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622B1 -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Google Patents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8622B1 KR100368622B1 KR10-1999-0018193A KR19990018193A KR100368622B1 KR 100368622 B1 KR100368622 B1 KR 100368622B1 KR 19990018193 A KR19990018193 A KR 19990018193A KR 100368622 B1 KR100368622 B1 KR 100368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nwoven fabric
- filament
- filaments
- artificial leather
- cro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7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20002959 polymer blen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03 image analysis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JHWNWJKBPDFINM-UHFFFAOYSA-N Laurolactam Chemical compound O=C1CCCCCCCCCCCN1 JHWNWJKBPDFIN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299 Nylon 12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305 Nylon 6,10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MMINFSMURORWKH-UHFFFAOYSA-N 3,6-dioxabicyclo[6.2.2]dodeca-1(10),8,11-triene-2,7-dione Chemical group O=C1OCCOC(=O)C2=CC=C1C=C2 MMINFSMURORWK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000 micrograp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635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ISPYQTSUDJAMAB-UHFFFAOYSA-N 2-chloro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Cl ISPYQTSUDJAM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960 car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WOZVHXUHUFLZGK-UHFFFAOYSA-N dimethyl terephtha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O)OC)C=C1 WOZVHXUHUFL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LSSMJSEOOYNOY-UHFFFAOYSA-N m-cresol Chemical compound CC1=CC=CC(O)=C1 RLSSMJSEOOYN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40100630 metacresol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VDDGKGOMKODPV-UHFFFAOYSA-N Benzyl alcohol Chemical compound OCC1=CC=CC=C1 WVDDGKGOMKOD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VNGOYPQMJFJDLV-UHFFFAOYSA-N dimethyl benzene-1,3-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C(=O)OC)=C1 VNGOYPQMJFJD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68 poly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UPMLOUAZCHDJJD-UHFFFAOYSA-N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1=CC(N=C=O)=CC=C1CC1=CC=C(N=C=O)C=C1 UPMLOUAZCHDJ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NIQCNGHVCWTJSM-UHFFFAOYSA-N Dimethyl phtha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C1C(=O)OC NIQCNGHVCWTJS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46 gravure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074 melt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PFDHNVEDLHUCE-UHFFFAOYSA-N 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 YPFDHNVEDLHU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1 Cross lin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322 Feeling abnormal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11 Fine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9581 Macrop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4 Polyphthal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33 azeotropic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45 benz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80 den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BSAITBEAPNWJG-UHFFFAOYSA-N dimethyl phthalate Natural products CC(=O)OC1=CC=CC=C1OC(C)=O FBSAITBEAPNWJ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26 dimethylphtha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93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55 extern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13 fluor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23 in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15 natu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60 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49 polyester-amid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4 polyolefin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75 polyphta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7 polyurethane coat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5 poly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273 sulfonato group Chemical group [O-]S(*)(=O)=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05K1/116—Lands, clearance holes or other lay-out details concerning the surrounding of a via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63—Partial lands, i.e. lands or conductive rings not completely surrounding the 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다음의 조건 (A) 내지 (D)를 모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A nonwoven fabric made from a filament, comprising a filament formed from a fibrous thermoplastic polymer, wherein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satisfies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 to (D).
(A) 섬유다발은 부직포의 두께방향에 평행한 어떠한 단면에서 센티미터당 5-7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한다.(A) The fiber bundles are present in the range of 5-70 per centimeter in any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B) 섬유다발에 의해 점유된 전체 면적은 부직포의 두께방향에 수직인 어떠한 단면의 단면적의 5-70%의 범위 내에 있다.(B) The total area occupied by the fiber bundle is in the range of 5-7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C) 겉보기 밀도는 0.10-0.50g/cm3이다.(C) The apparent density is 0.10-0.50 g / cm 3 .
(D) 부직포 표면 상에서 섬유의 절단 단부(cut end)가 표면적 mm2당 5-10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한다.(D) The cut ends of the fibers on the nonwoven surface are within the range of 5-100 per mm 2 surface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인공피혁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지고 인공피혁용 기재 직물로서 이롭게 사용될 수 있는 부직포와, 이 부직포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인공피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dvantageously used as a base fabric for artificial leather, and to artificial leather made using the nonwoven fabric.
피혁 대체물로서 사용되는 인공피혁은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점으로 인해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고, 의류, 일반 재료, 스포츠 등의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인공피혁에 유연도, 치밀한 구조로 인해 발생되는 드레이프성 등과 같이 천연피혁에 의해 제공되는 특성이 부여되는 것이 요망되고 있고, 그러한 원하는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몇몇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Artificial leather, which is used as a leather substitute, has recently become popular among consumers due to its light weight and easy handling, and is widely used in the fields of clothing, general materials, and sports. However, it is desired that the artificial leather be endowed with properties provided by natural leather, such as flexibility, drapability caused by a dense structure, and several proposals have been made to provide such desired properties.
특히,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와는 달리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는 제조를 위해 스테이플 섬유 이송장치, 개섬(opening)장치,카딩(carding)장치, 크로스랩퍼(crosslapper) 등과 같은 일련의 대형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테이플 섬유의 뒤엉킨 부직포에 비해 강도면에서 큰 이점을 가지기 때문에,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다양한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보 제 44-29543 호, 제 60-12465 호 등).In particular, unlike nonwovens made from staple fibers, nonwovens made from filaments do not require a series of large equipment such as staple fiber feeders, opening devices, carding devices, crosslappers, etc. for manufacturing. In addition, various nonwoven fabrics made from filaments have been proposed since they have a great advantage in strength compared to the entangled nonwoven fabric of staple fibers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s. 44-29543, 60-12465, etc.).
게다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는 또한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와는 달리 소면 단계를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섬유 내에 많은 크림프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로부터 직접 필라멘트 부직포를 만들 수 있고, 섬유들 사이의 공간의 비를 용이하게 감소시켜 부직포를 치밀하게 만들 수 있다.Furthermore, nonwovens made from filaments also do not require a carding step, unlike nonwovens made from staple fibers, so that there is no need to form many crimps in the fibers, and filament nonwovens can be made directly from fine denier filaments, The nonwoven fabric can be made compact by easily reducing the ratio of spaces between them.
개선된 외관을 위해, 우수한 유연도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부직포로서, 수지 및 0.3de 이하의 데니어를 갖는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서로 엉킨 부직포를 포함하고, 높은 인열강도를 갖는 부직포가 일본 특허 공보 제 59-42108 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필라멘트 및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고, 수에드조의 직립된 털을 갖는 표면 또는 중합체 단독으로 이루어진 평활한 표면, 즉 "은부착 표면"과 다르다.For improved appearance, non-woven fabrics with good softness and good wear resistance include tangled nonwoven fabrics made from resin and fine denier filaments having denier of 0.3de or less, and nonwoven fabrics having high tear strength a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Proposed in US 59-42108. However, at least one surface is a surface formed by filaments and resins, and is different from a surface having a suede upright hair or a smooth surface composed of polymer alone, ie a "silvered surface".
일본 공개 공보 제 3-213555 호에는, 2성분의 분할가능한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 공보에는, 부직포가 의료용도, 가방 등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어도 섬유형성 성분들 중에서의 수지에 의한 섬유들의 부분적인 결합으로 인한 높은 강도에도 불구하고, 반발이 너무 커서, 특히 의류용 인공피혁으로서는 부적합하다고 기술되어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3-213555 proposes a nonwoven fabric composed of two-component splittable fibers. In this patent publication, nonwoven fabrics can be used for medical purposes, bags, etc., but at least in spite of the high strength due to the partial bonding of the fibers by the resin among the fiber forming components, the repulsion is too large, especially as a garment artificial leather It is described as inappropriate.
또한, 일본 공개 공보 제 10-53948 호에는, 원료 섬유로서의 분할가능한 섬유의 집합체를 니들펀칭(needle punching)에 의해 강제로 뒤엉키게 하는 방법, 또는 고압의 물흐름에 의해 뒤엉키게 하고, 필라멘트를 분할함으로써 얻어진 부직포를 열수축을 위해 끓는 물 또는 흐름 중에서 가열하여 더 치밀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53948 also discloses a method of forcibly entangled an aggregate of splittable fibers as a raw material fiber by needle punching, or entangled by high pressure water flow to divide the filaments. A method of further densifying a nonwoven fabric obtained by heating it in boiling water or a flow for heat shrinkage has been proposed.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하여 얻어진 인공피혁은 치밀화된 구조도 역시 제공하는 열수축으로 인해 높은 겉보기 밀도를 가져서, 풍부하고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지만, 유연도가 부족하고, 고탄성 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막과 같은 코팅이 인공피혁의 표면에 형성된 은부착 인공피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인공피혁이 접힐 때 좌굴 주름(buckling crease)이 많이 발생하고, 이것이 고유의 중요한 결함을 이루게되고, 따라서, 그러한 인공피혁, 특히 은부착 인공피혁이 신발, 가방, 장갑 또는 가구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때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초기 외관 열화이다.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by using the nonwoven fabric produced in this way has a high apparent density due to heat shrinking, which also provides a densified structure, which has a rich and tight handling property, but lacks flexibility, and is made of a high elastic polymer and the like. In the case where the same coating forms a silvered artificial lea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rtificial leather, a lot of buckling creases occur when the artificial leather is folded, which constitutes an inherent important defect, and therefore, such artificial leather, In particular, a problem that arises when silver coated artificial leather is used to manufacture shoes, bags, gloves or furniture is early appearance degradation.
반면에, 수에드조 인공피혁의 경우에서조차도 치밀하고 직립된 털을 갖고 천연피혁과 유사한 유쾌한 표면 촉감을 갖는 인공피혁을 아직 얻을 수 없고, 그러므로 아름다운 외관 뿐만 아니라 유연도 및 제한 신축성의 천연피혁과 같은 느낌을 주는 인공피혁이 요망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Suede artificial leather, artificial leather with dense and upright hair and having a pleasant surface feel similar to natural leather has not yet been obtained, and therefore, such as natural leather with flexibility and limited elasticity as well as beautiful appearance. Feeling artificial leather has been desired.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천연피혁과 같은 유연도와 풍부하고 팽팽한 취급특성을 모두 갖고, 또한 접힐 때 좌굴 주름이생기지 않고 좌굴 주름의 형성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은부착 인공피혁으로서의 인공피혁 또는 종래기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아기피부와 유사한 우수한 미세한 촉감을 갖는 누박조 인공피혁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부직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 which has both softness and rich and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as natural leather, and also has silver resistance artificial leather that is resistant to the formation of buckling wrinkles when folded. By overcom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providing a non-woven fabric used for producing artificial leather as a fine leather texture having excellent fine touch similar to baby skin that did not exist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상기 부직포로부터 제조되는 인공피혁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leather produced from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포함하는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로서, 도 4의 전자현미경사진(35×)으로부터 스케치한 단면도이다.1 is a sectional view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an artificial leather including a nonwoven fabric made from a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sectional view sketched from the electron micrograph 35 × of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포함하는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로서, 도 5의 전자현미경사진(50×)으로부터 스케치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an artificial leather including a nonwoven fabric made from a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sketched from the electron micrograph 50 ×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의 전자현미경사진(200×)으로부터 스케치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ketched from the electron micrograph 200 × of FIG. 6.
도 4는 실시예 7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서의 섬유다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사진(35×)이다.4 is an electron micrograph (35 ×) showing the state of the fiber bundle in a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by the process of Example 7. FIG.
도 5는 실시예 7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섬유다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사진(50×)이다.5 is an electron micrograph (50 ×) showing the state of the fiber bundle i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by the process of Example 7. FIG.
도 6은 실시예 3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에서의 섬유의 절단 단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사진(200×)이다.6 is an electron micrograph (200 ×) showing the state of the cut end of the fiber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obtained by the process of Example 3. FIG.
도 7은 비교예 3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표면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사진(200×)이다.7 is an electron micrograph (200 ×) showing th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obtained by the process of Comparative Example 3. FIG.
도 8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할가능한 다성분 필라멘트의 측면의 단면 형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s of the divisible multicomponent filaments produced in Example 1. FIG.
도 9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분할가능한 다성분 필라멘트의 측면의 단면 형태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side surfaces of the divisible multicomponent filaments produced in Example 2. FIG.
본 발명자들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기재 직물로서 사용하여 제조된 인공피혁에 있어서 유연도 및 팽팽한 취급특성과 우수한 수에드조 표면 촉감 모두의 원인이고 은부착 피혁이 접힐 때의 좌굴 주름(이하, 간단히 "좌굴 주름"이라 칭함)의 원인인 부직포의 구조에 촛점을 맞추었고, 뒤엉킨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 구조의 특성에 대해, 그리고 그것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를 수행하여, 유연도 및 팽팽한 취급특성을 모두 갖는 인공피혁을 위해서는 고밀도의 부직포를 필요로 하고 인공피혁의 두께방향으로 배향된 섬유다발의 개수가 특정한 범위 내에 있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buckling wrinkles when silver-bonded leather is folded, which is a cause of both softness and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and excellent suede surface feel in artificial leather manufactured by using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 as a base fabric.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the nonwoven fabric, which is the cause of "buckling folds", and conducting intensive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the nonwoven structure made from entangled fine denier filaments and how to form it, thereby providing flexibility and tautness. It has been found that the artificial leather having all the handling characteristics requires a high density nonwoven fabric and the number of fiber bundles orien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needs to be within a specific range.
또한,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은부착 인공피혁의 좌굴 주름이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에 대해 독특한 구조의 결과이고, 분할가능한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가 여전히 서로간의 거리가 가까운 집합된 상태에 있고, 다성분 필라멘트로서의 배향의 상태에 있고, 부직포가 800㎛2이상의 거시공간을 포함한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은부착 인공피혁의 좌굴 주름이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의 모노필라멘트로부터 분할함으로써 제조되는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 군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멀티필라멘트 상태 때문에 발생하고, 이로 인해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 군에 의해 충전되지 않는 부직포 내에서 거시공간을 형성하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의 뒤엉킴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buckling wrinkles of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that occurs when using a splittable multicomponent filament are a result of the unique structure for the splittable multicomponent filament, and the splittable fine denier filaments are still close to each other. It has also been found that in the aggregated state, in the state of orientation as a multicomponent filament, the nonwoven fabric contains a macrospace of 800 µm 2 or more. In other words, the buckling wrinkles of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arise due to the multifilament state formed by a group of fine denier filament groups produced by dividing from the monofilaments of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which results in fine denier filaments. An entanglement of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that forms the macrospace in nonwovens not filled by the group occurs.
반면에,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로부터 형성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경우에는, 천연피혁과 같은 유연한 느낌 및 풍부하고 팽팽한 취급특성 그리고 누박조 인공피혁의 표면 촉감이 상기 섬유다발을 갖는 특정한 구조에 의해, 그리고 이 섬유다발로부터 발생되는 특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는 것도 또한 발견하였고,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n-woven fabrics made from filaments formed from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the soft feel and the rich and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of natural leather and the surface feel of the nubuck artificial leather are due to the specific structure with the fiber bundles, and It has also been found that it can be obtained by the properties resulting from this fiber bundle, thus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섬유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다음의 조건 (A) 내지 (D)를 모두 만족시키는 부직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woven fabric made from a filament, which is made of a filament formed from a thermoplastic polymer forming a fiber, and can be achieved by a nonwoven fabric satisfying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 to (D). have.
(A) 섬유다발은 부직포의 두께방향에 평행한 어떠한 단면에서 센티미터당 5-7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한다.(A) The fiber bundles are present in the range of 5-70 per centimeter in any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B) 섬유다발에 의해 점유된 전체 면적은 부직포의 두께방향에 수직인 어떠한 단면의 단면적의 5-70%의 범위 내에 있다.(B) The total area occupied by the fiber bundle is in the range of 5-7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C) 겉보기 밀도는 0.10-0.50g/cm3이다.(C) The apparent density is 0.10-0.50 g / cm 3 .
(D) 부직포 표면 상에서 섬유의 절단 단부가 표면적 mm2당 5-10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한다.(D) The cut ends of the fibers on the nonwoven surface are within the range of 5-100 per mm 2 of surface area.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직포 및 그 내부에 함침된 중합탄성체를 포함하고 다음의 조건 (I) 내지 (N)을 모두 만족시키는 인공피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n artificial leather comprising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lymerized elastomer which is impregnated therein and satisfying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I) to (N).
