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8623B1 - 다방향 조작스위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조작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623B1
KR100368623B1 KR10-2001-0007304A KR20010007304A KR100368623B1 KR 100368623 B1 KR100368623 B1 KR 100368623B1 KR 20010007304 A KR20010007304 A KR 20010007304A KR 100368623 B1 KR100368623 B1 KR 10036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eripheral
key top
pushe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633A (ko
Inventor
구리야마미치히로
Original Assignee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62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중앙스위치와 그 주위에 설치된 주변스위치를 갖고, 키톱(40)을 가압조작하여 소망의 스위치를 구동하는 다방향 스위치에 있어서,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와 키톱하면의 사이에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푸셔(50)의 기초부(51)에 끼우도록 하여 푸셔의 아암부(52)를 키톱하면에 고정하고, 키톱하면과 푸셔의 기초부(51)의 사이에 공극(4G)을 설치하여, 키톱(40)이 프레임(70)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된다.

Description

다방향 조작스위치{MULTI-DIRECTION SWITCH}
본 발명은 예를들면 휴대전화등의 기기의 입력조작부에 사용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다방향 조작스위치로서 예를들면 센터클릭이 붙어있는 4방향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스위치는 중앙과 그 주위 4방향(전후좌우)에 배치된 총 5개의 스위치를 갖고 있고, 키톱중앙을 밑으로 눌러내림으로써 중앙의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고, 키톱의 전후좌우의 어느쪽을 눌러서 키톱을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그 누른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위치(주변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a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No. 11-331329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센터클릭이 붙어있는 4방향 스위치구조의 종래예를 표시한 것이고, 간격을 두고 인접대향한 고정접점(도시하지 않음)이 쌍으로 복수형성된 프린트 배선판(11)상에 중앙가동접점(12)과 주변가동접점(13)이 배치되고, 그 위에 키톱(14)이 배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중앙가동접점(12)은 돔형상으로 가공된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가 가압됨으로써 반전동작하여 프린트 배선판(1)상의 고정접점쌍에 접촉하여 고정접점간을 도통시킨다. 이로써, 중앙스위치는 온으로된다. 이 반전동작에 의하여 소망의 클릭감(절도)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한편, 주변가동접점(13)은 예를들면 단책(短冊)상의 탄성금속판의 양단이 서로 외측으로 L자를 이루도록 굽힘가공되어, 양단부가 프린트배선판(11)상에 설치되고, 중간부가 소요의 간극을 두고 고정접점쌍과 평행대향하는 형상으로 되고, 이 중간부가 눌려짐으로써 탄성변형되어 고정접점쌍과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더욱이, 이들 중앙가동접점(12) 및 주변가동접점(13)은 그들을 덮도록 편면접착시트(15)에 의하여 프린트배선판(11)상에 고정되어 있다.
키톱(14)에는 그 둘레면의 하면측에 플랜지(16)가 설치되어 있고, 이플랜지(16)가 하우징(17)에 형성된 걸림부(18)에 의하여 걸리게됨으로써, 키톱(14)은 빠짐방지되어 하우징(17)의 구멍(19)에 수용되어 있다.
키톱(14)의 하면에는 중앙가동접점(12)에 대응한 중앙가압돌기(21)와, 각 주변가동접점(13)에 대응한 주변가압돌기(22)가 설치되어 있고,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조작상태에서 중앙가압돌기(21)와 중앙가동접점(21)은 탄성접촉하고, 이로써, 플랜지(16)가 걸림부(18)에 탄성적으로 압접(押接)되어 있다. 더욱이, 중앙가압돌기(21)의 키톱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주변가압돌기(22)의 높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있어서는 키톱(14)의 중앙을 밑으로 눌러내림으로써, 중앙가동접점(12)이 반전하여, 중앙스위치가 온으로되기는 하지만, 이경우 주변가압돌기(22)는 중앙가압돌기(21)보다 높이가 낮기 때문에, 주변가동접점(13)은 고정접점에 접촉하지 않고, 즉 주변스위치는 온으로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주변스위치를 온으로하기 위하여, 키톱(14)의 둘레가장자리를 누르면, 키톱(14)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른측과 반대측의 하우징(17)의 걸림부(18)가 지지점이되어 기울어진다. 이때문에, 누른측의 주변가동접점(13)이 주변가압돌기(22)에 의하여 눌려짐과 동시에, 중앙가동접점(12)도 중앙가압돌기(21)에 의하여 눌려져 버리고, 이것에 의해 중앙가압돌기(21)에 의한 중앙가동접점의 변형이 크면 반전이 일어나고, 중앙스위치도 온으로 되어 버린다.
이 사실은 중앙스위치를 불필요하게 조작하는 것으로 되고, 또 그 정도의 키톱(14)에 대한 가압력(押壓力)을 필요로 하고, 또한 클릭감이 발생하기 때문에, 조작감이 현저히 손상되고, 조작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문제에 비추어, 주변스위치를 조작할(온으로 할) 때, 중앙스위치가 온으로 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우수한 조작성이 얻어지도록 한 다방향 조작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스위치와 그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주변스위치를 갖고, 키톱을 가압조작하여 소망의 스위치를 구동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는, 중앙고정접점과, 그 중앙고정접점을 둘러싸는 원주상에 배열된 복수의 주변고정접점을 갖는 배선기판과,
상기 중앙고정접점상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중앙고정접점과 함께 상기 중앙스위치를 형성하는 돔형상 중앙가동접점과,
각 상기 주변고정 접점상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대향하는 상기 주변고정접점과 함께 대응하는 주변스위치를 형성하는 주변가동접점과,
상기 중앙가동접점의 상방에 배치된 중앙판부와, 그 중앙판부의 주변에서 상기 배선기판을 향하여 구부러진 복수의 각부와 상기 중앙판부의 중앙하면에서 상기 배선기판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지지점부를 갖고, 상기 배선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방에 위치하는 키톱과,
상기 키톱을 수용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기판상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앙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키톱의 하면과 대향하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키톱의 하면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아암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면중앙에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지지점부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기초부의 하면중앙에 상기 중앙가동접점과 대향하여 형성된 중앙가압돌기를 갖는 푸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푸셔의 기초부의 상면과 상기 키톱하면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앙판부를 상기 키톱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키톱의 회전운동 중심은 종래기술의 경우와 같이, 키톱의 가압단과 직경방향에 반대측의 단부로 되지 않고, 프레임과 푸셔가 걸어맞추는 키톱의 거의 중심을 회전운동 지지점으로 하므로 주변스위치와 중앙스위치가 동시에 구동될 가능성이 적다.
