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0449B1 - 자동통합검침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통합검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449B1
KR100370449B1 KR10-2000-0027844A KR20000027844A KR100370449B1 KR 100370449 B1 KR100370449 B1 KR 100370449B1 KR 20000027844 A KR20000027844 A KR 20000027844A KR 100370449 B1 KR100370449 B1 KR 10037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data
customer
meter reading
r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859A (ko
Inventor
이중설
최무영
Original Assignee
비콤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콤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콤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449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44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60Security, fault tolerance
    • G08C2201/61Password, biome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전기, 가스계량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계량기가 설치된 수용가를 한번의 방문으로 검침할 수 있도록 하여 계량기의 징수체계를 일원화하고, 방문지에서 직접 고지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통합검침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종 계량기의 징수체계를 일원화하여 관리인력을 줄일 수 있고, 방문지에서 고지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여 검침 후 요금청구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기계식 계량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가의 전자식 계량기로부터 근거리 통신으로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고, 상기 검침된 데이터를 통해 메인컴퓨터로부터 사용요금정보를 입력받아 검침고지서를 발급하도록 하는 통합검침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수단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수용가의 주소 및 각 계량기 종류의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수용가에서 수도, 전기, 가스 등이 사용된 량을 사전 설정된 시간단위로 카운트하여 기록하는 기억수단에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과 통신으로 사용량을 검침하는 단계; 상기 검침된 데이터와 함께 각 지역에 산재된 각 데이터 수집기의 식별코드를 메인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컴퓨터로부터 제공된 각 수용가의 요금정보에 따른 고지서를 발급하도록 하는 단계로 진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통합검침방법{Automatic Integration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통합검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계량기, 적산전력계, 가스계량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계량기가 설치된 수용가를 한번의 방문으로 검침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계량기의 징수체계를 일원화하고, 방문지에서 직접 고지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통합검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으로 수도, 전기, 가스요금은 종량제로써 사용한 만큼 요금을 내도록 되어 있는데, 공급라인(수도관, 전력선, 가스관)상에 설치되어 있는 계량기를 보고 검침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 수도, 전기, 가스의 검침은 모두 방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수용가에 설치된 수도계량기, 적산전력계, 가스계량기를 보고 기록한 후 각 관할기관에서 집계한 다음 우편으로 고지서 발급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검침부터 고지서 발급과정까지 전 과정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문에 의한 검침운영방식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검침자의 실수로 오류가 발생되어 재검침을 요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요금징수를 지연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검침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수도, 전기, 가스의 검침업무는 각각 방문에 의해 단순기록으로 이루어지는 비슷한 업무 진행과정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관할기관으로 업무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검침후 고지서를 발급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것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방문이 아닌 원격지에서 검침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 개발되었는데, 수도, 전기, 가스의 검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동검침시스템에는 5종류의 기본적인 타입이 있고, 이들은 주로 데이터통신 및 데이터 수집방법에 의해서 구별되어 있다. 이들에는, 전화다이얼 아우트바운드시스템, 전화다이얼 인바운드시스템, 쌍방향 전화시스템, 케이블 텔레비전시스템 및 무선시스템이 있다.
먼저, 전화다이얼 아우트바운드시스템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폴링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우고 있는데, 수용가(10a)(10b)의 전화회선(11a)(11b)에 미터인터페이스장치(12a)(12b)와, 소형전기통신모듈(14a)(14b)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검침은, 전화회사의 중앙오피스(16)에 있는 중앙오피스 억세스장치(18)를 호출해서, 중앙오피스 억세스장치(18)에 의해 전자계량기(20a)(20b)를 독해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사업체의 컴퓨터(22)가 일단 중앙오피스 억세스장치(18)로의 접속을 확립하면, 중앙오피스 억세스장치(18)가 사업체의 컴퓨터(22)로부터 수용가(10a)(10b)의 전화번호를 다이얼하는 것으로, 수용가(10a)(10b)의 미터인터페이스장치(12a)(12b)에 억세스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수용가(10a)(10b)의 전화벨은 울리지 않는다.
중앙오피스 억세스장치(18)로부터 전압 및 톤의 형태로 경보가 출력되면, 미터인터페이스장치(12a)(12b)가 전자계량기(20a)(20b)를 읽고, 정보를 사업체의 컴퓨터(22)로 중계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정보가 확인된 후, 전자계량기(20a)(20b)의 검침치 파일중에 격납된다.
