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0941B1 -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941B1
KR100370941B1 KR10-2000-0026146A KR20000026146A KR100370941B1 KR 100370941 B1 KR100370941 B1 KR 100370941B1 KR 20000026146 A KR20000026146 A KR 20000026146A KR 100370941 B1 KR100370941 B1 KR 10037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kimchi
hamburger
pork
be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566A (ko
Inventor
김순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성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성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성식품
Priority to KR10-2000-002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94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OF FLOUR OR DOUGH FOR BAKING,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10Multi-layer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햄버거속에 들어있는 햄버거 스테이크에 일번김치보다 젓갈을 5중량% 적게 사용하여 2.85중량%의 젓갈이 사용된 우리 전통의 김치를 넣음으로서 햄버거의 느끼한 맛을 줄이고, 김치의 고추가루에 들어있는 펩사이신성분으로 스테이크의 지방을 분해함으로서 훨씬 질리지 않고 햄버거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햄버거 스테이크를 작은 크기로 만듦으로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선별된 우육 29.786중량%와 돈육 44.679중량%를 분쇄하고, 후추 0.104중량%와 마늘 0.745중량% 간 것을 상기 우육과 돈육에 혼합한 후, 일반김치보다 젖갈을 5중량% 적게 사용하여 2.85중량%의 젓갈이 사용되고 PH 4.7이 되게 숙성시킨 뒤 다진 김치 8.192중량%, 빵가루 11.170중량%, 계란 4.468중량%, 양겨자 0.521중량%, 우스터소스 0.335중량%를 상기 혼합된 우육과 돈육에 넣고 잘 버무려서 혼합된 우육과 돈육을 15g 씩 성형틀에 넣고 동그랗게 찍어낸 후, 급냉실에서 냉동시켜 -18℃ 이하에서 보관, 유통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Process for mini KIMCHI hamburger}
본 발명은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햄버거에 일반김치보다 젓갈을 5중량중량% 적게 넣고 PH 4.7의 산도로 숙성된 김치를 이용해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김치햄버거를 만듦과 동시에 크기를 작게 만들어 간편하게 먹을수 있도록 하는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햄버거는 동, 서양을 막론하고 어디서나 간편히 즐기는 편리한 인스턴트 식품의 대명사로 자리잡고 있는데, 한국인의 전통적인 입맛에는 다소 느끼한 맛이 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햄버거는 서양인의 기호에 맞도록 크게 제작되는 것이므로 동양인의 기호에는 잘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크기로 인하여 먹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햄버거는 주로 고기에 다진 양파등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서 김치를 주된 반찬으로 섭취하는 한국인에게는 더욱 맞지 않는 음식으로 자리하게 되었다.한편, 근래에는 햄버거와 같은 식품을 많이 섭취함에 따른 비만이 각종 질병과 사망의 주된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다이어트와 지방 분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햄버거의 선호도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햄버거속에 들어있는 햄버거 스테이크에 젓갈을 5중량% 적게 사용하여 2.85중량%의 젓갈이 사용된 우리 전통의 김치를 넣음으로서 햄버거의 느끼한 맛을 줄이고, 김치의 고추가루에 들어있는 펩사이신성분으로 스테이크의 지방을 분해함으로서 훨씬 질리지 않고 햄버거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햄버거 스테이크를 작은 크기로 만듦으로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한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육과 돈육 분쇄한 것을 후추와 마늘 간 것에 혼합하고, 김치 다진 것, 빵가루, 계란, 양겨자, 우스터소스를 더 넣어 버무린 후, 15g 씩 떼어내 성형틀에 동그랗게 찍어내어 냉동시킴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별된 우육 29.786중량%와 돈육 44.679중량%를 분쇄하고, 후추 0.104중량%와 마늘 0.745중량% 간 것을 상기 우육과 돈육에 혼합한다.
이어서 일반김치보다 젖갈을 5중량% 적게 사용하여 2.85중량%의 젓갈이 사용되고 PH 4.7이 되게 숙성시킨 뒤 다진 김치 8.192중량%, 빵가루 11.170중량%, 계란 4.468중량%, 양겨자 0.521중량%, 우스터소스 0.335중량%를 상기 양념된 우육과 돈육에 넣고 잘 버무린다.
모든 양념이 혼합된 우육과 돈육을 15g씩 떼어서 성형틀에 넣고 동그랗게 찍어낸 후, 급냉실에서 냉동시켜 -18℃ 이하에서 보관, 유통한다.