(I) 섬유다발은 인공피혁의 두께방향에 평행한 어떠한 단면에서 센티미터당 5-7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한다.(I) Fiber bundles exist within the range of 5-70 per centimeter in any cross-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artificial leather.
(J) 섬유다발에 의해 점유된 전체 면적은 인공피혁의 두께방향에 수직인 어떠한 단면의 단면적의 5-70%의 범위 내에 있다.(J) The total area occupied by the fiber bundle is in the range of 5-7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K) 함침된 중합탄성체의 적어도 일부는 섬유들 중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합탄성체이다.(K) At least a part of the impregnated polymer elastomer is a polymer elastomer which is not fixed in the fibers.
(L) 인공피혁의 날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에서의 인장응력 및 씨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에서의 인장응력은 각각 1.5-10kg/cm의 범위 내에 있다.(L) The tensile stress at 20% elongation (? 20) in the warp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and the tensile stress at 20% elongation (σ20) in the weft direction are each in the range of 1.5-10 kg / cm.
(M) 인공피혁에 대한 날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의 강연도(Rb(g/cm))에 대한 비 그리고 인공피혁에 대한 씨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의 강연도 (Rb(g/cm))에 대한 비는 3-30의 평균값을 갖는다.(M) Ratio of 20% elongation (σ20) in the warp direction for artificial leather (Rb (g / cm)) and 20% elongation in the weft direction for artificial leather (σ20) The ratio for Rb (g / cm) has an average value of 3-30.
(N) 인공피혁의 겉보기 밀도는 0.20-0.60g/cm3이다.(N) The apparent density of artificial leather is 0.20-0.60 g / cm 3 .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먼저,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위한 조건 (A)내지 (D)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조건들은 종래기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인공피혁을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재 직물로서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위해서는 필수적이다.First, conditions (A) to (D) for a nonwoven made from a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se conditions are essential for nonwovens made from filaments as base fabrics that can be used to obtain artificial leather that did not exist in the prior art.
조건 (A)에 따르면, 섬유다발의 개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어떠한 단면에서 폭 센티미터당 5-70개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According to condition (A), the number of fiber bundles should be in the range of 5-70 per centimeter in width in any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
이것은 아래에 설명되는 부직포 단계에서 서로 뒤엉키게 하는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구조이고, 표면에 평행하게 정렬하는 경향이 있는 필라멘트는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충분히 서로 뒤엉키고, 이로 인해 인공피혁이 제조될 때 강연도가 낮아지고, 유연도와 풍부하고 팽팽한 취급특성 모두와 함께 치밀함이 부여된다. 두께 방향으로의 정렬에 의해, 적합한 압축 탄성을 가지면서 층내 접착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This is a structure exhibited by the processes of entanglement with each other in the nonwoven stage described below, and the filaments which tend to align parallel to the surface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sufficiently, thereby resulting in the stiffness when artificial leather is produced. The density is lowered, and the density is imparted together with both flexibility and rich and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By the alignm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adhesion strength in the layer while having a suitable compressive elasticity.
섬유다발 내의 필라멘트의 개수가 폭 센티미터당 5개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효과가 적절히 나타나지 않고, 70개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제로 필라멘트를 서로 엉키게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섬유다발의 개수를 위한 바람직한 범위는 10-50개이다.When the number of filaments in the fiber bundle is less than 5 per centimeter in width, the above effect does not appear properly, and when it exceeds 70, it becomes difficult to entangle the filaments with each other. The preferred range for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10-50 pieces.
조건 (B)에 따르면, 섬유다발에 의해 점유된 전체 면적은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어떠한 단면의 단면적의 5-70%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According to condition (B), the total area occupied by the fiber bundle should be in the range of 5-7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섬유다발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어떠한 단면에서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상기 특정한 면적 비율을 점유함으로써, 부직포를 충분히 서로 뒤엉키게 하는 구조를 얻고, 이 구조로 인해 인공피혁으로 만들 때 치밀함과 유연함 모두가 가능하게 되고, 누박조 인공피혁으로 만들 때 표면에서의 우수한 직립된 털의 촉감을 가능하게 된다. 점유된 전체비가 3%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효과가 적절하게 나타나지 않고,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라멘트를 실제 서로 뒤엉키게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점유된 면적을 위한 바람직한 범위는 8-50%이다.The fiber bundle can be easily observed in an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and by occupying the specific area ratio, a structure is obtained in which the nonwoven fabrics are sufficiently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this structure is made of artificial leather. Both compactness and suppleness are possible, and the fine upright hair feel on the surface when made from a nubuck artificial leather. If the total ratio occupied is less than 3%, the effect does not appear properly, and if it exceeds 70%, it becomes difficult to actually entangle the filaments with each other. The preferred range for occupied area is 8-50%.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어떠한 단면에서의 섬유다발의 개수는 단면적 mm2당 2-2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fiber bundles in an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2-20 per mm 2 of cross section.
본 발명의 부직포를 위한 필수적인 조건인 조건 (A) 및 조건 (B)는 종래기술에 대해 공지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부터 만들어지는 인공피혁에 의해 나타날 수 없는 유연도를 부여하고, 본 발명에 의해 구체화되는 범위 내에 있게 되는 반발 탄성을 위해 필요한 구조를 제공한다.Conditions (A) and (B), which are essential conditions for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mpart flexibility that cannot be exhibited by artificial leather made from nonwoven fabrics made from filaments known to the prior art, and are embodi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the structure necessary for the resilience to be within the range.
조건 (C)에 따르면,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겉보기 밀도는 0.10-0.50g/cm3이어야 한다. 겉보기 밀도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위한 균일한 구조를 제공하고, 팽팽한 취급특성과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결과되는 부직포의 드레이프성에 기여하고, 바람직하게는 0.20-0.40g/cm3이다. 겉보기 밀도가 0.10g/cm3미만인 경우에는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얻을 수 없고, 0.50g/cm3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직포의 드레이프성은 팽팽한 취급특성에도 불구하고열등하다.According to condition (C), the apparent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should be 0.10-0.50 g / cm 3 . The apparent density provides a uniform structure for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contributes to the tight handling properties and the drape of the resulting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preferably 0.20-0.40 g / cm 3 . If the apparent density is less than 0.10 g / cm 3 , a nonwoven fabric having a uniform and dense structure cannot be obtained. If the apparent density exceeds 0.50 g / cm 3 , the drape property of the nonwoven fabric is inferior in spite of its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조건 (D)에 따르면,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의 절단 단부는 표면적 mm2당 5-10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해야 한다. 이것은 부직포의 표면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경향이 있는 필라멘트의 특정한 절단 정도가 부직포에 유연함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mm2당 적어도 5개의 절단 단부가 존재하지 않으면, 절단 단부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유연함이 나타나지 않고, 기술된 방식으로 인공피혁을 제조할 때, 유연함을 얻을 수 없다. 역으로, mm2당 100개를 초과하는 절단 단부가 있는 경우에는, 부직포의 강도가 감소될 것이다. 그러므로, 절단 단부의 개수의 바람직한 범위는 10-50개/mm2이다.According to condition (D), the cut ends of the surface of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 should be in the range of 5-100 pieces per mm 2 of surface area. This is because the specific degree of cut of the filament, which tends to alig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imparts flexibility to the nonwoven. If at least five cutting ends per mm 2 are not present, there is no softness in spite of the cutting ends, and softness cannot be obtained when manufacturing the artificial leather in the manner described. Conversely, if there are more than 100 cut ends per mm 2 ,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will be reduced. Therefore, the preferred range of the number of cut ends is 10-50 pieces / mm 2 .
상기 범위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가 필라멘트로서 사용될 때에 분할 후의 부직포에서의 절단 단부의 개수에 대해, 그리고 혼합 중합체 필라멘트 및/또는 멀티코어(multicore) 필라멘트가 필라멘트로서 사용될 때에 해(sea) 성분의 압출 및 제거 이전의 부직포에서의 절단 단부의 개수에 대해 적용된다.The range is based on the number of cut ends in the nonwoven after splitting when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splittable type are used as filaments and when the mixed polymer filaments and / or multicore filaments are used as the filaments It applies to the number of cut ends in the nonwoven fabric before extrusion and removal of.
이제, "섬유다발" 및 본 발명에 따르는 조건 (A) 및 (B)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6에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사용하여 얻어진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단면도 및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고, 각각 실시예 6에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사용하여 얻어진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평행한 단면도 및 두께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사진인 도 4 (35×) 및 도 5(50×)로부터 스케치된 것이다.Now, "fiber bundles" and conditions (A) and (B)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an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using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in Example 6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respectively made from the filaments in Example 6 It is sketched from FIGS. 4 (35x) and 5 (50x) which are electron micrographs which show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using the nonwoven fabric.
도 1 및 도 2의 참조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섬유다발"를 나타내고,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대략 평행한 다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필라멘트를 나타내고, 다발의 크기는 20-500㎛이고, 길이는 부직포의 두께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두께의 적어도 절반이다. "폭 센티미터당"은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부직포의 선택된 단면에서의 직선 거리의 센티미터당을 의미한다.1 and 2 denote “fiber bund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enote filaments arranged in bundle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the size of the bundle being 20-500 μm. And the length is at least half of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Per centimeter wide" means per centimeter of straight line distance in the selected cross-section of the nonwove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섬유다발은 바람직하게는 미세한 데니어의 섬유로 이루어지고, 미세한 데니어의 섬유는 치밀하거나 또는 거친 집합체 내에 있고, 미세한 섬유다발을 형성할 수 있는 필라멘트, 예를 들면, 해도형 필라멘트를 사용할 때에,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형성한 후에 또는 인공피혁을 얻은 후에 미섬유를 유발할 수 있기만 하면, 섬유의 해 성분의 추출 및 제거 이전에 이것을 사용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The fiber bundle is preferably composed of fine denier fibers, the fine denier fibers being in a dense or coarse aggregate, and when using a filament capable of forming a fine fiber bundle, for example, an island-in-sea filament, As long as microfibers can be induced after forming the made nonwoven fabric or after obtaining artificial leather, there is no problem in using them prior to extraction and removal of the harmful components of the fibers.
이제, 본 발명에 따르는 조건 (D)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실시예 3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사진인 도 6(200×)으로부터 스케치된 것이다. 도 3의 참조부호 3은 필라멘트의 절단 단부를 나타내고, 이 절단단부는 20/mm2의 밀도로 존재한다.Now, conditions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ketched from FIG. 6 (200 ×) which is an electron micr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obtained by the process of Example 3. FIG. Reference numeral 3 in FIG. 3 denotes a cut end of the filament, and this cut end is present at a density of 20 / mm 2 .
비교를 위해, 도 7은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의 전자현미경사진을 나타내고, 이것은 비교예 4에서 얻어진 것이다. 도 7의 사진을,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 6의 사진과 비교함으로써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라멘트의 절단 단부는 도 7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에 mm2당 1개 존재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서의 필라멘트의 절단 단부의 개수를 위한 범위는 바람직한 표면 유연도를 나타내도록 구체화된다.For comparison, FIG. 7 shows an electron micrograph of the surface of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known in the art, which is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4. FIG. As can be clearly seen by comparing the photograph of FIG. 7 with the photograph of FIG. 6 showing the surface of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ut end of the filament is per mm 2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 of FIG. 7. There is one, and as described above, the range for the number of cut ends of the filament in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embodied to exhibit the desired surface softness.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서의 압축 백분율이 1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백분율은 100mm×100mm 샘플을 제조하고, 레벨 플랫폼(level platform) 상에 올리고, 80g/cm2의 하중을 적용하여 샘플의 중앙에서의 두께(A)를 측정하고, 500g/cm2의 하중을 적용하여 동일한 위치에서의 두께(B)를 측정하고나서, [(A-B)/A]×100(%)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되고, 원래의 두께에 대한 하중 하에서의 부직포의 두께의 감소의 척도의 역할을 하고, 결과되는 부직포의 경도는 압축 백분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을 때에 한층 더 만족스럽다. 압축 백분율이 12-18%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centage of compres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is 10-30%. Compression percentage is to prepare a 100mm × 100mm sample, place it on a level platform, apply a load of 80g / cm 2 to measure the thickness (A) at the center of the sample, and load a 500g / cm 2 load.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AB) / A] × 100 (%) after application and measuring the thickness B at the same position, and serves as a measure of the redu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nonwoven fabric under load to the original thickness. In addition, the hardness of the resulting nonwoven fabric is more satisfactory when the compression percentage is within the above range. More preferably, the percentage of compression is in the range of 12-18%.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가 2가지 이상의 성분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로부터 얻어진 미세한데니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질 때에는, 다음의 조건 (E) 내지 (H)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is made of fine denier filaments obtained from a multicomponent filament of a divisible type comprising a polymer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the following conditions (E) to (H) are satisfied. It is preferable.
(E) 필라멘트의 데니어가 0.01-0.5de이다.(E) The denier of the filament is 0.01-0.5 de.
(F) 부직포의 겉보기 밀도가 0.25-0.45g/cm3이다.(F) The apparent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is 0.25-0.45 g / cm 3 .
(G) 부직포의 어떠한 단면에서의 공간의 평균 면적이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영상분석방법에 의해 측정했을 때 70-300㎛2이다.(G) The average area of space in any cross s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70-300 μm 2 as measured by an image analysis metho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 구조가 균일하여 부직포의 어떠한 단면에서의 공간 면적의 표준 편차가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영상분석방법에 의해 측정했을 때 200-450㎛2이다.(H) The uniformity of the structur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pace area at any cross s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is 200-450 μm 2 as measured by an image analysis metho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제 이 조건들을 설명할 것이다. 조건 (E)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구성하는 0.01-0.5de의 데니어를 갖는 단일 필라멘트에 의해, 인공피혁을 제조할 때 중합탄성체를 함침하는 것이 한결 용이하게 되고, 본 발명의 목적 중 1가지인 균일하고 미세한 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얻는 것도 또한 용이하게 된다.We will now explain these conditions. With a single filament having a denier of 0.01-0.5de constituting a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condition (E), it is easier to impregnate the polymerized elastomer when manufacturing artificial leather, and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easy to obtain a nonwoven fabric having a phosphorus uniform and fine structure.
조건 (F)에 따르면, 겉보기 밀도가 0.25-0.45g/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40g/cm3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가 만족될 때, 부직포는 더 우수한 팽팽한 취급특성과, 수축에 의한 부직포의 균일한 구조에 의해 나타나는 드레이프성을 갖는다.According to condition (F), an apparent density preferably in the 0.25-0.45g / cm 3, particularly preferably 0.3-0.40g / cm 3. When this range is satisfied, the nonwoven fabric has better taut handling characteristics and drape property exhibited by the uniform structure of the nonwoven fabric by shrinkage.
조건 (G) 및 (H)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부직포의 거시공간이 800㎛2이상이어서 좌굴 주름을 일으키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어떠한 단면에서의 평균 공간 면적은 최대 300㎛2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팽팽한 취급특성과, 좌굴 주름과 관련이 없는 부직포의 드레이프성의 관점에서 보면, 공간 면적이 적어도 70㎛2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면적이 70㎛2미만인 경우에는, 결과되는 부직포는 종래기술로는 얻을 수 없는 고밀도 및 균일한 치밀도로 인해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지만, 부직포의 드레이프성은 다소 낮아질 것이다.According to conditions (G) and (H), the macroscopic space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ior art is 800 µm 2 or more to cause buckling wrinkles, whereas the average space area in any cross s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 most 300 µm. Limited to two .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e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and the drape properties of the nonwoven fabric not related to buckling wrinkles, the space area is preferably at least 70 µm 2 . If the average area is less than 70 μm 2 , the resulting nonwoven will have tight handling properties due to the high density and uniform densities not obtainable in the prior art, but the drape of the nonwoven will be somewhat lower.
평균 면적과 유사하게, 종래기술의 부직포의 거시공간이 800㎛2이상이어서 좌굴 주름을 일으키는데 반해, 공간 면적의 표준 편차도 또한 최대 450㎛2로 제한된다. 표준 편차가 450㎛2를 초과한다는 것은 평균값이 본 발명의 목표 범위 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거시공간이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로 인해 좌굴 주름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게 된다. 반면에, 작은 편차는 더 균일한 구조를 위해 바람직하고, 약 200㎛2가 실질적인 한계이다.Similarly, a macro-area is more than 800㎛ 2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prior art and the average area was then hand, to cause the buckling wrinkle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space area is also limited to a maximum of 450㎛ 2. A standard deviation exceeding 450 μm 2 means that the macrospace can diffuse even if the average value is within the target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tends to cause buckling wrinkles. On the other hand, small deviations are desirable for more uniform structures, with about 200 μm 2 being a practical limit.