또한, 전화다이얼 인바운드시스템은 첨부도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전화다이얼 아우트바운드시스템과는 반대로 각 미터인터페이스장치(30a)(30b)가 사업자의 컴퓨터(32)에 전화를 걸어 (통상은, 사전에 결정된 시간에), 전자계량기(34a)(34b)의 검침치를 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터인터페이스장치(30a)(30b)는, 원격측 전자계량기(34a)(34b)의 속에 집어 넣어지거나 별개로 설치되기도 하며, 전화회선이 이야기중이거나, 전자계량기(34a)(34b)의 검침중에 수화기가 들린 경우에는, 미터인터페이스장치(30a)(30b)는 후에 재다이얼 하게 된다. 또한, 다이얼 인바운드시스템은, 수도사업자측에 있는 데이터 수집장치(36)를 사용해서 착신을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이얼 인바운드시스템의 미터인터페이스장치(30a)(30b)는, 템포나 그 밖의 경보상태를 감지하면, 즉각 호출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자계량기(34a)(34b)는 시설의 요구에 응해서 독해를 할 수 있지만, 이것에는 수요자의 전화번호를 파악하여 놓은 것,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수요자의 협력이 필요해진다.
또, 미터인터페이스장치(30a)(30b)에서의 통화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시설내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 시스템장치는, 첨부도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뎀(40)을 포함한 전화회선접속장치(41), 중앙 네트워크 제어장치(42) 및 교환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일반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중앙처리장치(43)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처리장치(43)에는 화면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44a), 데이터 입력이나명령을 지시하기 위한 키보드(44b), 플로피디스크와 같이 소량의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한 백업장치(44c), 어플리케이션 운용을 위한 하드디스크(44d),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자기테이프(44e) 등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쌍방향전화(전화다이얼 인바운드/아우트바운드) 시스템은 무명동회선(無鳴動回線)을 사용하고 상술의 전화다이얼 아우트바운드시스템과 전화다이얼 인바운드시스템 양쪽의 기능을 조합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 시스템을 사용한 것으로, 전자계량기를 자유자재로 독해하고, 시설제어센터로부터의 지시를 필요에 따라 미터인터페이스장치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에서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가(50)에는 미터인터페이스장치(51)와, 전자계량기(52), 케이블접속장치(53)가 설치되고, 케이블 텔레비전 설비측(54)에는 신호인터페이스부(55)와, 데이터 인터페이스장치(56)가 설치되며, 관리국(57)에는 제어용 컴퓨터(58)와, 청구서 작성용 컴퓨터(59)가 설치된다.
이들 복수의 수용가(50)와, 관리국(57)의 연결은 케이블 텔레비전 설비측(54)에서 하게 되며, 케이블회선으로 선택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모든 미터인터페이스장치(51)의 단말신호를 모니터하지만, 적합한 어드레스를 보유하는 미터인터페이스장치(51)만이 응답하게 된다.
이 시스템은 각 전자계량기(52)로 접속되는 쌍방향 케이블 시스템과, 케이블을 필요로 하고, 또한 미터인터페이스장치(51)에는 독자전원을 필요로 한다.
