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947B1 - 수중퇴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하폐수의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수중퇴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하폐수의 정화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77947B1 KR100377947B1 KR10-2000-0068631A KR20000068631A KR100377947B1 KR 100377947 B1 KR100377947 B1 KR 100377947B1 KR 20000068631 A KR20000068631 A KR 20000068631A KR 100377947 B1 KR100377947 B1 KR 1003779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sludge
- anaerobic
- composting
- under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50—Treatments combining two or more different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s, e.g. anaerobic and aerobic treatment or vermicomposting and aerobic treat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9)
- 하폐수가 직접 유입되고, 유입된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침강시키며, 상징액을 혐기조로 송출시키는 최초침전조; 최초침전조와 연통되어, 최초침전조로부터의 유출수가 유입되고, 최종침전조로부터 송출된 슬러지가 첨가되며, 교반기가 구비된 혐기조; 혐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혐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호기조; 호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호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교반기가 구비된 무산소조; 무산소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재포기조; 재포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재포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재포기조의 유출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강시킨 후, 상징액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최종침전조; 및, 최초침전조, 최종침전조 및 혐기조와 연통하고, 슬러지방출라인, 교반기 및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수중퇴비화조를 포함하는 수중퇴비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혐기조는 유입수의 체류시간이 1 내지 2시간이고, 유입수의 용존산소의 농도를 0.01 내지 0.2㎎/L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중퇴비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호기조는 유입수의 체류시간이 3 내지 4시간이고, 유입수의 용존산소의 농도를 2 내지 4㎎/L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중퇴비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무산소조는 유입수의 체류시간이 3 내지 4시간이고, 유입수의 용존산소의 농도를 0.01 내지 0.5㎎/L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중퇴비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재포기조는 유입수의 체류시간이 10 내지 20분이고, 유입수의 용존산소의 농도를 3 내지 4㎎/L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수중퇴비화 장치.
- 하폐수가 직접 유입되고, 유입된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침강시키며,상징액을 혐기조로 송출시키는 최초침전조; 최초침전조와 연통되어, 최초침전조로부터의 유출수가 유입되고, 최종침전조로부터 송출된 슬러지가 첨가되며, 교반기가 구비된 혐기조; 혐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혐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호기조; 호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호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교반기가 구비된 무산소조; 무산소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재포기조; 재포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재포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재포기조의 유출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강시킨 후, 상징액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최종침전조; 및, 저면부의 중앙에 공기공급기가 구비되고, 공기공급기의 상단에 교반기가 구비되며, 일측방에는 최초침전조와 연통된 침강물 송출라인 및 슬러지 송출라인에서 분지된 슬러지 수거라인이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측방의 상단에는 배플이 구비되어 있으며, 배플이 설치된 부분에는 혐기조와 연통된 수중퇴비화조 상징액 송출라인이 구비되어 있고, 바닥에는 퇴비화된 슬러지를 수중퇴비화 장치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슬러지 방출라인이 구비된 1단 수중퇴비화조를 포함하는 수중퇴비화 장치.
- 하폐수가 직접 유입되고, 유입된 하폐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침강시키며, 상징액을 혐기조로 송출시키는 최초침전조; 최초침전조와 연통되어, 최초침전조로부터의 유출수가 유입되고, 최종침전조로부터 송출된 슬러지가 첨가되며, 교반기가구비된 혐기조; 혐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혐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호기조; 호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호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교반기가 구비된 무산소조; 무산소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무산소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재포기조; 재포기조의 측방에 인접하여, 재포기조의 유출수가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되며, 재포기조의 유출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강시킨 후, 상징액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최종침전조; 및, 저면부의 중앙에 공기공급기가 구비되고, 공기공급기의 상단에 교반기가 구비되며, 일측방에는 최초침전조와 연통된 침강물 송출라인 및 슬러지 송출라인에서 분지된 슬러지 수거라인이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측방은 간헐포기조의 유출액이 인접한 고액분리조에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간헐포기조, 및 간헐포기조와 인접한 일측방은 간헐포기조의 유출액이 자연유하식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방의 상단에는 혐기조와 연통된 수중퇴비화조 상징액 송출라인이 구비되어 있으며, 바닥에는 퇴비화된 슬러지를 수중퇴비화 장치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슬러지 방출라인이 구비된 고액분리조로 구성된 2단 수중퇴비화조를 포함하는 수중퇴비화 장치.
- (ⅰ) 하폐수를 최초침전조로 유입하여 부유물질을 침강시킨 후, 침강물은 수중퇴비화조로 송출시키고, 상징액은 혐기조로 송출시키는 단계;(ⅱ) 혐기조에 전기 최초침전조의 상징액, 수중퇴비화조의 슬러지 상징액 및최종침전조의 침강된 슬러지를 유입하여 혐기조내의 미생물의 농도를 2,500 내지 4,000㎎/L로 유지시키고, 0.01 내지 0.2mg/L로 용존산소의 농도를 유지한 상태로 교반하며, 유입된 양만큼 호기조로 유출시키는 단계;(ⅲ) 호기조의 유입수에 함유된 용존산소의 농도가 2 내지 4mg/L를 유지하도록 공기를 공급하며, 유입된 양만큼 무산소조로 유출시키는 단계;(ⅳ) 무산소조의 유입수에 함유된 용존산소의 농도를 0.01 내지 0.5mg/L를 유지한 상태로 교반하며, 유입된 양만큼 재포기조로 유출시키는 단계;(ⅴ) 재포기조의 유입수에 함유된 용존산소의 농도를 3 내지 4mg/L로 유지하도록 공기를 공급하며, 유입된 양만큼 최종침전조로 유출시키는 단계;(ⅵ) 최종침전조에 유입된 송출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강시킨 후, 침강된 슬러지는 혐기조로 반송시키고, 이 중 과잉 슬러지는 수중최비화로로 송출시키며, 상징액은 수중퇴비화 장치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단계; 및,(ⅶ) 수중퇴비화조에 송출된 과잉 슬러지는 간헐포기식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조건하에, 장기간동안 교반되어 퇴비화되고, 퇴비화된 슬러지의 상징액은 혐기조로 송출되며, 상징액이 제거된 퇴비화된 슬러지는 수중퇴비화 장치의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수중퇴비화 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정화방법.