다음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영상분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공간 면적을 측정하였다.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patial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by image analysis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조건 (E) 내지 (H)를 모두 만족시키고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지는 부직포는, 실질적으로 거시공간을 갖지 않고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를 갖고 유연한 느낌을 주고 좌굴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은부착 인공피혁으로 제조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유용하다.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ne denier fil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atisfies all the conditions (E) to (H) and consists of a splittable multicomponent filament, has a uniform and dense structure with substantially no macroscopic space and feels flexible. It is useful as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made of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that does not give buckling wrink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가,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를 도(island)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폴리올레핀계 중합체를 해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인 경우에는, 혼합 중합체 필라멘트를 위한 해도형 단면 또는 멀티코어 필라멘트를 위한 해도형 단면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lament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 containing a fiber-forming thermoplastic polymer as an island component and a polyolefin-based polymer as a sea component, the mixed polymer An island-in-the-sea cross-section for filaments or island-in-the-sea cross-sections for multicore filaments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해도형의 분할가능한 다층형 필라멘트일 수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가 아래에 기술하는 중합체 혼합물(a) 및 중합체 혼합물(b)를 포함하는 혼합중합체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sland-in-the-part divided multi-layer filaments, each segment comprising a polymer mixture (a) and a polymer mixture (b) as described below. It consists of a polymer.
중합체 혼합물(a):Polymer mixture (a):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A)를 도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폴리올레핀계 중합체(B)를 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A polymer mixture comprising a fiber-forming thermoplastic polymer (A) as a drawing component and a polyolefin-based polymer (B) as a sea component.
중합체 혼합물(b):Polymer mixture (b):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A')를 도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폴리올레핀계 중합체(B')를 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A polymer mixture comprising a fibrous thermoplastic polymer (A ') as an island component and a polyolefin-based polymer (B') as a sea component.
필라멘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어도 80몰%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12,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탄성체,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및 폴리아미드 탄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떠한 1가지 또는 그 이상의 중합체일 경우에는, 어떠한 문제점도 발생되지 않는다.The fibrous thermoplastic polymer used to form the filaments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ntaining at least 80 mole percent of ethylene terephthalate units, nylon 6, nylon 66, nylon 610, nylon 12, polypropylene, poly In the case of any one or more poly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rethane elastomers, polyester elastomers and polyamide elastomers, no problem arises.
이제, 본 발명의 인공피혁을 설명할 것이다.Now, the artificial lea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르는 부직포 및 그 내부에 함침된 중합탄성체를 포함하고, 다음의 조건 (I) 내지 (N)을 모두 만족시킨다.The artificial lea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lymerized elastomer which is impregnated therein, and satisfies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I) to (N).
(I) 섬유다발이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어떠한 단면에서 폭 센티미터당 5-7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한다.(I) A bundle of fibers is present in the range of 5-70 per centimeter width in any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J) 섬유다발에 의해 점유된 전체 면적이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어떠한 단면의 단면적의 5-70%의 범위 내에 있다.(J) The total area occupied by the fiber bundle is in the range of 5-7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K) 함침된 중합탄성체의 적어도 일부가 섬유들 중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중합탄성체이다.(K) At least a part of the impregnated polymer elastomer is a polymer elastomer which is not fixed in the fibers.
(L) 인공피혁의 날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에서의 인장응력 및 씨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에서의 인장응력이 각각 1.5-10kg/cm의 범위 내에 있다.(L) The tensile stress at 20% elongation (? 20) in the warp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and the tensile stress at 20% elongation (σ20) in the weft direction are in the range of 1.5-10 kg / cm, respectively.
(M) 인공피혁에 대한 날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의 강연도(Rb(g/cm))에 대한 비 그리고 인공피혁에 대한 씨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의 강연도(Rb(g/cm))에 대한 비가 3-30의 평균값을 갖는다.(M) Ratio of 20% elongation (σ20) in the warp direction for artificial leather (Rb (g / cm)) and 20% elongation in the weft direction for artificial leather (σ20) The ratio to Rb (g / cm) has an average value of 3-30.
(N) 인공피혁의 겉보기 밀도가 0.20-0.60g/cm3이다.(N) The apparent density of artificial leather is 0.20-0.60 g / cm 3 .
조건 (I)에 따르면, 섬유다발은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어떠한 단면에서 폭 센티미터당 5-7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해야 한다. 섬유다발의 개수가 이 범위 내에 있을 때에는, 인공피혁이 적합한 강연도 및 치밀한 구조를 갖고, 또한 유연한 느낌을 주고, 풍부하고 팽팽한 취급특성을 모두 갖는다.According to condition (I), the fiber bundle must be present in the range of 5-70 per centimeter in width in any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When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within this range, the artificial leather has a suitable stiffness and compact structure, gives a soft feeling, and has both rich and taut handling characteristics.
또한, 섬유다발의 개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인공피혁으로 제조되는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조건이다. 섬유다발의 개수를 위한 바람직한 범위는 10-50개이다.In addition,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a condition for providing a nonwoven fabric made of artificial lea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range for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10-50 pieces.
조건 (J)에 따르면, 섬유다발에 의해 점유된 전체 면적이 인공피혁의 두께의 방향에 수직인 어떠한 단면의 단면적의 5-70%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According to condition (J), the total area occupied by the fiber bundle must be in the range of 5-7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y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artificial leather.
전체 면적은 인공피혁으로서의 치밀도와 유연도 모두에 기여하고, 누박조 인공피혁으로 만들었을 때 표면에서의 우수한 직립된 털의 촉감에 기여하고, 전체 면적이 5% 미만일 때, 상기 효과가 부적합하게 나타나고, 70%를 초과할 때 필라멘트들을 실제 서로 뒤엉키게 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점유된 면적을 위한 바람직한 범위는 8-50%이다.The total area contributes to both the density and the softness as artificial leather, and contributes to the feel of good upright hair on the surface when made from nubuck artificial leather, and when the total area is less than 5%, the above effect is unsuitable. In other words, when it exceeds 70%, it becomes difficult to actually entangle the filaments with each other. The preferred range for occupied area is 8-50%.
조건 (K)에 따르면, 부직포 내에 함침된 중합탄성체의 적어도 일부가 섬유들 중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According to condition (K), at least a part of the polymer elastomer impregnated in the nonwoven fabric should not be fixed in the fibers.
대개, 기재의 기능을 하는 부직포 등에 중합탄성체를 함침함으로써 인공피혁에 풍부한 느낌을 제공하지만, 섬유들이 중합탄성체에 의해 완전하게 함께 부착 및 고정될 때, 중합탄성체의 탄성이 인공피혁의 특성에 과도하게 반영되게 되어, 천연피혁의 유연도를 얻을 수 없다.Usually, impregnating a polymer elastomer with a nonwoven fabric serving as a substrate provides a rich feeling to the artificial leather, but when the fibers are completely attached and fixed together by the polymer elastomer, the elasticity of the polymer elastomer is excessively 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ficial leather. It is reflected, and the softness of natural leather cannot be obtained.
조건 (L)에 따르면, 인공피혁의 날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에서의 인장응력 및 씨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에서의 인장응력이 각각 1.5-10kg/cm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인장응력이 1.5kg/cm 미만인 경우에는, 제한 신축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태가 느슨해지는 반면에, 10kg/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도를 얻기 어렵다. 바람직한 범위는 2-6kg/cm이다.According to condition (L), the tensile stress at 20% elongation (σ20) in the warp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and the tensile stress at 20% elongation (σ20) in the weft direction should be in the range of 1.5-10 kg / cm, respectively. do. If the tensile stress is less than 1.5 kg / cm, the limiting elasticity is insufficient and the looseness of the body, while if it exceeds 10 kg / cm,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softness. The preferred range is 2-6 kg / cm.
여기서, 인공피혁의 날실 및 씨실 방향은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의 전체 방위 중에서 평면 상에 수직인 2개의 축 방향이고,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제조하는 동안의 폭 방향을 씨실 방향으로 나타내고, 다른 방향을 날실 방향으로 나타낸다.Here, the warp and weft directions of the artificial leather are two axia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plane among the total orientations o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and the width direction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is the weft direction. The other direction is shown by the warp direction.
조건 (M)에 따르면, 날실 방향 및 씨실 방향으로의 20% 신도(σ20)의 강연도(Rb(단위 g/cm))(σ20/Rb)에 대한 비는 3-30의 평균값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강연도(Rb)는 2cm의 곡률반경에 의해 인공피혁을 구부릴 때의 반발력을 나타내고, 그 값이 작으면 유연도가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강연도는 0.1-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According to condition (M), the ratio of the 20% elongation (σ20) to the stiffness Rb (unit g / cm) (σ20 / Rb) in the warp direction and the weft direction should have an average value of 3-30. Here, the stiffness Rb represents the repulsion force when the artificial leather is bent by a radius of curvature of 2 cm, and a small value thereof indicates that the flexibility is larg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lecture degree be in the range of 0.1-3.
따라서, (σ20/Rb)의 값이 크다는 것은 유연도가 크고 태가 팽팽하다는 것과, 제한 신축성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너무 큰 경우에는 팽팽함을 잃게 된다. 날실 방향 및 씨실 방향을 위한 평균값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 large value of (? 20 / Rb) indicates that the softness is large and the tense is tight and that the limiting elasticity is large. However, when the value is too large, the tension is lost. The average value for the warp direction and the weft direction is preferably 5-20.
조건 (N)에 따르면, 인공피혁의 겉보기 밀도는 인공피혁의 균일한 구조와 팽팽한 취급특성 및 드레이프성에 기여하고, 겉보기 밀도가 0.20g/cm3미만일 경우에는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를 얻을 수 없고, 겉보기 밀도가 0.60g/cm3를 초과할 경우에는 태가 팽팽하지만 인공피혁은 단단한 느낌을 주게 된다. 결과적으로, 겉보기 밀도가 0.20-0.60g/cm3,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0.30-0.50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필수적이다.According to condition (N), the apparent density of artificial leather contributes to the uniform structure,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and drape of the artificial leather, and when the apparent density is less than 0.20 g / cm 3 , a uniform and dense structure cannot be obtained. If the density exceeds 0.60 g / cm 3 , the womb will be taut but the artificial leather will feel hard. As a result, the apparent density 0.20-0.60g / cm 3, and preferably, it is essential in a range of 0.30-0.50g / cm 3.
사용된 기재가 상기 2가지 이상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로부터 얻어진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건 (E) 내지 (H)를 모두 만족시키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일 때, 인공피혁도 또한 다음의 조건 (O) 내지 (Q)를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ubstrate used is a nonwoven fabric made of filaments of fine denier obtained from a multicomponent filament of a divisible type comprising the two or more polymers and satisfying all of the above conditions (E) to (H), artificial leather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O)-(Q).
(O) 섬유다발이 인공피혁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어떠한 단면에서 폭 센티미터당 10-50개의 범위 내에서 존재한다.(O) A bundle of fibers is present in the range of 10-50 per centimeter width in any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P) 인공피혁의 어떠한 단면에서의 공간의 평균 면적이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영상분석방법에 의해 측정했을 때 70-140㎛2이다.(P) The average area of space at any cross section of artificial leather is 70-140 μm 2 as measured by an image analysis metho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Q) 구조가 균일하여 인공피혁의 어떠한 단면에서의 공간 면적의 표준 편차가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영상분석방법에 의해 측정했을 때 80-200㎛2이다.(Q) The structure is uniform,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pace area in any cross section of artificial leather is 80-200㎛ 2 as measured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analysis method.
이제 이 조건들을 설명할 것이다. 조건 (O)에 따르면, 인공피혁이 적합한 강연도를 갖는 구조 및 치밀한 구조를 가지면서, 또한 더 유연한 느낌을 나타내고, 풍부하고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섬유다발의 개수가 12-30개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폭 센티미터당"이란 섬유다발에 수직인, 인공피혁의 단면에서의 직선 거리의 센티미터당을 의미한다.We will now explain thes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 it is possible for the artificial leather to have a structure with a suitable stiffness and a dense structure, and also to exhibit a more flexible feeling and to have rich and taut handling characteristics.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12-30. By "per centimeter wide" is meant per centimeter of straight line distance in the cross section of artificial leather, perpendicular to the fiber bundle.
조건 (P) 및 (Q)에 따르면, 인공피혁에서 사용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부직포와 유사하게,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영상분석방법에 의해 측정되고 필라멘트 및 인공피혁의 단면에 있는 중합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평균 면적이 70-140㎛2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표준 편차값이 80-200㎛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존재하는 거시공간이 더 감소된다.According to conditions (P) and (Q), similar to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used in artificial leather, the space formed by the polymerized elastomer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lament and the artificial leather, measured by the image analysis metho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area of is 70-140 micrometer <2>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ndard deviation value exists in the range of 80-200 micrometer <2> . This further reduces the macrospace present in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s.
좌굴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 은부착 인공피혁을 얻기 위해서는, 수지-함침된 인공피혁이 400㎛2이상의 공간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특정한 범위 내에서는, 은부착 인공피혁으로서 제조되어도 좌굴 주름이 발생되지 않고 한층 더 높은 수준의 유연도 및 드레이프성을 갖는 치밀한 구조를 갖는 인공피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In order to obtain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which does not generate buckling wrink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impregnated artificial leather does not have a space of 400 µm 2 or more, and within this specific range, buckling wrinkles are generated even when manufactured as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It is possible to obtain artificial leather having a dense structure having a higher level of flexibility and drape.
균일도를 나타내는 표준 편차값이 50-200㎛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이 범위 내에 있을 때, 거시공간의 확산이 더 억제되고, 은부착 인공피혁의 경우에 발생되는 좌굴 주름이 더 억제되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tandard deviation value indicating uniformity is in the range of 50-200 μm 2 , which, when in this range, further suppresses macroscopic diffusion and further suppresses buckling wrinkles generated in the case of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Because it becomes.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 및 인공피혁 내의 섬유다발이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로부터 얻어진 섬유다발일 때에는, 분할 후에, 예를 들면, 0.2 데니어의 데니어를 갖는 필라멘트의 개수가 약 10-1000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조 섬유로서의 다성분 필라멘트가 해도형인 경우에는, 미섬유를 유발하기 이전에(해 성분의 추출 이전에), 예를 들면, 4 데니어의 데니어를 갖는 필라멘트의 개수가 약 1-50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다발의 개수가 이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균일한 구조가 제공되고, 섬유다발의 존재에 의해 얻어진 상기 효과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섬유다발의 측면의 단면 형태는 등방성, 즉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타원형과 같이 원형에 가까운 형태일 수 있다.When the fiber bundle in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rtificial leather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ber bundle obtained from a multicomponent filament of a splittable type, the number of filaments having a denier of, for example, 0.2 denier after division is about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is 1000, and when the multicomponent filament as the structural fiber is island-in-sea type, the number of filaments having a denier of 4 denier, for example, before causing microfibers (before extraction of sea component) is about 1 -500 is preferred. If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within this range, a uniform structure is provided, and the above effect obtained by the presence of the fiber bundles is more pronounc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ide of the fiber bundle is preferably isotropic, i.e., circular, and may be shaped like an ellipse.
이제, 본 발명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 및 인공피혁의 제조방법을 설명할 것이다.Now,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rtificial leather made from the fila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 또는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와 같이 미섬유를 산출할 수 있는 필라멘트이거나,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일 수 있고, 이 필라멘트는 초연신(superdrawing)법 등에 의해 직접 제조된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일 수 있지만,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 또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may be filaments capable of producing microfibers, such as a multicomponent filament of a divisible type or an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 or may be a fine denier filament obtained therefrom, which is a superdrawing Although it may be a fine denier filament manufactured directly by a method or the like, a sea island type multicomponent filament or a divisible type multicomponent filament is particularly preferable.
