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854B1 -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랜덤액세스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랜덤액세스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73854B1 KR100373854B1 KR10-2000-0046678A KR20000046678A KR100373854B1 KR 100373854 B1 KR100373854 B1 KR 100373854B1 KR 20000046678 A KR20000046678 A KR 20000046678A KR 100373854 B1 KR100373854 B1 KR 100373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 dummy
- voltage
- bit lines
- polarization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97—Power supply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5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G11C11/225—Auxiliary circuits
- G11C11/2273—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7)
-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메모리 셀이 강유전체 커패시터와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각 메모리 셀의 데이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증폭기 회로와;상기 감지 증폭기 회로에 상기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회로를 포함하되,상기 기준 회로는 전원이 공급될 때 각각이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덤핑 전압들을 발생하는 덤핑 전압 공급 회로와;각각이 강유전체 커패시터와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더미 셀들을 가지며, 상기 더미 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덤핑 전압들에 응답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각각의 분극 상태를 판별하는 분극 상태 판별 회로와;상기 분극 상태 판별 회로는 판별 결과로서 상기 더미 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패스/페일 신호들을 출력하되, 상기 패스/페일 신호들 각각이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에 대응하는 전압이 대응하는 덤핑 전압보다 높은 지 낮은 지의 여부를 나타내며;상기 분극 상태 판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페스/페일 신호들을 디코딩하여 선택 신호들을 발생하는 디코더 회로 및;상기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선택 신호들에 각각 대응하는 서로 다른 레벨의분배 전압들을 내부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선택 신호들에 응답해서 상기 분배 전압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디코더 회로 및 상기 기준 전압 발생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선택 신호들을 래치하는 래치 회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더미 셀들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더미 셀들로 분리되며, 상기 제 1 그룹의 더미 셀들은 제 1 로직 상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그룹의 더미 셀들은 제 2 로직 상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분극 상태 판별 회로는,상기 더미 셀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과;상기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더미 비트 라인들과;상기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 상의 로직 상태들이 상기 패스/페일 신호들로서출력되도록 제 1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을 상기 디코더 회로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 1 스위치 트랜지스터들과;상기 덤핑 전압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대응하는 덤핑 전압에 연결된 제 1 플레이트 전극과 제 2 스위치 트랜지스터를 통해 대응하는 제 2 더미 비트 라인에 연결된 제 2 플레이트 전극을 갖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 및;상기 커패시터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스위치 트랜지스터들은 제 2 스위치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며;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비트 라인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더미 비트 라인들 사이의 전압차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로서 대응하는 제 1 더미 비트 라인을 제 1 로직 상태와 제 2 로직 상태 중 하나로 증폭하는 복수 개의 감지 증폭기들을 포함하며,상기 패스/페일 신호들의 로직 상태들은 대응하는 감지 증폭기들에 의해서 감지 증폭된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의 로직 상태들에 의해서 결정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덤핑 전압들은 상기 제 1 로직 상태의 데이터와 상기 제 2 로직 상태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들 사이에 존재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분극 상태 판별 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비트 라인들을 접지 전압으로 충전하는 비트 라인 프리챠지 회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기준 회로는 상기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에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 회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입력 회로는 상기 전원이 인가될 때 활성화되는 데이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그룹의 더미 셀들에 대응하는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로 전원 전압을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2 그룹의 더미 셀들에 대응하는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로 접지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행들과 열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메모리 셀이 강유전체 커패시터와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기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각 메모리 셀의 데이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증폭기 회로와;상기 감지 증폭기 회로에 상기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회로를 포함하되,상기 기준 회로는 전원이 공급될 때 각각이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덤핑 전압들을 발생하는 덤핑 전압 공급 회로와;각각이 강유전체 커패시터와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더미 셀들을 가지며, 상기 더미 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덤핑 전압들에 응답해서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들 각각의 분극 상태를 판별하는 분극 상태 판별 회로와;상기 분극 상태 판별 회로는 판별 결과로서 상기 더미 셀들 각각에 대응하는 패스/페일 신호들을 출력하되, 상기 패스/페일 신호들 각각이 상기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에 대응하는 전압이 대응하는 덤핑 전압보다 높은 지 낮은 지의 여부를 나타내며;상기 분극 상태 판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페스/페일 신호들을 디코딩하여 선택 신호들을 발생하는 디코더 회로와;상기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선택 신호들에 각각 대응하는 서로 다른 레벨의 분배 전압들을 내부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선택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될 때 상기 분배 전압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하는 기준 전압 발생 회로 및;상기 전원이 인가될 때 제어 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선택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신호를 비활성시키고 상기 선택 신호들이 모두 비활성 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제어 신호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어 회로로 구성되며,상기 기준 전압 발생 회로는 상기 선택 신호들이 모두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때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디폴트 값을 출력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디폴트 값은 상기 분배 전압들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선택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될 때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출력되는 분배 전압은 상기 디폴트 값보다 높거나 낮은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기준 전압 발생 회로의 출력단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서 상기 디폴트 값으로 프리챠지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패스/페일 신호들 모두가 패스 상태의 로직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패스/페일 신호들 모두가 페일 상태의 로직 상태를 가질 때, 또는 상기 