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2690B1 -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690B1
KR100372690B1 KR10-2000-0050080A KR20000050080A KR100372690B1 KR 100372690 B1 KR100372690 B1 KR 100372690B1 KR 20000050080 A KR20000050080 A KR 20000050080A KR 100372690 B1 KR100372690 B1 KR 100372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ching
substrate
microstructure
microsensor
dry etc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026A (ko
Inventor
김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69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6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01C19/5642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using vibrating bars or beams
    • G01C19/5663Manufacturing; Trimming; Mount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for manufacturing microsystems
    • B81C1/00222Integrating an electronic processing unit with a micromechanical structure
    • B81C1/00246Monolithic integration, i.e. micromechanical structure and electronic processing unit are integrated on the same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센서의 기판상에 떠있는 구조물이 기판면과 접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기판면과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면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마이크로센서의 마이크로 구조물 식각을 위하여 상측으로 일정 패턴의 포토 마스크를 증착하고, 상기 포토 레스터가 증착된 부위를 제외한 부분을 플라즈마 식각을 통해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구조물 전체 식각 두께의 약 4/5까지 식각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구조물의 미식각 부위를 일정한 RF주파수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기판의 표면의 넓은부분 패턴과 좁은부분 패턴이 동시에 완전히 식각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부 식각을 위해 기판의 전극에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 구조물 저부 양측이 식각되어 구조물 저면을 대칭 라운딩형상으로 형성시켜 기판면과의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 시키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DRY ETCHING METHOD OF MICRO SENSON STRUCTURES}
본 발명은 미세한 진동의 감쇄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마이크로 자이로스코프등과 같은 마이크로센서의 기판상에 떠있는 구조물이 기판면과 접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기판면과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면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마이크로센서의 마이크로 구조물 식각을 위한 포토 마스크를 증착하고, 플라즈마 식각을 통해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구조물 전체 식각 두께의 4/5까지 식각작업을 수행하며, 재차 일정한 RF주파수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기판의 표면 까지 식각작업을 수행한후,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 구조물 저부 양측이 식각되어 구조물 저면을 라운딩형으로 형성시켜 기판면과의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 시키도록 함으로써, 마이크로 센서의 마이크로 구조물과 기판 표면과의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마이크로 구조물의 식각 작업시 발생되는 불균일한 과식각(over etching)현상을 방지하여 마이크로 센서의 특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센서의 제작시 마이크로 구조물이 위치한 전극 부분에는 식각의 진행도중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기판상에 떠있는 상태로 마이크로 구조물의 식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마이크로 센서의 구조물 식각 방법에 있어서는 실리콘 산화물(SiO₂)등과 같은 산화물(oxide) 희생층을 식각 용액을 통해 습식으로 식각한 후, 별도의 화학용액으로 마이크로 구조물과 기판의 표면을 표면처리하여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부와 기판 표면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기판에 구조물 저부가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방법과, 상기 산화물 희생층을 습식 식각이 아닌 이온가스등의 주사에 의한 건식 식각으로 제거하여, 고상/액상 계면이 아닌 고상/기상 계면을 만들어 기판의 표면과 마이크로 구조물 저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점차로 감소시켜, 기판 표면에 구조물 저부가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이 단순히 식각 용액에 의한 산화물 희생층의 식각 방법과, 플라즈마 식각을 이용한 건식 식각방법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부가 균일한 상태의 식각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어, 마이크로 센서에 적합한 성능 및 수율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같은 단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부 접촉면적을 극소화시키기 위하여, 기판(10)상에 형성된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과식각(over etching)작업을 통해 구조물 저부 접촉면적을 극소화시키고 있으나, 상기와같은 경우 마이크로 구조물(20)의 저부 일측이 기판(10)에 달라붙는 잔류물(30)(residues)이 존재하게 되어, 마이크로 센서의 성능과 수율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의 요부 확대도에서와 같이, 마이크로 구조물(20)의 식각되는 저부 면적이 다른 패턴에 대해서는, 넓은 면적과 좁은면적의 식각속도 차이에 기인한 잔류물(30)이 발생하게 되며, 좁은 면적이 기판(10) 표면까지 전부 식각되는데 필요한 식각시간과, 넓은 면적에서 비대칭적인 과식각 현상이 발생하기 바로 전까지의 식각시간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되어, 마이크로 구조물의 식각공정이 어렵게 되는것이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마이크로 구조물의 시각후 발생되는 잔류물에 의해 마이크로 센서 제작공정의 재현성과, 수율이 크게 저하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이크로 센서의 마이크로 구조물과 기판 표면과의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마이크로 구조물의 식각 작업시 발생되는 불균일한 과식각현상을 방지하여 마이크로 센서의 특성 및 수율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 방법을 통해 식각된 마이크로 구조물의 정단면 구조도.
도 2(a)(b)(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식 식각과정을 거친 마이크로 구조물의 개략 정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마이크로 구조물 120...포토 마스크
130...기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센서의 마이크로 구조물 식각을 위하여 상측으로 일정 패턴의 포토 마스크를 증착하고, 상기 포토 레스터가 증착된 부위를 제외한 부분을 플라즈마 식각을 통해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구조물 전체 식각 두께의 4/5까지 식각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의 미식각 부위를 일정한 RF주파수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기판의 표면의 넓은부분 패턴과 좁은부분 패턴이 동시에 완전히 식각작업을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부 식각을 위해 기판의 전극에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 구조물 저부 양측이 식각되어 구조물 저면을 라운딩형으로 형성시켜 기판면과의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 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거쳐 식각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b)(c)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건식 식각과정을 거친 마이크로 구조물의 개략 정단면 구조도로서, 마이크로센서의 마이크로 구조물(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센서의 상측에는 마이크로 구조물(110)의 설치를 위해 일정한 패턴의 포토 마스크(120)를 증착하고, 상기 포토 레스터(120)가 증착된 부위를 제외한 부분을 플라즈마 식각을 통해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구조물 전체 식각 두께의 4/5까지 식각작업을 수행한다.(도 2a)
이때 상기 포토 마스크가 증착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구조물 두께의 약 5/4로 식각하는 이류로서는, 상기 플라즈마 식각을 통한 구조물의 식각깊이가 기판(130)의 표면까지 계속될 경우, 종래와같이 마이크로 구조물(110)의 저부가 과식각(over etching)에 의해 식각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마이크로 센서의 수율이저하되는데 기인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같이 포토 마스크 증착부위를 제외한 부위의 식각후, 마이크로 구조물의 미식각 부위를 일정한 RF주파수의 펄스 전압을 기판의 전극부위에 인가하여, 기판(30) 표면의 넓은부분 패턴과 좁은부분 패턴이 동시에 완전히 식각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2b)
이때, 상기 펄스로 전압을 인가하는 부분의 RF 제너레이터(Generator)의 주파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약 13.56MHz 정도로 되어 식각가스의 이온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낮게된다.
상기와같이, 기판(130) 표면의 마이크로 구조물(110)에 의한 넓은부분 패턴과 좁은부분 패턴이 동시에 완전히 식각작업이 이루어지면,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110)의 저부 식각을 위해 기판(130)의 전극에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 구조물 저부 양측이 순차로 일정한 속도로 식각되어 마이크로 구조물(110)의 저면이 대칭 라운딩 형상이나, 또는 대칭 첨탑형상으로 식각(도 2c)이 완료되어, 기판면과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부와의 계면 접촉면적이 극소화 될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에 의하면, 마이크로 센서의 마이크로 구조물과 기판 표면과의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마이크로 구조물의 식각 작업시 발생되는 불균일한 과식각현상을 방지하여 마이크로 센서의 특성 및 수율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2)

