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7479B1 - 파이프 곡형기 - Google Patents

파이프 곡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479B1
KR100377479B1 KR10-2000-0013717A KR20000013717A KR100377479B1 KR 100377479 B1 KR100377479 B1 KR 100377479B1 KR 20000013717 A KR20000013717 A KR 20000013717A KR 100377479 B1 KR100377479 B1 KR 100377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ed
bending
expansion tube
expan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731A (ko
Inventor
김창학
Original Assignee
임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진 filed Critical 임경진
Priority to KR10-2000-001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479B1/ko
Priority to KR2020000007728U priority patent/KR200195443Y1/ko
Publication of KR2001009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4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9/00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 B21D9/01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the mandrel being flexible and engaging the entire tub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9/00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 B21D9/16Auxiliary equipment, e.g. machines for filling tubes with sand
    • B21D9/18Auxiliary equipment, e.g. machines for filling tubes with sand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곡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압에 의해 신축,팽창되는 팽창튜브를 형성하여, 이 튜브를 관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파이프의 절곡작업을 행하므로서 절곡부위의 주름현상과 요철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기타 절곡연결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배관작업의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파이프 곡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의 관통로를 통해 상호연통구조를 갖게 되는 유입구와 압력계와 안전밸브가 손잡이의 외둘레로 결합형성되고 이 손잡이의 일측으로는 파이프수용홈이 외둘레로 감싸여지며 상기 관통로와 연통된 암나사홈을 갖는 배출구가 돌출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암나사홈에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되며 관통공인 공급공을 갖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가 밴드결합체에 의해 밀폐구조로서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외부공기압을 공급받아 파이프내에서 신축팽창하는 팽창튜브와, 밴드고정구에 의해 상기 팽창튜브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밀폐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곡형기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파이프 곡형기{PIPE FOLD MACHINE}
본 발명은 파이프 곡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압에 의해 신축,팽창되는 팽창튜브를 형성하여, 이 튜브를 관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파이프의 절곡작업을 행하므로서 절곡부위의 주름현상과 요철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기타 절곡연결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배관작업의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파이프 곡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VC(입상관) 파이프의 배관작업시에는 절곡되는 부위가 불가결하게 발생함에 따라 절곡부위의 각도에 맞게 파이프를 절곡해야하는바,
이와같은 파이프의 절곡작업은 파이프자체를 절곡할 경우 절곡부위로 발생하는 주름현상과 요철현상을 고려해야하므로 종래 절곡작업에서는 모래를 절곡해야할 관으로 충진한 상태에서 밀폐시킨 후 절곡할 부위를 가열하여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는 작업형태를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절곡작업은 절곡할 관으로 모래를 충진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갖는 것이며, 모래가 갖는 자체 입자크기에 의해 절곡관에 요철현상과 주름현상을 억제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파이프 절곡작업의 또 다른 형태로는 엘보우등의 절곡연결체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렇게 절곡연결체를 사용하게 되면 연결부위에 맞게 파이프를 절단해야하며 이로인해 폐기되는 부분이 발생되므로 배관작업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파생되며 관내부에 층면이 발생되므로 이송되는 유류의 진행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파이프의 절곡작업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압에 의해 신축,팽창되는 팽창튜브를 형성하여, 이 튜브를 관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파이프의 절곡작업을 행하므로서 절곡부위의 주름현상과 요철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기타 절곡연결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배관작업의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파이프 곡형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의 관통로를 통해 상호연통구조를 갖게 되는 유입구와 압력계와 안전밸브가 손잡이의 외둘레로 결합형성되고 이 손잡이의 일측으로는 파이프수용홈이 외둘레로 감싸여지며 상기 관통로와 연통된 암나사홈을 갖는 배출구가 돌출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암나사홈에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되며 관통공인 공급공을 갖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가 밴드결합체에 의해 밀폐구조로서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외부공기압을 공급받아 파이프내에서 신축팽창하는 팽창튜브와, 밴드고정구에 의해 상기 팽창튜브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밀폐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곡형기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곡형기 2 : 본체 3 : 팽창튜브
