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3422B1 - 렌치 - Google Patents

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422B1
KR100373422B1 KR10-2000-0034757A KR20000034757A KR100373422B1 KR 100373422 B1 KR100373422 B1 KR 100373422B1 KR 20000034757 A KR20000034757 A KR 20000034757A KR 100373422 B1 KR100373422 B1 KR 10037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huck
wrench
nut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974A (ko
Inventor
하태환
Original Assignee
하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환 filed Critical 하태환
Priority to KR10-2000-0034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4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50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 B25B13/500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 B25B13/5016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 B25B13/5025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 B25B13/504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on work of special profile, e.g. pipes for operating on pipes or cylindrical objects by externally gripping the pipe using a pipe wrench type tool with movable or adjustable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척(12)과 이동척(14)의 각 내면(12A,14A)에는 상기 고정척(12)의 내면(12A)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1경사면(12B)을 구비한 제 1안내홈(12C); 상기 이동척(14)의 내면(14A)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2경사면(14B)을 구비한 제 2안내홈(14C); 외주면이 상기 제 1,2경사면(12B,14B)에 접촉되어 안내되도록 상기 제 1,2안내홈(12C,14C)에 삽입 설치되는 로울러(22); 및 상기 각 로울러(22)가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제 1,2안내홈(12C,14C)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24)로 구성되어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경에 접촉되어 일방향으로만 회동하는 일방향 클러치(20)가 설치되는 것으로, 파이프나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경에 각 로울러(22)의 외주면이 밀착됨으로, 원통형 볼트/너트(A)나 파이프 등의 외경을 손상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렌치{A WRENCH}
본 발명은 렌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척과 이동척의 내면에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는 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원통형 볼트/너트나 파이프 등의 외주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렌치는 고정척에 이동척을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키도록 구성되어 배관용 파이프를 상호 결합시킬 경우에 사용된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파이프 렌치(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척(1-1)을 파이프(2)의 일측에 밀착시키고 조절노브(1-2)를 조절하여 이동척(1-3)이 상기 파이프(2)의 타측에 밀착되도록 한 후에, 손잡이(1-4)를 취부하여 파이프(2)를 조이거나 푸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이프 렌치(1)는 상기 고정척(1-1)과 이동척(1-3)의 내면에 다수개의 걸림돌기(1-5)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파이프(2)를 조이거나 풀 경우에 상기 파이프(2)의 외주면은 상기 걸림돌기(1-5)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걸림돌기(1-5)의 날카로운 모서리부위가 상기 파이프(2)의 외주면에 파고들어 파이프 렌치(1)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것이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레센트(CRESCENT) 렌치(4)는 고정척(4-1)과 이동척(4-2)의 내면이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었기 파이프(2)나 원통형의 볼트 등을 조이거나 풀 수 없었고, 단순히 다각형의 머리를 갖는 볼트(6)에만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통형 볼트/너트나 파이프 등의 외주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조이거나 풀 수 있는 렌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1b는 종래기술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4a,4b는 도 2에 도시된 렌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고정척 12A : 내면
12B : 제 1경사면 12C : 제 1안내홈
14 : 이동척 14A : 내면
14B : 제 2경사면 14C : 제 2안내홈
20 : 일방향 클러치 22 : 로울러
