 Hz, 2H), 1.93 (s, 3H)
[참고예 3]
2-(1
H
-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2-(1H-1-이미다졸릴)-3,3-디(메틸설파닐)-1-(2,4-디클로로페닐)-2-프로펜-1-온 3.59g(10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ml 내에 용해시킨 후, n-프로필아민 0.59g(1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ml 내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0분간 적하하였다. 적하가 끝나면 환류시켰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04g(55%)의 노란색 오일 2-(1H-1-이미다졸릴)-3-메칠설파닐-1-(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을 얻었다.
1HNMR (200MHz) 7.31 (m, 1H), 7.24 (m, 1H), 7.03 (m, 1H), 6.92-6.78 (m, 3H), 3.58 (m, 2H), 1.92 (s, 3H), 1.78 (m, 2H), 1.07 (t,J= 7.4 Hz, 3H)
[참고예 4]
2-(1
H
-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3-(p-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펜-1-온
2-(1H-1-이미다졸릴)-3,3-디(메틸설파닐)-1-(3-트리플루오르메틸페닐)-2-프로펜-1-온 3.36g(10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ml 내에 용해시킨 후, p-클로로벤질아민 1.42g(1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ml 내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0분간 적하하였다. 적하가 끝나면 환류시켰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58g(57%)의 노란색 고체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3-트리플루오르메칠페닐)-3-(p-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펜-1-온을 얻었다.
1H NMR (200MHz) 7.50-7.11 (m, 9H), 7.00 (m, 1H), 6.86 (m, 1H), 4.78 (d,J= 5.9 Hz, 2H), 1.89 (s, 3H)
[참고예 5]
2-(1
H
-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2,4-디플루오로페닐)-3-(2-메톡시펜에틸아미노)-2-프로펜-1-온
2-(1H-1-이미다졸릴)-3,3-디(메틸설파닐)-1-(2,4-디플루오로페닐)-2-프로펜-1-온 3.26g(10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ml 내에 용해시킨 후, 2-메톡시펜에틸아민 1.51g(1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ml 내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0분간 적하하였다. 적하가 끝난 후, 환류시켰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19g(51%)의 노란색 오일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2,4-디플루오로페닐)-3-(2-메톡시펜에틸아미노)-2-프로펜-1-온을 얻었다.
1H NMR (200MHz) 7.20-7.12(m, 3H), 6.97-6.77(m, 4H), 6.63-6.57(m, 3H), 3.77(m, 5H), 2.96(t,J= 6.9 Hz, 2H), 1.77(s, 3H)
[참고예 6]
2-(1
H
-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플루오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2-(1H-1-이미다졸릴)-3,3-디(메틸설파닐)-1-(4-플루오로페닐)-2-프로펜-1-온 3.08g(10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ml 내에 용해시킨 후, n-프로필아민 0.59g(1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ml 내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0분간 적하하였다. 적하가 끝난 후, 환류시켰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08g(65%)의 노란색 오일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플루오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을 얻었다.
1H NMR (200MHz) 7.30-6.60(m, 7H), 3.61(m, 2H), 1.94(s, 3H), 1.78(m, 2H), 1.08(t,J= 7.3 Hz, 3H)
[참고예 7]
2-(1
H
-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메톡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2-(1H-1-이미다졸릴)-3,3-디(메틸설파닐)-1-(4-메톡시페닐)-2-프로펜-1-온 3.20g(10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ml 내에 용해시킨 후, n-프로필아민 0.59g(10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5ml 내에 용해시켜 상온에서 30분간적하하였다. 적하가 끝난 후, 환류시켰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1:1)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46g(44%)의 노란색 오일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메톡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을 얻었다.
1H NMR (200MHz) 7.29(m, 2H), 7.04(m, 2H), 6.84(m, 1H), 6.67(m, 2H), 3.74(m, 3H), 3.56(m, 2H), 1.98(s, 3H), 1.74(m, 2H), 1.05(m, 3H)
[실시예 1]
4-(1
H
-1-이미다졸릴)-1-(4-메톡시페닐)-3-(4-페닐페닐)-5-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1)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페닐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0.38g (1mmol), 4-메톡시페닐히드라진염산염 0.21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30g(67%)의 노란색 고체(화합물 1)를 얻었다.
