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0042B1 - 드럼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042B1
KR100370042B1 KR10-2000-0079275A KR20000079275A KR100370042B1 KR 100370042 B1 KR100370042 B1 KR 100370042B1 KR 20000079275 A KR20000079275 A KR 20000079275A KR 100370042 B1 KR100370042 B1 KR 10037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aundry
tub
center line
longitudina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947A (ko
Inventor
박관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0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보호하면서 지지하는 터브가 경사져 있는 드럼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의 내측둘레면에 일체화되어 있는 세탁날개의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세탁날개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세탁조의 길이방향 중심선(X1)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세탁을 위해 세탁조가 회전할 때 상기 세탁조 내의 뒷쪽에 몰려 있던 세탁물이 점점 앞쪽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2)와 상기 세탁조를 보호하면서 지지하는 터브(3)가 경사져 있고, 상기 세탁조의 내측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세탁날개(10)가 일체화된 것에 있어서, 각 세탁날개(10)의 길이방향 중심선(X1)이 세탁조(2)의 길이방향 중심선(X2)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각 세탁날개(10)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 세탁기{drum washer}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보호하면서 지지하는 터브가 경사져 있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의 내측둘레면에 일체화되어 있는 세탁날개의 위치를 달리하여 세탁이 진행되는 도중에 세탁물의 유동이 어느 한쪽으로 어긋나면서 일어나지 않고 전부분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면서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는 본체(1) 내에서 원통형상의 세탁조(2)가 눕혀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도록 한 세탁기로서, 세탁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오히려 세탁용량은 더 늘릴 수 있음은 물론 포꼬임 등의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인해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관련 기술 또한 급속히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의 종래 구조에서 세탁조(2)는 원통형상으로 된 터브(3) 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터브에 고정된 모터(4)의 구동력을 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터브(3)는 본체(1) 내에 탄력 지지되어 있다.
상기에서 본체(1) 내에 터브(3)를 탄력 지지하기 위해, 상기 터브의 상부 양측은 지지스프링(5)에 의해 지지됨과 함께 하부 양측은 댐퍼(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터브(3) 내로 세탁 및 헹굼에 필요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수단을 갖추고 있고, 상기 세탁 및 헹굼에 사용하였던 물을 터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수단을 갖추고 있는데, 상기 배수수단에 의한 배수는 배수펌프(7)의 구동시 배수호스(8)를 통해 이루어 진다.
그리고, 본체(1)의 전면에는 세탁조(2) 내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해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시켜 주도록 도어(9)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탁조(2)의 내측둘레면에는 세탁조의 회전시 세탁물을 위쪽으로 끌고 올라가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세탁날개(10)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9)를 열어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세탁조(2) 내로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과 함께 세제를 투입한 다음 다시 도어(9)를 닫고, 본체(1)의 콘트롤부에 구비된 세탁모드를 선택하면 세탁행정 → 행굼행정 → 탈수행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세탁이 완료된다.
즉, 세탁모드를 선택하면 급수수단이 작동하여 터브(3)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세탁조(2) 내로 세탁에 사용될 물이 급수되고, 상기 급수된 물이 적정수위 만큼 채워지고 나면 급수는 중단됨과 동시에 터브(3)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4)가 작동하여 정,역구동하므로 상기 세탁조(2)가 모터(4)의 구동력을 감속된 상태로 받아 정,역회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세탁조(2)의 내측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세탁날개(10)가 아래에 있는 세탁물을 위로 끌어 올려주고, 상기 세탁날개에 의해 위로 끌어 올려진 세탁물은 최고점까지 위로 올라간 다음 중력에 의해 다시 아래로 떨어지므로 이 과정에서 수류의 발생 및 세탁조(2)와의 마찰과 세제의 분해력 등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된다.
상기 세탁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세탁에 사용되었던 물이 배수되고 난후 세탁행정시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헹굼을 수행하고, 상기 헹굼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배수 후 곧바로 탈수행정이 수행되는데, 상기 탈수행정시에는 세탁조(2)가 모터(4)의 구동력을 감속없이 그대로 받아 일정시간 동안 고속 회전하므로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이 상당부분 빠져나가고, 이에 따라 탈수가 완료되면서 세탁의 모든 과정이 종료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세탁조(2) 내의 물이 배수되는 것은, 배수펌프(7)가 구동하여 펌핑력을 발생시키므로 가능한데, 상기 배수펌프의 구동시에는 세탁조(2) 내에 있는 물이 배수호스(8)를 통해 배수된다.