패스/페일 신호들이 비정상적인 로직 상태들을 가질 때, 상기 디코더 회로는 상기 선택 신호들 모두를 비활성화시키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디코더 회로 및 상기 기준 전압 발생 회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선택 신호들을 래치하는 래치 회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더미 셀들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의 더미 셀들로 분리되며, 상기 제 1 그룹의 더미 셀들은 제 1 로직 상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 그룹의 더미 셀들은 제 2 로직 상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분극 상태 판별 회로는,상기 더미 셀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과;상기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더미 비트 라인들과;상기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 상의 로직 상태들이 상기 패스/페일 신호들로서 출력되도록 제 1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을 상기 디코더 회로에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 1 스위치 트랜지스터들과;상기 덤핑 전압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대응하는 덤핑 전압에 연결된 제 1 플레이트 전극과 제 2 스위치 트랜지스터를 통해 대응하는 제 2 더미 비트 라인에 연결된 제 2 플레이트 전극을 갖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 및;상기 커패시터들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스위치 트랜지스터들은 제 2 스위치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며;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비트 라인들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더미 비트 라인들 사이의 전압차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로서 대응하는 제 1 더미 비트 라인을 제 1 로직 상태와 제 2 로직 상태 중 하나로 증폭하는 복수 개의 감지 증폭기들을 포함하며,상기 패스/페일 신호들의 로직 상태들은 대응하는 감지 증폭기들에 의해서 감지 증폭된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의 로직 상태들에 의해서 결정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덤핑 전압들은 상기 제 1 로직 상태의 데이터와 상기 제 2 로직 상태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들 사이에 존재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분극 상태 판별 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비트 라인들을 접지 전압으로 충전하는 비트 라인 프리챠지 회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기준 회로는 상기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에 연결되는 데이터 입력 회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입력 회로는 상기 전원이 인가될 때 활성화되는 데이터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그룹의 더미 셀들에 대응하는 제 1더미 비트 라인들로 전원 전압을 각각 전달하고 상기 제 2 그룹의 더미 셀들에 대응하는 제 1 더미 비트 라인들로 접지 전압을 각각 전달하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9/675,559 US6392916B1 (en) | 1999-10-01 | 2000-09-29 | Circuit for providing an adjustable reference voltage for long-life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
JP2000302777A JP4392976B2 (ja) | 1999-10-01 | 2000-10-02 | 強誘電体キャパシタの分極状態変化に応じて可変する基準電圧を発生する基準回路を有する強誘電体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装置。 |
US09/990,120 US6407943B1 (en) | 1999-10-01 | 2001-11-21 | Circuit for providing an adjustable reference voltage for long-life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2355 | 1999-10-01 | ||
KR19990042355 | 1999-10-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9812A KR20010039812A (ko) | 2001-05-15 |
KR100373854B1 true KR100373854B1 (ko) | 2003-02-26 |
Family
ID=1961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66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3854B1 (ko) | 1999-10-01 | 2000-08-11 |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랜덤액세스 메모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738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283413B2 (en) | 2004-03-10 | 2007-10-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nse amplifier and method for generating variable reference leve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4259B1 (ko) * | 2001-11-02 | 2004-10-2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모니터링회로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장치 |
KR100506457B1 (ko) * | 2003-07-30 | 2005-08-05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 및 그 메모리셀 어레이 블럭을 이용하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
2000
- 2000-08-11 KR KR10-2000-0046678A patent/KR10037385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283413B2 (en) | 2004-03-10 | 2007-10-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nse amplifier and method for generating variable reference lev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9812A (ko) | 2001-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392976B2 (ja) | 強誘電体キャパシタの分極状態変化に応じて可変する基準電圧を発生する基準回路を有する強誘電体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装置。 | |
US6906944B2 (en) | Ferroelectric memory | |
JP3917299B2 (ja) | 強誘電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データ保護方法 | |
EP0740307B1 (en) | Sense amplifier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 |
EP1154436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6191971B1 (en) | Ferroelectric memory device | |
US20060256607A1 (en) |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having a plate line control circuit | |
US6859380B2 (en) | Ferroelectric memor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KR100243883B1 (ko) |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 |
US6510072B2 (en) |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weak cell using the same | |
US6418057B1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correctly performing erasure/programming completion determination even in presence of defective bit | |
US6201727B1 (en) | Nonvolatile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segmented plate line scheme and a method for driving a plate line segment therein | |
KR100459228B1 (ko) |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EP0713223B1 (en) | Bit line sensing in a memory array | |
KR100373854B1 (ko) | 강유전체 커패시터의 분극 상태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기준 전압을 발생하는 기준 회로를 갖는 강유전체 랜덤액세스 메모리 장치 | |
KR100308188B1 (ko) | 안정된 감지 마진을 가지는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 |
US20090129175A1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US6898136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 |
US20040042249A1 (en) |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plate line segment therein | |
JP4044985B2 (ja) | 強誘電体メモリ装置の読み出し方法 | |
JP2984045B2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7193888B2 (en) | Nonvolatile memory circuit based on change in MIS transistor characteristics | |
KR100281799B1 (ko) | 다른 워드 라인 전압들을 발생하는 회로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0164380B1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비트라인 센스앰프 | |
JP3100393B2 (ja) | 半導体記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