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0592B1 -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592B1
KR100370592B1 KR10-2000-0040024A KR20000040024A KR100370592B1 KR 100370592 B1 KR100370592 B1 KR 100370592B1 KR 20000040024 A KR20000040024 A KR 20000040024A KR 100370592 B1 KR100370592 B1 KR 100370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prepreg
fiber prepreg
preform
shaped structu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390A (ko
Inventor
김준경
임순호
최철림
박민
고문배
구자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4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5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29C70/347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winding of lay-up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e.g. flat spiral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82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시 가해지는 장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 및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이 크도록 일방향 탄소섬유를 하중 축으로 배열시키고 섬유의 굽힘이 생기지 않도록 프리폼을 만들어 물성을 향상시킨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섬유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테이프 형태로 자른 다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한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를 적층한 후 일정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원통형 롤러에 감아 "C"형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폼을 진공장치가 부착된 압축성형기로 가열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 제조방법{Carbon Fiber Reinforced C Type Composites for External Fix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섬유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띠로 자른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일정한 동심원을 갖도록 원통형 롤러에 감아 적층시켜 원형 고정기기를 제조하며, 또한 최적 물성을 위하여 고강도 탄소섬유와 고탄성 탄소섬유를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함과 동시에 적당한 양의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로 감아줌으로써 압축 및 인장력 등의 물성을 향상시킨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형외과 분야에서 사지 장관골 골절 후 불유합, 골결손, 변형, 골단축의 치료에 획기적인 치료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리자로프(Ilizarov) 치료법은 신연골형성(distraction osteogenesis)이라는 골 연장술의 한 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골 연장술의 역사는 1905년 Codivilla가 그 효시이지만 지난 수십년 동안 많은 방법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기술상의 어려움과 많은 합병증 등으로 좋은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최근의 이리자로프에 의한 신연골형성 및 오르토픽스(Orthofix)를 이용하는 가골 신연법(callotasis)으로서, 전자의 방법은 1.5-1.8mm의 가는 핀을 원형 외고정기기에 부착하는 반면, 후자의 방법은 4-6mm의 비교적 굵은 핀을 일측방 외고정기기에 부착하여 골을 연장시키는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두가지 방법의 주 방법은 기본적인 개념이 동일한 바, 연장시키고자 하는 골을 절골 후 장골축 방향으로 지속적인 장력이 가해지도록 적당한 속도로 주기적인 신연을 가하여 신연 간격에서 골 형성이 저절로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특히, 소련에서 개발되어 지금은 전 세계로 전파되고 있는이리자로프(Ilizarov) 기기는 그 독특한 형태 때문에 하지 뿐만 아니라 상지 연장, 복잡한 변형교정, 골절의 치료 등 정형외과 영역에서 치료가 용이하지 않았던 여러 가지 질환의 치료에서 성공함으로써 매우 각광을 받게 되었고, 그 치료 결과에서도 매우 좋은 성적을 얻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들어진 이리자로프 기기는 다소 무겁고 방사선 비투과성이라 골형성의 유무, 변형의 교정 정도 등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들이 있다. 이런 배경 하에 최근 여러 선진국에서는 섬유 소재를 기본재료로 사용한 가볍고 방사선 투과성의 고정기기를 개발 중이거나 완료한 바 있다.
