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8835B1 - 온간압연법을이용한고강도강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온간압연법을이용한고강도강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835B1
KR100368835B1 KR10-1998-0059808A KR19980059808A KR100368835B1 KR 100368835 B1 KR100368835 B1 KR 100368835B1 KR 19980059808 A KR19980059808 A KR 19980059808A KR 100368835 B1 KR100368835 B1 KR 10036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hot
hot rolling
water cooling
wi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3429A (ko
Inventor
이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5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835B1/ko
Publication of KR2000004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8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열간압연설비를 이용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함에 있어 수냉에 의한 페라이트 변태 종료 후 권취 직전에 압연한 뒤 권취함으로서 페라이트 내에 소성변형을 잔류시켜 가공경화 기구에 의한 강화효과를 활용함으로서 별도의 합금원소 첨가 없이 고강도강을 제조하도록 한 온간 압연법을 이용한 고강도 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간압연, 수냉각, 권취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연속식 열간압연설비를 이용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함에 있어서, 가공경화에 의한 고강도화를 목적으로 수냉각대(40) 후면과 권취기(60) 전면 사이에 연속식 온간압연기(50)를 설치하여 페라이트 재결정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온간압연을 행함으로서 고강도 열연강대를 제조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온간 압연법을 이용한 고강도 강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high strenght steel using warm rolling}
본 발명은 연속식 열간압연설비를 이용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함에 있어 수냉에 의한 페라이트 변태 종료 후 권취 직전에 압연한 뒤 권취함으로서 페라이트 내에 소성변형을 잔류시켜 가공경화 기구에 의한 강화효과를 활용함으로서 별도의 합금원소 첨가 없이 고강도강을 제조하도록 한 온간 압연법을 이용한 고강도 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간압연 설비에 의한 강대의 제조공정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슬라브(slab)를 연속식 열간압연기를 통해 소정의 두께로 압연한 뒤 수냉각대에서 적정온도까지 수냉하여 코일(coil)형태로 권취하게 되며, 이를 대기중에 방치하여 상온까지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열연 압연을 거쳐 생산된 열연강대의 기계적 성질은 다음과 같은 인자들에 의해 결정된다.
1. 합금원소 : 최종소재의 상분율, 결정입경, 고용강화량, 석출강화량 등을 결정하게 되며, 주요 합금원소로는 일반강의 경우 탄소, 망간이 있으며, 합금강의 경우 크롬, 몰리브덴, 티타늄, 바나듐, 니오븀 등이 첨가된다.
통상의 강종설계란 목표로 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기 위해 이러한 합금원소들을 적절히 첨가함을 의미한다.
2. 열간압연 조건 : 최종제품의 형상을 얻기 위해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상태에서 열간압연이 행해지는 중 소재 재결정 현상을 반복적으로 겪음으로서 결정립이 미세화 된다.
따라서 열간압연 조건이 최종제품의 미세조직에 영향을 미쳐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3. 수냉각 조건 : 열간압연된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상태의 소재는 수냉각대를 지나면서 냉각되어 페라이트(ferrite)로의 상변태가 일어난 후 권취하게 된다.
이때 상변태 거동은 수냉각 속도, 권취온도 등에 의해 지배되며 이와 같은 냉각 조건에 따라 미세조직의 종류, 상분율, 입경 등이 변화하므로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키게 된다.
종래의 열연강대 제조는 상기한 강종설계 및 열연 및 냉각의 공정조건을 적절히 조합하여 소정의 기계적 성질을 얻도록 제조하게 된다. 이때 열간압연 종료 온도는 Ar3(상변태 개시온도) 변태점 이상이며, 활용되는 강화기구는 합금원소 및 냉각에 의한 미세조직 강화이다.
본 발명은 연속식 열간압연설비를 이용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함에 있어 수냉에 의한 페라이트 변태 종료 후 권취 직전에 압연한 뒤 권취함으로서 페라이트 내에 소성변형을 잔류시켜 가공경화 기구에 의한 강화효과를 활용함으로서 별도의 합금원소 첨가 없이 고강도강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열간압연, 수냉각, 권취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연속식 열간 압연설비를 이용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함에 있어서, 가공경화에 의한 고강도화를 목적으로 수냉각대 후면과 권취기 전면 사이에 연속식 온간압연기를 설치하여 페라이트 재결정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온간압연을 행함으로서 고강도 열연강대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열연강대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간압연에 의한 고강도 열연강대 제조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열간압연법 및 본 발명의 온간압연법에 의해 제조한 소재의 인장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가열로 20 : 조압연기
30 : 마무리 압연기 40 : 수냉각대
50 : 온간 압연기 60 : 권취기
본 발명은 통상의 연속식 열간압연설비에 의해 열연강대를 제조하는 공정에있어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냉각대(40) 후면과 권취기(60) 전면 사이에 압연판의 진행속도와 동기되는 연속식 온간압연기(50)를 설치하여 적절한 온도로 수냉각이 종료된 열연판이 권취되기 직전에 소정의 압하를 줌으로써 상변태가 완료된 페라이트상에 변형을 가한 뒤 권취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온간압연에 의한 소성변형에 의해 페라이트상 내에는 다량의 전위가 도입된다. 이와 같은 전위는 권취 후 압연코일 자체의 잠열에 의해 상온까지 서서히 공냉되면서 어닐링 되어 안정한 전위구조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연신율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온간압연(50)을 거쳐 제조한 열연강대는 종래의 열간압연법으로 동일한 강도의 제품 제조시 요구되는 합금원소를 절약함으로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합금원소 저감에 따라 용접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방법 즉 온간압연에 의한 강화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탄소 함량이 0.05wt%, 망간함량이 0.7wt%인 소재를 이용하여 열간압연 및 온간압연 모사시험을 행하였다.