상기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각 상기 아암부의 하면에는 각 상기 주변가동접점에 대향한 주변가압돌기를 상기 푸셔의 각 아암부의 하면에 설치하여도 좋고(청구항 2), 상기 키톱의 하면에 설치하여도 좋다(청구항 4).
상기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있어서, 예를들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의 내주면에 복수의 유지편이 돌출설치되고, 상기 각부는 L자형상으로 서로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그들 유지편과 상기 배선기판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각부의 선단이 각각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청구항 6).
또는 중앙에 상기 푸셔의 기초부를 수용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각부는 상기 슬릿을 걸쳐서 부착된 부착판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선기판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키톱의 하면에 형성된 주변가압돌기는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주변가동접점에 대향하여 있다(청구항 8).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두께를 얇게할 수가 있다.
혹은, 중앙부에 상기 푸셔를 수용하는 개구와, 그 개구의 둘레가장자리에 형성된 고리형상 리지를 갖고, 상기 키톱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형상 끼워맞춤홈에 상기 고리형상 리지가 끼워맞춰진 탄성시트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선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청구항 9).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회전운동기구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혹은, 고리형상 판부와, 그 고리형상 판부의 내주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한 복수의 프레임 지지돌출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각부가 각각 상기 프레임 지지돌출부에 고정된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의 상기 고리형상판부를 상기 배선기판에 접착하는 중앙이 잘라내어진 양면접착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키톱의 상기 주변가압돌기 및 상기 푸셔는 상기 양면접착시트가 잘라내어진 영역위에 위치하고 있다(청구항 11). 이 구성에 의하여 다방향 스위치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b는 도 1a와 45도 방향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도 2에 있어서 4A-4A단면도,
도 4b는 도 2에 있어서 4B-4B단면도,
도 5a는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4A-4A단면도,
도 5b는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4A-4A단면도,
도 5c는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4A-4A단면도,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4A-4A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a는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에 있어서 9-9단면도,
도 9b는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에 있어서 9-9단면도,
도 9c는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7에 있어서 9-9단면도,
도 10은 도 7에 있어서 10-10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3a는 제 3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1에 있어서 13-13단면도,
도 13b는 제 3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1에 있어서 13-13단면도,
도 13c는 제 3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1에 있어서 13-13단면도,
도 14는 도 11에 있어서 14-14단면도,
도 15는 제 4 실시예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 부분 분해사시도,
도 17a는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의 17-17단면도,
도 17b는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의 17-17단면도,
도 17c는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의 17-17단면도,
도 17d는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의 17-17단면도,
도 18a는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의 18-18단면도,
도 18b는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5의 18-18단면도,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4방향스위치를 다방향 조작스위치의 일례로서 설명한다. 도 2는 중앙스위치를 갖는 4방향스위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4방향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4방향스위치의 4A-4A단면 및 4B-4B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 5b, 5c는 동작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프린트 배선판(31)의 표면에는 중앙고정접점(32), 및 4개의 주변고정접점(33)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주변고정접점(33)은 중앙고정접점(32)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열형성되어 있다. 중앙고정접점(32)은 한군데가 절단된 고리형상전극(32a)과, 그 내측에 동심원형상으로 형성된 원형전극(32b)으로 이루어진다. 주변고정접점(33)은 U자형상전극(33a)과 그 U자내에 형성되는 봉형상전극(33b)으로 이루어진다. 34는 이들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을 나타낸다.
중앙고정접점(32)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위치결정되는 돔형상 중앙가동접점(35)과, 각 주변고정접점(33)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위치결정되는 4개의 주변가동접점(36)은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는 탄성금속판(37)의 4변에 인접하여 4개의 구멍(38)을 천공(펀칭)하여, 프레스가공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중앙가동접점(35)은 탄성금속판(37)의 중앙에 형성되고, 4개의 각부로부터 대각방향으로 펴진 4개의 브리지(37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주변가동접점(36)은 탄성금속판(37)의 각변을 따라 형성된다. 즉, 주변가동접점(36)은 평면단책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부(36a)에 지지된 중간부(36b)는 탄성금속판(37)의 판면을 기준으로하여 소정의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금속판(37)은 스프링성을 갖는 베릴륨동판 혹은 스테인레스판으로 구성된다. 중앙고정접점(32)과 돔형상 중앙가동접점(35)에 의하여 중앙스위치(320)가 형성되고, 주변고정접점(33)과 주변가동접점(36)에 의하여 주변스위치(330)가 형성된다. 사각형상을 이루는 편면접착시트(39)는 중앙가동접점(35)과 주변가동접점(36)이 일체형성되는 탄성금속판(37)을 프린트배선판(31)의 표면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이것을 프린트배선판(31)의 표면에 고정하는 시트이고, 하면에 점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키톱(40) 및 하우징(10)에 대하여 설명하면, 키톱(40)은 대략 원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각판상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0)에는 키톱(40)을 수용하는 수용구멍(10H)이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수용구멍(10H)의 내주면에는 후에 설명되는 프레임(70)의 각부(72)의 선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편(11)이 중앙을 향하여 돌출형성 되어 있다.
합성수지로 형성된 푸셔(50)는 키톱(40)의 하면측에 부착된다. 이 푸셔(50)는 중심이 중앙고정접점(32)과 일치하는 기초부(51)와, 기초부(51)로부터 방사상으로 90°의 등각도 간격으로 연장된 4개의 아암부(52)로 이루어진다. 기초부(51)의 상면은 아암부(52)의 상면보다 낮은 오목부(51R)로 된다. 기초부(51)의 하면에는 중앙가동접점(35)에 대응하는 도 4a,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같은 중앙가압돌기(5CP)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52)의 선단하면에는 각 주변가동접점(36)에 대응하는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같은 주변가압돌기(5PP)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가압돌기(5CP)의 푸셔(50)의 하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주변가압돌기(5PP)의 높이보다 크게되어 있다. 프레임(7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중앙판부(71), 중앙판부(71)로부터 90°의 등각도 간격으로 푸셔(50)의 아암과 45°어긋나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중간부분에서 하향으로 구부러지고, 그들의 선단부가 다시 서로외측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된 4개의 각부(72)로 이루어진다. 중앙판부(71)의 하면측에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점부(71P)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점부(71P)는 구면형상을 이루는 돌출부로 되어 있다. 프레임(70)은 예를들면 스테인레스판과 같은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판을 형발(型拔),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다. 프레임(70)은 둘레가장자리를 가압함으로써, 경사지는 키톱(40)의 회전운동의 중심으로 된다.