4 : 결합구 5 : 밀폐구 21 : 손잡이
22 : 유입구 23 : 압력계 24 : 안전밸브
25 : 배출구 26 : 수용홈 41 : 공급공
42 : 수나사 43, 52 : 밴드결합체 44, 51 : 끼움홈
211 : 관통로 251 : 암나사홈 431, 521 : 결합돌기
H : 공기 유입호스 P : 파이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의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손잡이(21)의 외둘레로 유입구(22)와 압력계(23)와 안전밸브(24)가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배출구(25)가 돌출구성되는 본체(2)와, 결합(4)구와 밀폐구(5)가 일단과 타단으로 결합되는 팽창튜브(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봉상체를 취하는 손잡이(21)의 외둘레로 유입구(22)와 압력계(23)와 안전밸브(24)가 90도각도로 이격결합되며, 이러한 손잡이(21)의 일측으로는 수용홈(26)에 감싸여지는 배출구(25)가 손잡이(21)에 일체로서 연장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손잡이(21)는 그 내부로 도 3에서와 같이 외둘레와 연통되는 관통로(211)를 삼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입구(22)와 압력계(23)와 안전밸브(24)가 연통되는 구조로서 결합되며 이와같이 결합되는 상기 안전밸브(24)는 관통로(211)내부로 발생되는 과다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으로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막판의 개폐작용에 의해 과다압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로(211)에 있어, 유입구(22)가 결합되는 관통로(211)의 끝단부로는 암나사을 형성하여, 도 1에서와 같이 공기압 주입호스(H)가 나사결합되는 유입구(22)를 나사결합하게 되며, 압력계(23)와 안전밸브(24)가 관통로(211)와 결합되는 부위로는 밀폐부재(패킹 또는 시일 등)에 의해 밀폐력을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21)의 일측으로 연장구성되는 배출구(25)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턱구조를 취하는 수용홈(26)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형성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배출구(25)는 봉상체를 취하되 종단부로 형성되는 암나사홈(251)이 상기 관통로(211)와 손잡이(21)의 내부에서 연통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암나사홈(251)의 직경은 후술하는 결합구(4)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한 수용홈(26)으로 단턱을 형성함은 직경의 대,소차이를 갖는 파이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적어도 3단의 턱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구(4)는 도 1에서와 같이 공급공(41)이 관통형성되고, 중앙 일측 외둘레로는 전술한 암나사홈(251)에 나삽되는 수나사(42)가 형성되며, 중앙 타측 외둘레로는 후술하는 팽창튜브(3)와의 결합매개체인 밴드결합체(43)가 끼움되는 끼움홈(4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44)은 ""와 같은형상을 취하는 홈이며, 상기 밴드결합체(43)는 고무재를 링형태로 성형하되, 그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내경으로 끼움홈(44)에 치합되는 결합돌기(4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폐구(5)는 전술한 결합구(4)와 같은 구조의 끼움홈(51)이 외둘레 중앙부로 형성되며 밴드결합체(52)에 의해 후술할 팽창튜브(3)의 타측으로 밀폐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는 별도의 관통공 구성없이 마개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결합구(4)와 밀폐구(5)가 결합되는 팽창튜브(3)는 통상 6미터파이프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튜브로서 탄성을 갖는 고무재가 그 구성재질로 적용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팽창튜브(3)는 외부 공기압의 유입시 자체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팽창할 수 있도록 적어도 절곡할 파이프(P)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며, 절곡할 파이프(P)의 직경에 따라 그 직경을 달리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1)의 결합상태와 이에 따른 각 구성요소간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상기 팽창튜브(3)의 일단과 타단으로 상기 결합구(4)와 밀폐구(5)를 끼움한 상태에서 밴드결합체(43,52)에 의해 밀폐고정하되, 이는 각 밴드결합체(43,52)의 결합돌기(431,521)를 끼움홈(44,51)에 치합결합하므로서 이루어지며, 이와같이 팽창튜브(3)에 결합된 결합구(4)의 수나사(42)를 본체(2) 배출구(25)의 암나사홈(251)에 나삽하므로서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배출구(25)를 통한 결합구(4)의 나사결합에 의해 본체(2)와 결합된 팽창튜브(3)는 결합구(4)의 공급공(41)을 통해 본체(2)의 관통로(211)와 연통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파이프 곡형기(1)는 절곡하고자 하는 파이프(P)에 팽창튜브(3)를 삽입하되, 본체(2)의 배출구(25)가 파이프(P)내경으로 삽입되도록 파이프(P)의 일단을 수용홈(26)에 끼움결합하고, 외부 공기압유입호스(H)를 유입구(22)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유입구(22)로 공급된 외부 공기압(외부 공기압은 0.7-1.0 kgf/cm2이 바람직 함.)은 연통구성되는 배출구(25)와 결합구(4)의 공급공(41)을 통해 팽창튜브(3)로 유입되어 팽창튜브(3)를 팽창시키게 되고,
이렇게 외부 공기압에 의해 팽창된 팽창튜브(3)가 파이프(P)의 내경에 밀착되면, 절곡코자하는 부위를 가열도구(토치램프 등)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연화시킨 후 원하는 각도로서 절곡하게 된다.