또, 무선주파수를 모체로서 이용하고 있는 기본적인 자동검침시스템은,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수용가(60a)(60b)와 시설본부(61a)(61b)의 제어컴퓨터(62a)(62b)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수단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과, 이동 가능한 이동식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여기에서 전자계량기에는 송신기가 설치되고, 수신기는 임의의 장소에 설치된다. 즉,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고정된 장소(예컨대 : 시설본부의 근처 등, 무선탑상), 도 5에 보인 바와 같은 이동체(예컨대 : 자동차 등 비행기 또는 보행중에 휴대)에 두게 된다. 수신기를 갖는 데이터 수집기기(63a)(63b)(63c)가 이동식인 경우에는 시스템의 양측에 송신기와 수신기가 설치되고, 이동식장치가 근처에 가까이 왔을 때에만 알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고정장소에 수신기를 갖는 데이터 수집기기(63a)(63b)(63c)를 설치한 시스템은, 미터인터페이스장치(64a)(64b)에 사전설정된 시간, 또는 검침치가 변한 경우에 독해치를 운송하게 된다. 또한, 전파는 대상물로부터 반사, 잡음 및 신호의 감쇠 등과 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미터인터페이스장치(64a)(64b)의 설치장소에 따라 전송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최근의 자동검침시스템은 기존 방문에 의한 수동검침방식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인력낭비를 줄일 수 있고, 검침후 고지서발급까지에 걸리던 많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수도, 전기, 가스를 관할하는 기관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기존 수동검침에서와 같은 비효율적인 업무가 상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자동검침장치를 이용하려면, 기계식 계량기를 모두 고가의 전자식 계량기로 대치하여야 되기 때문에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고지서 발급만큼은 기존 방문에 의한 수동검침에서와 같이 각 수용가에 우편으로 발송하여야 되기 때문에 검침후 요금청구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여러 계량기의 징수체계를 일원화하여 관리인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방문지에서 직접 고지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여 검침후 요금청구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줄일 수 있으며, 기존 기계식 계량기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전자계량기도 이용할 수 있는 자동통합검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검침방법은 수용가의 전자식 계량기로부터 근거리 통신으로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고, 상기 검침된 데이터를 통해 메인컴퓨터로부터 사용요금정보를 입력받아 검침고지서를 발급하도록 하는 통합검침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수단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수용가의 주소 및 각 계량기 종류의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수용가에서 수도, 전기, 가스 등이 사용된 량을 사전 설정된 시간단위로 카운트하여 기록하는 기억수단에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과 통신으로 사용량을 검침하는 단계; 상기 검침된 데이터와 함께 각 지역에 산재된 각 데이터 수집기의 식별코드를 메인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컴퓨터로부터 제공된 각 수용가의 요금정보에 따른 고지서를 발급하도록 하는 단계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검침장치 중 전화다이얼 아우트바운드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a는 종래 자동검침장치 중 전화다이얼 인바운드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b는 종래 전화다이얼 인바운드시스템에서 미터인터페이스장치로부터의 통화를 받아들이기 위해 시설내에 설치되는 중앙 시스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종래 자동검침장치 중 케이블 텔레비전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4는 종래 자동검침장치 중 고정식 무선전화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5는 종래 자동검침장치 중 이동식 무선전화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통합검침방법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여러 종류의 계량기에 식별번호를 부여한 예를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통합검침방법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수집기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집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통합검침방법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구현되는 화면표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통합검침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전자계량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검침장치에 의해 발급되는 고지서의 형태를 보인 도면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통합검침장치의 흐름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M1,M2,‥‥,Mn : 계량기 100 : 디스플레이부
120 : 데이터 입력수단 140 : 데이터 저장수단
150 : 제어수단 152 : 프로그램 메모리부
154 : 데이터 메모리부 160 : 암호화수단
170 : 무선데이터 송/수신수단 180 : 암호해독수단
191 : 고지서 190 : 프린터
200 : 데이터 수집기 300 : 수용가
400 : 메인컴퓨터 500 : 기억수단
510 :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수단(120)으로부터 적어도 수용가의 주소와 계량기(M1,M2,‥‥,Mn)의 종류 등을 입력하기 위한 식별코드와, 사전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개월 단위)동안 사용된 량 등에 따른 검침량(혹은 사용량)을 나타내기 위한 검침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입력대기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때 검침원이 데이터 입력수단(120)으로부터 수용가(300)의 수도, 전기, 가스 등을 검침하기 위해 예컨대 주소와 계량기(M1,M2,‥‥,Mn)의 종류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수단(150)에서는 데이터 저장수단(140)에 일시 저장하고, 무선데이터 송/수신수단(170)을 통해 수용가의 전자계량기에 해당되는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510)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첨부도면 10도 참조) 전송된 데이터는 사용된 량에 따른 검침량이 기록 저장된 기억수단(500)의 검침량을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510)을 통해 무선데이터 송/수신수단(170)으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수단(150)은 전송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데이터 저장수단(140)에 저장하는 동시에 데이터 저장수단(140)에 저장된 수용가의 주소, 계량기의 종류 및 사용된 량에 따른 검침량 등을 검침데이터로 데이터 저장수단(140)에 재 저장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00)로 검침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어수단(150)에서는 데이터 저장수단(140)에 저장된 검침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수단(160)에서 암호화된 데이터와, 각 지역에 산재된 상기 데이터 수집기(200)를 구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코드와 함께 메인컴퓨터(400)로 전송된다. 이렇게 전송된 검침데이터와 식별코드는 메인컴퓨터(400)의 저장수단(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음)에 저장하면서 데이터베이스화시키게 된다.