이때, 상기 급냉된 스테이크 재료는 섭취할 때 팬 또는 오븐에 익혀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선별된 우육 29.786중량%와 돈육 44.679중량%를 분쇄하고, 후추 0.104중량%와 마늘 0.745중량% 간 것을 상기 돈육과 우육에 혼합하여 양념한 후, 일반김치보다 젖갈을 5중량% 적게 사용하여 2.85중량%의 젓갈이 사용되고 PH 4.7의 산도가 되게 숙성시킨 뒤 다진 김치 8.192중량%와 빵가루 11.170중량%, 계란 4.468중량%, 양겨자 0.521중량%, 우스터소스 0.335중량%를 상기 혼합된 우육과 돈육에 더 넣고 잘 버무려서 스테이크 재료를 만든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스테이크 재료에는 김치가 포함됨으로서 한국인의 입맛에 잘 맞을 뿐만 아니라, 김치에 젓갈을 5중량% 적게 넣어 햄버거 스테이크로의 이용시 가장 맛이 우수했고 산도는 PH 4.7의 상태에서 비타민의 함유량이 제일 높아 인체에 가장 유익한 상태가 되어 김치의 각종 영양성분을 햄버거와 함께 섭취할 수 있게 된다.또한 본 발명의 햄버거 스테이크 재료는 김치의 고추가루에 들어있는 펩사이신성분으로 스테이크의 지방을 분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햄버거 섭취에 따른 비만을 최소화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테이크 재료는 모든 양념이 혼합된 우육과 돈육을 15g 씩 성형틀에 넣고 동그랗게 찍어낸 후, 급냉실에서 냉동시켜 -18℃ 이하에서 보관, 유통시켜 급냉된 스테이크 재료를 섭취할 때 팬 또는 오븐에 익혀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은 크기의 햄버거를 간편하게 먹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햄버거는 보존기간을 실험한 결과 -18℃ 이하에서 보관시 제조일로부터 90일까지 보존이 가능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미니김치햄버거를 품평요원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상대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맛이 좋다는 응답자가 35명, 보통이라는 응답자가 5명이었으며, 식감은 좋다는 응답자가 32명, 보통이라는 응답자가 8명이 있었으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미니김치햄버거는 종래의 햄버거보다 맛과 식감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설문과 함께 실시된 종합기호도에서 높다는 응답자가 33명, 보통이라는 응답자가 7명으로 나타나서 전체적인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미니김치햄버거를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면 국민의 식생활문화에 기여할 것이고 우리의 김치를 세계화하고 상품성을 높여 수출증대에도 기여하게 되리라 본다.
상기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햄버거속에 들어있는 햄버거 스테이크에 젓갈을 5중량% 적게 넣은 우리 전통의 김치를 넣음으로서 햄버거의 느끼한 맛을 줄이고, 김치의 고추가루에 들어있는 펩사이신성분으로 스테이크의 지방을 분해함으로서 훨씬 질리지 않고 햄버거의 맛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햄버거 스테이크를 작은 크기로 만듦으로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우육 29.786중량%와 돈육 44.679중량% 분쇄한 것을 후추 0.104중량%와 마늘 간 것 0.745중량% 간 것에 혼합하고, 2.85중량%의 젓갈이 사용된 PH 4.7의 김치 다진 것 8.192중량%, 빵가루 11.170중량%, 계란 4.468중량%, 양겨자 0.521중량%, 우스터소스 0.335중량%를 더 넣어 버무린 후, 15g 씩 떼어내 성형틀에 동그랗게 찍어내어 냉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0-0026146A 2000-05-16 2000-05-16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 KR10037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46A KR100370941B1 (ko) 2000-05-16 2000-05-16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46A KR100370941B1 (ko) 2000-05-16 2000-05-16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566A KR20010105566A (ko) 2001-11-29
KR100370941B1 true KR100370941B1 (ko) 2003-02-05

Family

ID=1966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146A KR100370941B1 (ko) 2000-05-16 2000-05-16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9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174A (ko) * 2001-12-04 2002-01-10 김기문 한국식 돈까스
KR20040036063A (ko) * 2002-10-23 2004-04-30 인 호 설 김치를 주원료로 한 햄버거용 김치패티의 제조방법
KR101289986B1 (ko) * 2011-05-13 2013-08-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묵은지 김치 떡갈비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582A (ko) * 1993-12-24 1995-07-20 이종숙 김치버거(burger)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582A (ko) * 1993-12-24 1995-07-20 이종숙 김치버거(burger)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566A (ko)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7225A (zh) 可微波的冷冻预油炸肉食品用的腌制剂组合物,预油炸肉食品制作方法与所得到的产品
KR20160005951A (ko) 순대 핫도그의 제조방법
CN104172070B (zh) 一种烧烤腌制品用调味料及烧烤腌制品的制备方法
CN101664206B (zh) 鱼肉的色拉米肠及其制备方法
KR100884828B1 (ko) 아귀 양념프라이 및 아귀 프라이의 제조방법
CN1981627A (zh) 鸡肉牛肉丸及其生产方法
KR100370941B1 (ko) 미니김치햄버거 제조방법
CN101317673B (zh) 一种速冻紫菜沙丁鱼排食品及其制造方法
KR101343936B1 (ko) 닭불고기의 제조 방법
JP4388060B2 (ja) 肉代替食品素材の製造方法
KR101208096B1 (ko) 연육 및 축육을 포함하는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48838B1 (ko) 버거용 패티
Datta Prospects of value added fish products & it’s future in Indian market
JP2881661B2 (ja) 多孔質食肉加工食品およびその製造法
RU2551170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ясо-растительных полуфабрикатов в оболочке
KR100342312B1 (ko) 김치탕수육 제조방법
KR100445995B1 (ko) 게살 버거 패티
JP2715247B2 (ja) 黒大豆入りソーセ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81752B1 (ko) 내피를 포함한 밤가루가 첨가된 햄버거용 가공육
JPH07107942A (ja) ハンバーグ
WO2004016108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une saucisse renfermant de la chair d'un animal aquatique
JP3197756U (ja) すり身加工食品
GB2516898A (en) Food product
KR20220003732A (ko) 로제파스타와 돈가스
KR20190117166A (ko) 치즈 깻잎 함박스테이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11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