24 : 탄성부재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면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제 1경사면이 형성된 제 1안내홈을 구비한 고정척; 내면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제 1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제 2경사면이 형성된 제 2안내홈을 구비한 이동척; 및 외주면이 상기 제 1,2경사면에 접촉되어 안내되고 단면이 원형인 볼트/너트의 원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1,2안내홈에 삽입 설치되는 로울러와, 상기 각 로울러가 내측으로 이동되기 위한 탄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제 1,2안내홈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일방향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렌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18"는 조절나사이고, "19"는 손잡이이며, "A"는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렌치(10)는 이동척(14)이 조절나사(18)에 의해 고정척(12) 측으로 이동되는 파이프 렌치인 것으로, 고정척(12)과 이동척(14)에 일방향 클러치(2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척(12)과 이동척(14)의 각 내면(12A,14A)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제 1,2안내홈(12C,14C)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안내홈(12C,14C)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및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진 제 1,2경사면(12B,14B)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 1,2안내홈(12C,14C)에는 양단부에 이탈방지단이 형성된 로울러(22)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각 로울러(22)는 그 외주면이 상기 제 1,2경사면(12B,14B)에 접촉되어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외측은 고정척(12)과 이동척(14)의 개구부 측이고, 내측은 폐쇄된 측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척(12)에 형성된 제 1경사면(12B)은 고정척(12)의 내면(12A)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이동척(14)에 형성된 제 2경사면(14B)은 상기 이동척(14)의 내면에 대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협소하게 형성된 것이다. 즉, 상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2안내홈(12C,14C)의 내부 일측 즉, 각 확개부(17A)에는 상기 제 1,2경사면(12B,14B)에 안내되는 로울러(22)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여 이동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4)가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4)는 평상시 상기 로울러(22)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부여한다. 즉, 고정척(12)의 로울러(22)는 내측으로, 그리고 상기 이동척(14)의 로울러(22)는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4)가 로울러(22)를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로울러(22)는 상기 내면(12A,14A)에 대하여 돌출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상기 로울러(22)가 제 1,2경사면(12B,14B)의 각 협소부(17B)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4a,4b는 도 2에 도시된 렌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치(10)의 고정척(12)과 이동척(14)의 각 내면(12A,14A)에 제 1,2안내홈(12C,14C)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안내홈(12C,14C)에 일방향 클러치(20)가 설치된 상태에서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 즉, 머리부의 단면이 원형인 볼트/너트(A)를 조이기 위해서는 상기 렌치(10)의 조절나사(18)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척(14)을 이동시켜 상기 이동척(14)의 내면(14A)에 설치된 일방향 클러치(20)의 각 로울러(22)가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척(12)에 설치된 일방향 클러치(20)의 각 로울러(2) 외주면은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척(14)에 설치된 일방향 클러치(20)의 각 로울러(22) 외주면은 상기 파이프 또는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 타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렌치(10)의 조절나사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상기 각 로울러(22)의 외주면이 상기 파이프나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치(10)의 손잡이(19)를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각 로울러(2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척(12)과 이동척(14)의 제 1,2경사면(12B,14B)에 안내되어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척(12)에 설치된 로울러(22)는 상기 제 1경사면(12B)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협소해지도록 경사진 관계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나, 상기 이동척(14)에 설치된 로울러(22)는 상기 제 2경사면(14B)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협소해지도록 경사진 관계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각 로울러(22)는 상기 손잡이의 이동(회전)에 의해 상기 파이프나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제 1,2경사면(12B,14B)에 안내되어 고정척(12) 측의 로울러(22)는 내측으로, 이동척(14) 측의 로울러(22)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각각 협소부(17B)측으로)
이와 같이, 상기 제 1,2경사면(12B,14B)의 협소부(17B)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각 로울러(22)는 제 1,2경사면(12B,14B)의 협소부(17B)측 사이와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 사이에 끼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즉, 상기 고정척(12)의 제 1경사면(12B)은 외측으로 점차 협소하게 경사져있기 때문에, 상기 로울러(22)가 내측으로 경사진 제 1경사면(12B)에 안내되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고정척(12)의 내면(12A) 보다 더 돌출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척(12) 측의 로울러(22)는 자체 회전을 멈추면서 상기 제 1경사면(12B)의 내측에 형성된 협소부(17B)측과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 사이에 끼게 되는 결과는 가져오게 되는 것이고, 상기 이동척(12)의 제 2경사면(14B)은 외측으로 점차 협소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로울러(22)가 