그결과 종래의 열간압연 방법으로는 오스테나이트 영역인 900℃에서 마무리 압연 한 후 40℃/초의 냉각속도로 수냉하여 상변태를 시킨 후 600℃에서 권취 하였으며, 온간압연의 경우는 동일한 냉각속도로 700, 600, 500℃ 의 세가지 온도로 수냉하여 상변태를 시킨 후 20%의 압하율로 온간압연을 행한 후 권취하였다.
도 3은 이와 같이 제조된 소재로 부터 인장시편을 채취하여 인장시험을 행한 결과를 그래프에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열간압연법으로 제조된 소재의 경우 항복강도 약 21㎏/㎟, 인장강도 약 31㎏/㎟, 연신율 약 41%의 인장특성이 얻어짐을 나타낸다. 700℃에서 온간압연 한 경우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가 종래의 열간압연법의 경우에 비해 오히려 약 7㎏/㎟ 정도 감소함을 보이며, 이는 이 온도에서 온간압연 후 페라이트의 결정 및 성장이 일어나 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600℃ 및 500℃에서 온간압연한 경우는 종래의 열간 압연법에 의한 경우보다 항복강도는 13∼16㎏/㎟, 인장강도는 7∼9㎏/㎟ 정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어 온간 압연법에 의해 고강도화가 쉽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온간압연에 의한 가공경화를 이용하여 고강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페라이트의 재결정이 일어나지 않는 700℃ 이하에서 온간압연을 행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온간압연을 거쳐 제조한 열연강대는 종래의 열간압연법으로 동일한 강도의 제품 제조시 요구되는 합금원소를 절약함으로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합금원소 저감에 따라 용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열간압연, 수냉각, 권취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연속식 열간압연설비를 이용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함에 있어서, 가공경화에 의한 고강도화를 목적으로 수냉각대(40) 후면과 권취기(60) 전면 사이에 연속식 온간압연기(50)를 설치하여 500℃이상 내지 700℃미만의 온도에서 온간압연을 행함으로서 고강도 열연강대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간 압연법을 이용한 고강도 강의 제조방법.
KR10-1998-0059808A 1998-12-29 1998-12-29 온간압연법을이용한고강도강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6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808A KR100368835B1 (ko) 1998-12-29 1998-12-29 온간압연법을이용한고강도강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808A KR100368835B1 (ko) 1998-12-29 1998-12-29 온간압연법을이용한고강도강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429A KR20000043429A (ko) 2000-07-15
KR100368835B1 true KR100368835B1 (ko) 2003-03-31

Family

ID=1956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8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8835B1 (ko) 1998-12-29 1998-12-29 온간압연법을이용한고강도강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006A1 (ko) * 2011-12-20 201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생산성 및 자기적 성질이 우수한 고규소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006A1 (ko) * 2011-12-20 2013-06-27 주식회사 포스코 생산성 및 자기적 성질이 우수한 고규소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49093B1 (ko) * 2011-12-20 2014-10-13 주식회사 포스코 생산성 및 자기적 성질이 우수한 고규소 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0134513B2 (en) 2011-12-20 2018-11-20 Posco High silico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roductivity and magnetic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3429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37906B (zh) 制造抗拉强度等级为590MPa、可加工性优异且在其材料性能方面偏差小的高强度冷轧/热轧DP钢的方法
CN102080192B (zh) 一种低屈强比高塑性超细晶粒高强钢及其制造方法
JPH1177102A (ja) Cps−設備により幅広ホットストリップを圧延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圧延設備
CN106756563A (zh) 抗拉强度800MPa级极薄规格热轧宽带钢及生产方法
CN101422784A (zh) 超细晶镁合金薄板轧制技术
CN100447280C (zh) 冲压级低碳钢热轧薄板及其制造方法
CN101748342B (zh) 高强度18Cr-8Ni不锈钢热轧中厚板及其制造方法
CN109082607A (zh) 一种无取向硅钢及其热连轧生产方法
CN101693253A (zh) 铁素体区轧制高强if钢的方法
CN106591742A (zh) 高碳含硫铁素体易切削不锈钢及其生产方法
CN109881083A (zh) 一种薄带铸轧700MPa级耐候钢及其生产方法
KR101245702B1 (ko) 인장강도 590MPa급의 가공성 및 재질편차가 우수한 고강도 냉연 DP강의 제조방법
KR101245698B1 (ko) 인장강도 590MPa급의 재질편차가 우수한 고강도 열연 고버링강의 제조방법
KR100368835B1 (ko) 온간압연법을이용한고강도강의제조방법
CN110358976A (zh) 一种高碳钢薄带及其生产方法
JP2002069534A (ja) 薄鋼板および薄鋼板の製造方法
CN114231823A (zh) 一种低残余应力q355b低合金钢板的制备方法
JP3716638B2 (ja) フェライト+ベイナイト組織を有する高張力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S63145718A (ja) 加工性の優れた超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CN116145038B (zh) 一种厚度均匀的热轧高强钢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1162723A (ja) 伸びフランジ性の優れた高強度熱延薄鋼板の製造方法
KR102178677B1 (ko)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5700B1 (ko) 인장강도 590MPa급의 가공성 및 재질편차가 우수한 고강도 냉연 TRIP강의 제조방법
JPH08283845A (ja) 靱性の優れたCr系ステンレス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H105810A (ja) 熱延連続化プロセスを用いた成形性に優れた加工用薄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