한편 세탁조(2)의 회전에 의해 세탁 및 탈수가 수행되어 질 때는 진동력이 발생되고, 이 진동력은 그대로 터브(3)까지 전달되므로 상기 터브가 진동될려고 하는데, 상기 터브(3)의 상부 양측은 지지스프링(5)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있음은 물론 하부 양측은 댐퍼(6)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터브(3)까지 전달된 진동력이 지지스프링(5) 및 댐퍼(6)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고, 이에 따라 실제로 본체(1)까지 전달되는 진동력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게되어 상기 본체가 심하게 흔들리거나 하지 않아 소음이 크게 줄어들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종래 드럼 세탁기에서 세탁조(2) 및 터브(3)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이 임의의 수평선상과 나란하도록 수평상태일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 중심선이 임의의 수평선상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상태일 수도 있는데, 상기 세탁조(2) 및 터브(3)가 경사진 상태일 때는 도어(9)의 중심이 모터(4)의 중심보다 위쪽에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드럼 세탁기를사용하는 과정에서 세탁물 투입구를 통한 세탁조(2) 내로의 세탁물 투입과 상기 세탁조 내에 들어 있는 세탁물의 외부 인출이 매우 편리하게 되어 실제로 상당수의 업체에서는 세탁조(2)와 터브(3)가 경사진 상태의 드럼 세탁기를 출시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탁조(2) 및 터브(3)가 경사져 있는 드럼 세탁기에 있어서는 세탁을 위해 상기 세탁조(2) 내로 투입된 세탁물은 처음부터 모터(4)쪽인 뒷쪽으로 몰려 있게 되는데, 상기 세탁조(2)의 내측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각 세탁날개(10) 또한 상기 경사진 세탁조(2)의 중심선상과 나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 뒷쪽에 있는 세탁물은 세탁이 진행되더라도 그대로 뒷쪽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세탁조(2)가 회전할 때 세탁물이 한쪽에 뭉쳐있게 되므로 세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세탁조(2)의 뒷쪽으로 집중 하중이 작용하게 됨에 따라 과부하에 의한 모터(4)의 고장이 자주 발생되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보호하면서 지지하는 터브가 경사져 있는 드럼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의 내측둘레면에 일체화되어 있는 세탁날개의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세탁날개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세탁조의 길이방향 중심선(X1)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세탁을 위해 세탁조가 회전할 때 상기 세탁조 내의 뒷쪽에 몰려 있던 세탁물이 점점 앞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드럼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 드럼 세탁기를 구성하는 세탁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드럼 세탁기를 구성하는 세탁조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드럼 세탁기를 구성하는 세탁조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드럼 세탁기를 구성하는 세탁조를 또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Ⅲ-Ⅲ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세탁조 3. 터브
10. 세탁날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보호하면서 지지하는 터브가 경사져 있고, 상기 세탁조의 내측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세탁날개가 일체화된 것에 있어서, 각 세탁날개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세탁조의 길이방향 중심선(X1)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각 세탁날개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드럼 세탁기를 구성하는 세탁조를 일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드럼 세탁기를 구성하는 세탁조를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드럼 세탁기를 구성하는 세탁조를 또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Ⅲ-Ⅲ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 드럼 세탁기의 구성중 기 설명된 종래의 드럼 세탁기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조(2)의 내측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각 세탁날개(10)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상기 세탁조(2)의 길이방향 중심선(X1)과 일정각도(θ)를 유지하도록 상기 각 세탁날개(10)가 기울어진 구조이다.
상기 각 세탁날개(10)는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전체가 하나로 일체화된 세탁날개편일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6 및 또다른실시예로 도시한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전,후로 양분되어 전방쪽 세탁날개편(10a)과 후방쪽 세탁날개편(10b)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나뉘어진 전방쪽 세탁날개편(10a)과 후방쪽 세탁날개편(10b)이 동일한 길이방향 중심선(X2)을 갖고 있고,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나뉘어진 전방쪽 세탁날개편(10a)과 후방쪽 세탁날개편(10b)이 서로 다른 길이방향 중심선(X2′)(X2″)을 갖고 있다.
상기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전,후로 나뉘어져 양분된 세탁날개(10)중 전방쪽 세탁날개편(10a) 사이로 후방쪽 세탁날개편(10b)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쪽 세탁날개편(10a)의 길이방향 중심선(X2′) 사이 가운데에 후방쪽 세탁날개편(10b)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정확히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 한데, 이는 모든 세탁날개(10)가 세탁조(2)의 내측둘레면에 일체화된 상태에서 그 방사상 각도가 세분화되도록 함에 따라 세탁물의 이동이 더욱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드럼 세탁기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할 때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따른 작용은 종래 드럼 세탁기의 작용을 참고하면 이해 가능하리라 생각되어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요부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만 구체화하기로 한다.
