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7527B1 -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527B1
KR100367527B1 KR10-2000-0010627A KR20000010627A KR100367527B1 KR 100367527 B1 KR100367527 B1 KR 100367527B1 KR 20000010627 A KR20000010627 A KR 20000010627A KR 100367527 B1 KR100367527 B1 KR 100367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channel
drain
semiconductor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728A (ko
Inventor
아키모토하지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6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5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7Thin-film transistors [TFT]
    • H10D30/6757Thin-film transistors [TFT]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or doping profi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40Crystalline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화상표시장치는 화소매트릭스가 내부 표면에 형성된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과 이에 대향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한 화상표시부를 가진다.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신호선군과, 상기 신호선군을 경유해서 상기 화소매트릭스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 중의 해당 회로와 상기 신호선군의 하나와의 사이에서 각각 결합되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 전압증폭회로를 포함한다. 신호선군, 구동회로 및 전압증폭회로는 액정층에 마주하는 그 한쪽의 절연기판의 표면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 소스 및 드레인은 각각 다결정 반도체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 상에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전극이 순서대로 적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는 드레인 측의 채널의 제1 영역의 문턱치전압보다 더 높은 문턱치전압을 가지는 채널의 제2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특히 다결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이득이 크고 고성능인 전압증폭회로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0, 도11 및 도12를 이용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TFT(Thin-Film- Transistor)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0은 투명절연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설치된 TFT 액정표시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화소는 액정용량(202)과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화소스위치(201)로 구성되어 있다. 화소스위치(201)의 게이트는 게이트선(204)을 통해서 게이트선 주사레지스터(205)에 의해 구동된다. 화소스위치(201)의 드레인은 신호선(203)을 통해서 출력버퍼(206)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아날로그신호 입력선(212)은 신호 샘플링 스위치(211)를 거쳐 신호 샘플링 용량(210)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신호 홀드 스위치(signal holdswitch)(208), 신호 홀드 용량(207)을 통해서, 출력버퍼(206)에 입력하고 있다. 여기서, 신호 샘플링 스위치(211)는 신호 샘플링 레지스터(213)에 의해 제어된다. 또, 신호 홀드 스위치(208)와 출력버퍼(206)는 신호 홀드선(209)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본 종래기술의 동작을 설명한다. 아날로그신호 입력선(212)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화상신호는 신호 샘플링 레지스터(213)에 의해 순차 주사되는 신호 샘플링 스위치(211)를 통해서 신호 샘플링 용량(210)에 기억된다. 일행분(一行分)의 화소신호가 신호 샘플링 용량(210)에 기억된 후, 이들의 화상신호는 수평 블랭킹(blanking) 기간 내에 신호 홀드선(209)의 클럭에 의해, 신호 홀드 스위치(208)를 통해서 신호 홀드 용량(207)에 전송되며, 출력버퍼(206)에 입력된다. 출력버퍼(206)는 입력된 신호에 따른 출력을 신호선(203)에 공급한다. 이때, 게이트선 주사레지스터(205)가 구동되며, 소정의 게이트선(204)이 선택되어 일행분의 화소스위치(201)가 도통상태로 된다. 그 결과, 신호선(203)에 공급된 출력신호는 액정용량(202)에 기록된다.
도 11은 화소스위치(201)의 단면구조도이다. i영역(224), n-영역(225), i영역(226)으로 채널영역이 구성되며, 그 양측의 p+영역으로 소스(223), 드레인(227)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결정 반도체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채널영역 상에는 절연막(222)을 통해서 게이트전극(221)이 설치되어 있다. 본 종래기술의 화소스위치(201)는 채널영역에 n-영역(225)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드레인과의 사이에 i층을 끼운 역방향 pin 접합을 형성하고, 오프상태에서의 리크전류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일본특허공개 평 8-32069호 공보(1996.2.2 공개)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특허공개 평 8-32069호 공보에는 주변회로인 출력버퍼(206)를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도 12에 이 트랜지스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이 트랜지스터는 LDD(Lightly-Doped-Drain)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의 화소스위치(201)의 트랜지스터와 구조가 다른 이유는, 이 트랜지스터는 낮은 리크전류보다도 고속동작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i영역(235)으로 채널영역이 구성되며, 그 양측의 n+영역과 n-영역의 2개의 영역으로 소스(233, 234), 드레인(237, 236)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결정 반도체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채널영역 상에는 절연막(232)을 통해서 게이트전극(231)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출력버퍼(206)를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한 경우, 이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특성을 나타내는 도 1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드레인전압(Vds)이 핀치오프전압(pinch-off voltage)(VA)을 초과하였을 때, 드레인전류(Ids)의 실제의 값(241)은 본래의 포화특성치(242)로는 되지 않고, 이것에 비해 상당히 크게 되어 버린다는 드레인전류의 증가현상이 생기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이 현상의 발생원인으로서는 다음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2에서의 i영역(235)과 n-영역(236)과의 경계에는 비교적 큰 전계가 인가되기 때문에, 이 경계영역에서 임팩트이온화(impact ionization)에 기인하는 전자·정공 쌍이 발생한다. 발생한 정공은 채널 내에서 전자와 쌍소멸(pair annihilation)하면서 소스(234)로향해 흐르지만, 이 과정에서 드레인(236) 근방의 채널내에서의 정공의 밀도가 상승하고, 이 부분의 채널 포텐셜(potential)이 내려간다. 이 결과, 드레인전압을 올리면, 드레인(236) 근방의 외관상의 문턱치전압(Vth)이 작게되며, 드레인전류는 상기의 정공기인(正孔起因)의 전류성분만큼 증대한다.