필라멘트의 측면의 단면 형태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엽형 단면, 속이 빈 단면 등과 같은 어떠한 공지의 측면의 단면 형태일 수 있다.The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side of the filament may be a cross sectional shape of any known side such as circular, elliptical, rectangular, multileaf cross section, hollow cross section and the like.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탄성체 등의 이제까지 알려진 열가소성 중합체일 수 있고, 방향족 폴리아미드, 플루오르화 중합체 등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에 방해가 되지만 않는다면, 카본블랙,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실리콘, 탄산칼슘, 마이카, 미세한 금속 분말,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등이 첨가될 수도 있고, 이들 첨가제는 중합체에 대한 착색 효과와, 중합체의 용융 점도를 상승 또는 저하시키는 효과도 또한 갖고, 필라멘트의 측면 단면의 면적 및 형태를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The thermoplastic polymer constituting the filament may be a thermoplastic polymer known so far such as polyester, polyamide, polyolefin, elastomer, and the like, and aromatic polyamide, fluorinated polymer and the like may also be used. In addition, carbon black, titanium oxide, aluminum oxide, silicon oxide, calcium carbonate, mica, fine metal powders, organic pigments, inorganic pigments and the like may be added as long as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additives may be added to the polymer. It also has a coloring effect on the surface, and an effect of raising or lowering the melt viscosity of the polymer, and is effective in adjusting the area and shape of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filament.
이제,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제조를 설명할 것이다.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는 서로 상용성이지만 않다면 어떠한 중합체의 조합일 수 있고, 그 중에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Now, the production of a nonwoven made from a filament comprising a multicomponent filament of a divisible type will be described. The fibrous thermoplastic polymers that make up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can be any combination of polymers, if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of which polyester and polyamide combinations are particularly preferred.
이 경우에,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언급할 수 있지만, 결정화방지 성분이 공중합되거나 포함된 폴리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고, 이것은 뒤엉키게하고 분할한 후에 열수축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polyester, polybutylene terephthalate-based polyester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but polyesters in which the anti-crystallization component is copolymerized or included are particularly preferable, which is entangled and divided Later, the heat shrinkage rate can be increased.
이 폴리에스테르들은 단독으로 또는 2가지 이상의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금속염 술포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술포네이트기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와 결합될 수 있다.These polyest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polyester containing a metal salt sulfonate group may be combined with a polyester not containing a sulfonate group.
폴리아미드로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12, 폴리프탈아미드 등을 언급할 수 있다.As the polyamide, mention may be made of nylon 6, nylon 66, nylon 610, nylon 12, polyphthalamide and the like.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탄성체, 폴리에스테르 탄성체, 폴리아미드 탄성체, 폴리올레핀 탄성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 중의 열가소성 중합체의 가장 바람직한 조합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 6이다.Other fiber forming thermoplastic polymers that may be used includ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urethane elastomers, polyester elastomers, polyamide elastomers, polyolefin elastomers, and the like. Most preferred combinations of thermoplastic polymers in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of the invention a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nylon 6.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는, 2가지 이상의 중합체 성분이 필라멘트의 측면 단면에 방사 방식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정렬의 개수가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 반면, 공정 흐름 및 분할성의 관점에서 8-24개가 바람직하고, 분할성은 필라멘트의 측면 단면이 속이 비어있는 경우에 더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필라멘트의 형성 도중에 분할을 방지하고 이로써 방사 안정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비어 있는 부분의 백분율이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 안정성은 필라멘트의 측면 단면적에 대해 속이 빈 부분에서의 면적의 비율이다.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hav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polymer componen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a radial manner in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filament, and the number of alignmen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erms of process flow and splitability, 8 -24 is preferred, and segmentability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filament is hollow.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centage of the vacant portion is 25% or less in order to prevent splitting during the formation of the filament and thereby further improve the spinning stability. Spinning stability is the ratio of the area in the hollow to the later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lament.
필라멘트의 측면 단면의 전체 면적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의 다중 성분의 각 성분의 비율이 30-7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필라멘트의 분할성 및 방사성의 관점에서는 4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은 정렬의 개수가 짝수이고 단지 2가지 성분이 존재할 때에는 대개 50:50이지만, 비율이 70:30으로 변화될 경우에는 서로 다른 데니어를 갖는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들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 내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의 데니어는 스플릿(split)의 개수 및 분할 후의 데니어로부터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10de인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ference for the total area of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fila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por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ulti-components of the multicomponent filament of the divisible type is 30-70%, in particular 4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60%. This ratio is usually 50:50 when the number of alignments is even and there are only two components, but when the ratio changes to 70:30, it is necessary to include fine denier filaments with different deniers in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s. It is possible. The denier of the multicomponent filament of the divisible type can be determined from the number of splits and the denier after splitting, but generally it is preferably 1-10de.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는, 방사결합법 또는 방사 필라멘트를 저속으로 연신하고나서, 고속 연신 유체로 개섬하면서 권취하거나 또는 메싱된(meshed) 테이블 상에서 부직포로서 연속적으로 메싱한다. 특히 생산성의 관점에서 보면,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를 고속으로 연신하고 메싱된 테이블 상에 주입하는 결합방사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splittable type are drawn at low speed and then subsequently meshed as nonwoven on a wound or meshed table while opening with a high speed drawing fluid.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combined spinning method in which the filament radiated from the nozzle is stretched at high speed and injected onto the meshed table.
여기서, 고속 연신의 속력은 종래기술에 따르는 공지된 속력의 범위일 수 있고, 이젝터 또는 공기흡입기를 통해 그러한 속력으로 방사된 섬유를 고속 연신할 수 있다. 고속 연신에 의해 얻어진 미세한 필라멘트를 개섬하면서 메싱된 네트 상에서 메싱하고, 이 필라멘트를 네트 상에 메싱하면서 혼합하고, 층으로 만들거나 다른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섬유와 혼합할 수 있다.Here, the speed of high speed stretching may be a range of known spee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high speed stretching of fibers spun at such speed through an ejector or air inhaler. Fine filaments obtained by high-speed stretching can be meshed on meshed nets as they are opened, and these filaments can be mixed while meshing on nets, layered or mixed with other filaments or staple fibers.
여기서 사용되는 다른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섬유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만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를 갖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얻기 위해서는, 혼합되는 다른 필라멘트의 비율이 사용되는 필라멘트의 전체 양의 30% 미만이 것이 바람직하다.Other filaments or staple fibers used herei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so long as they can exhibi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n order to obtain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having a uniform and dense structure, the proportion of different filaments to be mixed is used in the total amount of filaments Less than 30% of is preferred.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다중 시트 내에서 층으로 만들거나 단독으로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에 예비 열접착을 하고, 먼저 권취하거나 강제 삼차원 뒤엉킴을 위해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뒤엉킴 처리는 니들 펀치 등을 사용하는 니들에 의한 펀칭 방법, 고압의 물 흐름에 의해 필라멘트를 뒤엉키게 하는 방법, 또는 이 방법들의 조합에 의해 필라멘트의 충전상태를 더 치밀화한다.Nonwoven fabrics made from the filaments obtained in this way can be layered or used alone in multiple sheets, preheated if necessary, and first fed or continuously fed for forced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The entanglement treatment further densifies the state of filling of the filament by a punching method by a needle using a needle punch or the like, a method of entangled the filaments by a high pressure water flow, or a combination of these methods.
통상적인 방사결합법에 의해 얻어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는 실질적으로 모든 필라멘트가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고, 인공피혁용 기재 직물로서 사용될 때 항상 유연도가 부족했었고, 간단한 수축 처리에 의해 부직포로서 치밀한 구조를 얻지만 치밀도 및 유연도는 인공피혁으로 제조될 때 발현되지 않는다.Nonwoven fabrics made from filaments obtained by conventional spinning methods have substantially all the filaments aligned parallel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and have always lacked flexibility when used as a base fabric for artificial leather, with simple shrinkage The treatment gives a dense structure as a nonwoven fabric, but the density and softness are not expressed when manufactured from artificial leather.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는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평행하게 정렬된 섬유다발이 특정 범위 내에서 존재하고, 그러므로 섬유다발의 충분한 형성 및 삼차원 뒤엉킴을 위해서는 니들 펀칭에 의한 뒤엉킴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다발의 개수가 특정 범위 내에 있으면, 인공피혁으로 제조할 때 유연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섬유다발의 존재로 인해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층내 접착강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Nonwoven fabrics made from the fil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fiber bundles arranged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refore entanglement by needle punching is desirable for sufficient formation and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of the fiber bundles. It features. If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oftness when manufacturing the artificial leather. The presence of the fiber bundles can provide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interlayer adhesion strength of nonwovens made from filaments.
그러나, 단순한 니들 펀칭은 필라멘트의 심한 절단을 유발하여 부직포의 강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인공피혁을 제조할 수 없다.However, the simple needle punching causes severe cutting of the filament, which lowers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us cannot produce 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은 섬유다발의 개수가 본 발명에 의해 구체화되는 범위 내에 있고, 종래기술의 어떠한 공지된 기법과도 다르게,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가 부분적으로 절단된다. 물론, 부직포의 강도를 저하시킬 정도로 절단되지는 않지만, 이 범위 내에서의 유효 절단은 인공피혁을 제조할 때 가요성 및 유연성 그리고 천연피혁과 같은 느낌을 제공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오일, 니들의 형태, 니들링의 깊이 및 관통부의 개수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오일은 뒤엉킨 필라멘트들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높은 필라멘트/필라멘트 마찰을 제공하여야 하고, 예를 들면, 지방족 에스테르 또는 폴리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다. 니들의 형태는 미늘(barb)의 개수가 많을 수록 더 효과적이고, 이것은 니들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로서 1-9개의 미늘일 수 있고, 뒤엉킴성 및 니들 평활도의 관점에서 보면 미늘 깊이가 0.02-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들링의 깊이는 니들의 팁에서 미늘까지의 거리에 근거한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하지만, 니들 트랙킹(needle tracking)이 너무 강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깊이가 깊을수록 바람직하다. 관통부의 개수가 300-5000P/cm2인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within the range specifi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ike any known technique of the prior art, 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are partially cut. Of course, although not cut to the extent that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is reduced, effective cutting within this range provides flexibility and flexibility and a feel like natural leather when manufacturing artificial leather.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determine the oil, the shape of the needle, the depth of the needling and the number of penetrations. Specifically, the oil should provide high filament / filament friction so that entangled filaments do not loosen, for example aliphatic esters or polysiloxanes may be used. The shape of the needle is more effective as the number of barbs is more effective, which can be 1-9 barbs in the range of no needle breakage, and the barb depth is 0.02-in terms of entanglement and needle smoothnes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2 mm. The depth of the needling must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ditions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needle to the barb, but the deeper the depth within the range where the needle tracking is not too strong, it is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penetrations is 300-5000P / cm 2 .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섬유다발의 개수가 본 발명에 의해 구체화되는 범위 내에 있고, 종래기술의 어떠한 공지된 기법과도 다르게,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가 부분적으로 절단된다는 것이다. 물론, 부직포의 강도를 저하시킬 정도로 절단되지는 않지만, 이 범위 내에서의 유효 절단은 인공피혁을 제조할 때 가요성 및 유연성 그리고 천연피혁과 같은 느낌을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니들 또는 니들에 대한 손상에 의한 필라멘트의 불필요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오일을 먼저 필라멘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0.5-5중량%로 필라멘트의 표면에 적용하여야 한다. 적용된 오일의 타입은 필라멘트들 사이의 그리고 필라멘트와 니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필라멘트의 부분적인 파손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선택되어야 한다.I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number of fiber bundles is within the range specifi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ike any known technique of the prior art, 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are partially cut. Of course, although not cut to the extent that the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is reduced, effective cutting within this range provides flexibility and flexibility and a feel like natural leather when manufacturing artificial leather. More specifically, the oil must first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lament at 0.5-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lament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breakage of the filament due to the needle or damage to the needle. The type of oil applied should be chosen as causing partial breakage of the filaments without reducing friction between the filaments and between the filaments and the needles.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의 분할을 3차원 뒤엉킴 처리와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니들 펀칭 후에 고압의 물 흐름에 의해 뒤엉킴을 수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데, 예를 들면, 중량이 150g/cm2인 부직포를 얻기 위해, 수압이 50-200kg/cm2인 압축된 물 흐름을 0.5-1.5mm의 간격으로 직경이 0.05-0.5mm인 오리피스를 갖는 노즐로부터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과 후면에 각각 1-4회 분무할 수 있다.Sinc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division of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simultaneously with the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treatment, it is more effective to carry out the entanglement by high pressure water flow after needle punching, for example, 150 g in weight / cm 2 to obtain a nonwoven fabric, a water pressure is 50-200kg / cm 2 of surface and back of the nonwoven fabric made of a compressed water flow from the filament from a nozzle having orifices of 0.05-0.5mm in diameter at intervals of 0.5-1.5mm May be sprayed 1-4 times each.
다른 방법은 뒤엉킴 후의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분할 처리이고, 사용된 기계적 분할 처리는 롤 사이에서의 가압, 초음파 처리, 충격 처리 또는러빙(rubbing) 처리와 같은 어떠한 공지된 방법일 수 있다. 사용된 화학적 분할 처리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적어도 1가지의 팽윤을 야기하는 화학 용액, 또는 성분들 중 적어도 1가지를 용해시키는 화학 용액 중에서의 액침과 같은 종래기술의 어떠한 공지된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분할 처리를 단독으로 또는 2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수행할 수 있다.Another method is mechanical and / or chemical splitting after entanglement, and the mechanical splitting used may be any known method such as pressurizing, sonicating, impacting or rubbing between rolls. The chemical cleavage treatment used is of the prior art such as chemical solution causing swelling of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ulticomponent filament of the divisible type, or immersion in a chemical solution dissolving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It may be any known method. This type of divis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그러한 뒤엉킴 및 분할 처리를 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또한 이완된 상태에서 열수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의 물 흐름 또는 화학 처리 및 수세의 경우에는, 수축성을 갖지 않는 온도에서 건조한 후에 열수축 처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열수축 처리를 직접 수행할 수 있다.It is also desirable to thermally shrink nonwoven fabrics made from such entangled and split filaments in a relaxed state. In the case of high pressure water flow or chemical treatment and washing with water, the heat shrink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after drying at a temperature having no shrinkage, or the heat shrink treatment may be performed directly.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의 수축 단계에서의 열수축 성분의 수축율, 서로 뒤엉킨 정도 및 가열 온도, 그리고 다른 필라멘트들의 혼합 정도에 의해 수축 백분율 및 겉보기 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shrinkage percentage and apparent density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shrinkage ratio of the heat shrinkage components in the shrinkage step of the divisible type multicomponent filaments, the degree of entanglement and heating temperature with each other, and the degree of mixing of the different filaments.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있어서, 부직포가 수축성이 서로 다른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질 때, 부직포 내의 거시공간을 제거하고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를 유발하기 위해서, 필라멘트들은 성분들 중 1가지가 열수축성인 다성분 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의 온수 중에서 열수축성 성분과 다른 성분의 열수축성 차이가 5-50%, 특히 1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0.5de의 데니어를 갖는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의 2가지 이상의 타입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70-100℃의 온수 중에서의 이완된 상태에서의 완만한 수축 처리 및/또는 약 20초 내지 10분 동안의 80-140℃에서의 건조 가열을수행하여 5-50%의 면적 수축 백분율을 갖는 부직포를 얻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n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onwoven fabric is made from filaments with different shrinking properties, the filaments are heat shrinkable so that one of the components is heat-shrinkable to remove the macrospace in the nonwoven fabric and cause a uniform and dens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component filamen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shrinkage difference of a heat-shrinkable component and another component is 5-50%, especially 10-30% in 95 degreeC warm water, and the fine denier filament which has a denier of 0.01-0.5de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comprising a mixture of two or more types of sinters in a relaxed state in hot water at 70-100 ° C. and / or dried at 80-140 ° C. for about 20 seconds to 10 minutes. Particular preference is given to performing a heating to obtain a nonwoven fabric having an area shrinkage percentage of 5-50%.
본 발명에 따르는 열수축 백분율은 0.5g/de의 하중 하에서 30분 동안 95℃의 온수 중에서 필라멘트를 수축시킬 때의 수축 백분율로부터 결정하고, (수축 처리 전의 길이 - 수축 처리 후의 길이)/(수축 처리 전의 길이)×100%로 수축 백분율을 계산한다.The heat shrinkage percen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from the shrinkage percentage when shrinking the filament in hot water at 95 ° C. for 30 minutes under a load of 0.5 g / de, (length before shrinkage-length after shrinkage) / (before shrinkage) Calculate the percentage shrinkage by length) × 100%.