한편, 탄소섬유 소재는 의학계에서 생체에 적합한 물질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만든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료는 임상적으로 건이나 인대 손상의 복원, 연부 조직의 보완, 고정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료는 화학적 안정성이 있으며 금속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X레이(X-ray) 투과성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료를 원형 외고정기기에 이용하면 같은 부피의 금속보다 무게를 40-60% 정도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가 외고정기기 착용시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방사선 투과성으로 신연골 부위의 방사선학적 판정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어 어린 소아의 족부 병변이나 선천성 경골 가관절증 등 복잡한 기구를 밀집해 장착해야 할 경우 특히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탄소섬유소재로 이루어진 체외 고정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주자직(Satin) 소재(1)를 45˚ 각도로 절단한 후 둘둘 말아서, 적당한 부피의봉체(5)로 만든 다음 이를 "C"자 모양의 금형에 넣어 "C"자형 프리프레그(5)를 압축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그런데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프리프레그(5)는 반원의 내측 부분에서는 탄소섬유의 배열이 압축하중 방향에서 예각으로 분포되기 때문에 압축하중에 대해서 버팀 정도가 작다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프리프레그(5)의 반원의 외측 부분은 인장하중에 대해서 탄성계수가 작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주자직을 쓰는 경우, 내·외측의 압축, 인장 탄성계수 저하 현상은 탄소섬유의 배열이 압축, 인장축으로 배열이 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섬유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띠로 자른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일정한 동심원을 갖도록 원통형 롤러에 감아 적층시킴에 의해 물성이 향상된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 물성을 위하여 고강도 탄소섬유와 고탄성 탄소섬유를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함과 동시에 적당한 양의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로 감아줌으로써 압축 및 인장력 등의 물성을 향상시킨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른 탄소섬유 소재 외고정기기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료 소재를 이용한 링타입의 외고정기기 제조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 ;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
11a ; 고강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
11b ;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
13 ; 프리폼
15 ; 평직 또는 주자직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섬유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테이프 형태로 자른 다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한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를 적층한 후 일정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원통형 롤러에 감아 "C"형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폼을 진공장치가 부착된 압축성형기로 가열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는 고강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와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강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에 혼합되는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의 함량은 8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C"자형 구조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외고정기기에 발생된 크랙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리폼의 외주에 소정량의 주자직 또는 평직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권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의 프리폼과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의 함량비율은 부피비로 3:1에서 8:1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는 매트릭스로서 300˚F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섬유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띠로 자른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일정한 동심원을 갖도록 원통형 롤러에 감아적층시킴에 의해 물성이 향상된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최적 물성을 위하여 고강도 탄소섬유와 고탄성 탄소섬유를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함과 동시에 적당한 양의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로 감아줌으로써 압축 및 인장력 등의 물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조방법)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 보강 복합재료 소재를 이용한 링타입의 외고정기기 제조공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주 요지는 시술시 가해지는 장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축 및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이 크도록 일방향 탄소섬유를 하중 축으로 배열시키고 섬유의 굽힘이 생기지 않도록 프리폼을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굽힘 현상 없이 적층을 하기 위하여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섬유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테이프 형태로 자른 다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를 준비한다(S1).
이 경우 상기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에 매트릭스로서 사용된 수지는 예를들어, 열경화성 수지로서 300˚F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에폭시수지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에는 고강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a)와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b)를 적절히혼용하여 최적의 물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고강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a)에 혼합되는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b)의 함량은 8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강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a)에 혼합되는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b)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취약성이 높아져서 나사 조임시 부서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고 고탄성 탄소섬유가 고강도 탄소섬유 보다 가격이 고가이므로 첨가되는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b)의 함량은 80중량% 미만으로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일방향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b)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외고정기기의 압축 탄성률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즉,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b)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강성도(Stiffness)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고탄성 탄소섬유와 고강도 탄소섬유를 적당한 비율로 사용하면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11)를 적층한 후 일정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원통형 롤러에 감아 "C"형 또는 링형 프리폼(13)을 형성한다(S2). 이 경우 상기 프리폼(13)에서 일방향 탄소섬유는 하중 축으로 배열되며 섬유의 굽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프리폼(13)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후 이와 같이 만든 프리폼(13)을 적당한 양의 주자직 또는 평직 프리프레그(15)로 감아준다(S3).