또한, 절곡작업을 마친 후에는 공기압 주입호스(H)를 유입구(22)에서 탈착하거나 안전밸브(24)의 막판에 연결된 손잡이를 잡아당기므로서 팽창튜브(3)로 충진된 작용압을 외부배출하여 팽창튜브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므로서 용이하게 파이프(P) 내경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와같이 절곡된 파이프(P)는 내경에서 팽창튜브(3)가 밀착된 상태에서 그 절곡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피부분의 주름현상과 요철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렇게 파이프(P)자체를 절곡하므로서 별도의 절곡연결체의 사용또한 배제할 수 있어 유체의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유입구(22)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공기압의 압력은 압력계(23)를 통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며, 과다압이 관통로(211)내부로 공급될 경우에는 안전밸브(24)를 통해 과다공급분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절곡작업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1)는 전술한 바와같이 파이프(P)의 직경에 따라 팽창튜브(3)의 자체직경을 변경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곡형기는 공기압에 의해 신축,팽창되는 팽창튜브를 절곡할 파이프 관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파이프의 절곡작업을 행하므로서 절곡부위의 주름현상과 요철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며 기타 절곡연결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배관작업의 원가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부의 관통로(211)를 통해 상호연통구조를 갖게 되는 유입구(22)와 압력계(23)와 안전밸브(24)가 손잡이(21)의 외둘레로 결합형성되고 이 손잡이(21)의 일측으로는 파이프수용홈(26)이 외둘레로 감싸여지며 상기 관통로(211)와 연통된 암나사홈(251)을 갖는 배출구(25)가 돌출구성되는 본체(2)와, 상기 암나사홈(251)에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42)가 형성되며 관통공인 공급공(41)을 갖는 결합구(4)와, 상기 결합구(4)가 밴드결합체(43)에 의해 밀폐구조로서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2)로부터 외부공기압을 공급받아 파이프내에서 신축팽창하는 팽창튜브(3)와, 밴드결합체(52)에 의해 상기 팽창튜브(3)의 타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밀폐구(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곡형기.
  2. 제 1항에 있어서, 배출구(25)의 외둘레로 형성되는 파이프수용홈(26)은 절곡할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직경을 달리하는 다단의 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곡형기.
KR10-2000-0013717A 2000-03-17 2000-03-17 파이프 곡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37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717A KR100377479B1 (ko) 2000-03-17 2000-03-17 파이프 곡형기
KR2020000007728U KR200195443Y1 (ko) 2000-03-17 2000-03-18 파이프곡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717A KR100377479B1 (ko) 2000-03-17 2000-03-17 파이프 곡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728U Division KR200195443Y1 (ko) 2000-03-17 2000-03-18 파이프곡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731A KR20010091731A (ko) 2001-10-23
KR100377479B1 true KR100377479B1 (ko) 2003-04-21

Family

ID=1965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7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7479B1 (ko) 2000-03-17 2000-03-17 파이프 곡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031B1 (ko) * 2022-07-06 2023-03-23 (주)더블유티엠 파이프의 극소벤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6592B (zh) * 2011-01-12 2012-09-19 哈尔滨工业大学 利用内置拉紧绳实现管端密封的管材弯曲装置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031B1 (ko) * 2022-07-06 2023-03-23 (주)더블유티엠 파이프의 극소벤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731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4578B2 (ja) 迅速連結式継手
US3062153A (en) Method of and means for pumping various kinds of matter
CA2449277A1 (en) Valve
CN105972361B (zh) 一种液用高压快速接头
CN212928842U (zh) 高密封性快接球阀
KR100377479B1 (ko) 파이프 곡형기
KR200195443Y1 (ko) 파이프곡형기
ITMI970793A1 (it) Raccordo a pressare
CN212028798U (zh) 一种双出水编织软管
CN209164851U (zh) 一种快速接头
CN216742847U (zh) 截止阀及其制冷系统
CN213177152U (zh) 一种口径可调的易拆卸管接
CN211975956U (zh) 一种外膨胀式柔性压力阀
EP0162843A1 (en) Coupling
JPH06272796A (ja) 液体分岐用ブロック
US1875330A (en) of manitowoc
CN206669323U (zh) 一种密封性强的二氧化碳气瓶充装接头
KR100515455B1 (ko) 호스 커플링 기구의 플러그
WO2015053656A1 (ru) Шаровой кран
JP2018062957A (ja) ガス栓取外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栓取外方法
CN106895258B (zh) 一种密封性强的二氧化碳气瓶充装接头
RU137590U1 (ru) Шаровой кран
CN206361324U (zh) 直接头式水锤吸收器
KR200216870Y1 (ko) 이경관이음용 볼밸브
KR101236872B1 (ko) 배관 연결구 일체형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2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