- 제 8항에 있어서,(ⅶ)단계의 간헐포기식 공기공급방법은 용존산소의 농도가 2 내지4㎎/L인 포기상태와 0.01 내지 0.5㎎/L인 비포기상태를 반복하도록 공기를 공급하고, 비포기상태와 포기상태의 시간비율이 1:1 내지 1:2인것을 특징으로 하는제 1항의 수중퇴비화 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의 정화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8631A KR100377947B1 (ko) | 2000-11-17 | 2000-11-17 | 수중퇴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하폐수의 정화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68631A KR100377947B1 (ko) | 2000-11-17 | 2000-11-17 | 수중퇴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하폐수의 정화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8409A KR20020038409A (ko) | 2002-05-23 |
KR100377947B1 true KR100377947B1 (ko) | 2003-03-29 |
Family
ID=1969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686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7947B1 (ko) | 2000-11-17 | 2000-11-17 | 수중퇴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하폐수의 정화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7794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7801B1 (ko) * | 2006-12-08 | 2008-02-2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축산 농가 폐수의 부숙속도를 높이고 악취 저감을 위한액비반응조 |
CN103641538B (zh) * | 2013-12-03 | 2015-12-30 | 福建师范大学闽南科技学院 | 一种水热滚筒高温堆肥反应器 |
CN104743747B (zh) * | 2015-03-18 | 2016-06-29 | 常州大学 | 养猪场废弃物处理装置与方法 |
CN116808898A (zh) * | 2021-11-24 | 2023-09-29 | 浙江海元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有机废水处理的厌氧颗粒污泥移动投加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4799A (ja) * | 1983-08-04 | 1985-02-22 | Kurita Water Ind Ltd | し尿系汚水の処理装置 |
JPS62244494A (ja) * | 1986-04-17 | 1987-10-24 | Kubota Ltd | し尿処理方法 |
KR100246815B1 (ko) * | 1998-03-19 | 2000-03-15 | 최건호 | 하수의 질소,인 제거장치 |
-
2000
- 2000-11-17 KR KR10-2000-0068631A patent/KR10037794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34799A (ja) * | 1983-08-04 | 1985-02-22 | Kurita Water Ind Ltd | し尿系汚水の処理装置 |
JPS62244494A (ja) * | 1986-04-17 | 1987-10-24 | Kubota Ltd | し尿処理方法 |
KR100246815B1 (ko) * | 1998-03-19 | 2000-03-15 | 최건호 | 하수의 질소,인 제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38409A (ko) | 2002-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01256B2 (ja) | サージ無酸素性混合連続回分反応システム | |
US4867883A (en) | High-rate biological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activated sludge recycle | |
US5514277A (en) | Treatment of wastewater and sludges | |
KR100906395B1 (ko) | 축산폐수처리를 위한 고효율 축산 폐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CA2160373A1 (en) | Treatment of wastewater and sludges | |
CN114291964B (zh) | 一种脱氮回收磷的污水处理系统及其方法 | |
CN107973406A (zh) | 一种实现污水中有机物和氨氮分离的装置和方法 | |
WO2016122426A1 (en) | Biofilm nitrification - contact denitrification system and method | |
CN116813143A (zh) | 一种生产工艺废水处理系统及其应用 | |
KR100489728B1 (ko) | 복수조식의 연속회분식 하·폐수처리장치 및 그 운영방법 | |
CN217351082U (zh) | 一种废油漆桶清洗废水处理系统 | |
WO1988008410A1 (en) | High-rate biological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activated sludge recycle | |
KR100876104B1 (ko) | 축산 분뇨 처리장치 및 방법 | |
EP2049443B1 (e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clarification and endogenous post denitrification | |
KR100377947B1 (ko) | 수중퇴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하폐수의 정화방법 | |
JP5743448B2 (ja) | 汚水処理装置 | |
KR20010094836A (ko) | 연속회분식 혐기성공정과 고도처리공정을 결합한 고효율축산폐수 처리방법 | |
CN107200431A (zh) | 一种养猪废水深度处理方法 | |
KR100814743B1 (ko) | 소규모 하·폐수처리를 위한 하·폐수처리장치 | |
RU2225368C1 (ru) | Способ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станция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KR20010045253A (ko) | 하수 고도처리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 |
KR100542458B1 (ko) | 유기성 하.폐수의 질소.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그 운전방법 | |
CZ284297A3 (cs) | Způsob biologického čištění odpadních vod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 |
JP2001212593A (ja) | 上向流嫌気性処理装置における後処理方法 | |
KR0129831B1 (ko) | 탈인, 탈질을 위한 하수처리공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2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