이 경우 주자직 또는 평직 프리프레그(15)로 프리폼(13)을 감아주는 이유는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만을 사용하여 외고정기기를 제조하였을 경우는 높은 하중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 크랙을 차단하지 못한다. 즉, 발생된 크랙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15)를 이용하여 프리폼(13) 주위를 감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의 프리폼(13)과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15)의 함량비율은 부피비로 3:1에서 8:1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리폼(13)에 권취되는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15)의 함량비율은 부피비로 3:1(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섬유의 굽힘 현상이 심해져서 물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8:1(11%) 미만인 경우에는 시술시 발생된 크랙을 차단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프리폼(13)에 권취되는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15)의 함량비율은 상기 범위로 결정된다.
그후 프리프레그(15)가 권취된 프리폼(13)을 진공장치가 부착된 압축성형기로 가열 성형하면 링타입의 외고정기기에 사용되는 "C"형 구조재를 얻게 된다(S4).
상기와 같이 압축성형기에 진공장치를 부착하여 가열 압축성형하면 성형된 외고정기기의 내부에 기공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물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에 따라 얻어지는 본 발명의 "C"형 구조재의 굴곡탄성률은 6Kgf/MM ~ 20Kgf/MM로 측정되어 종래 제품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탄성 탄소섬유의 보강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강도 일방향 탄소섬유와 고탄성 일방향 탄소섬유의 함량을 바꿔가며 "C"자형 구조재를 제조하였다. 고강도 일방향 탄소섬유와 고탄성 일방향 탄소섬유를 적당한 비율로 배열시킨 후 45˚각도로 절단된 직사각형의 3K 평직을 이용하여 둘둘 말은 다음 반원 형태의 모양으로 구부린 후 금형에 넣은 후 프레스로 압축성형하였다.
C-링 압축실험 결과 고탄성 일방향 탄소섬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굴곡탄성률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평직으로만 제조된 종래의 제품은 굴곡탄성률이 4Kgf/MM인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일방향 탄소섬유만으로 된 시편의 물성은 6Kgf/MM이었고, 고강도 일방향 탄소섬유에 20%의 고탄성 일방향 탄소섬유가 함유된 시편의 물성은 8Kgf/MM로 측정되었다.
(C-링 압축실험)
C-링의 굴곡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Instron Universal Tensile Machine을 사용하였으며 C자 모양의 복합재료를 양단부가 위/아래가 되도록 수직으로 세운 후 양 단부에 압축력을 작용시켜 힘과 변형률 관계 데이터를 얻었다. 힘과 변형률 관계 그래프에서 초기의 기울기로부터 C-링의 단위 두께당 굴곡탄성률을 계산하였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섬유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띠로 자른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일정한 동심원을 갖도록 원통형 롤러에 감아적층시킴에 의해 물성이 향상된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최적 물성을 위하여 고강도 탄소섬유와 고탄성 탄소섬유를 적절히 혼용하여 사용함과 동시에 적당한 양의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로 감아줌으로써 압축 및 인장력 등의 물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고강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와 고탄성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섬유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테이프 형태로 자른 다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한 다수의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를 적층한 후 일정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원통형 롤러에 감아 "C"형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와,
    외고정기기에 발생된 크랙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C"형 프리폼의 외주에 소정량의 주자직 또는 평직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권취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폼을 진공장치가 부착된 압축성형기로 가열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유니트의 프리폼과 평직 또는 주자직 프리프레그의 함량비율은 부피비로 3:1에서 8:1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자형 구조재의 굴곡탄성률이 6Kgf/MM ~ 20Kgf/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의 제조방법.