푸셔(50)의 기초부(51)의 상면중앙에는 프레임(70)에 형성되는 지지점(71P)에 대하여 회전운동, 또는 걸어맞춤분리하는 걸어맞춤부(50R)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50R)는 지지점부(71P)의 구면형상돌출부와 걸어맞춤하는 곡면을 갖는 오목부에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각 부재의 조립에 대하여 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린트배선판(31)의 표면에 가동접점(35,36)이 일체 형성된 탄성금속판(37)의 탑재위치를 결정하고, 편면접착시트(39)를 씌워 이것을 고정한다. 한편 키톱(40)와 푸셔(50)는 푸셔(50)의 오목부(51R)에 프레임(70)이 중앙판부(71)을 얹고, 걸어맞춤부(50R)에 프레임(70)의 지지점부(71P)를 걸어맞춘 상태에서 푸셔(50)의 아암부(52)의 상면을 키톱(40)의 하면에 아암부(52)와 대향하여 돌출형성된 4개의 대좌(41P)에 접착고정한다. 이로써, 프레임(70)은 그 중앙판부(71)가 푸셔(50)의 중앙부분과 키톱(40)의 하면의 사이에 구성된 공극(4G)내에 수용유지된 상태로 된다. 이 프레임(70)과 푸셔(50)가 조립된 키톱(40)을 하우징(10)위로부터 수용구멍(10H)내로 배치하고, 키톱(4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프레임(70)의 각부(72)가 유지편(11)의 하측으로 되도록 위치조정한다. 그 상태에서 하우징을 편면접착시트(39)상에 배치하고, 프레임(70)의 각부(72)를 유지편(11)과 편면접착시트(39)사이에 끼운상태에서 하우징(10)을 도시하지 않은 예를들면 나사고정에 의하여 배선기판(31)에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하여, 도 2에 도시되는 외관 및 도 4a, 4b에 도시되는 단면형상의 중앙스위치(320)를 갖는 4방향스위치를 완성한다. 이 4방향스위치는 도 4a, 4b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는 중앙가동접점(35)의 상방에, 위치결정되어, 중앙가동접점(35), 중앙가압돌기(5CP), 걸어맞춤부(50R) 및 지지점부(71P)는 동축상에 위치된다. 중앙가동접점(35)과 중앙가압돌기(5CP)는 탄성접촉하여 있고, 이로써 걸어맞춤부(50R)와 지지점부(71P)도 키톱(4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5a, 5b, 5c는 이상의 4방향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키톱(40)의 좌우의 둘레가장자리를 각각 가압조작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 5c는 키톱(40)의 중앙을 가압조작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a,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키톱(40)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압조작하여 키톱(40)을 경사지게함으로써, 조작한 측의 주변가압돌기(5PP)에 의하여 대응하는 주변가동접점(36)이 가압되고, 이로써 주변가동접점(36)은 탄성변형하여 주변고정접점(33)과 접촉하고, 전극(33a과 33b)(도 3참조)을 도통시킨다.
이때, 키톱(4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70)의 지지점부(71P)를 지지점으로하여 회전운동하므로, 키톱(40)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아래로 누른 경우에 중앙가동접점(35)에는 가압력은 거의 소요되지 않고, 중앙가동접점(35)은 반전동작하지 않고, 중앙스위치는 도통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 5c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키톱(40)의 중앙을 가압조작하면, 중앙가압돌기(5CP)에 의하여 중앙가동접점(35)이 가압되고 반전동작하여 중앙고정접점(32)과 접촉하여 전극(32a 과 32b)을 도통시킨다. 이경우, 주변가압돌기(5PP)는 중앙가압돌기(5CP)와 비교하여 푸셔(50)의 하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으므로, 주변스위치 접점은 도통하지 않는다. 어느 경우일지라도, 키톱(4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접점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푸셔(50)의 중앙부분과 키톱(40)의 하면 사이에 구성되는 공극(4G)은 이상의 각 동작에 있어서, 일체화된 키톱(40)과 푸셔(50)의 지지점부(71P)를 지지점으로 하는 회전운동변위를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가 방해하지 않는 치수로 설정된다.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수용하는 공극(4G)은 이 예에서는 푸셔(50)에 오목부(51R)(도 3참조)를 설치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수용하는 공극(4G)은 이 예에서는 푸셔(50)에 오목부(51R)를 설치함으로써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들면, 이 오목부(51R)를 설치하지 않고, 푸셔(50)의 상면을 평평한 면으로하여, 키톱(40)의 대좌(41P)를 소요의 높이로 높게해서도 형성할 수가 있다.
이 예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중앙가동접점(35)과 주변가동접점(36)을 한 장의 탄성금속판(37)으로 일체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프레임(70)의 프린트 배선판(31)에 대한 고정은 하우징(10)의 프린트 배선판(31)에의 설치(고정)에 의하여, 그 수용구멍(10H)에 설치된 유지편(11)에 의하여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고정을 위한 새로운 부재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프레임(70)은 이 예에서는 금속제로 하고 있지만, 예를들면 수지제로 할 수도 있다. 다만 강도(강성)의 점에서 금속제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6은 상술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각 주변가동접점(36)의 중간부(36b)의 높이를 높게하여, 키톱(40)의 비조작 상태에서 주변가동접점(36)과 대응하는 주변가압돌기(5PP)가 맞닿도록 한 변형실시예이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키톱(40)중앙을 밑으로 눌러내릴 때의 키톱(40)의 흔들거림을 억제할 수가 있고, 키톱(40)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은 푸셔(50)는 키톱(40)에 고정되고, 그 키톱(40)과 푸셔(50)사이에 배치된 중앙판부(71)로부터 프레임(70)의 각부(72)가 돌출하여, 배선기판(31)에 고정되고, 이로써 키톱(40)은 배선기판(3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게다가 배선기판(31)에 고정된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에 대하여, 기톱(40)의 하면(혹은 푸셔(50)의 상면)이 회전운동가능하도록, 키톱(40)과 푸셔(50)사이에 공극(4G)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술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도 4a, 4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조립후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있어서, 푸셔(50)는 가동접점(35)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프레임(70)의 하면측에 바이어스 되고, 중앙판부(71)의 지지점부(71P)가 푸셔(50)에 형성된 걸어맞춤부(50R)와 탄성적으로 대접(對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의 하면과 그에 대향하는 푸셔(50)의 상면간에 푸셔가소망의 각도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갭(g)이 형성되도록 지지점부(71P)의 중앙판부하면으로부터의 높이(h)와, 걸어맞춤부(50R)의 푸셔오목부(54)상면으로부터 길이(d)(도시하지 않음)가 d+g=h, g>o로 되도록 정해져 있다. 이때, 중앙판부(71)의 상면과 그에 대향하는 키톱(40)의 하면 사이도 갭이 형성되고, 그 크기는 푸셔의 최대 필요회전운동각을 허용하고, 동시에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키톱(40)의 중앙을 밑으로 눌러내리고 중앙스위치(320)를 온으로 하는데 필요로하는 키톱(40)의 최소눌러내림 거리 보다도 크게되어 있다.