메인컴퓨터(400)에서는 수용가의 검침데이터에 의해 사용요금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미납요금을 검색하게 되며, 수용가에서 미납요금정보가 검색이 되면 미납요금정보와 사용요금정보에 다른 요금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미납요금정보가 검색이 되지 않으면 사용요금정보를 암호화하여 무선데이터 송/수신수단(170)으로 전송된다. 전송된 데이터는 해독하는 암호해독수단(180)에서 판독하여 데이터 저장수단(140)에 저장한다.
검침자가 고지서 발급명령을 선택하게 되면 고지서(191)를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190)에서 고지서(191)를 발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계량기(M1,M2,‥‥,Mn)에 장착되어 기억수단(500)에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사용된 량에 따른 검침량을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510)과 데이터 수집기(200)가 일정반경 내에 위치하면, 검침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120)은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다수의 택트스위치 또는 터치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리셋키, 연속입력키, 전환키에 의해서 선택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문자 및 숫자입력키, 연속입력키, 데이터 전송키, 인쇄버튼, 취소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음)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기(200)는 예컨대, 케이스의 외부로 안테나와 LCD와 같은 액정 디스플레이부(100), 여러개의 버튼이 배열된 키패드, 직렬통신 커넥터 또는 병렬통신 커넥터, 프린터(190)의 배출구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 전자식으로 된 계량기는(M1,M2,‥‥,Mn)는 수용가(300)에 설치되며, 수도계량기의 경우에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도관의 메인공급라인 중간에 설치되는 날개바퀴와 카운터의 결합, 수량치를 누적하도록 구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전기 및 가스계량기의 경우에도 수도계량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사용치를 누적하도록 구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기계식 계량기의 경우에는 데이터 수집기(200)의 데이터 입력수단(120)으로 수용가의 검침량을 입력하도록 하여 수도, 전기, 가스계량기 등을 검침량을 검침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기(200)와 메인컴퓨터(400)간의 무선통신은 주파수 공용통신수단(TRS)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120)을 통해 입력되는 수용가(300)의 선택모드는 수용가의 주소를 나타내는 문자데이터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위 주소의 개념으로 문자데이터의 앞부분에는 시(도)를 나타내고, 뒤에는 구(군)과 동(읍) 그리고 이어지는 번지 및 호수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으로써, 우편번호에 의해 구분되어진 시(도), 구(군), 동(읍)으로 표시된 코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계량기(M1,M2,‥‥,Mn)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데이터 선택모드(120)를 통해 선택되는 식별코드는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용가(300)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 계량기(M1,M2,‥‥,Mn)에 서로 다른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 번호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식별번호는 스티커와 같은 인쇄물을 이용하여 각 계량기(M1,M2,‥‥,Mn)에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부착하여 이용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선택모드(120)를 통해서 수용가(300)와 계량기(M1,M2,‥‥,Mn)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 및 검침데이터의 입력을 마치고, 다른 종류의 계량기에 대한 식별코드와 검침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지시가 있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00)상의 주소입력창에 표시된 식별코드는 남겨두고, 계량기 종류를 나타내기 위한 식별코드와 검침데이터의 화면표시를 클리어 한 후 다른 계량기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와 검침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리는 동시에 입력이 있으면, 앞서 입력된 수용가(300)의 식별코드와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120)을 통한 데이터 입력순서는 예컨대, 수용가(300)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 계량기(M1,M2,‥‥,Mn)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 계량기(M1,M2,‥‥,Mn)로부터 읽혀지는 검침데이터 순으로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제어된다.