외측으로 경사진 제 2경사면(14B)에 안내되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척(12)의 내면(14A) 보다 더 돌출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상기 이동척(14) 측의 로울러(22)는 상기 제 2경사면(14B)의 외측에 형성된 협소부(17B)측과 파이프(A) 등의 외주면 사이에 끼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고정척(12)에 설치된 로울러(22)와 상기 이동척(14)에 설치된 로울러(22)가 각 내면(12A,14A)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파이프(A) 등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는 상기 손잡이(19)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조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각 로울러(22)가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과 제 1,2경사면(12B,14B)의 협소부(17B) 사이에서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9)가 상기 파이프(A) 등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는 조여지면서도 그 외주면이 손상되지 않게 되는데, 이는 원통형의 각 로울러(22)이 외주면이 상기 파이프 등의외주면에 선 접촉되어 밀착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 등을 연속하여 조이기 위하여 상기 렌치(10)의 손잡이를 도 4a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척(12)의 제 1설치홈(12C)에 설치된 로울러(22)는 외측으로 확개된 제 1경사면(12B)에 안내되어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척(14)의 제 2설치홈(14C)에 설치된 로울러(22)는 내측으로 확개된 제 2경사면(14B)에 안내되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렌치(10)의 손잡이(19)를 조임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게 되면, 상기 파이프 또는 볼트/너트(A) 등은 그 조임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제 1,2경사면(12B,14B)과 파이프 등의 외주면 사이에 끼어 있던 각 로울러(22)는 제 1,2경사면(12B,14B)의 협소부(17B)측에서 확개부(17A)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로울러(22)의 외주면은 상기 탄성부재(24)에 의해 상기 파이프 또는 볼트/너트(A) 등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이기는 하나, 그 외주면을 가압하는 상태는 아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렌치(10)의 손잡이(19)를 다시 조임방향(도 4a에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각 로울러(22)는 전술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파이프(A) 등의 외주면과 제 1,2경사면(12B,14B)의 협소부(17B) 사이에 끼게 되어 상기 파이프(A) 등의 조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렌치(10)의 손잡이(19)를 조임과 풀림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 등의 조임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과정으로 조여진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를 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른다.
먼저, 조여진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를 풀기 위해서는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치(10)의 방향을 바꾸어서(뒤집어서)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에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렌치(10)의 손잡이(19)를 도 4b에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렌치(10)의 손잡이(19)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각 로울러(22)는 제 1,2경사면(12B,14B)의 확개부(17A)측에서 협소부(17B)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2경사면(12B,14B)의 협소부(17B)측과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 사이에 끼게 되어, 상기 파이프 또는 볼트(A) 등이 손잡이(19)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가 풀리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를 연속으로 풀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19)를 도 4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각 로울러(22)는 제 1,2경사면(12B,12B)의 협소부(17B)측에서 확개부(17A)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에 접촉될 뿐 가압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 또는 원통형 볼트/너트(A) 등은 최초 풀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풀림의 반대방향으로 손잡이(19)를 회전시켜 손잡이(19)의 작동공간을 확보한 후에, 다시 상기 손잡이(19)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각각의 로울러(22)는 제 1,2경사면(12B,14B)의 확개부(17A)측에서 협소부(17B)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파이프(A) 등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됨으로, 상기 파이프(A) 등은 연속하여 풀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렌치를 도시한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볼트/너트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된 크레센트 렌치(10)의 고정척(12)과 이동척(14)에 일방향 클러치(20)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크레센트 렌치(10)의 구성과 작용은 전술한 파이프 렌치(10)의 구성 작용과 동일하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크레센트 렌치(10)는 볼트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또는 원통머리를 갖는 볼트/너트(A)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고정척(12)과 이동척(14)으로 이루어진 각종 렌치(10)에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는 클러치(20)를 설치하게 되면, 각 로울러(22)의 외주면이 파이프나 원통형 볼트/너트(A)의 외주면에 접촉됨으로, 그 외주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조이거나 풀 수 있고, 연속 조임/풀림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척(12)과 이동척(14)의 각 내면(12A14A)은 만곡진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내면(12A,14A)에는 다수개의 일방향 클러치(20)가 설치된 것이다. 