이들의 기본구성과 필요조건은 후에 설명하는 다른 모든 실시예에 대하여도 공통이다.
상술의 제 1 실시에에서는 각 가동접점을 일체형성한 경우에 의하여 설명하였지만, 돔형상 중앙가동접점과 4개의 주변가동접점은 각각이 별체로, 주변가동접점도 돔형상 가동접점과 동일하도록 돔형상으로 형성한 가동접점을 사용하도록 하거나 혹은 별체의 메탈돔을 주변가동접점내에 넣음으로써 주변가동접점에도 보다 확실한 클릭감을 갖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
상술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키톱(40)을 가압 조작하여 중앙스위치 및 4개의 주변 스위치를 각각 따로따로 독립하여 동작할 수가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의 푸셔(50)가 두껍기 때문에, 다방향 조작 스위치의 형상이 두껍게 되는 것, 유지편(11)의 아래에 프레임(70)의 각부(72)를 위치맞춤하여 배선기판(31)과 끼우는데 시간이 걸리고, 다방향 조작스위치 조립 작업성이 나쁜것, 또,중앙가동접점(35)과 주변가동접점(36)은 동일 스프링성 금속 박판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키톱에 대한 과대한 가압력으로 복수의 스위치가 동시에 온으로 된 경우, 그들의 스위치 사이가 단락되어 버리므로, 다방향 조작스위치가 사용되는 전자회로의 설계에 제약이 있는 것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점을 개선한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사시도로 도시하는 제 2 실시예의 다방향 조작스위치는 그 분해도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배선기판(31)이 기판(31B)과, 그 표면에 첩부(貼付)된 프린트 배선시트(31A)로 구성되어 있고, 그 프린트 배선 시트(31A)의 표면에는 중앙고정접점(32) 및 4개의 주변고정접점(33)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주변고정접점(33)은 중앙고정접점(32)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중앙고정접점(32) 및 4개의 주변고정접점(33)은 어느 것이나, 동심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심원형 전극과 고리형상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고정접점(32,33)으로부터 인출선(34)이 인출되어 있다.
돔형상 중앙가동접점(35)과 4개의 돔형상 주변 가동접점(36)은 개별로 설치되고, 어느 것이나 클릭반전하는 반전접점을 구성하고 있다. 중앙고정접점(32)과 돔형상 중앙가동접점(35)에 의하여 중앙스위치(320)가 형성되고, 주변고정접점(33)과 돔형상 주변가동접점(36)에 의하여 주변스위치(330)가 형성된다.
하면을 점착면으로 하는 사각형상의 편면 접착시트(39)는, 중앙가동접점(35) 및 4개의 주변가동접점(36)을 프린트 배선시트(31A)의 표면에 형성되는 중앙고정접점(32) 및 4개의 주변고정접점(33)의 고리형상전극을 둘러싸도록 위치 결정하여 여기에 고정하는 것이다. 31H는 관통구멍이다.
돔형상 중앙가동접점(35)을 누르는 푸셔(50)는 금속판으로부터 형발, 프레스가공으로 만들어지고, 판상기초부(51)로부터 십자를 형성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아암부(52)를 갖고, 그 아암부(52)의 선단이 기초부(51)의 판면에서 직각으로 솟아오르도록 굴곡되어 부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중심부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하향으로 돌출한 구면형상의 중앙가압돌기(5CP)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70)은 금속판으로부터, 형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거의 직사각형의 중앙판부(71)와, 중앙판부(71)의 각각의 각부에 형성된 4개의 안내각부(72) (도 10 참조)로 이루어진다. 중앙판부(71)의 중심부에도 하향으로 프레스가공하여 구면상의 지지점부(71P)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프레임(70)의 4개의 안내각부(72)는 부착판(60)에 형성한 4개의 끼움구멍(61H) (도 10 참조)에 끼워 고정되고, 다시 편면접착시트(39)의 구멍(39H) 및 배선기판(31)의 구멍(31H)에 끼워져 있다. 또, 부착판(60)의 중앙부에는 굵은 십자형상 슬릿(60S)이 4개의 관통구멍(61H)의 대각방향과 45도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이 십자형상 슬릿(60S)의 중앙에 푸셔(50)의 기초부(51)가 위치하고, 아암부(52)가 그 십자 슬릿(60S)의 가지에 침입하고 있다. 이 푸셔(50)의 기초부(51)는 도 9 및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판(60)의 십자 슬릿(60S)의 두께내에 위치하여 있고, 부착판(60)은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고 있다.
상술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키톱(40)의 하면과 푸셔(50)의 상면간에 공극(4G)을 형성하도록 키톱(40)의 하면중앙에는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가 헐겁게 끼움배치되는 거의 직사각형의 중앙 오목부(41R) (도 9A 참조)가 형성되고, 그의 직사각형 중앙오목부(41R)의 각변의 외측에 푸셔(50)의 부착부(53)가 끼워 맞춰진 부착편 슬릿(41S)(도 9A)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원주상에서 서로 인접하는 주변스위치(330)의 둘레방향 중간위치에 대응하는 키톱(40)의 하면 영역에는, 보스(41B)(도 10 참조)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인접스위치가 동시에 온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앙가동접점(35)은 푸셔(50)의 중앙가압돌기(5CP)에 의하여 가압되지만, 이에 대하여, 주변가동접점(36)은 키톱(40)의 하면에 각각 주변가동접점과 대응하여 형성된 주변가압돌출부(4PP)(도 9a 참조)에 의하여 슬릿(60S)을 통하여 직접가압구동된다.