화합물 1:1H NMR (200MHz) δ7.68 (s, 1H), 7.61-7.27 (m, 12H), 7.09 (m, 3H), 3.90 (s, 3H), 3.57 (br.t, 1H), 2.65 (m, 2H), 1.38 (m, 2H), 0.76 (m, 3H)
[실시예 2]
4-(1
H
-1-이미다졸릴)-1-(2,5-디메틸페닐)-5-(4-니트로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1
H
-피라졸(화합물 7)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니트로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펜-1-온 0.43g (1mmol), 2,5-디메틸페닐히드라진염산염 0.21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26g(52%)의 노란색 고체(화합물 7)를 얻었다.
화합물 7:1H NMR (200MHz) δ7.99 (m, 2H), 7.46 (s, 1H), 7.28 (s, 4H), 7.16-6.98 (m, 7H), 4.44 (d,J= 6.1 Hz, 2H), 3.97 (br.t, 1H), 2.28 (s, 3H), 2.03 (s, 3H)
[실시예 3]
4-(1
H
-1-이미다졸릴)-1-(n-부틸)-5-(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29)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0.37g (1 mmol), n-부틸히드라진 옥살레이트 0.21g(1.2 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 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1g(27%)의 흰색 고체(화합물 29)를 얻었다.
화합물 29:1H NMR (200MHz) δ7.47 (m, 1H), 7.40 (m, 1H), 7.30-7.12 (m, 2H), 7.04 (m, 1H), 6.88 (m, 1H), 3.87-3.58 (m, 2H), 3.18 (br.t, 2H), 1.80-1.38 (m, 4H), 1.33-1.12 (m, 2H), 0.99-0.80 (m, 6H)
[실시예 4]
4-(1
H
-1-이미다졸릴)-1-(2,5-디메틸페닐)-5-(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31)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0.37g (1mmol), 2,5-디메칠페닐히드라진염산염 0.21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 (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3g(30%)의 분홍색 고체(화합물 31)를 얻었다.
화합물 31:1H NMR (200MHz) δ7.47 (s, 1H), 7.28 (m, 1H), 7.13-6.96 (m, 7H), 3.44 (m, 1H), 3.25 (m, 2H), 2.22 (s, 3H), 2.15 (s, 3H), 1.63 (m, 2H), 0.95 (t,J= 7.3 Hz, 3H)
[실시예 5]
4-(1
H
-1-이미다졸릴)-1-(4-메틸페닐)-5-(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32)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2,4-디클로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0.37g (1mmol), 4-톨릴히드라진염산염 0.19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21g(49%)의 노란색 고체(화합물 32)를 얻었다.
화합물 32:1H NMR (200MHz) δ7.44 (s, 1H), 7.34 (m, 1H), 7.24-7.05 (m, 7H), 6.91 (s, 1H), 3.25 (br.t, 2H), 2.28 (s, 3H), 1.60 (m, 2H), 0.95 (t,J= 7.4 Hz, 3H)
[실시예 6]
4-(1
H
-1-이미다졸릴)-1-메틸-5-(2,4-디클로로페닐)-3-벤질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38) 및 4-(1
H
-1-이미다졸릴)-1-메틸-3-(2,4-디클로로페닐)-5-벤질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39)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2,4-디클로로페닐)-3-벤질아미노-2-프로펜-1-온 0.42g (1mmol), 메틸히드라진 0.055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4g(34%)의 노란색 고체(화합물 38) 및 0.15g(37%)의 노란색 액체(화합물 39)를 얻었다.