  1.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센서의 마이크로 구조물 식각을 위하여 상측으로 일정 패턴의 포토 마스크를 증착하고, 상기 포토 레스터가 증착된 부위를 제외한 부분을 플라즈마 식각을 통해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구조물 전체 식각 두께의 약 4/5까지 식각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의 미식각 부위를 일정한 RF주파수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기판의 표면의 넓은부분 패턴과 좁은부분 패턴이 동시에 완전히 식각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구조물의 저부 식각을 위해 기판의 전극에 일정한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마이크로 구조물 저부 양측이 식각되어 구조물 저면을 대칭 라운딩형상으로 형성시켜 기판면과의 계면 접촉면적을 극소화 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거쳐 식각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마스크가 증착된 부위를 제외한 구조물은, 기판의 표면까지 식각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KR10-2000-0050080A 2000-08-28 2000-08-28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72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080A KR100372690B1 (ko) 2000-08-28 2000-08-28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080A KR100372690B1 (ko) 2000-08-28 2000-08-28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026A KR20020017026A (ko) 2002-03-07
KR100372690B1 true KR100372690B1 (ko) 2003-02-19

Family

ID=1968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0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2690B1 (ko) 2000-08-28 2000-08-28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6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471A (ja) * 1993-04-21 1994-11-04 Nec Corp 微細構造形成方法
JPH06326074A (ja) * 1993-05-13 1994-11-25 Fujitsu Ltd 半導体微細装置の製造方法
KR19990064624A (ko) * 1999-04-20 1999-08-05 정완영 평면형 마이크로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6046067A (en) * 1993-09-27 2000-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ic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20000050852A (ko) * 1999-01-15 2000-08-05 이형도 마이크로 관성 센서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471A (ja) * 1993-04-21 1994-11-04 Nec Corp 微細構造形成方法
JPH06326074A (ja) * 1993-05-13 1994-11-25 Fujitsu Ltd 半導体微細装置の製造方法
US6046067A (en) * 1993-09-27 2000-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ic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20000050852A (ko) * 1999-01-15 2000-08-05 이형도 마이크로 관성 센서의 제작 방법
KR19990064624A (ko) * 1999-04-20 1999-08-05 정완영 평면형 마이크로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026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77090A (ja) 集積回路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集積回路
US20020166838A1 (en) Sloped trench etching process
JPS637633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40042003A (ko) 글래스 웨이퍼의 비아홀 형성방법
US9576773B2 (en) Method for etching deep, high-aspect ratio features into glass, fused silica, and quartz materials
US7439093B2 (en) Method of making a MEMS device containing a cavity with isotropic etch followed by anisotropic etch
KR100592841B1 (ko) 고유전율 막의 정확한 패터닝
EP1221176A2 (en) Method of etching a layer using sacrificial elements
JP3178123B2 (ja) 櫛歯式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KR100372690B1 (ko) 마이크로센서 구조물의 건식 식각방법
WO2002051743A3 (en) Thin silicon micromachined structures
CN102120561B (zh) 形成晶圆穿通孔的方法
TWI229377B (en) Method for forming cavitie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RU262524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ристаллов микро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х систем
JP4654811B2 (ja) エッチングマスクおよび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JPH06204183A (ja) シリコン基体の加工方法
KR100228765B1 (ko) 셀 어퍼처 마스크 제조방법
KR100527816B1 (ko) 마이크로머시닝을 이용한 미세 구조체 패턴의 제조 방법
RU2672033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областей кремния в объеме кремниевой пластины
JP277812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P1241703B1 (en) Method for masking silicon during anisotropic wet etching
JP2011526841A (ja) 改善された均一性を有する微小ポストおよびそれを製作する方法
KR19980083156A (ko) 마이크로구조물 제조방법
JPH0778806A (ja)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KR100526470B1 (ko) 플래쉬 메모리의 게이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2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20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