하우징(10)의 중앙부에는 키톱(40)이 위치결정되는 키톱수용구멍(10H)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4방향 스위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판(31B)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는 프린트 배선시트(31A)에 형성된 중앙고정접점(32) 및 주변고정접점(33)에 대하여, 돔형상 중앙가동접점(35) 및 돔형상 주변가동접점(36)을 위치결정하고, 그들의 위에서 편면접착시트(39)를 프린트 배선시트(31A)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의 하면이 부착판(60)의 상면에 달하기까지 프레임(70)의 안내각부(72)를 끼움구멍(61H)에 끼우고, 접착제로 안내각편(72)을 부착판(60)에 접착고정한다. 혹은 끼움구멍(61H)의 단면을 작게 형성하여 안내각편(72)을 압입한다.
키톱(40)의 하면과 푸셔(50)사이에, 부착판(60)에 설치된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개재시켜, 키톱(40)의 하면에 형성된 부착편슬릿(41S)에 대하여, 푸셔(50)의 부착부(53)를 압입 끼워맞춤(嵌合)하고, 이들 삼자를 연결한다.
이로써,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는 키톱(40)의 하면의 중앙 오목부(41R)내에 키톱(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이 상태에서, 부착판(60)으로부터 아래로 돌출한 프레임(70)의 안내각편(72)을 편면접작시트(39)의 관통구멍(39H) 및 배선기판(31)의 관통구멍(31H)에 끼워 부착판(60)을 편면접착시트(39)위에 위치결정하고, 배선기판(31)과 부착판(60)과 하우징(10)을 포개어 맞추어서 접합, 나사고정 그 외의 수법에 의하여 삼자를 일체화한다.
키톱(40)의 하면과 푸셔(50)사이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공극(4G)이 형성되어있으므로, 배선기판(31)에 고정된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는 키톱(40)을 가압조작한 경우에 경사 변위하는 장해로 되지 않는다. 키톱(40)의 하면과 푸셔(50) 사이의 결합은 푸셔(50)의 부착부(53)를 키톱(40)의 슬릿(41S)에 압입 끼워맞춤함으로써 실시되고 있지만, 이 부분을 접착제에 의하여 상호접합하여서도 실시할 수가 있다.
부착판(60)에는 중앙부에 십자형상슬릿(60S)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60S)을 통하여 키톱(40)과 키톱 수용구멍(10H)의 간극에서의 먼지 및 물방울이 진입할 염려가 있다. 이 물방울 및 먼지의 진입은 부착판(60)의 하면에 방진 방적시트를접합함으로써 저지할 수가 있다. 부착판(60)의 하면에 슬릿(60S)을 포위하며 실링을 접합고정함으로써도, 물방울 및 먼지의 진입을 저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4방향 스위치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키톱(40)을 가압조작하여 중앙스위치(320) 및 4개의 주변스위치(330)를 각각 따로따로 독립하여 동작할 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예는 제 1 실시예 있어서 푸셔(50)를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있던 것을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한 푸셔(50)로 변경한 것으로 인하여, 4방향스위치를 박형화할 수가 있다. 또, 각각의 가동접점을 독립하여 설치하였으므로 복수의 스위치가 동시에 온으로 되더라도 스위치간의 단락은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서로 인접하는 주변스위치의 둘레방향중간부에 대응하는 키톱의 하면영역의 둘레방향중간부에 보스(41B)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주변스위치를 동시가압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선기판(31)에는 관통구멍(31H)이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배선시트(31A)의 표면에는 중앙고정접점(32) 및 4개의 주변고정접점(3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접점(32, 33)과 그들에 대향하는 가동접점(35, 36)의 구성과 배치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고, 또, 그들 가동접점(35, 36)이 편면접착시트(39)에 의하여 프린트배선시트(31A)상에 위치결정 고정되는 점도 제 2 실시예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돔형상 중앙가동접점(35)을 가압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십자형상 푸셔(50)는 도 8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초부(51)로부터 십자형상을 이루도록 연장한 4개의 아암부(52)와 그 선단이 솟아오르도록 구부러진 부착부(53)를 갖고, 기초부(51)의 중심에는 하향으로 프레스가공하여 구면형상의 가압돌기(5CP)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70)은 거의 직사각형의 중앙판부(71)의 각부로부터 중앙판부(71)에 직각으로 배선기판(31)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안내편(72G)을 갖는 각부(72)를 4개 갖는다. 이들의 각부(72)는 중앙판부(71)가 배선기판(31)으로부터 소망의 높이로 되도록, 중간에 단부(72S)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판부(71)의 중심부에는 하향으로 프레스가공되어 구면형상 지지점부(71P)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유연한 고무시트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탄성시트(80)는 그 둘레가장자리에 두께가 비교적 큰 둘레가장자리틀부(81)을 형성하여 유연한 부분이 지지되고, 중앙부에 키톱(40)의 직경보다 작고, 또한 키톱 하면의 중앙오목부(41R)보다 큰 직경의 개구(80H)가 설치되고, 그 개구(80H)의 둘레가장자리에 두께가 비교적 큰 고리형상 리지(82)가 형성되어 있다.
키톱(40)은 그 주위에 확장된 키톱시트(40A)와 일체성형에 의하여 형성되고, 키톱(40)의 주위에는 키톱(40)이 주변스위치의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4개의 원호형상 절결부(40C)가 키톱시트(40A)에 형성되어 있다. 이 키톱시트(40A)와 편면접착시트(39)사이에 탄성시트(80)가 끼워져 배치되고,키톱(40)의 하면의 중앙오목부(41R)의 외측에 형성된 고리형상 끼워맞춤홈(41G)(도 13A)에 탄성시트(80)의 고리형상 리지(82)가 탄성적으로 끼워맞춰져 있다. 키톱(40)의 하면에는 프레임(70)이 헐겁게 끼워 배치되는 중앙오목부(41R)가 형성되어 있다.