화합물 38:1H NMR (200MHz) δ7.48 (m, 1H), 7.37-7.23 (m, 7H), 7.12 (m, 1H), 7.00 (s, 1H), 6.85 (s, 1H), 4.41 (m, 2H), 3.67 (br.t, 1H), 3.56 (s, 3H)
화합물 39:1H NMR (200MHz) δ7.33-7.09 (m, 9H), 6.96 (s, 1H), 6.64 (s, 1H), 4.00 (d,J= 6.3 Hz, 2H), 3.82 (br.t, 1H), 3.79 (s, 3H)
[실시예 7]
4-(1
H
-1-이미다졸릴)-1-(4-클로로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클로로벤질)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53) 및 4-(1
H
-1-이미다졸릴)-1-(4-클로로페닐)-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54)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펜-1-온 0.45g (1mmol), 4-클로로페닐히드라진염산염 0.21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08g(15%)의 상아색 고체(화합물 53) 및 0.11g(21%)의 엷은 노란색 고체(화합물 54)를 얻었다.
화합물 53:1H NMR (200MHz) δ7.23-6.87(m, 15H), 3.93(m, 1H), 3.84(d,J= 5.7 Hz, 2H)
화합물 54:1H NMR (200MHz) δ7.60-7.12(m, 14H), 6.95(s, 1H), 4.45(d,J= 5.9Hz, 2H), 3.86(br t, 1H)
[실시예 8]
4-(1
H
-1-이미다졸릴)-1-메틸-5-(2,4-디플루오로페닐)-3-(2-메톡시펜에틸)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64) 및 4-(1
H
-1-이미다졸릴)-1-메틸-3-(2,4-디플루오로페닐)-5-(2-메톡시펜에틸)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65)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2,4-디플루오로페닐)-3-(2-메톡시펜에틸)아미노-2-프로펜-1-온 0.43g (1mmol), 메틸히드라진 0.055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5g(36%)의 노란색 액체(화합물 64) 및 0.12g(30%)의 상아색 고체(화합물 65)를 얻었다.
화합물 64:1H NMR (200MHz) δ7.33-6.81(m, 10H), 3.72(br t, 1H), 3.71(s, 3H), 3.61(s, 3H), 3.47(m, 2H), 2.93(m,2H)
화합물 65:1H NMR (200MHz) δ7.42(s, 1H), 7.29-6.70(m, 9H), 3.80(s,3H), 3.66(s, 3H), 3.60(br t, 1H), 3.07(m, 2H), 3.76(m, 2H)
[실시예 9]
4-(1
H
-1-이미다졸릴)-1-(4-메틸페닐)-5-(4-플루오로페닐)-3-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70) 및4-(1
H
-1-이미다졸릴)-1-(4-메틸페닐)-3-(4-플루오로페닐)-5-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71)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플루오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0.32g (1mmol), 4-톨릴히드라진염산염 0.19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05g(14%)의 노란색 고체(화합물 70) 및 0.09g(24%)의 상아색 고체(화합물 71)를 얻었다.
화합물 70:1H NMR (200MHz) δ7.62(s, 1H), 7.50-7.25(m, 7H), 7.07-6.90(m, 3H), 3.63(br t, 1H), 2.62(m, 2H), 2.44(s, 3H), 1.35(m, 2H), 0.73(m, 3H)
화합물 71:1H NMR (200MHz) δ7.47(s, 1H), 7.26-7.10(m, 6H), 6.94(m, 4H), 3.41(br t, 1H), 3.24(m, 2H), 2.33(s, 3H), 1.63(m, 2H), 0.95(t,J= 7.4 Hz, 3H)
[실시예 10]
4-(1
H
-1-이미다졸릴)-1-(4-메톡시페닐)-3-(4-메톡시페닐)-5-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76)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메톡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0.33g (1mmol), 4-메톡시페닐히드라진염산염 0.21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0g(24%)의 갈색 고체(화합물 76)를 얻었다.