한편, 기존의 고지서 발급과정은 수도, 전기, 가스 등으로 분할하여 발급하는 것을 첨부도면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서(191)에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요금을 한 장의 통합하여 기록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발급되는 고지서의 단순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수용가에 따라 수도계량기와 적산전력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도와 전기요금을 통합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침원이 데이터 수집기(200)를 휴대한 상태에서 수용가(300)를 방문하여 방문한 후 데이터 수집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리셋신호가 있는 경우 제어수단(150)에 의해 프로그램 메모리부로부터 데이터 메모리부와 제어수단(150)의 레지스터로 데이터가 로드되어 디스플레이부(100)의 화면을 클리어하게 된다. (도 12의 단계 S1)
이때, 디스플레이부(100)의 주소입력창에서는 커서가 점멸되어 검침원으로부터 주소를 입력받을 수 있는 대기상태로 되어 주소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도 12의 단계 S2, S3)
이후, 데이터 입력수단(120)을 이용하여 검침원으로부터 주소입력이 있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00)의 주소입력창에 입력되고 있는 주소가 표시되는 동시에 데이터 저장수단(140)으로 입력된 주소 즉, 수용가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저장된다. (도 12의 단계 S4, S5)
이때, 디스플레이부(100)의 계량기 종류 입력창에서는 커서가 점멸되어 검침원으로부터 각 계량기(M1,M2,‥‥,Mn)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식별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대기상태로 되어 식별번호의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도 12의 단계 S6, S7)
이후, 검침원으로부터 식별번호의 입력이 있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00)의 계량기 종류 입력창에 입력되고 있는 식별번호가 표시되는 동시에 데이터 저장수단(140)으로 입력된 식별번호 즉, 계량기(M1,M2,‥‥,Mn)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가 저장된다. (도 12의 단계 S8, S9)
이때, 검침원에 의해 수용가의 주소 및 계량기의 종류가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수단(150)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수단(170)을 통해 사전설정된 기간동안 사용된 량에 따른 검침량이 기록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510)을 호출하게 되면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510)은 기억수단(500)에 기록 저장된 검침량을 무선데이터 송/수신수단(170)으로 검침량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전송된 검침량은 데이터 저장수단(140)으로 수용가의 주소, 계량기의 종류 및 검침량에 따른 검침데이터가 저장되며, 디스플레이부(100)의 표시영역으로 검침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도 12의 단계 S10, S11, S12, S13)
그리고, 하나의 수용가(300)에 수도계량기, 전삭전력계, 가스계량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계량기(M1,M2,‥‥,Mn)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보통인데, 이 경우에는 주소를 재입력할 필요 없이 연속입력의 지시가 있게 되면, 제어수단(150)은 디스플레이부(100)상의 주소입력창에 표시된 주소는 남겨두고, 계량기 종류를 나타내기위한 식별번호와 검침데이터의 화면표시를 클리어 한 후 다른 계량기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단계 S10, S11, S12, S13을 재실행하여 검침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즉, 데이터 입력수단(120)인 키입력장치에 예컨대, 연속입력키가 구비되어 이로부터 연속입력의 지시가 있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00)상의 계량기 종류 입력창을 화면 클리어 한 후 앞에서 설명한 계량기 종류 입력창에 커서를 점멸한 후 입력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도 12의 단계 S14, S15)
한편, 하나의 수용가(300)에 설치된 계량기(M1,M2,‥‥,Mn)의 검침을 마친 뒤에 예컨대, 키입력장치로부터 데이터 전송명령이 선택되면, 각 계량기(M1,M2,‥‥,Mn)에 따른 검침데이터를 암호화수단(160)을 통해 암호화 한 다음 데이터 수집기 식별코드와 함께 예컨대, 주파수 공용통신수단(TRS)을 이용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수단(170)에 의해 중앙센터의 메인컴퓨터(400)로 무선 전송하게 된다. (도 12의 단계 S16, S17, S18)
이때, 중앙센터에 설치된 메인컴퓨터(400)는 암호를 해독하는 동시에 각 지역에 산재된 여러 데이터 수집기(200)중에서 어느 데이터 수집기(20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었는가를 데이터 수집기 식별코드를 통해 인식하게 되고, 검침데이터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파일로 변환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파일로부터 수용가(300)의 주소에 해당하는 파일을 검색하여 사용요금을 산출하는 동시에 요금미납을 검색하여 수용가의 사용요금정보 혹은 수용가에 해당하는 주소지에 미납된 요금이 있는경우 사용요금정보와 미납요금정보를 찾은 다음 수신된 데이터 수집기 식별코드, 식별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수집기(200)로 재전송하게 된다.