푸셔(50) 및 프레임(70)은 탄성시트(80)의 개구(80H)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더욱이,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는 주변스위치(330)의 둘레방향 중간에 대응하는 키톱(40)의 하면영역에서는 보스(41B)(도 1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중앙부에 키톱(40)이 수용위치 결정되는 키톱수용구멍(10H)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하측에 배치된 탄성시트(80)와 키톱(40)이 고리형상리지(82)와 고리형상 끼워맞춤홈(41G)에 접합된 상태에서 키톱(40)의 조작이 가능하고, 따라서 스위치의 가압기구내에 먼지나 액체등의 이물질이 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의 조립은 우선, 푸셔(50)의 4개의 부착부(53)사이에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감싸고 부착부(53)를 키톱하면의 슬릿(41S)에 압입한다. 다음에 탄성시트(80)의 개구(80H)내에 프레임(70)과 푸셔(50)를 수용하고, 키톱(40)의 하면의 탄성시트 끼워맞춤홈(41G)에 탄성시트(80)의 고리형상 리지(82)를 끼워맞춤 고정하고 탄성시트(80)와 키톱시트(40A)를 포개어 맞춘다. 다음에 탄성시트(80)를 편면접착시트(39)위에 위치결정 배치하고, 프레임(70)의 4개의 각부(72)사이에 푸셔(50)를 감싸고 프레임(70)의 각부(72)의 단부(72S)가 편면접착시트(39)에 부딪칠때까지 프레임(70)의 각부(72)의 안내편(72G)을 편면접착시트(39)의관통구멍(39H), 프린트배선시트(31A) 및 기판(31B)의 관통구멍(31H)을 통하여 기판(31B)의 이면에 돌출시키고 여기서 코킹하여 프레임(70) 및 십자형상 푸셔(50)를 배선기판(31)에 부착한다.
이로써, 프린트 배선시트(31A)에 형성되는 중앙스위치(320)의 상면에 십자형상 푸셔(50) 및 프레임(70)을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최후에, 하우징(10)을 그 수용구멍(10H)내에 키톱(40)을 수용하도록하여 키톱시트(40A)상에 포개어 맞추고, 기판(31B)과 탄성시트(80)와 키톱시트(40A)의 적층에 하우징(10)을 나사고정 그 외의 수법에 의하여 고정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키톱(40)은 탄성시트(80)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으므로, 푸셔(50)에 부착부(53)를 설치하지 않고, 단순히 푸셔(50)의 아암부(52)를 중앙가동접점(35)의 탄성력에 의하여 키톱(40)의 하면에 가압해두어도 좋다.
이상의 제 3 실시예도 키톱(40)의 중앙오목부(41R)의 내부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수용하고, 돔형상 중앙가동접점(35)을 가압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십자형상 푸셔(50)를 키톱(40)에 조립함으로써, 4방향 스위치를 박형할 수가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주변스위치에 대응하는 키톱의 하면영역의 둘레방향 중간부에 보스(41B)를 돌출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주변스위치를 동시가압조작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 4 실시예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70)은 그 각부(72)의 안내편(72G)을 배선기판(31)의 구멍에 끼우고, 코킹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번잡하고,이 점을 개선한 실시예를 도 15 내지 1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서 키톱의 디자인(형체, 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도 17a에는 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키톱(40)의 상면을 형성하는 톱페이스(41F)를 별체로 형성하고, 소망의 디자인의 톱페이스(41F)가 키톱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하는 제 4 실시예의 사시도에서는 톱페이스(41F)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분해사시도로 도시하는 제 4 실시예의 부품은 도 8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키톱(40), 부착판(60), 프레임(70) 및 푸셔(50)와 치환될 수 있는 것이고, 키톱(40)과, 프레임(70)과, 푸셔(50)와, 양면접착시트(8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하우징(10), 배선기판(31), 중앙 및 주변가동접점(35, 36) 및 편면접착시트(39)도 도 17a에서 17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 16에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합성수지에 의하여 키톱(40)은 고리형상부(41)와 그 내주로부터 90도간격으로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는 4개의 지지돌출부(42)를 갖고 있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수용유지하는 공극(4G)은 키톱(40)의 고리형상부(41)의 내측에 있어서, 후에 부착되는 톱페이스(41F)의 하면과 푸셔(50)의 상면간에 규정된다. 또 이 제 4실시예에서는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인접 주변가동접점이 동시에 구동할 수 없도록 키톱하면에 설치한 보스(41B)(도 10, 14를 참조)는 설치하지 않고, 오히려 2개의 인접 주변가동접점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하고 있지만,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보스(41B)를 설치하여도 좋고, 역으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보스(41B)를 설치하지 않고 인접 주변가동접점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각 지지돌출부(42)에는 관통슬릿(42S)이 형성되어 있고, 도 8의 제 2 실시예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한 푸셔(50)의 4개의 아암부(52)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솟아오른 부착부(53)가 도 8에서 도시한 것과 동일한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의 4변사이에 감싸서 키톱(40)의 슬릿(42S)에 끼워지고 돌출선단이 도 17a 내지 17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부러져서 키톱(40)의 지지돌출부(42)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푸셔(50)의 가압돌기(5CP)는 도 17a 내지 17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평평한 돌출면으로 되고, 이로써, 중앙가동접점(35)를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가압하여 회복불능으로 변형시켜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같이 푸셔(50)의 가압돌기(5CP)의 돌출면을 평탄하게 하는 구성은 다른 모든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고리형상의 부착판(60)은 고리형상부(61)와, 그 내주로부터 90도간격으로 중심을 향하여 돌출형성된 4개의 지지돌출부(62)를 갖고 있다. 프레임(70)은 그들의 각부가 도 18a, 18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판(60)의 지지돌출부(62)에 형성된 부착슬릿(62S)에 끼워지고, 그 선단부가 외측으로 구부러져 고정되어 있다.
푸셔(50)에 의하여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감싸고 키톱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키톱(40)의 지지돌출부(42)와 부착판(60)의 지지돌출부(62)는 서로 45도 어긋나 있고, 키톱(40)의 대향하는 2개의 지지돌출부(42)의 직경방향이 대응하는 2개의 주변가동접점(36)을 잇는 직선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부착판(60)의 하면에는 도 18a, 18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착핀(61P)이 일체로 돌출형성되어있고, 이들 핀(61P)은 양면접착시트(80)에 형성한 핀구멍(81H, 도 16) 및 배선기판(31)에 형성한 핀구멍(31H)에 끼움고정된다. 따라서, 프레임(70의 각부는 직접 배선기판(31)에 끼움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착판(60)을 통하여프린트배선기판(31)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원형의 양면접착시트(80)는 부착판(60)을 도 8에 있는 편면접착시트(39)상에 첩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푸셔(50)의 기초부(51)와 4개의 아암(52) 및 키톱(40)의 하면에 형성한 4개의 가압돌기(4PP)(도 17A)가 시트(80)에 접촉되지 않도록 중앙에 굵은 십자형상의 오려낸 부분(8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프레임(70)을 부착판(60)에 고정하고, 그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아암(52)의 부착부(53)로 감싸도록하여 아래로부터 푸셔(50)에 의하여 프레임(70)을 키톱(40)에 조립하여 부착부(53)를 키톱(40)의 슬릿(42S)에 끼우고, 선단을 외측으로 접어구부려 고정한다.