화합물 76:1H NMR (200MHz) δ7.61(m, 1H), 7.50(m, 2H), 7.24(m, 3H), 7.04(m, 3H), 6.77(m, 2H), 3.85(s, 3H), 3.75(s, 3H), 3.57(br t, 1H), 2.60(m, 2H), 1.32(m, 2H), 0.71(t,J= 7.3 Hz, 3H)
[실시예 11]
4-(1
H
-1-이미다졸릴)-1-에틸-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4-클로로벤질)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99) 및 4-(1
H
-1-이미다졸릴)-1-에틸-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100)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3-(4-클로로벤질)아미노-2-프로펜-1-온 0.45g (1mmol), 에틸히드라진옥살레이트 0.18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2g(27%)의 상아색 고체(화합물 99) 및 0.08g(17%)의 흰색 고체(화합물 100)를 얻었다.
화합물 99:1H NMR (200MHz) δ7.64(s, 1H), 7.46(d,J= 7.5 Hz, 1H), 7.34-7.02(m, 8H), 6.83(m, 1H), 4.12(q,J= 7.3 Hz, 2H), 3.95(m, 3H), 1.49(t,J= 7.3 Hz, 3H)
화합물 100:1H NMR (200MHz) δ7.65(d,J= 7.3 Hz, 1H), 7.50(m, 2H), 7.37-7.22(m, 6H), 7.05(s, 1H), 6.87(s, 1H), 4.38(s, 2H), 3.95(q,J= 7.1 Hz, 2H), 3.77(br s, 1H), 1.38(t,J= 7.1 Hz, 3H)
[실시예 12]
4-(1
H
-1-이미다졸릴)-1-에틸-3-(4-플루오로페닐)-5-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113) 및 4-(1
H
-1-이미다졸릴)-1-에틸-5-(4-플루오로페닐)-3-프로필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114)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플루오로페닐)-3-프로필아미노-2-프로펜-1-온 0.32g (1mmol), 에틸히드라진옥살레이트 0.18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3g(41%)의 상아색 고체(화합물 113) 및 0.04g(12%)의 흰색 고체(화합물 114)를 얻었다.
화합물 113:1H NMR (200MHz) δ7.50(s, 1H), 7.21(m, 3H), 6.91(m, 3H), 4.05(q,J= 7.3 Hz, 2H), 3.32(br t, 1H), 2.73(m, 2H), 1.43(m, 5H), 0.80(t,J= 7.4 Hz, 3H)
화합물 114:1H NMR (200MHz) δ7.39(m, 1H), 7.20-7.01(m, 5H), 6.87(m, 1H), 3.94(q,J= 7.1 Hz, 2H), 3.30(br t, 1H), 3.18(m, 2H), 1.59(m, 2H), 1.35(t,J= 7.1 Hz, 3H), 0.94(t,J= 7.4 Hz, 3H)
[실시예 13]
4-(1
H
-1-이미다졸릴)-1-메틸-3-(4-플루오로페닐)-5-(2-메톡시펜에틸)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134) 4-(1
H
-1-이미다졸릴)-1-메틸-5-(4-플루오로페닐)-3-(2-메톡시펜에틸)아미노-1
H
-5-피라졸(화합물 135)
2-(1H-1-이미다졸릴)-3-메틸설파닐-1-(4-플루오로페닐)-3-(2-메톡시펜에틸)아미노-2-프로펜-1-온 0.41g (1mmol), 메틸히드라진 0.055g(1.2mmol), 트리에틸아민 0.12g(1.2mmol) 및 에탄올 30ml를 반응기에 넣고 환류하였다.
환류 반응물을 박막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5:3)로 반응의 완결을 확인한 뒤, 반응물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0.14g(35%)의 노란색 고체(화합물 134) 및 0.11g(28%)의 노란색 고체(화합물 135)를 얻었다.