면적 수축 백분율은 [(수축 전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면적 - 수축 후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면적)/(수축 전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면적)]×100(%)로 계산한다.The area shrinkage percentage is calculated as [(area of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 before shrinkage-area of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 after shrinkage) / (area of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 before shrinkage)] x 100 (%).
여기서, "이완된 상태"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가 3-30%의 과이송율로 한쪽 방향으로 진행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면적 수축 백분율에 촛점을 맞춘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단(hem)은 바람직하게는 비유지(non-held)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과이송율은 목표 면적 수축 백분율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지만, 3-30%의 범위 내에서의 과이송율이 5-50%의 면적 수축 백분율을 얻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Here, the "relaxed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proceeds in one direction at an overfeed rate of 3-30%.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 of the invention focused on the area shrinkage percentage, the hem of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 should preferably be kept non-held. The overfeed rat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arget area shrinkage percentage, but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overfeed rate in the range of 3-30% facilitates obtaining an area shrinkage percentage of 5-50%.
이 이완된 상태에서의 수축 처리의 바람직한 형태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가 부력으로 인해 더 긴장-이완된 상태에서 70-100℃인 것이 바람직한 온수 중에서 수축할 수 있는 형태이고, 이것은 이 범위 내에서 더 철저한 수축 처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조 가열에 의해 수축 처리를 수행할 때, 80-140℃의 분위기 온도가 바람직하고, 이것은 이 범위 내에서 더 철저한 수축 처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referred form of shrinkage treatment in this relaxed state is that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is capable of shrinking in hot water, which is preferably 70-100 ° C. in a more strain-relaxed state due to buoyancy, which is more thorough within this range. This is because shrinkage treatment can be performed. When carrying out the shrinkage treatment by dry heating, an ambient temperature of 80-140 ° C is preferred, since more thorough shrinkage treatment can be performed within this range.
적어도 5%의 면적 수축 백분율을 얻기 위하여 이완된 상태에서의 수축 처리 시간을 적어도 20초부터 10분까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화학적 분할 처리와 동시에 수축 처리를 수행할 때, 분할 처리는 10분을 초과하는 시간을 필요로하고, 분할 처리를 완결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적절한 시간으로서 우월하다.The shrinkage treatment time in the relaxed state can be appropriately set from at least 20 seconds to 10 minutes to obtain an area shrinkage percentage of at least 5%, but when performing the shrinkage treatment concurrently with the chemical splitting treatment, the splitting treatment is performed for 10 minutes. It requires time exceeding, and the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splitting process is superior as an appropriate time.
면적 수축 백분율이 5-50%의 범위 내에 있을 때, 더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얻는 것이 가능하고,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겉보기 밀도가 더 적합하고, 부직포가 한층 높은 수준의 팽팽한 취급 특성 및 드레이프성을 갖는다. 특히, 겉보기 밀도가 뒤엉킴 처리 단계에서 충분히 증가되고 열수축에 의한 치밀화가 면적 수축 백분율의 면에서 10-30%로 설정될 때, 더 완만한 열수축 처리를 수행하여 더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를 갖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area shrinkage percentage is in the range of 5-50%, it is possible to obtain a nonwoven fabric having a more uniform and dense structure, the apparent density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is more suitable, and the nonwoven fabric has a higher level of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and It has drape property. In particular, when the apparent density is sufficiently increased in the entanglement treatment step and the densification by heat shrinkage is set to 10-30% in terms of area shrinkage percentage, a gentle heat shrinkage treatment is performed to obtain a more uniform and dense structure from the fila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 made nonwoven.
그 결과로서,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들 사이에서 형성된 공간이 더 정제되고, 필라멘트들 사이의 공간의 부피는 종래의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비해 작고, 공간의 개수가 증가하여, 은부착 인공피혁으로 제조될 때조차도 결과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좌굴 주름에 대한 저항의 이점이 제공된다.As a result,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ne denier filaments is further refined, and the volume of the space between the filaments is smaller than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conventional fine denier filaments, and the number of spaces is increased, so that the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Even when manufactured with a non-woven fabric provided with the resulting filaments, the advantage of resistance to buckling wrinkles is provided.
상기 설명은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로서 사용될 때 채용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이제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제조방법을 설명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employed when the divisible type multicomponent filament is used as a filament constituting a nonwoven made from the filament, but will now describe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
사용된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는 서로 다른 열수축성을 갖는 2가지 이상의 타입의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위해 언급된 것과 동일한 타입의 중합체)를 도 성분으로서, 그리고 용해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어떠한 원하는 중합체를 해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공지된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의 어떠한 측면의 단면 형태를 갖는, 해 성분과 도 성분의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중합체 필라멘트, 또는 멀티코어/외장 필라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The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used comprise two or more types of fibrous thermoplastic polymers (polymers of the same type as those mentioned for the multipart filaments of the splittable type) having different heat shrinkages as island components, and by dissolution Any desired polymer that can be easily removed can be contained as a sea component. Mixed polymeric filaments comprising a polymer mixture of sea component and island component, or multicore / exterior filaments, can be used, which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n any side of known islands-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또한,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는 다층 방식으로 함께 결합되고 아래에 기술된 중합체 혼합물(a) 및 중합체 혼합물(b)를 포함하는 혼합 다성분 필라멘트일 수도 있다.The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may also be mixed multicomponent filaments that are bonded together in a multi-layer manner and comprise the polymer mixture (a) and the polymer mixture (b) described below.
중합체 혼합물(a):Polymer mixture (a):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A)를 도 성분으로서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중합체(B)를 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A polymer mixture comprising a fibrous thermoplastic polymer (A) as a drawing component and a polyolefinic polymer (B) as a sea component.
중합체 혼합물(b):Polymer mixture (b):
섬유형성 열가소성 중합체(A')를 도 성분으로서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중합체(B')를 해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A polymer mixture comprising a fibrous thermoplastic polymer (A ') as a drawing component and a polyolefinic polymer (B') as a sea component.
이 중합체들과 중합체가 혼합된 열가소성 중합체들은 상기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중합체 타입일 수 있고, 열가소성 중합체(A) 및 (A')와 폴리올레핀 중합체(B) 및 (B')는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Thermoplastic polymers in which these polymers and polymers are mixed may be of the polymer type constituting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and thermoplastic polymers (A) and (A ') and polyolefin polymers (B) and (B') Each can be the same or different.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제조 및 뒤엉킴 처리를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사용할 때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고, 원하는 용매에 의해 해성분을 용해 및 제거한 후에 3차원 뒤엉킴을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The fabrication and entanglement of nonwoven fabrics made from filaments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when using multipar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and three-dimensional entanglement is carried out after dissolving and removing the sea component with the desired solv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결과되는 부직포는 누박조 인공피혁을 위한 기재 직물로서의 특정 이점을 갖고서 사용될 수 있지만, 누박조 인공피혁은 은부착 인공피혁의 특징 이외에 만족스러운 인공피혁 표면 촉감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직립된 털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The resulting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 can be used with particular advantages as a base fabric for nubuck artificial leather, but since nubuck artificial leather requires satisfactory artificial leather surface feel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silver-seated artificial leath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hair.
특정한 섬유다발은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여기서 매우 중요하고, 섬유다발이 두께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어야 하는 것뿐만 아니라, 섬유다발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도 또한 부분적으로 절단되어야 하고, 본 발명에 따르는 특정한 섬유다발은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사용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필라멘트의 절단을 위해 수행되는 니들 펀칭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Particular fiber bundles are of great importance here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fiber bundles having to be aligned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fiber bundles must also be partially cut and the particular fiber bundl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easily formed by needle punching performed for cutting of the filament in the same manner as when using a multicomponent filament of the dividable type.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가능한 타입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 또는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와 같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인공피혁으로 제조하기 위해 중합탄성체를 함침함으로써 복합물로 만든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site by impregnating a polymerized elastomer to produce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into artificial leather, such as a nonwoven fabric made from a filament comprising a splittable filament or a nonwoven fabric made from a filament comprising a sea island-type multicomponent filament Make it.
중합탄성체로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에테르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네오프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실리콘 수지, 폴리아미노산 및 폴리아미노산-폴리우레탄 공중합체, 천연 중합체 수지, 그리고 이것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안료, 염료, 가교제, 충전제, 가소제 및 각종 안정화제도 첨가할 수 있다.Polymeric elastomers include polyvinyl chloride, polyamide, polyester, polyester-ether copolymer, polyacrylic acid-ester copolymer, polyurethane, neoprene, styrene-butadiene copolymer, silicone resin, polyamino acid and polyamino acid-polyurethane air. Copolymers, natural polymer resins, and mixtures thereof may be mentioned, and pigments, dyes, crosslinkers, fillers, plasticizers and various stabilizers may be added as necessary.
폴리우레탄 그리고 폴리우레탄의 다른 수지와의 혼합물은 유연한 느낌을 주므로 중합탄성체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Polyurethanes and mixtures of polyurethanes with other resins are preferred for use as polymeric elastomers because they give a soft feel.
유기 용매 중의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또는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으로서 본 발명의 부직포 내에 중합탄성체를 함침시킨다. 채용된 응고방법은 종래기술에서 통상 사용된 어떠한 방법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열증감 응고방법이 건조방법으로서 바람직하고, W/O 타입의 에멀션으로부터의 건조에 의한 세공 응고방법이 더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는 중합탄성체의 수혼화성 유기 용매 용액으로 함침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가 세공 응고를 위해 주로 물로 구성된 응고조를 통과하도록 하는 습식 방법을 들 수 있다.The polymerized elastomer is impregnated into a nonwoven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or dispersion in an organic solvent, or as an aqueous solution or an aqueous dispersion. The solidification method employed may be any method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a thermosensitive solidification method is preferable as a drying method, and a pore solidification method by drying from an emulsion of a W / O type is more preferable. . Another example is a wet process in which a nonwoven fabric made from a filament impregnated with a water-miscible organic solvent solution of a polymeric elastomer passes through a coagulation bath consisting primarily of water for pore coagulation.
바람직하게는, 중합탄성체의 함침을 위해, 기재 직물의 기능을 하는 부직포를 먼저 실리콘 등의 에멀션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기재 직물의 기능을 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먼저 PVA와 같은 수용성 중합체로 처리하여 필라멘트의 표면에 중합탄성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성 필라멘트를 충분히 속박하는 것이 좋다. 필라멘트의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필라멘트가 적합한 자유운동을 하고 중합탄성체가 변형 및 외부 응력에 대항할 수 있게 되어, 이로써 유연도가 부여된다.Preferably, for impregnation of the polymer elastomer, the nonwoven fabric serving as the base fabric is first treated with an emulsion such as silicone, or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serving as the base fabric is first treated with a water-soluble polymer such as PVA to make the filament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polymerized elastomer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polymer and to sufficiently bind the constituent filaments. By treating the surface of the filament, the filament can make a suitable free movement and the polymerized elastomer can resist deformation and external stress, thereby giving flexibility.
함침용액 중의 중합탄성체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또는 함침 도중에 함침용액의 습윤 픽업(pick-up)을 조절함으로써 함침된 중합탄성체의 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polymerized elastomer can be easi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ized elastomer in the impregnation solution or by adjusting the wet pick-up of the impregnation solution during impregn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 직물의 기능을 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와 함침된 중합탄성체의 비는 인공피혁의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7:3 내지 50:5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60:40이다. 중합탄성체의 비율이 그러한 범위 내에 있을 때, 결과되는 인공피혁은 더 나은 유연도 및 팽팽함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피혁의 기재 직물의 기능을 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는 그 구조 내에 최소한의 거시공간이 존재하고, 균일하여 함침을 위한 중합탄성체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결과되는 인공피혁이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ratio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functioning as the base fabric and the impregnated polymer elastomer is preferably 97: 3 to 50:50, more preferably 9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rtificial leather. 10 to 60:40. When the proportion of the polymerized elastomer is within such a range, the resultant artificial leather will have better softness and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onwoven fabric made from a filament functioning as a base fabric of artificial leather has a tight macroscopic space in its structure, and evenly, the resulting artificial leather is tightly handled even when the amount of polymerized elastomer for impregnation is small. Will have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인공피혁의 털을 세움으로써, 수에드조 또는 누박조 인공피혁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염색을 하여 그 가치를 더 높일 수 있다.By erecting the artificial leather 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suede or nubuck artificial leather, in which case it can be dyed to further increase the value.
또한, 본 발명의 인공피혁은 표면에 중합탄성체의 코팅을 제공함으로써 은부착 인공피혁으로 만들 수도 있다. 종래의 은부착 인공피혁은 기재 직물의 기능을 하는 함침된 부직포의 밀도 및 균일도의 관점에서 만족스럽지 않았고, 좌굴 주름이 발생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 단점을 은부착 인공피혁을 러빙하여 미리 좌굴 주름을 가함으로써 처리하였고, 표면에 제공된 코팅은 필요치 보다 두꺼워야 한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leat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made of silver-attached artificial leather by providing a coating of polymerized elastomer on the surface. Conventional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was not satisfactory in terms of density and uniformity of the impregnated nonwoven fabric functioning as the base fabric, and buckling wrinkles tended to occur. This shortcoming was treated by rubbing silver-bonded artificial leather and applying buckling wrinkles in advance, and the coating provided on the surface should be thicker than necessary.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부터 제조된 인공피혁은 표면에 은부착 면으로서 형성된 코팅의 두께에 관계없이 좌굴 주름에 대해 저항성을 갖고, 유연도 및 드레이프성과 함께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는다.In contrast, artificial leathers made from nonwoven fabrics made from fil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istant to buckling wrinkles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ormed as silver-bonded surfaces on the surface, and have tight handling properties along with flexibility and drape.
코팅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코팅을 이형 시트(releasesheet) 상에 형성하고나서 이형 시트를 함침된 부직포의 표면에 부착하는 적층법, 중합탄성체의 W/O 타입 에멀션을 함침된 부직포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다공성 층을 형성하고나서 엠보싱, 그라비어 인쇄 등을 하여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 이 다공성 층의 표면에서의 적층에 의해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 중합탄성체의 수혼화성 유기 용매 용액을 함침된 부직포의 표면에 도포하고, 주로 물로 구성된 응고용액 중에서의 세공 응고를 위한 습식 방법을 사용하여 다공성 층을 형성하고나서 엠보싱, 그라비어 인쇄 등을 하여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이 다공성 층의 표면에 적층하여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과 같이 어떠한 공지의 형성 방법일 수 있다.The method used to form the coating is, for example, a lamination method in which the coating is formed on a release sheet and the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gnated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a W / O type emulsion of polymeric elastomer.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and dried to form a porous layer, followed by embossing, gravure printing, or the like to form a coating; A solution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gnated nonwoven fabric and a porous layer is formed using a wet method for pore solidification in a coagulating solution consisting mainly of water, followed by embossing, gravure printing, or the like to form a coating, or the porous layer It may be any known forming method such as a method of forming a coating by lamin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lm.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로서 사용될 때, 결과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는 주로 누박조 인공피혁으로 제조될 수 있다.When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are used as filaments constituting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the nonwoven fabrics made from the resulting filaments can be made mainly of nubuck artificial leather.
그 이유는 (1) 초미섬유(ultra microfibre)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2) 인공피혁이 치밀도와 표면 유연도를 모두 가질 수 있고, (3) 우수한 표면 촉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기 때문이고, 그러한 경우에 해성분의 추출 후에 잔류하는 도 성분의 평균 데니어가 0.0001-0.2de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is is because (1) ultra microfibres are easily obtained, (2) artificial leather is suitable because it can have both density and surface softness, and (3) excellent surface feel. In such a cas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average denier of the island component remaining after extraction of the sea component is 0.0001-0.2de.
따라서, 다성분 필라멘트 중의 해 성분의 추출은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가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구성 필라멘트로서 선택될 때 필요하고, 사용된 추출 단계는 종래기술의 어떠한 공지된 방법일 수 있고, 우레탄과 같은 중합탄성체를 추출 단계 후에 공간 내에 함침할 수 있고, 도 성분을 중합탄성체의 함침 후에 추출할 수 있거나, 또는 적절한 선택에 따라서 중합탄성체의 함침과 동시에 추출할수 있지만, 단계를 제거하기 위해 도 성분을 중합탄성체의 함침과 함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extraction of sea components in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is necessary when the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are selected as the constituent filaments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and the extraction step used may be any known method of the prior art, such as urethane The polymerized elastomer can be impregnated into the space after the extraction step and the island component can be extracted after the impregnation of the polymer elastomer, or can be extracted simultaneously with the impregnation of the polymer elastomer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choice, but the polymer is polymerized to remove the step. It is preferable to extract with impregnation of an elastic body.