세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경사진 상태의 세탁조(2)가 회전하면, 상기 세탁조 내의 후방쪽으로 몰려 있던 세탁물이 세탁조(2)의 내측둘레면에 일체화되어 있는 복수개의 세탁날개(10)에 의해 아래에서 위로 끌어 올려지는데, 상기 세탁조(2)의 내측둘레면에 일체화되어 있는 각 세탁날개(10)는 그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상기 세탁조(2)의 길이방향 중심선(X1)과 일정각도(θ)를 유지하도록 한쪽으로 기울어진 구조임을 감안할 때 위로 끌어 올려지는 과정에서의 세탁물은 세탁날개(10)에 안내되면서 전방쪽으로 어느 정도 이동하게 되고, 이에따라 세탁물이 세탁날개(10)에 의해 위로 끌어 올려질 때 세탁조(2)의 후방쪽에 뭉쳐있지 않고 전부분으로 골고루 퍼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세탁날개(10)의 기울어 짐은 각 실시예에서 세탁조(2)의 중심선(X1)을 기준으로 할 때 후방쪽에서 전방쪽으로 하향경사져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세탁조(2)의 중심선(X1)을 기준으로 할 때 전방쪽에서 후방쪽으로 상향경사져 있어도 된다.
한편 세탁조(2)의 내측둘레면에 일체화되어 있는 각 세탁날개(10)는 일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하나로 일체화된 세탁날개편일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 및 또다른 실시예와 같이 전,후로 양분되어 전방쪽 세탁날개편(10a)과 후방쪽 세탁날개편(10b)으로 나뉘어질 수도 수도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을 달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세탁조의 또다른 실시예와 같이 전,후로 나뉘어져 양분된 세탁날개(10)중 전방쪽 세탁날개편(10a)과 후방쪽 세탁날개편(10b)이 서로 다른 길이방향 중심선(X2′)(X2″)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방쪽 세탁날개편(10a)의 길이방향 중심선(X2′) 사이 가운데에 후방쪽 세탁날개편(10b)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정확히 위치되어 있다면, 상기 각 세탁날개(10)의 방사상 각도가 서로 동일하면서 더욱 세분화됨에 따라 세탁물의 이동이 더 더욱 원활해짐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경사져 있는 세탁조의 내측둘레면에 일체화된 세탁날개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상기 세탁조의 길이방향 중심선(X1)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세탁날개가 기울어져 있으므로 세탁을 위해 세탁조가 회전할 때 상기 세탁조 내의 뒷쪽에 몰려 있던 세탁물이 점점 앞쪽으로 이동하므로 세탁물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포된 상태에서 윗쪽으로 올라간 다음 떨어지면서 세탁이 행하여 짐에 따라 세탁물이 깨끗한 상태로 세탁이 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상기 세탁조의 뒷쪽으로 세탁물에 의한 집중 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과부하로 인한 모터의 고장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보호하면서 지지하는 터브가 경사져 있고, 상기 세탁조의 내측둘레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세탁날개가 일체화된 것에 있어서, 각 세탁날개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세탁조의 길이방향 중심선(X1)과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각 세탁날개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세탁날개는 전체가 하나의 세탁날개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세탁날개는 전,후로 양분되어 전방쪽 세탁날개편과 후방쪽 세탁날개편으로 나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전,후로 양분되어 나뉘어진 전방쪽 세탁날개편과 후방쪽 세탁날개편은 그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전,후로 양분되어 나뉘어진 전방쪽 세탁날개편과 후방쪽 세탁날개편은 그 길이방향 중심선(X2′)(X2″)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전,후로 양분되어 나뉘어진 전방쪽 세탁날개편 사이로 후방쪽 세탁날개편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쪽 세탁날개편의 길이방향 중심선(X2′) 사이 가운데에 후방쪽 세탁날개편의 길이방향 중심선(X2″)이 정확히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KR10-2000-0079275A 2000-12-20 2000-12-20 드럼 세탁기 KR10037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275A KR100370042B1 (ko) 2000-12-20 2000-12-20 드럼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275A KR100370042B1 (ko) 2000-12-20 2000-12-20 드럼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947A KR20020049947A (ko) 2002-06-26
KR100370042B1 true KR100370042B1 (ko) 2003-01-30

Family

ID=2768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275A KR100370042B1 (ko) 2000-12-20 2000-12-20 드럼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0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947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380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0689338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100550526B1 (ko) 드럼세탁기
KR20000014198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방법
JP200710521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465724B1 (ko) 드럼세탁기의 리프트
KR100370042B1 (ko) 드럼 세탁기
KR100470135B1 (ko) 세탁기
KR100223707B1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KR200219819Y1 (ko) 세탁조 외부날개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_
KR102560061B1 (ko) 의류처리장치
JP4661521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300574B1 (ko) 경사가변 세탁기
KR100719842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회전 배수 제어 방법
KR100223703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707417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배수 및 탈수 제어 방법
KR20010010616A (ko) 샤워급수와 밸런싱 기능을 갖는 세탁기 급수장치
KR100215629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JP3311673B2 (ja) 洗濯機の運転方法
JP2006000548A (ja) 洗濯機
KR20000007694U (ko) 드럼세탁기의 드럼
KR100214177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20006998A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탈수 제어방법
KR19990038604U (ko) 세탁기의 세탁물 순환장치
JPH1032847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