  9.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KR10-2000-0040024A 2000-07-12 2000-07-12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70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24A KR100370592B1 (ko) 2000-07-12 2000-07-12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24A KR100370592B1 (ko) 2000-07-12 2000-07-12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390A KR20020006390A (ko) 2002-01-19
KR100370592B1 true KR100370592B1 (ko) 2003-02-05

Family

ID=19677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0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0592B1 (ko) 2000-07-12 2000-07-12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5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5280B (zh) * 2017-08-22 2023-08-01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北京民用飞机技术研究中心 用于t型长桁的预成型和/或其与壁板定位的模具和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1229A (ja) * 1988-11-22 1990-05-30 Toho Rayon Co Ltd 繊維強化熱硬化性樹脂製曲管の成形方法
JPH02188232A (ja) * 1989-01-17 1990-07-24 Ryobi Ltd 釣竿、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等の積層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5192330A (en) * 1987-01-20 1993-03-09 Smith & Nephew Richards, Inc. Orthopedic device of biocompatible polymer with oriented fiber reinforcement
KR930003894A (ko) * 1991-08-13 1993-03-22 류경열 봉선화 손톱 메니큐어
WO1997030651A2 (en) * 1996-02-22 1997-08-2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xternal fixation device with composite rings
KR19990007964A (ko) * 1996-02-21 1999-01-25 히라이카쯔히코 섬유강화 복합재료용 에폭시수지조성물, 야안프리프레그 및 그제조방법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330A (en) * 1987-01-20 1993-03-09 Smith & Nephew Richards, Inc. Orthopedic device of biocompatible polymer with oriented fiber reinforcement
JPH02141229A (ja) * 1988-11-22 1990-05-30 Toho Rayon Co Ltd 繊維強化熱硬化性樹脂製曲管の成形方法
JPH02188232A (ja) * 1989-01-17 1990-07-24 Ryobi Ltd 釣竿、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等の積層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930003894A (ko) * 1991-08-13 1993-03-22 류경열 봉선화 손톱 메니큐어
KR19990007964A (ko) * 1996-02-21 1999-01-25 히라이카쯔히코 섬유강화 복합재료용 에폭시수지조성물, 야안프리프레그 및 그제조방법과 제조장치
WO1997030651A2 (en) * 1996-02-22 1997-08-2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xternal fixation device with composite 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390A (ko)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0383B2 (ja) 骨折固定、四肢伸張および奇形矯正の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Manteghi et al. Investig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failure modes of hybrid natural fiber composites for potential bone fracture fixation plates
US4892552A (en) Orthopedic device
US20200155208A1 (en) Metal alloy mono and poly-filament wire reinforced carbon fiber plating system
NO20035817L (no) Ortopedisk anordning for forbedret gange
US4813090A (en) Method of forming a custom orthotic device
JP3429527B2 (ja) 医療用支持材
Widhata et al. Water hyacinth (eceng gondok) as fibre reinforcement composite for prosthetics socket
KR100370592B1 (ko) 외고정기기용 탄소섬유 보강 ˝c˝자형 구조재 및 그의제조방법
JP3771360B2 (ja) 繊維強化複合材料製管状体
GREENE Traumatic Bowing of the Forearm in an Adult.
Tomanec et al. Optimization of the material of external fixator with FEM simulation
CN110101919A (zh) 一种高强度耐疲劳低弹性模量骨科植入物
Cochran et al. Aramid-epoxy composite internal fixation plates: a pilot study
CN1548168A (zh) 骨骼修复用连续碳纤维增强复合材料
Perez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a discontinuous random fiber composite for totally bioabsorbable fracture fixation devices
Shuib et al. Bamboo and glass fibre hybrid laminated composites as Locking Compression Plate (LCP) for tibia fracture treatment
Tomanec et al. Innovation of ilizarov stabilization device with the design changes
JP3257238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円筒体
RU2838491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в виде полукольца аппарата Илизарова на основе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полимерной термореактивной матрицей, армированной объемной цельнотканой 3D преформой в виде спиральной ленты
Ambrosio et al. Composite materials for bone fracture fixation
Oyewo et al. A review of woven natural fibre composite for spiral ankle foot orthosis
Lu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Fibre Composites and Thermoplastics as Rigid Components of Orthoses
KR100390392B1 (ko) 골절 치료용 체외고정기의 로드
CN2109184U (zh) 拇指掌骨骨折多用外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