본 발명에 따르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는 이제까지 가능하지 않았던 촉감 및 유연도를 갖는 인공피혁의 제조를 위해 유용하다. 결과되는 인공피혁의 유연도, 표면 패턴, 색, 광택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스포츠화와 같은 신발, 축구공, 농구공, 배구공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공, 포트폴리오, 핸드백 및 브리프케이스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가방류, 소파 및 의자 덮개용 시트, 가구용 시트, 자동차용 시트 등의 시트류, 골프용 장갑, 야구용 장갑, 스키용 장갑 등의 장갑류, 또는 의류, 착용장갑, 벨트 등의 광범위한 목적을 위해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Nonwoven fabrics made from the filament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leathers with a touch and softness that have not been possible until now. By adjusting the resulting softness, surface pattern, color and glossiness of the resulting artificial leather, it is possible to include all types of balls, portfolios, handbags and briefcases, such as sports shoes, soccer balls, basketballs, volleyballs, etc. Various types of bags, seats for sofa and chair covers, seats for furniture, seats for automobiles, gloves such as golf gloves, baseball gloves, ski gloves, or clothing, wearing gloves, belts, etc. It is possible to adopt for.
이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이해해서는 안된다.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bu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xamples.
아래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실시예의 측정값들을 측정하였고, 다르게 명기되지 않는 경우에는, 5회의 측정에서 얻은 5개의 서로 다른 측정값들의 평균값이다.The measurements of the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are the average of five different measurements obtained in five measurements.
극한 점도(limiting viscosity)Limiting viscosity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샘플의 용액을 제조하고 35℃에서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사용된 용매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A solution of the sample was prepar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and determined by measuring at 35 ° C. Solvents used are described in the Examples.
샘플 두께Sample thickness
1cm 직경 중량 상에서의 0.98N의 하중 하에서 측정하기 위해 두께 측정기("543-101F", Mitsuto제)를 사용하였다.A thickness gauge ("543-101F", manufactured by Mitsuto) was used to measure under a load of 0.98 N on 1 cm diameter weight.
인장응력, 인장강도 및 절단신도Tensile Stres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JIS L-1096의 방법에 따라서, 폭이 1cm이고 길이가 9cm인 샘플을 절단하고, 5cm 간격으로 유지하고, 6cm/분의 인장 속력에서의 신도를 측정하기 위해 범용 인장측정기를 사용하여, 20% 신도(σ20)에서의 응력으로서의 인장응력, 그리고 각각 절단점에서의 하중값 및 신도로서의 인장강도 및 절단신도를 측정하였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JIS L-1096, 20% of a sample of 1 cm in width and 9 cm in length is cut, maintained at 5 cm intervals, using a universal tension meter to measure elongation at a tensile speed of 6 cm / min, 20% Tensile stress as stress at elongation (? 20), load value at cut point and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elongation were measured, respectively.
강연도(Rb)Lecture degree (Rb)
폭 2cm×길이 9cm의 샘플을 제작하고, 샘플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유지장치로 유지하고, 샘플을 90°구부려 U형으로 만들고, U게이지의 측정 팁을 그 단부에 대항하여 가압하고, 하중값을 기록하고, 폭 센티미터당 계산하였다. 단위는 g/cm이고, 강연도는 직물의 유연도를 나타내고, 그 값이 작다는 것은 유연도가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A sample having a width of 2 cm x 9 cm was produced, the end of the sample was held in a retaining device, the sample was bent 90 ° to form a U, the measuring tip of the U gauge was pressed against the end, and the load value Was recorded and calculated per centimeter wide. The unit is g / cm, and the stiffness indicates the softness of the fabric, and a small value indicates that the softness is large.
20% 인장응력의 강연도에 대한 비Ratio to stiffness of 20% tensile stress
천연피혁은 치밀하고 균일한 구조로 인해 나타나는 "유연도 및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고, 그것의 지표로서 (20% 응력)/(강연도)=(σ20/Rb)를 채용하고, 길이 및 폭의 평균값을 취하였다.Natural leather has "flexibility and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due to its compact and uniform structure, and employs (20% stress) / (strength) = (σ20 / Rb) as its index, and has a length and width. The average value was taken.
압축 백분율Compression percentage
100mm×100mm 샘플을 제작하고, 레벨 플랫폼 상에 얹고, 샘플의 중앙에서의 두께(A)를 80g/cm2의 하중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동일한 위치에서 500g/cm2의 하중을 적용하여 두께(B)를 측정하고, [(A-B)/A]×100(%)를 계산하였다.A 100 mm x 100 mm sample was prepared, mounted on a level platform, and the thickness A at the center of the sample was measured by applying a load of 80 g / cm 2 . Then, the thickness (B) was measured by applying a load of 500 g / cm 2 at the same position, and [(AB) / A] × 100 (%) was calculated.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된 섬유다발의 개수Number of fiber bundles aligned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게 선택된 단면을 40× 배율에서 전자현미경으로 사진촬영하고,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선 상의 1cm 거리 내의 섬유다발의 개수를 육안으로 계수하였다.A cross section selected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was photographed by an electron microscope at 40 × magnification, and the number of fiber bundles within a distance of 1 cm on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was visually counted.
표면에 평행한 단면에서 섬유다발에 의해 점유된 단위 면적의 백분율Percentage of unit area occupied by fiber bundles in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부직포의 표면에 평행한 단면을 50× 배율에서 전자현미경으로 사진촬영하고, 이 사진을 200%까지 더 확대하고, 섬유다발에 해당하는 복사지 표면의 부분을 잘라내고, 그 면적을 측정하고 전체 면적을 더하고, 섬유다발에 의해 점유된 면적의 백분율을 (섬유다발의 전체 면적/사진의 면적)×100(%)로 계산하였다.Take a photomicrograph of a cross-s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at 50 × magnification, magnify it further by 200%, cut out the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py paper corresponding to the fiber bundle, measure its area, and measure the total area.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the area occupied by the fiber bundle was calculated as (the total area of the fiber bundle / the area of the photograph) x 100 (%).
부직포 표면의 단위 면적당 필라멘트의 절단 단부의 개수Number of cut ends of filament per unit area of nonwoven surface
부직포의 표면을 100× 배율에서 전자현미경사진으로 사진촬영하고, 0.5mm×0.5mm 구획당 필라멘트의 절단 단부의 개수를 계수하고, 5 구획의 평균을 취하고, 이것을 면적당 계산하고, 이것으로부터 면적 1mm2당 필라멘트의 절단 단부의 개수를 결정하였다.Photograph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by electron micrographing at 100 × magnification, count the number of cut ends of the filament per 0.5mm × 0.5mm section, take the average of 5 sections, calculate this per area, and from this, area 1mm 2 The number of cut ends of the filament was determined.
분할 백분율Split percentage
부직포의 표면을 200× 배율에서 전자현미경으로 사진촬영하고, 100개의 필라멘트의 단면 면적을 측정하고, 전체 면적과 비분할된 필라멘트(예를 들면, 약 2 또는 3 부분으로 분할된 것과 같이 완전히 분할되지 않은 것을 포함함)의 단면적 사이의 차이를 전체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의 분할 백분율을 결정하였다. 분할 백분율이 클수록 분할이 더 잘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Photograph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ith an electron microscope at 200 × magnification, measu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100 filaments, and do not fully divide the total area and undivided filaments (eg, divided into about 2 or 3 parts). By divi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ross sectional areas by the total area, the percentage of division of the multicomponent filaments of the divisible type was determined. Larger split percentages indicate better splits.
공간의 평균 면적 및 표준 편차Average area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pace
부직포의 단면 및 인공피혁의 단면 내의 필라멘트들 사이의 공간의 평균 면적을 다음의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영상분석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The average area of the space between the filament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nonwoven fabric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artificial leather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image analysis metho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 샘플 제작: 측정할 부직포의 단면 샘플을 0.1Pa 이하의 작업 압력 및 800옹스트롬의 코팅 두께의 조건 하에서 Nihon Denshi, KK.제 이온스퍼터링 장치 "JFC-1500"을 사용하는 이온스퍼터링에 의해 금속으로 코팅한다.(1) Sample preparation: The cross-sectional sample of the nonwoven fabric to be measured was subjected to metal by ion sputtering using an ion sputtering apparatus "JFC-1500" manufactured by Nihon Denshi, KK. To coat.
(2) 전자현미경검사: 상기 (1)에서 제작된 샘플을 5kV의 가속 전압, 2.2A의 필라멘트 전류 및 15.7초/라인(수평, 60Hz)의 주사 속도의 조건 하에서 Nihon Denshi, KK.제 주사전자현미경 "JSM-6100" 내에 얹고, 관찰을 위해 영상 신호 파형을 CRT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파형의 최대 및 최소 피크 수준을 각각 포텐셜 스케일(potential scale) 상에서 5V 및 0V에 맞추고, 배율을 200×로 설정하여 노출시간을 결정한다.(2) Electron microscopy: The sample produced in (1) above was prepared by Nihon Denshi, K.K. under the conditions of an acceleration voltage of 5 kV, a filament current of 2.2 A, and a scanning speed of 15.7 seconds / line (horizontal, 60 Hz). Mounted in microscope "JSM-6100", display image signal waveform on CRT for observation, adjust the maximum and minimum peak level of waveform to 5V and 0V on potential scale and set magnification to 200x,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exposure time.
(3) 영상 처리: 주사현미경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입력된 영상 상의 "개방 셀의 계수"의 영상 처리의 선택에 의한 측정을 위해 Asahi Kasei, KK.제 고정밀 영상 분석용 시스템 "IP-1000PC"를 사용한다. 이 영상 처리를 위한 이진수 임계값은 영상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휘도 분포의 피크의 최대 피크 수준과 최소 피크 수준 사이의 중앙점에서의 휘도(휘도=0)이다. 임계값에 의해 한정된 휘도의 하부를 공간 부분으로서 추출한다.(3) Image processing: Asahi Kasei, KK. High Precision Image Analysis System "IP-1000PC" is used for measurement by selection of image processing of "coefficient of open cells" on an image automatically input from a scanning microscope. . The binary threshold for this image processing is the luminance (luminance = 0) at the center point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peak levels of the peaks of the luminance distribution obtained from the image analysis. The lower part of the luminance defined by the threshold value is extracted as the space part.
(4) 평균 면적 및 표준 편차의 계산: 부직포 단면의 0.25mm2영역 내에 존재하는 추출된 공간 부분의 면적을 측정하고, 동일한 과정을 부직포 단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적어도 3회 반복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공간 부분의 면적으로부터 평균 면적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하였다.(4) Calculation of Mean Area and Standard Deviation: The area of the extracted spatial portion present within the 0.25 mm 2 area of the nonwoven cross section was measured and the same procedure was repeated at least three times at different locations of the nonwoven cross section. The average area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rom the area of the space part obtained in this way.
좌굴 주름Buckling wrinkles
길이 및 폭이 4cm인 샘플을 제작하고, 이 샘플을 날실 방향(또는 씨실 방향)으로 단 부분의 단부로부터 1cm 떨어진 구획에 유지하고, 표면이 안쪽으로 구부려진 상태에서 유지된 부분의 간격을 2cm로부터 1cm까지 감소시킬 때 표면에서 발생하는 좌굴 주름의 개수를 육안으로 계수하고, 아래에 열거된 스케일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7개 좌굴 주름 이하의 계수가 실제 사용을 위해서는 적합하다.Samples 4 cm in length and width were fabricated, held in a warp direction (or weft direction) in a compartment 1 cm away from the ends of the ends, and the spacing of the parts held with the surface bent inward from 2 cm. The number of buckling wrinkles occurring on the surface when decreasing to 1 cm was visually count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scales listed below. Coefficients below seven buckling wrinkles are suitable for practical use.
◎ 0-2개의 좌굴 주름◎ 0-2 buckling wrinkles
○ 3-7개의 좌굴 주름3-7 buckling wrinkles
× 8개 이상의 좌굴 주름× 8 or more buckling wrinkles
누박 촉감Nubuck touch
길이 및 폭이 4cm인 샘플을 제작하고, 샘플의 누박 형성면을 손가락으로 찾아내어 직립된 털의 상태 및 촉감을 측정하고, 이것을 다음의 스케일에 따라서 평가하였다.A sample having a length and width of 4 cm was produced, and the nubuck-forming surface of the sample was found with a finger to measure the state and feel of the upright hair, and thi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cale.
◎ 우수한 촉감을 갖는 매우 치밀하고 미세한 직립된 털◎ Very dense and fine upright hair with excellent touch
○ 약간 거칠지만 우수한 촉감을 갖는 직립된 털○ Upright hair with slightly roughness but excellent touch
× 보통의 촉감을 갖고 거친 직립된 털× coarse upright hair with a normal touch
실시예 1Example 1
부직포 1의 제조Manufacture of Nonwovens 1
제 1 성분인,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10몰%의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및 10몰%의 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산 성분의 중축합 polycondensation)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오르토 클로로페놀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0.64임), 그리고 제 2 성분인, 나일론 6(메타 크레졸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1.1임)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개별적으로 용융 반죽한 후에 2g/분의 필라멘트당 방출 속도로 속이 빈 노즐 방사구로부터 방출하고, 3.5kg/cm2의 이젝터 압력에서 고속 연신 한 후에, 공기 흐름에 의해 소산용 보드 상에 충돌시켜 필라멘트를 개섬하고,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16-스플릿 타입 다층 적층물 타입의 단면을 갖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메싱된 테이블 컨베이어 상에 수집하였다. 2가지 성분의 부피비는 50:50이었고, 다르게는 성분들을 16층으로 배치하였다.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in ortho chlorophenol)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10 mol% dimethyl isophthalate containing 10 mol% of dimethyl terephthalate as the first component and 10 mol% of ethylene glycol The ultimate viscosity is 0.64) and the second component, nylon 6 (the ultimate viscosity in metacresol is 1.1) is fed to the extruder and individually melt kneaded and hollow nozzle at a release rate per filament of 2 g / min After ejecting from the spinneret and stretching at high speed at an ejector pressure of 3.5 kg / cm 2 , impinge on the dissipation board by air flow to open the filament, and a 16-split type multilayer stack as shown in FIG. 8. Table conveyor meshed as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comprising multicomponent filaments of a divisible type having a cross section of the type It was collected on the air. The volume ratio of the two components was 50:50, otherwise the components were arranged in 16 layers.
다음에, 주로 지방산 금속염과 실리콘으로 구성된 오일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필라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의 유효범위까지 분무하고, 시판 니들(9개의 미늘, 0.08mm의 미늘 깊이)을 사용하여 8.7mm의 관통 깊이까지 800P/cm2로 니들 펀칭하였고, 그 후에 고압 물 흐름에 의한 뒤엉킴 처리를 전면으로부터 50kg/cm2의 수압에서 1회 그리고 140kg/cm2의 수압에서 2회 수행하고나서,후면으로부터 140kg/cm2의 수압에서 2회 수행하였다. 필라멘트를 니들 펀칭 도중에 부분적으로 절단하였고, 니들의 구부러짐은 발생하지 않았다.Next, an oil composed mainly of fatty acid metal salts and silicones was sprayed onto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to an effective range of 1.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laments, and 8.7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needles (9 barbs, barb depth of 0.08 mm). Needle punched at 800 P / cm 2 to a penetration depth of mm, after which the entanglement treatment by high pressure water flow was performed once at a water pressure of 50 kg / cm 2 from the front and twice at a water pressure of 140 kg / cm 2 , Two runs were performed at 140 kg / cm 2 water pressure from the rear side. The filament was partially cut during needle punching and no bending of the needle occurred.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60초 동안 90℃의 온수조 내에서 액침한 후에, 110℃에서 고온 공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여 부직포 1을 얻었다.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was immersed in a hot water bath at 90 DEG C for 60 seconds, and then dried by a hot air dryer at 110 DEG C to obtain Nonwoven Fabric 1.
실시예 2Example 2
부직포 2의 제조Manufacture of Nonwovens 2
속까지 단단한 타입의 방사구를 사용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부직포 2를 얻었고, 필라멘트 측면의 단면을 도 9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하였다.A nonwoven fabric 2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olid spinneret was used to the insid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filament side was modified to the shape shown in FIG. 9.