중앙센터의 메인컴퓨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무선데이터 송/수신수단(170)을 통해 수신한 후 암호해독수단(180)을 통해 암호를 해독하여, 중앙센터의 메인컴퓨터(400)로부터 전해지는 데이터라는 것으로 인식한 다음 사용요금정보와 미납요금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도 12의 단계 S19, S20, S21)
한편, 방문한 수용가(300)에서 직접 고지서(191)를 발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예컨대, 키입력장치에 마련된 인쇄버튼을 통해 고지서 발급명령을 데이터 수집기(200)에 지시하게 되면, 제어수단(150)은 프린터(190)를 통하여 고지서(191)를 출력하게 된다. (도 12의 단계 S22, S23)
한편,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140)이 분리/결합이 가능한 리무버블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도12의 단계 S16에서 데이터 전송명령이 취소된 경우에는 중앙센터로 복귀하여 데이터 저장수단(140)을 데이터 수집기(200)로부터 분리하여 메인컴퓨터(400)에 접속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접속한 후 데이터를 억세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140)이 분리할 수 없는 일반적인 PCB 실장형인 경우에는 데이터 수집기(200)와 메인컴퓨터(400)간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속한 후 데이터 억세스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도, 전기, 가스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계량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종 계량기의 징수체계를 일원화할 수 있게 되어 관리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소비자가 원하거나 필요에 의해 방문지에서 직접 고지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요금청구서의 우편발송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검침후 요금청구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자식 계량기는 물론이고, 기존 기계식 계량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식 계량기로 대치하기 위해 재투자되는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시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수용가의 전자식 계량기로부터 근거리 통신으로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고, 상기 검침된 데이터를 통해 메인컴퓨터로부터 사용요금정보를 입력받아 검침고지서를 발급하도록 하는 통합검침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수단으로부터 적어도 상기 수용가의 주소 및 각 계량기 종류의 식별코드를 입력받아 수용가에서 수도, 전기, 가스 등이 사용된 량을 사전 설정된 시간단위로 카운트하여 기록하는 기억수단에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데이터 통신모듈과 통신으로 사용량을 검침하는 단계;
    상기 검침된 데이터와 함께 각 지역에 산재된 각 데이터 수집기의 식별코드를 메인컴퓨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컴퓨터로부터 제공된 각 수용가의 요금정보에 따른 고지서를 발급하도록 하는 단계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통합검침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0-0027844A 2000-05-23 2000-05-23 자동통합검침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7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844A KR100370449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통합검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844A KR100370449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통합검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59A KR20010106859A (ko) 2001-12-07
KR100370449B1 true KR100370449B1 (ko) 2003-01-29

Family

ID=1966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8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0449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통합검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002A (ko) * 2000-07-31 2002-02-07 강찬형 다계량 단일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KR20030090330A (ko) * 2002-05-23 2003-11-28 (주)한국방재엔지니어링 바코드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59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2234B2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
KR100532907B1 (ko) 휴대 기기, 휴대 단말용 어태치먼트 및 휴대 기기를 이용한 시스템
US7248179B2 (en) Electronic meter reader system and method
CN1114894C (zh) 测量民用电、热、水、气用量的系统
CN105246061A (zh) 一种移动通信业务的服务终端
JP2014220726A (ja) 検針システム
JP2008176780A (ja) データ提供方法、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934868B1 (ko) 선불형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 동작 방법
US20010029498A1 (en) Payment act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KR100370449B1 (ko) 자동통합검침방법
KR200202810Y1 (ko) 통합검침장치
KR100372591B1 (ko) 통합검침방법
KR200202811Y1 (ko) 자동통합검침장치
JP4594374B2 (ja) データ提供方法
KR19980013712A (ko) 기간 통신망을 이용한 미터기 무선 검침 시스템
KR20010106858A (ko) 자동통합검침장치
JPH1164014A (ja) 測位装置、地域情報提供装置及び課金装置
KR20010106857A (ko) 통합검침장치
JP2002074570A (ja) 計量装置及び検針装置並びに検針システム
JP2005352631A (ja) 収支管理システム、収支管理方法及び代行サーバ並びに携帯通信端末
KR200193929Y1 (ko) 무선데이터 송수신(pcs 및 위성전화기)시스템을이용한 자동검침장치
KR20000063234A (ko) 원격 검침 시스템
JP2001266283A (ja) 検針システム
ES2157758A1 (es) Sistema de gestion remoto, de control fiscal, utilizacion fraudulenta y de localizacion geografica de maquinas accionadas por monedas o por tarjetas.
JP4770037B2 (ja) 検針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0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