화합물 134:1H NMR (200MHz) δ7.49(s, 1H), 7.20(m, 4H), 7.03-6.84(m, 6H), 3.80(s, 3H), 3.65(s, 3H), 3.56(m, 1H), 3.06(m, 2H), 2.76(m, 2H)
화합물 135:1H NMR (200MHz) δ7.31(s, 1H), 7.22-7.00(m, 7H), 6.90(m, 3H), 3.72(m, 1H), 3.70(s, 3H), 3.66(s, 3H), 3.45(m, 2H), 2.91(m, 2H)
본 발명의 화학식 1a의 신규한 1-페닐 4-아졸릴 피라졸 유도체에 대하여 하기 시험 방법에 의하여 살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살균효과 시험
식물 병원균에 대한 예방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 화합물(상기 표 1에 나타낸 화합물) 10mg을 10ml의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트윈 20 250ppm 수용액 90ml를 첨가하여 그 농도가 100ppm이 되게 조정한 후, 이를 일정 크기의 기주 식물에 50ml씩 엽면 살포하였다. 약제가 살포된 식물을 실내온도에서 24시간동안 방치하여 용매 및 물을 휘산시켰다. 이와 같이 살균제 조성물로 처리된 식물체(처리구)와 처리되지 않은 식물체(대조구)에, 각기 하기 시험예와 같이 특정 식물 병원균을 접종하여 동일한 조건(습도 및 온도)하에서 동일한 기간동안 방치한 후, 각 잎의 병반면적율(측정된 병반면적이 잎집면적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한 이병면적율 대비표로 구함)을 구해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방제가(Control Value, %)를 산출하였다. 방제가가 높을수록 살균효과는 우수한 것이다.
[수학식 1]
방제가(%) = (1-(처리구의 병반면적율/대조구의 병반면적율))×100
활성지수 +++ : 방제가 81 내지 100%
++ : 방제가 61 내지 80%
+ : 방제가 41 내지 60%
- : 방제가 40% 이하
[시험예 1]
벼 도열병에 대한 살균효과
병원균(Pyricularia oryzae)의 균주를 쌀겨 한천배지(왕경(Rice Polish) 20g, 덱스트로즈 10g, 한천 15g, 증류수 1ℓ)에 접종하여 26℃ 배양기에서 2주간 배양하였다. 병원균이 자란 배지의 표면을 고무쓸개로 긁어 기중균사를 제거하고 형광등이 켜진 25 내지 28℃의 선반에서 48시간동안 포자를 형성시켰다.
병균 접종은 형성된 분생포자를 살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일정 농도의 포자현탁액(106개/㎖)을 만든 후, 벼 도열병에 감수성인 낙동벼(3-4엽기)에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분무하였다.
병균 접종된 벼를 습실상에 암상태로 24시간 방치하고, 상대습도 90% 이상 및 26±2℃인 항온항습실에서 5일동안 발병을 유도하여 잎의 병반면적율을 구했다. 이때 3-4엽기 벼의 최상위엽 바로 밑의 완전 전개된 잎에 형성된 병반면적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벼잎집무늬 마름병에 대한 살균효과
적당한 양의 밀기울을 1ℓ 배양병에 넣고 멸균하였다. 감자 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에서 3일간 자란 벼 잎집무늬 마름병원균(Rhizoctonia solani)의 한천 조각을 상기 멸균된 밀기울에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이어서, 배양된 균사덩어리를 적당히 잘게 마쇄하여 2-3엽기의 낙동벼가 자란 포트(5cm)에 고르게 접종하고 28±1℃ 및 상대습도 80% 이상인 항온항습실에서 5일동안 발병을 유도하여 2-3엽기 유묘의 잎의 병반면적율을 구했다.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오이 회색곰팡이 병에 대한 살균효과
토마토로부터 분리한 오이 회색곰팡이 병원균(Botrytis cinerea)을 감자 한천배지에 접종하고 25℃의 배양기에 플레이트를 놓아 광암 상태하에서 15일간 배양하여 포자를 형성 시켰다. 배지에 형성된 포자에 플레이트당 10㎖의 증류수를 넣은 후 붓으로 포자를 긁어 이를 가아제로 걸러서 포자를 수확하고 포자 농도가 106개/㎖가 되게 만들어 1엽기 오이에 분무접종하였다. 이를 20℃ 습실상에서 3일간 발병을 유도하여 본엽 1엽의 병반면적율을 구했다.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