실시예 3Example 3
부직포 3의 제조Manufacture of nonwovens 3
니들 펀칭 후에 실온에서 10분 동안 10%의 벤질 알코올 및 2%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에멀션 중에 액침하고, 수세 및 압착탈수 후에, 90℃의 온수조 내에서 20분 동안 수축 처리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부직포 3을 얻었다.After needle punching, the solution was immersed in an aqueous emulsion containing 10% benzyl alcohol and 2% nonionic surfactant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and after washing and pressing dewatering, shrinkage treatment was performed for 20 minutes in a 90 ° C hot water bath. Except for the nonwoven fabric 3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부직포 4의 제조Manufacture of nonwovens 4
제 1 성분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오르토 클로로페놀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0.63임)와 제 2 성분인 나일론 6(메타 크레졸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1.1임)을 2g/분의 필라멘트당 방출 속도로 방사하고, 통상의 용융 방사법에 의해 1000m/분의 권취 속력으로 권취하여 도 10에 도시된 필라멘트 측면의 단면 형태를 갖는 6.6de의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비연신 필라멘트를 얻었다. 그리고나서, 비연신 필라멘트를 40℃의 온수 중에서 2배 연신하여 3.3de의 연신 필라멘트를 얻었다. 그리고나서, 연신 필라멘트를 필라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중량%까지 오일로 코팅하고, 기계적 권축가공을 위해 스터핑 박스(stuffing box)를 통과시키고, 60℃에서 컨베이어 타입의 고온 공기 건조기 내에서 건조하고, 45mm로 절단하여 열수축성 성분을 함유하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스테이플 섬유를 얻었다.The first compon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trinsic viscosity in ortho chlorophenol is 0.63) and the second component, nylon 6 (intrinsic viscosity in metacresol is 1.1) are spun at a release rate per filament of 2 g / min. Wound by a typical melt spinning method at a winding speed of 1000 m / min to give a 6.6de-divisible multicomponent unstretched filament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lament side shown in FIG. Then, the unstretched filament was stretched twice in 40 degreeC warm water, and the stretched filament of 3.3de was obtained. The stretched filaments are then coated with oil up to 0.3% by weight, based on the filament weight, passed through a stuffing box for mechanical crimping, dried in a conveyor type hot air dryer at 60 ° C., Cutting to 45 mm yielded a splittable type multicomponent staple fiber containing heat shrinkable components.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스테이플 섬유를 평행 카딩장치에 의해 개섬하고, 결과되는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크로스랩퍼에 의해 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타입의 니들을 사용하여 8.7mm의 관통 깊이까지 400P/cm2로 니들 펀칭하였고, 그 후에 고압 물 흐름에 의한 뒤엉킴 처리를 전면으로부터 50kg/cm2의 수압에서 1회 그리고 140kg/cm2의 수압에서 2회 수행하고나서, 후면으로부터 140kg/cm2의 수압에서 2회 수행하여,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분할가능한 타입의 다성분 스테이플 섬유 중의 분할 백분율을 95%이었다.The multicomponent staple fibers of the dividable type are opened by a parallel carding device, a layer is formed by a cross wrapper on a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resulting staple fibers, and a penetration depth of 8.7 mm using a needle of the same type as in Example 1 Needle punched to 400P / cm 2 until then the entanglement treatment by high pressure water flow was carried out once at a water pressure of 50 kg / cm 2 from the front and twice at a water pressure of 140 kg / cm 2 and then at 140 kg / Performed twice at a water pressure of cm 2 to produce a nonwoven fabric made from staple fibers. The percent split in the multicomponent staple fibers of the divisible type constituting the nonwoven was 95%.
20초 동안 75℃의 온수조 내에서 부직포를 액침한 후에, 표면을 19% 수축시키고 320℃에서 고온 공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여 평균 데니어가 0.21de인 부직포 4를 얻었다.After immersing the nonwoven in a hot water bath at 75 ° C. for 20 seconds, the surface was shrunk by 19% and dried by a hot air dryer at 320 ° C. to obtain nonwoven fabric 4 with an average denier of 0.21 de.
비교예 2aComparative Example 2a
부직포 5a의 제조Preparation of Nonwovens 5a
6.4mm의 관통 깊이까지 280P/cm2로 니들 펀칭하기 위해 9개의 미늘 및 0.03mm의 미늘 깊이를 갖는 니들을 사용했다는 것 외에는 실시예 3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부직포 5a를 얻었다. 결과되는 부직포 내에서 실질적으로 절단 단부가 발견되지 않았다.Nonwoven fabric 5a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3 except that needles having nine barbs and a barb depth of 0.03 mm were used to needle punch at 280 P / cm 2 to a penetration depth of 6.4 mm. Substantially no cut end was found in the resulting nonwoven fabric.
비교예 2bComparative Example 2b
부직포 5b의 제조Preparation of Nonwoven 5b
사용된 오일이 주로 파라핀계 왁스로 구성된 오일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부직포 5b를 얻었다.Nonwoven fabric 5b was obtained by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3 except that the oil used was an oil mainly composed of paraffin wax.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부직포 6의 제조Manufacture of nonwovens 6
디메틸 프탈레이트에 대하여 10몰%의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및 10몰%의 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오르토 클로로페놀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0.64임)를 방사 및 연신을 위해 사용하여 2de의 데니어를 갖는 연신 필라멘트를 얻었다. 그리고나서, 연신 필라멘트를 필라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중량%까지 오일로 코팅하고, 기계적 권축가공을 위해 스터핑 박스를 통과시키고, 60℃에서 컨베이어 타입의 고온 공기 원료통과 건조기 내에서 건조하고, 51mm로 절단하여 열수축성 스테이플 섬유를 얻었다. 동일한 방식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오르토 클로로페놀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0.63임)를 사용하여 2de의 데니어를 갖는 스테이플 섬유를 얻고, 51mm 길이로 절단하였다.Spinning and stretch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s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4 in ortho chlorophenol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cid components containing 10 mol% dimethyl isophthalate and 10 mol% ethylene glycol relative to dimethyl phthalate Was used to obtain a stretched filament having a denier of 2de. The stretched filaments are then coated with oil up to 0.3% by weight, based on the filament weight, passed through a stuffing box for mechanical crimping, dried in a conveyor-type hot air feed bin and dryer at 60 ° C., to 51 mm It cut | disconnected and obtained the heat shrinkable staple fiber. In the same way,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nal viscosity in ortho chlorophenol is 0.63) was used to obtain staple fibers with 2de denier and cut to 51 mm length.
그리고나서, 열수축성 스테이플 섬유의 전체 스테이플 섬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중량%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고, 평행 카딩장치에 의해 개섬되고 카딩된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크로스랩퍼에 의해 층을 형성하고, 시판 니들(9개의 미늘, 0.08mm의 미늘 깊이)을 사용하여 8.7mm의 관통 깊이까지 1500P/cm2로 니들 펀칭한 후, 80℃의 온수 중에서 열수축 처리하여 부직포 6을 얻었다.Then, at a mixing ratio of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staple fiber weight of the heat-shrinkable staple fibers, they are mixed, and a layer is formed by a cross wrapper on a nonwoven fabric made from staple fibers carded and opened by a parallel carding machine,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needle (9 barbs, barb depth of 0.08 mm), needle punching was carried out at 1500 P / cm 2 to a penetration depth of 8.7 mm, followed by heat shrink treatment in hot water at 80 ° C. to obtain a nonwoven fabric 6.
실시예 4Example 4
부직포 7의 제조Manufacture of nonwovens 7
도 성분으로서의 나일론 6(메타 크레졸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1.34임) 및 해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틸렌(용융 유속: 50)을 50:50의 중량비로 칩과 혼합하고, 압출기에 의해 용융하였고, 그 후에 혼합물을 단일 개구당 1.3g/분의 방출 속도로 원형 개구를 갖는 노즐로부터 방출하고, 2.5kg/cm2의 이젝터 압력에서 고속 연신하고나서, 공기 흐름에 의해 소산용 보드 상에 충돌시켜 필라멘트를 개섬하고,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메싱된 테이블 컨베이어 상에 수집하였다. 필라멘트의 데니어는 3.8de이었다. 다음에, 주로 지방산 금속염과 실리콘으로 구성된 오일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필라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중량%의 유효범위까지 분무하고, 시판 니들(9개의 미늘,0.08mm의 미늘 깊이)을 사용하여 8.7mm의 관통 깊이까지 600P/cm2로 니들 펀칭하여, 부직포 7을 얻었다.Nylon 6 as the island component (intrinsic viscosity in the meta cresol is 1.34) and polyethylene as the sea component (melting flow rate: 50) were mixed with the chips in a weight ratio of 50:50 and melted by an extruder, after which the mixture was single Discharged from a nozzle having a circular opening at a release rate of 1.3 g / min per opening, stretching at high speed at an ejector pressure of 2.5 kg / cm 2 , and then impinging on the dissipation board by air flow to open the filament A nonwoven made from filaments comprising a mold multicomponent filament was collected on a meshed table conveyor. The denier of the filament was 3.8 de. Next, an oil composed mainly of a fatty acid metal salt and silicone was sprayed onto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to an effective range of 2%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lament, and 8.7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needles (9 barbs, barb depth of 0.08 mm). Needle punching was carried out at 600P / cm <2> to the penetration depth of mm, and the nonwoven fabric 7 was obtained.
실시예 5Example 5
부직포 8의 제조Manufacture of Nonwovens 8
도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오르토 클로로페놀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0.64임) 및 해 성분으로서의 폴리에틸렌(용융 유속: 50)을 압출기에 의해 개별적으로 용융하고, 단일 개구당 1.3g/분의 방출 속도로 19개의 도 및 원형 개구를 갖는 해도 다성분 타입의 노즐로부터 70:30의 중량비로 방출하고, 2.5kg/cm2의 이젝터 압력에서 고속 연신하였고, 그 후에 공기 흐름에 의해 소산용 보드 상에 충돌시켜 필라멘트를 개섬하고,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메싱된 테이블 컨베이어 상에 수집하였다. 필라멘트의 데니어는 2.8de이었다. 다음에, 오일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필라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중량%의 유효범위까지 분무하고, 시판 니들(9개의 미늘, 0.08mm의 미늘 깊이)을 사용하여 8.7mm의 관통 깊이까지 600P/cm2로 니들 펀칭하여, 부직포 8을 얻었다.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the figure component (intrinsic viscosity in the ortho chlorophenol is 0.64) and the polyethylene as the sea component (melting flow rate: 50) are separately melted by an extruder and 19 at a release rate of 1.3 g / min per single opening. Discharged at a weight ratio of 70:30 from the island-in-sea multicomponent type nozzle having two degrees and circular openings, drawn at high speed at an ejector pressure of 2.5 kg / cm 2 , and then impinged on the dissipation board by air flow to filament Was opened and collected on a meshed table conveyor as a nonwoven made from a filament comprising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The filament denier was 2.8de. Next, oil is sprayed onto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 to the effective range of 2%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lament, and 600P / to a penetration depth of 8.7 mm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needles (9 barbs, 0.08 mm barb depth). Needle punching was carried out in cm 2 to obtain a nonwoven fabric 8.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부직포 9의 제조Manufacture of Nonwovens 9
도 성분으로서의 나일론 6(메타 크레졸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1.34임) 및 해성분으로서의 폴리에틸렌(용융 유속: 50)을 50:50의 중량비로 칩과 혼합하고, 통상의 용융 방사법에 의해 1000m/분의 권취 속력으로 권취한 후, 연신하여 실시예 5에서 얻어진 필라멘트와 동일한 필라멘트 측면의 단면을 갖는 8de의 연신 필라멘트를 얻었다. 그리고나서, 연신 필라멘트를 필라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중량%까지 오일로 코팅하고, 기계적 권축가공을 위해 스터핑 박스를 통과시키고, 60℃에서 컨베이어 타입의 고온 공기 건조기 내에서 건조하고, 45mm로 절단하여 해도형 다성분 스테이플 섬유를 얻었다.Nylon 6 as the figure component (intrinsic viscosity in the meta cresol is 1.34) and polyethylene (melting flow rate: 50) as the sea component are mixed with the chips in a weight ratio of 50:50, and wound at 1000 m / min by a conventional melt spinning method. After winding up at speed, it extended | stretched and obtained the stretched filament of 8de which has the cross section of the filament side surface same as the filament obtained in Example 5. The stretched filaments are then coated with oil up to 0.3% by weight, based on the filament weight, passed through a stuffing box for mechanical crimping, dried in a conveyor-type hot air dryer at 60 ° C., cut to 45 mm An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staple fiber was obtained.
실시예 6Example 6
부직포 10의 제조Fabrication of Nonwovens 10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10몰%의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및 10몰%의 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산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오르토 클로로페놀 중에서의 극한 점도가 0.64임)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 반죽하였고, 그 후에, 1.1g/분의 필라멘트당 방출 속도로 원형 단면 개구를 갖는 노즐로부터 방출하였고, 3.5kg/cm2의 이젝터 압력에서 고속 연신한 후에, 공기 흐름에 의해 소산용 보드 상에 충돌시켜 필라멘트를 개섬하고, 2de의 데니어를 갖는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로서 메싱된 테이블 컨베이어 상에 수집하였다. 다음에, 주로 지방산 금속염과 실리콘으로 구성된 오일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 필라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중량%의 유효범위까지 분무하고, 시판 니들(9개의 미늘, 0.08mm의 미늘 깊이)을 사용하여 8.7mm의 관통 깊이까지 800P/cm2로 니들 펀칭하였고, 그 후에 90℃의 온수조 내에서 60초 동안 액침하고나서 110℃에서 고온 공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하여 부직포 10을 얻었다.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n acid component containing 10 mol% of dimethyl isophthalate containing 10 mol% of dimethyl terephthalate and 10 mol% of ethylene glycol (having an intrinsic viscosity of 0.64 in orthochlorophenol) It was fed into an extruder and melt kneaded, after which it was discharged from a nozzle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opening at a release rate per filament of 1.1 g / min, and after high-speed stretching at an ejector pressure of 3.5 kg / cm 2 , dissipated by air flow The filaments were opened upon impingement on a dragon board and collected on a meshed table conveyor as a nonwoven made from filaments with 2 deniers. Next, an oil composed mainly of fatty acid metal salts and silicones was sprayed onto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to an effective range of 1.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filaments, and 8.7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needles (9 barbs, barb depth of 0.08 mm). Needle punched at 800 P / cm 2 to a penetration depth of mm, followed by immersion in a hot water bath at 90 ° C. for 60 seconds, followed by drying at 110 ° C. with a hot air dryer to obtain nonwoven fabric 10.
상기 얻어진 부직포들의 특성이 표 1에 열거되어 있다.The properties of the obtained nonwovens are listed in Table 1.
이제 표 1에 나타난 결과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고, 결과되는 부직포의 단면은 치밀하고 균일한 구조를 보였다. 특히, 구성 필라멘트가 속이 빈 측면 단면 형태를 갖는 분할가능한 다성분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부직포는 거칠고 집합된 상태의 필라멘트를 가졌고, 이것은 수축 시에 매우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를 보였다.We will now discuss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Examples 1 to 3 satisfied all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nonwoven fabric had a dense and uniform structure. In particular, the nonwoven obtained in Example 1, in which the constituent filaments consisted of splittable multicomponent filaments having a hollow side cross-sectional shape, had a filament in a rough and aggregated state, which showed a very uniform and dense structure upon shrinkage.
반면에, 스테이플 섬유에 의해 구성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는 실시예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에필적하는 겉보기 밀도 및 공간의 평균 면적을 가졌지만, 이들 부직포들이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졌기 때문에 부직포의 표면 상에서의 섬유의 절단 단부의 개수가 mm2당 100개를 초과하고, 본 발명의 목적인 충분한 유연도 및 적합한 강연도를 갖는 부직포를 얻을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nonwovens obtained by the procedure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3 constituted by staple fibers had an average area of apparent density and space comparable to the nonwovens made from the filaments obtained by the processes of the examples, but these nonwovens were staple Since it is made from fibers, the number of cut ends of the fibers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exceeds 100 per mm 2 , and a nonwoven fabric having sufficient softness and suitable stiffness,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obtained.