즉, 상기 각 내면(12A,14A)에 다수개의 제 1,2안내홈(12C,14C)이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제 1,2안내홈(12C,14C)에는 다수개의 로울러(22)가 각각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고정척(12)과 이동척(14)의 각 내면(12A,14A)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원호형의 만곡면이 형성되고, 이 만곡면에는 적어도 4개 이상의 로울러(22)가 설치되도록 제 1,2안내홈(12C,14C)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로울러(22)는 탄성부재(24)의 탄성을 받도록 설치되고, 각 경사면(12B,14B)에 안내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 3실시예는 상기 각 내면(12A,14A)이 만곡지게 형성되고, 이러한 각 내면(12A,14A)에 다수개의 로울러(22)가 설치됨으로써, 파이프 또는 원통머리 볼트/너트(A)의 다양한 크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렌치는 이동척과 고정척 내면에 일방향으로만 작동하는 클러치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록 설치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이프나 원통형 볼트/너트의 외주면에 각 로울러의 외주면이 밀착됨으로, 원통형 머리부를 갖는 볼트나 파이프 등의 외주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내면(12A)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제 1경사면(12B)이 형성된 제 1안내홈(12C)을 구비한 고정척(12);
    내면(14A)에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제 1경사면(12B)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제 2경사면(14B)이 형성된 제 2안내홈(14C)을 구비한 이동척(14); 및
    외주면이 상기 제 1,2경사면(12B,14B)에 접촉되어 안내되고 단면이 원형인 볼트/너트(A)의 원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 1,2안내홈(12C,14C)에 삽입 설치되는 로울러(22)와, 상기 각 로울러(22)가 내측으로 이동되기 위한 탄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제 1,2안내홈(12C,14C)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24)로 이루어진 일방향 클러치(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척(12)과 이동척(14)의 각 내면(12A,14A)은 만곡진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내면(12A,14A)에는 다수개의 일방향 클러치(20)가 연이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치.
KR10-2000-0034757A 2000-06-23 2000-06-23 렌치 KR10037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757A KR100373422B1 (ko) 2000-06-23 2000-06-23 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757A KR100373422B1 (ko) 2000-06-23 2000-06-23 렌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979U Division KR200203408Y1 (ko) 2000-06-23 2000-06-23 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974A KR20020000974A (ko) 2002-01-09
KR100373422B1 true KR100373422B1 (ko) 2003-03-04

Family

ID=1967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757A KR100373422B1 (ko) 2000-06-23 2000-06-23 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181B1 (ko) * 2011-05-27 2013-01-11 김연구 복수의 외접식 래칫휠이 형성된 가동식 조오를 갖는 렌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60B1 (ko) * 2007-04-17 2007-06-13 한선화 누전검출부의 고장상태를 알려주는 전력계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181B1 (ko) * 2011-05-27 2013-01-11 김연구 복수의 외접식 래칫휠이 형성된 가동식 조오를 갖는 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974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5291B1 (en) Wrench
TWI856094B (zh) 具有集成咬合功能的防滑扭矩工具
JP3151178B2 (ja) 内側多角形構造を有する固定具特にねじのための操作工具
US6601476B2 (en) Adaptor device for a wrench
GB2112894A (en) Quick-acting nut assembly
KR19990028347A (ko) 6각형의 머리 부품, 특히 나사 또는 너트를 회전하기 위한래치트식 스패너
KR100220620B1 (ko) 조임나사
KR100373422B1 (ko) 렌치
KR200203408Y1 (ko) 렌치
JPH05202920A (ja) ナット
US20040247413A1 (en) Fastener and its handling tool
WO2002074498A1 (en) A cam spanner
TWI812842B (zh) 脫落防止具
KR100373423B1 (ko) 스패너
KR200259960Y1 (ko) 다기능 렌치
JP3509776B2 (ja) ケーブルのシールコネクタ
US20160252119A1 (en) Serrated shaft-engaging surface for shrink disc
JP2001304224A (ja) 連結具
KR100373421B1 (ko) 렌치
JPH0356348B2 (ko)
WO2024142380A1 (ja) ワッシャ、ナット、締結構造
KR200261464Y1 (ko) 라쳇트 스패너
JP2000354973A (ja) プラスチック製の回転操作工具
KR100422126B1 (ko) 렌치
KR200152837Y1 (ko) 스패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06111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