토마토역병에 대한 살균효과
토마토의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을 V-8 쥬스 한천배지(V-8 juice 200㎖, CaCO34.5g, 한천 15g, 증류수 800㎖)에 올려놓고 20℃에서 16시간 광처리 및 8시간 암처리하여 14일동안 배양한 후 포자를 수확하였다. 이때, 플레이트에 살균 증류수를 넣고 흔들어서 유주자낭을 균총으로부터 떼어낸 후 4겹 헝겊조각을 사용하여 유주자낭을 걸러냈다. 걸러낸 유주자낭의 농도를 살균 증류수를 사용하여 105개/㎖로 조정하고 이 접종원을 토마토 유묘에 분무접종하여 20℃ 습실상에서 1일 동안 습실 처리한 후 온도 20℃ 및 상대습도 80% 이상의 항온항습실로 옮겨 4일 동안 발병시킨 후 토마토 1엽과 2엽의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5]
밀 붉은녹병에 대한 살균효과
밀의 붉은 녹병원균(Puccinia recondita)은 실험실에서 식물체에 직접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계대배양 및 약효조사를 위해서 일회용 포트(직경: 6.5cm)에 15립씩의 밀종자(은파)를 파종하여 온실에서 7일간 재배한 1엽기의 밀에 포자를 털어 접종하였다. 접종한 1엽기의 밀을 20℃의 습실상에서 1일간 습실처리한 후에 상대습도 70% 및 20℃의 항온항습실로 옮겨 10일동안 발병을 유도한후 잎의 병반면적율을 구했다.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6]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살균효과
보리의 흰가루병원균(Erysiphe graminis f.sp.hordei)은 실험실에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계대배양 및 약효조사를 위해서 일회용 포트(직경: 6.5cm)에 15립씩의 보리종자(동보리 1호)를 파종하여, 온실(25±5oC)에서 7일간 재배한 1엽기의 보리에 흰가루병 포자를 털어 접종하고 상대습도 50% 및 22 내지 24℃의 항온항습실에 옮겨 7일간 발병을 유도한 후 잎의 병반면적율을 구했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6에서 측정한 처리구 및 대조구 잎의 병반면적율을 대입하여 방제가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활성지수로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번호 |
농도 |
벼도열병 |
벼잎집무늬마름병 |
오이회색곰팡이병 |
토마토역병 |
밀붉은녹병 |
보리흰가루병 |
29 |
100ppm |
- |
- |
- |
- |
- |
+++ |
31 |
" |
+++ |
- |
- |
- |
- |
- |
32 |
" |
++ |
- |
- |
- |
- |
- |
35 |
" |
++ |
- |
- |
- |
- |
- |
38 |
" |
++ |
- |
+ |
- |
- |
+++ |
39 |
" |
+++ |
- |
- |
- |
- |
+++ |
40 |
" |
+++ |
- |
- |
- |
- |
+++ |
53 |
" |
+++ |
- |
- |
- |
- |
- |
55 |
" |
+++ |
- |
- |
- |
- |
- |
59 |
" |
++ |
- |
- |
- |
- |
- |
64 |
" |
- |
- |
- |
- |
- |
+++ |
71 |
" |
++ |
- |
- |
- |
- |
- |
72 |
" |
++ |
- |
- |
- |
- |
- |
76 |
" |
++ |
- |
- |
- |
- |
- |
99 |
" |
++ |
- |
- |
- |
- |
- |
103 |
" |
- |
- |
- |
- |
- |
++ |
113 |
" |
- |
- |
- |
- |
- |
++ |
122 |
" |
- |
- |
- |
- |
++ |
++ |
130 |
" |
- |
- |
- |
- |
- |
++ |
132 |
" |
- |
- |
- |
- |
++ |
+++ |
135 |
" |
+++ |
- |
- |
- |
- |
- |
136 |
" |
+++ |
- |
- |
- |
- |
- |
+++ : 방제가 81 내지 100%++ : 방제가 61 내지 80%+ : 방제가 41 내지 60%- : 방제가 40% 이하 |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은 특히 벼도열병, 보리흰가루병에 대하여 살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