양면접착시트(80)를 도 8에 도시한 편면접착시트(39)위에 시트(80)의 십자형상 오려냄부(81C)의 4개의 돌출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주변스위치(330)가 위치하도록 미리 정한 위치에 첩부하고, 그 위에 부착판(80)을 붙이는 것만으로 된다.
도 17a는 키톱이 밑으로 눌러내려져 있지 않는 개방상태에 있는 도 15의 17-17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키톱(40)의 좌단을 밑으로 눌러내리면 도17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키톱은 프레임의 지지점부(71P)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키톱(40)의 가압돌기(4PP)에 의하여 주변가동접점이 가압반전된다. 이때, 중앙가동접점(35)에 대해서는 큰 압력은 걸리지 않는다. 도 17c는 키톱(40)의 우단을 밑으로 눌러내린 경우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d는 키톱(40)의 중앙을 밑으로 눌러내린 경우의 단면을 도시하고 프레임(70)은 배선기판(3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푸셔(50)는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가압돌기(5CP)가 중앙가동접점(35)을 가압반전한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된 일체화된 중앙가동접점, 주변가동접점 대신에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로 사용된 개별의 가동접점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역으로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있는 개별의 가동접점대신에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체화 가동접점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센터클릭이 붙어있는 4방향 스위치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센터클릭이 붙어 있는 8방향 스위치등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부가 배선기판에 고정된 프레임(70)의 중앙판부(71)를 키톱(40)의 하면에 아암부(52)가 고정된 푸셔(50)와 키톱(40)의 하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4G)에 수용되고, 프레임(70)의 중앙의 지지점부(71P)를 중심으로 키톱(40)이 회전운동하므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다방향 조작스위치에 있어서와 같은 키톱(14)의 둘레가장자리부에의 눌러내림에 대하여,키톱(14)의 직경방향 반대측의 둘레가장자리와 접촉하는 하우징(17)의 플랜지(18)를 지지점으로 하는 것과 같은 회전운동은 생기지 않으므로, 중앙스위치와 하나의 주변스위치가 동시에 온으로 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Claims (26)

  1. 중앙스위치와 그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주변스위치를 갖고, 키톱을 가압조작하여 소망의 스위치를 구동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이고,
    중앙고정접점과, 그 중앙고정접점을 둘러싸는 원주상에 배열된 복수의 주변고정접점을 갖는 배선기판과,
    상기 중앙고정접점상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중앙고정접점과 함께 상기 중앙스위치를 형성하는 돔형상 중앙가동접점과,
    각 상기 주변고정접점상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대향하는 상기 주변고정접점과 함께 대응하는 주변스위치를 형성하는 주변가동접점과,
    상기 중앙가동접점의 상방에 배치된 중앙판부와, 그 중앙판부의 주변에서 상기 배선기판을 향하여 구부러진 복수의 각부와 상기 중앙판부의 중앙하면에서 상기 배선기판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지지점부를 갖고, 상기 배선기판에 대하여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방에 위치하는 키톱과,
    상기 키톱을 수용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기판상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앙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키톱의 하면과 대향하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키톱의 하면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아암부와, 상기 기초부의 상면중앙에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지지점부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기초부의 하면중앙에 상기 중앙가동접점과 대향하여 형성된 중앙가압돌기를 갖는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의 기초부의 상면과 상기 키톱하면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상기 중앙판부를 상기 키톱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각 상기 아암부의 하면에는 각 상기 주변가동접점에 대향한 주변가압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의 비조작상태에서 상기 중앙가동접점과 중앙가압돌기 및 상기 지지점부와 걸어맞춤부가 각각 탄성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의 하면에는 각 상기 주변가동접점에 대향한 주변가압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의 비조작상태에서 상기 중앙가동접점과 중앙가압돌기 및 상기 지지점부와 걸어맞춤부가 각각 탄성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의 내주면에 복수의 유지편이 돌출설치되고, 상기 각부는 L자 형상으로 서로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그들 유지편과 상기 배선기판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각부의 선단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푸셔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푸셔의 기초부를 수용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각부가 상기 슬릿을 걸쳐서 부착된 부착판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선기판사이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상기 키톱의 하면에 형성된 주변가압돌기는 상기 슬릿을 통하여 상기 주변가동접점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기 푸셔를 수용하는 개구와, 그 개구의 둘레가장자리에 형성된 고리형상 리지를 갖고, 상기 키톱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형상 끼워맞춤홈에 상기 고리형상 리지가 끼워맞춰진 탄성시트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배선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의 외주로부터 연장하여 일체형성된 키톱시트가상기 하우징과 상기 탄성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고리형상판부와, 그 고리형상판부의 내주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한 복수의 프레임지지돌출부를 갖고 상기 프레임이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각부가 각각 상기 프레임지지돌출부에 고정된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의 상기 고리형상판부를 상기 배선기판에 접착하는 중앙이 잘라내어진 양면접착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키톱의 상기 주변가압돌기 및 상기 푸셔는 상기 양면접착시트가 잘라내어진 영역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은 고리형상부와 그 내주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한 푸셔지지돌출부를 갖고, 상기 푸셔는 그 아암부 사이에 상기 프레임의 중앙판부를 끼워서 상기 키톱의 상기 푸셔지지돌출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3.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4.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주변가동접점은 그 양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주변고정접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배선기판상에 설치되고 중간부가 소정의 간극을 통하여 대응하는 상기 주변고정접점과 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5.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가동접점 및 주변가동접점은 탄성금속판으로 일체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6.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조작상태에서 상기 각 주변가동접점과 대응하는 상기 주변가압돌기가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7.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지지점부가 돌출부로 되고, 상기 푸셔의 상기 걸어맞춤부가 오목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8.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주변접점은 한 쌍의 대향한 전극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19.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고정접점, 상기 푸셔의 아암부 및 상기 프레임의 각부는 각각 4개씩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0.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가동접점 및 상기 주변가동접점 위에서 상기 기판을 덮도록 첩부된 편면접착시트가 설치되고, 이로써 상기 중앙가동접점 및 상기 주변가동접점이 위치결정 고정되고, 상기 푸셔는 상기 편면접착시트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2.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기판은 기판상에 상기 중앙고정접점 및 주변고정접점과 그들로부터 도출된 리드선이 프린트된 프린트 배선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3.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기판은 기판과, 그 기판상에 고착된 상기 고정접점과 리드선이 프린트된 프린트배선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4.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주변스위치에 대응하는 키톱의 하면영역의 둘레방향 중간부에 보스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5.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톱부의 외주로부터 일체로 키톱시트가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기판사이에 끼워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26.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가압돌기의 돌출선단은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조작스위치.