그러나, 비교예 2a에서는, 부직포 표면 상에서의 필라멘트의 절단 단부의 개수가 mm2당 5개 미만이어서, 본 발명의 목적인 충분한 유연도 및 적합한 강연도를 갖는 부직포를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2b에서는 오일을 바꾸었지만, 섬유다발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없었고, 20% 응력이 감소되었고, 비교예 2a에서 보다 강연도가 커서, 부직포는 적절한 유연도를 갖지 않았다.However, in Comparative Example 2a, the number of cut ends of the filament on the nonwoven surface was less than five per mm 2 , so that a nonwoven fabric having sufficient softness and suitable stiffness,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not b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2b, the oil was changed, but the fiber bundle could not be formed properly, the 20% stress was reduced, and the stiffness was greater than that in Comparative Example 2a, and the nonwoven fabric did not have adequate softness.
실시예 4 및 실시예 5는 구성 필라멘트가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인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였고, 비교예 4는 구성 필라멘트가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인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였다. 실시예 4 및 실시예 5는 본 발명의 부직포를 위한 모든 조건을 만족시켰고, 우수한 제한 신축성 및 풍부한 태를 가졌다. 대조적으로, 비교예 4의 부직포는 센티미터당 5개 미만의 섬유다발을 가졌고,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지 않았다.Examples 4 and 5 were nonwoven fabrics made from filaments in which the constituent filaments were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and Comparative Example 4 was nonwoven fabrics made from staple fibers in which the constituent filaments were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filaments. Examples 4 and 5 met all the conditions for the nonwove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d excellent limiting elasticity and rich texture. In contrast, the nonwoven fabric of Comparative Example 4 had less than 5 fiber bundles per centimeter and, despite being flexible, did not have tight handling properties.
실시예 6은 구성 필라멘트가 2.0데니어의 데니어를 갖는 필라멘트인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였고, 유연도 및 팽팽한 촉감 면에서 우수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였다.Example 6 was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whose filaments were filaments having a denier of 2.0 denier, and a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excellent in terms of softness and tight hand.
실시예 7 내지 10, 비교예 5 내지 7Examples 7-10, Comparative Examples 5-7
은부착 인공피혁 1 내지 7의 제조Preparation of Silver Attached Artificial Leather 1 to 7
실시예 1 내지 3, 실시예 6 그리고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부직포 1 내지 6, 부직포 10을 각각 180%의 픽업(함침 전의 부직포 중량을 기준으로 한 180 중량%의 함침 후의 부직포의 중량)까지 디메틸실록산의 1.4% 수성 에멀션 중에 액침하고, 30분 동안 100℃에서 건조하였다.180% pickup of nonwoven fabrics 1 to 6 and 10 nonwoven fabric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6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respectively (weight of nonwoven fabric after impregnation of 180% by weight based on nonwoven weight before impregnation) Was immersed in a 1.4% aqueous emulsion of dimethylsiloxane until and dried at 100 ° C. for 30 minutes.
그 후에,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디올 및 트리메틸렌 글리콜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사용하여 110kg/cm3의 100% 신도 응력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고, 전체 슬러리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폴리우레탄을 16중량% 함유하는 메틸에틸케톤 슬러리 100중량부에 대해 35중량부의 비율로 물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된 W/O 타입 에멀션으로 부직포를 함침하였고, 표면 상의 과량의 에멀션을 씻어 내고나서, 응고시키고, 70%의 상대 습도 및 45℃의 온도의 분위기 중에서 건조하였다. 또한, 이형 시트 상에 형성된 50㎛ 두께의 폴리우레탄 코팅을 2부분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였고, 적절한 건조 및 가교반응 후에 이형 시트를 벗겨 내어 은부착 인공피혁 1 내지 7을 얻었다.Then, polyurethane having a 100% elongation stress of 110 kg / cm 3 using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polytetramethylene glycol, polyoxyethylene glycol, polybutylene adipate diol and trimethylene glycol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nonwoven fabric was impregnated with a W / O type emulsion prepared by dispersing water in a proportion of 3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methyl ethyl ketone slurry containing 16% by weight of the polyurethan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lurry. The excess emulsion on the surface was washed off, solidified and dried in an atmosphere of 70% relative humidity and 45 ° C temperature. In addition, a 50 μm-thick polyurethane coating formed on the release sheet was attached using a two-part urethane-based adhesive, and after proper drying and crosslinking reaction, the release sheet was peeled off to obtain silver-attached artificial leathers 1 to 7.
실시예 7 내지 10 그리고 비교예 5 내지 7에서 얻어진 인공피혁의 특성이 표 2에 열거되어 있다.The properties of the artificial leathers obtained in Examples 7-10 and Comparative Examples 5-7 are listed in Table 2.
또한, 천연 캥거루 가죽(참조예 1)의 특성, 그리고 나일론 6/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해도형 다성분 스테이플 섬유를 포함하는 인공 피혁과 시판 인공피혁(참조예 2)의 특성도 열거되어 있다.Also listed are properties of natural kangaroo leather (Reference Example 1), and artificial leathers including islands-in-sea multi-component staple fibers of nylon 6 /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ference Example 2).
이제 표 2에 나타낸 결과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인공피혁은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고, 결과되는 인공피혁의 단면은 치밀하고 균일한 구조를 가졌다. 치밀하고 균일한 구조 때문에, 날실 및 씨실 방향으로 20% 응력의 비등방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제한 신축성 촉감을 보였고, 인공피혁은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고 유연하였다. 또한 인공피혁은 구부릴 때에 좌굴 주름을 갖지 않는 우수한 외관을 가졌다. 또한, 비분할성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를 채용한 실시예 10의 인공피혁은 모든 조건을 만족시켰고,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종래의 부직포로 구성된 피혁에 의해얻을 수 없는 유연도 및 팽팽한 취급특성을 모두 가졌다.We will now discuss the results shown in Table 2. 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by the process of Examples 7 to 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all conditions, and the resulting artificial leather has a dense and uniform structure. Due to the compact and uniform structure, there was no anisotropy of 20% stress in the warp and weft directions, limited stretch tactile feel, and the artificial leather was flexible with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Artificial leather also had an excellent appearance without buckling wrinkles when bent. In addition, the artificial leather of Example 10 employing a nonwoven fabric made from non-dividable filaments satisfied all the conditions, and had both softness and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not obtainable by a leather composed of a conventional nonwoven fabric made from staple fibers.
반면에, 비교예 5 및 비교예 7은 실시예의 겉보기 밀도와 동등한 겉보기 밀도를 가졌지만, 기재 직물로서 사용된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섬유다발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유연도를 갖지만 부적절한 강연도를 가졌고, 또한 낮은 층내 접착강도를 보였다.On the other hand, Comparative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7 had an apparent density equivalent to the apparent density of the Example, but had a softness but inadequate stiffness due to the small number of fiber bundles of nonwoven fabrics made from staple fibers used as the base fabric. In addition, it showed low intralayer adhesion strength.
비교예 6a는 기재 직물로서 사용된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의 표면 상에서 필라멘트의 절단 단부를 거의 갖지 않고, 그러므로 피혁은 높은 강연도를 갖고 유연도가 부족하였다. 비교예 6b는 섬유다발을 거의 갖지 않고, 강연도가 높은 반면에, 또한 균일하게 뒤엉킨 상태가 부족하였고, 다수의 좌굴 주름을 가졌다.Comparative Example 6a had few cutting ends of the filaments on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the filaments used as the base fabric, and therefore the leather had high stiffness and lacked flexibility. Comparative Example 6b had almost no fiber bundles, had a high stiffness, but also lacked a uniformly entangled state and had a large number of buckling wrinkles.
특히 거친 구조를 가진,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인공피혁 및 참조예 2의 인공피혁은, 팽팽한 취급특성을 가졌지만, 안쪽으로 표면을 구부릴 때에 수많은 좌굴 주름이 발견되었다.In particular, 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in Example 7 and the artificial leather of Reference Example 2, which had a rough structure, had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but numerous buckling wrinkles were found when the surface was bent inwardly.
실시예 11 및 12, 비교예 8Examples 11 and 12, Comparative Example 8
누박조 인공피혁 1 내지 3의 제조Preparation of Nubuck Artificial Leather 1 ~ 3
실시예 4 및 실시예 5 그리고 비교예 4에서 제조된 부직포 7 내지 9를 각각 180%의 픽업(함침 전의 부직포 중량을 기준으로 한 180 중량%의 함침 후의 부직포의 중량)까지 디메틸실록산의 1.4% 수성 에멀션 중에 액침하고, 30분 동안 70℃에서 건조하였다.1.4% aqueous solution of dimethylsiloxane up to 180% pickup (weight of nonwoven fabric after impregnation of 180% by weight based on nonwoven weight before impregnation) of nonwovens 7-9 prepared in Examples 4, 5 and Comparative Example 4, respectively It was immersed in the emulsion and dried at 70 ° C. for 30 minutes.
그 후에,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디올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하여 4.5%의 질소 함량을 갖는 폴리우레탄을 얻고나서, 이것을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 중에 용해시켜 폴리우레탄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액(15중량% 농도)를 얻었고, 부직포 7 내지 9를 각각 이 용액으로 함침시키고, 응고를 위해 15% 수성 DMF 용액 중에서 더 액침하였다. 40℃의 온수 중에서 적합하게 세척한 후에, 135℃의 고온 공기 챔버 내에서 건조하여 우레탄이 함침된 기재를 얻었다.Thereafter,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polytetramethylene glycol, ethylene glycol and polybutylene adipate diol were react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o obtain a polyurethane having a nitrogen content of 4.5% based on isocyanate, Dissolved in dimethylformamide solution to give a dimethylformamide (DMF) solution of polyurethane (15 wt% concentration), and nonwovens 7-9 were each impregnated with this solution and further immersed in 15% aqueous DMF solution for coagulation. . After washing suitably in hot water at 40 ° C, it was dried in a hot air chamber at 135 ° C to obtain a substrate impregnated with urethane.
기재를 80℃의 톨루엔 중에서 반복적으로 침지하고 닙핑(nipping)하고, 필라멘트 구성 성분의 폴리우레탄 성분을 용해에 의해 제거하여 해도형 다성분 필라멘트로부터 미세한 데니어의 필라멘트를 생성하였다. 그리고나서, 기재 중의 톨루엔을 90℃의 뜨거운 물 중에서 공비 증류에 의해 제거하고, 120℃의 고온 공기 챔버 내에서 건조한 후, 600 메시 사포로 4회 가볍게 버핑하여 누박조 인공피혁 1 내지 3을 산출하였다.The substrate was repeatedly immersed and nipping in toluene at 80 ° C. and the polyurethane components of the filament constituents were removed by dissolution to produce fine denier filaments from the islands-in-sea multicomponent filaments. The toluene in the substrate was then removed by azeotropic distillation in hot water at 90 ° C., dried in a hot air chamber at 120 ° C., and then lightly buffed four times with 600 mesh sandpaper to yield nubuck artificial leathers 1 to 3. .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 그리고 비교예 8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누박조 인공피혁의 특성이 표 3에 열거되어 있다.The properties of the nubuck artificial leather obtained by the procedure of Examples 11 and 12 and Comparative Example 8 are listed in Table 3.
또한, 기재가 나일론 6/폴리에틸렌의 해도형 다성분 스테이플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인 인공피혁, 참조예 3으로서의 시판 인공피혁의 특성도 열거되어 있다.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ficial leather which is a nonwoven fabric containing the island-in-the-sea multicomponent staple fiber of nylon 6 / polyethylene, and the commercial artificial leather as Reference Example 3 are also enumerated.
이제 표 3에 나타낸 결과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인공피혁은 균일하고 치밀한 구조와 다수의 섬유다발을 가졌고, 그러므로 σ20/Rb 값에 의해 역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적합한 유연도 및 팽팽한 취급특성을 보였고, 표면도 또한 매우 만족스러운 누박조 촉감을 가졌다.We will now discuss the results shown in Table 3. The artificial leathers obtained by the processes of Examples 11 and 12 had a uniform and dense structure and a large number of fiber bundles, thus exhibiting suitable softness and tight handling properties, as also indicated by the sigma 20 / Rb value, and the surface Also had a very satisfactory nubuck texture.
반면에, 센티미터당 단지 1개의 섬유다발을 갖는, 비교예 8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인공피혁은, 제한 신축성 촉감이 부족하였고, 또한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지 않았다. 참조예 3의 인공피혁은 팽팽한 취급특성을 갖지만, 유연도가 부족하여, 천연피혁과는 다른 촉감을 제공하고, 표면의 누박 촉감도 또한 열등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by the process of Comparative Example 8, which had only one fiber bundle per centimeter, lacked limiting elasticity touch and did not have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The artificial leather of Reference Example 3 had a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 but lacked softness, provided a touch different from that of natural leather, and inferior touch of the surface was also inferior.
실시예 12Example 12
실시예 7의 과정에 의해 얻어진 인공피혁을 2개월 동안의 착용 시험에서 신발을 위한 갑피 재료로서 사용하였다. 인공피혁의 유연도로 인해 제조된 신발은 발에 잘 맞았고, 착용 쾌적도는 만족스러웠고, 시험이 종료될 때 내구성에 아무런문제점도 발견되지 않았다.The artificial leather obtained by the procedure of Example 7 was used as the upper material for the shoes in a two month wear test. Due to the flexibility of the artificial leather, the manufactured shoes fit well, the comfort was satisfactory, and no problems were found at the end of the test.
일련의 대형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천연피혁과 같은 유연도와 풍부하고 팽팽한 취급특성을 모두 갖고, 또한 접힐 때 좌굴 주름이 생기지 않고 좌굴 주름의 형성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은부착 인공피혁으로서의 인공피혁 또는 종래기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아기피부와 유사한 우수한 미세한 촉감을 갖는 누박조 인공피혁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부직포를 제공하고,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상기 부직포로부터 제조되는 인공피혁을 제공할 수 있다.Artificial leather as a silver artificial leather that does not require a series of large equipment, has both the flexibility and the rich and tight handling characteristics of natural leather, and does not produce buckling wrinkles when folded, and is resistant to the formation of buckling wrinkles. Alternative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nonwoven fabric used to produce a silky-brown artificial leather having excellent fine touch similar to baby skin, which did not exist in the prior art, and an artificial leather manufactured from the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8193A KR100368622B1 (en) | 1999-05-20 | 1999-05-20 |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8193A KR100368622B1 (en) | 1999-05-20 | 1999-05-20 |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4332A KR20000074332A (en) | 2000-12-15 |
KR100368622B1 true KR100368622B1 (en) | 2003-01-24 |
Family
ID=4951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181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8622B1 (en) | 1999-05-20 | 1999-05-20 |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68622B1 (en) |
-
1999
- 1999-05-20 KR KR10-1999-0018193A patent/KR10036862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4332A (en) | 2000-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53299B1 (en) | Non-impregnated base material useful as a base fabric for artificial leather, artificial leather thereof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 |
KR101317055B1 (en) | Base for synthetic leather and synthetic leathers made by using the same | |
JP3927769B2 (en) |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sheet-like material using the same | |
KR100356929B1 (en) | Leather-like sheet having napped surface | |
KR101712209B1 (en) | Base material for artificial leath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1152038B1 (en) | Substrate for artificial leathers, artificial leathers and production method of substrate for artificial leathers | |
US4833012A (en) | Fiber entanglement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
US6716776B2 (en) |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
JP3176592B2 (en) | Long-fiber nonwoven fabric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
EP1054096B1 (en) |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
JP2017106127A (en) | Dyed napped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20180103307A (en) | High density artificial leather having excellent surface tou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337556B1 (en) | Sheet-like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WO2021049413A1 (en) | Napped artificial leather | |
JP3727181B2 (en) |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for artificial leather | |
JP7249352B2 (en) | Artificial leather base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napped artificial leather | |
KR100368622B1 (en) |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
JPH05339864A (en) | Flexible artificial leather of suede tone and its production | |
JP3142099B2 (en) | Method for producing smooth leather-like sheet | |
JP7671150B2 (en) | Grain-finish artificial leath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890003170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leather with excellent flexibility | |
JP2022034525A (en) | Artificial leather substrate, artificial piloerection leather substrate,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leather substrate | |
TW479086B (en) |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 |
WO2025023132A1 (en) |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producing artificial leather | |
JP2003049371A (en) | Suede-like leather-like sheet having stretch-back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5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10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