KR10-2001-0007304A 2000-02-15 2001-02-14 다방향 조작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68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6851 2000-02-15
JP2000-36851 2000-02-15
JP2000210374 2000-07-11
JP2000-210374 2000-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33A KR20010082633A (ko) 2001-08-30
KR100368623B1 true KR100368623B1 (ko) 2003-01-24

Family

ID=2658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3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8623B1 (ko) 2000-02-15 2001-02-14 다방향 조작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86689B2 (ko)
KR (1) KR100368623B1 (ko)
CN (1) CN1217361C (ko)
TW (1) TW4805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8081B2 (ja) * 2000-10-06 2008-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多機能スイッチ構造
DE10118015A1 (de) * 2001-04-10 2002-10-24 Cimosys Ag Goldingen Elektromotorischer Möbelantrieb zum Verstellen von Teilen eines Möbels relativ zueinander
JP4256685B2 (ja) * 2002-05-13 2009-04-2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多方向入力キーおよびキー入力装置
US7075025B2 (en) * 2002-08-09 2006-07-11 Fujikura Ltd. Switch sheet and switch
US7436391B2 (en) * 2002-10-09 2008-10-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Navigation switch
GB2409342A (en) * 2003-12-19 2005-06-22 Nokia Corp A dome switch and an input apparatus for a multimedia device.
JP4317741B2 (ja) * 2003-12-24 2009-08-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4方向スイッチ装置
US7084360B2 (en) * 2004-07-28 2006-08-01 Lear Corporation Elastomeric vehicle control switch
FR2875024B1 (fr) * 2004-09-09 2007-06-08 Itt Mfg Enterprises Inc Dalle tactile comportant des moyens pour produire une impulsion mecanique en reponse a une action de commande, et agencement pour le montage de cette dalle
JP2006134792A (ja) * 2004-11-09 2006-05-25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2007128862A (ja) * 2005-10-03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TWI271763B (en) * 2005-11-11 2007-01-21 Benq Corp Slender keyswitch structure
CN2874746Y (zh) * 2005-12-29 2007-02-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开关
CN100390916C (zh) * 2006-03-06 2008-05-28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组合式按键开关装置
FR2899719B1 (fr) * 2006-04-11 2008-05-16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KR101176943B1 (ko) * 2006-05-09 201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JP4605474B2 (ja) * 2006-06-06 2011-01-05 サンアロー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TWM308450U (en) * 2006-09-26 2007-03-21 Darfon Electronics Corp Key structure
CN101441951B (zh) * 2007-11-20 2011-11-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的按键结构
US20090244013A1 (en) * 2008-03-27 2009-10-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tactile touch screen display
US8432678B2 (en) 2010-01-06 2013-04-30 Apple Inc. Component assembly
CN102403157B (zh) * 2010-09-17 2014-03-12 延锋伟世通汽车电子有限公司 汽车音响四向按键导光浮动扣锁结构
TWI554185B (zh) * 2011-06-22 2016-10-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1910380B1 (ko) * 2011-08-08 2018-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802711B2 (ja) * 2013-07-12 2015-10-28 東洋電装株式会社 四方向スイッチ装置
CN104107091B (zh) * 2014-07-30 2016-05-04 深圳市理邦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设备的飞梭及具有该飞梭的医疗设备
JP6577213B2 (ja) * 2015-03-24 2019-09-18 東洋電装株式会社 多機能選択操作スイッチ装置
US9653229B2 (en) * 2015-08-25 2017-05-16 Wistro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JP2017068991A (ja) * 2015-09-29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端末器
US11872476B2 (en) 2018-04-02 2024-01-16 Google Ll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system
WO2019194953A1 (en) 2018-04-02 2019-10-10 Google Ll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cloud gaming
CN113299514A (zh) * 2021-05-28 2021-08-24 贝洱海拉温控系统(上海)有限公司 五向滚轮开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095A (en) * 1993-09-20 1997-11-18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witching device
JPH11331329A (ja)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携帯電話機
JP4330704B2 (ja) * 1999-06-21 2009-09-1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JP3769153B2 (ja) * 1999-09-14 2006-04-19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3900771B2 (ja) * 2000-01-27 2007-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1283690A (ja) * 2000-03-29 2001-10-12 Hosiden Corp 多接点入力装置
JP3819676B2 (ja) * 2000-06-02 2006-09-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0509B (en) 2002-03-21
US20010023816A1 (en) 2001-09-27
CN1217361C (zh) 2005-08-31
US6586689B2 (en) 2003-07-01
KR20010082633A (ko) 2001-08-30
CN1311515A (zh) 200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623B1 (ko) 다방향 조작스위치
EP1760742B1 (en)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JPH11162286A (ja) スイッチアセンブリ
JPH07307125A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
JP2006100084A (ja) 多方向操作装置
US6225579B1 (en) Multiple switch assembly including gimbal mounted multifunction for selectively operating multiple switches
US6096985A (en) Button assembly
JP201005591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5614800B2 (ja) スイッチ装置
KR0145438B1 (ko) 조종간식스위치
KR101099067B1 (ko) 누름 조작형 스위치장치
JP4428120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H11144564A (ja) 回転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JP201000342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2278695A (ja) 多方向入力装置
JP344608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4395035B2 (ja) 揺動操作型電気部品
JP3608162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4057500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6286328A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07173098A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JP5292198B2 (ja) 入力装置
JP4662351B2 (ja) 多方向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066636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
JP2001256860A (ja) 防水型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