이 드레인 전류의 증가현상은 일반적으로 부귀환(negative feedback)증폭기로 구성되는 출력버퍼(206)에 영향을 미친다. 즉, 출력버퍼의 선형성(linearity)을 확보하기 위해서 증폭기의 이득을 충분히 크게 설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현상이 발생하면, 드레인 컨덕턴스가 비정상적으로 크게 되며, 증폭기의 고이득설계가 극히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출력버퍼를 구성하는 차동증폭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차동증폭기의 드라이버 TFT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차동증폭기의 드라이버 TFT의 전류전압 특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출력버퍼를 구성하는 차동증폭기의 드라이버 TFT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출력버퍼를 구성하는 차동증폭기의 드라이버 TFT의 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출력버퍼를 구성하는 차동증폭기의 드라이버 TFT의 단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출력버퍼를 구성하는 차동증폭기의 드라이버 TFT의 단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0은 종래기술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1은 종래기술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스위치를 구성하는 TFT의 단면구조도,
도 12는 종래예의 출력버퍼를 구성하는 다결정 박막 트랜지스터의 단면구조도,
도 13은 종래기술의 TFT 액정표시장치의 출력버퍼를 구성하는 TFT의 전류전압 특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레인전류의 증가현상을 억제한 구조의 TFT로 구성된 출력버퍼 등의 전압증폭회로를 가지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화소매트릭스가 형성된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과 대향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층이 설치된 화상표시부를 가지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액정층 측에는, 신호선군과, 상기 신호선군을 통해서 상기 화소매트릭스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신호선군과의 사이에 설치된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전압증폭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는 채널, 소스 및 드레인이 다결정 반도체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 상에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전극이 이 순서대로 적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전압증폭회로를 형성하는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채널의 제1 채널영역 및 제2 채널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채널영역은 상기 채널의 드레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채널영역은 상기 제1 채널영역에서 상기 채널의 소스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채널영역의 문턱치전압은 상기 제1 채널영역의 문턱치전압보다 높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예 1)
도 1에서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투명절연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설치된 TFT 액정표시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화소는 액정용량(2)과 다결정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화소스위치(1)로 구성되어 있다. 화소스위치(1)의 게이트는 게이트선(4)을 통해서 게이트선 주사레지스터(5)에 의해 구동된다. 화소스위치(1)의 드레인은 신호선(3)을 통해서 출력버퍼(6)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디지탈신호 입력선(14)은 신호 샘플링 스위치(13)을 거쳐 신호 샘플링 용량(12)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신호 홀드 스위치(10), 신호 홀드 용량(9)을 통해서 64계조(階調) 선택방식 DA변환기(7)에 입력하고 있다. 64계조 선택방식 DA변환기(7)의 출력은 출력버퍼(6)에 입력하고 있다. 또한 64계조 선택방식 DA변환기(7)에는 별도로 64계조 기준신호선(8)이 입력하고 있다. 여기서, 신호 샘플링 스위치(13)는 신호 샘플링 레지스터(15)에 의해 제어된다. 또, 신호 홀드 스위치(10)와 출력버퍼(6)는 신호 홀드선(11)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디지탈신호 입력선(14)은 6비트분이 6개 존재한다. 따라서 신호 샘플링 스위치(13), 신호 샘플링 용량(12), 신호 홀드 스위치(10), 신호 홀드 용량(9)도 각각 각 열마다 6개씩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액정용량(2)에 관해서도, 액정이나 대향기판 등은 간략화를 위해 도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지탈신호 입력선(14)으로부터 입력된 디지탈 화상신호는 신호 샘플링 레지스터(15)에 의해 순차 주사되는 신호 샘플링 스위치(13)를 통해서, 신호 샘플링 용량(12)에 기억된다. 일행분의 화소신호가 신호 샘플링 용량(12)에 기억된 후, 이들의 화상신호는 수평 블랭킹 기간 내에 신호 홀드선(11)의 클럭에 의해, 신호 홀드 스위치(10)를 통해서 신호 홀드 용량(9)에 전송되며, 64계조 선택방식 DA변환기(7)에 입력된다. 64계조 선택방식 DA변환기(7)는 일종의 멀티플렉서로서 동작하고, 입력된 6비트신호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신호를 64계조 기준신호선으로부터 선택하고, 이 출력전압신호는 출력버퍼(6)에 입력된다. 출력버퍼(6)는 입력된 신호에 따른 출력을 신호선(3)에 공급한다. 이때, 게이트선 주사레지스터(5)가 구동되며, 소정의 게이트선(4)이 선택되어 일행분의 화소스위치(1)가 도통상태로 된다. 그 결과 신호선(3)에 공급된 출력신호는 액정용량(2)에 기록된다.
출력버퍼(6)는 차동증폭기로 구성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TFT(21, 24), 부하 TFT(22, 25), 전류원 TFT(23)로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버 TFT(21, 24)의 단면구조도를 도 3에 나타낸다. p-영역(34), i영역(35)으로 채널영역이 구성되며, 그 양측의 n+영역으로 소스(33), 드레인(36)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결정 Si 반도체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채널영역 상에는 절연막(32)을 통해서 게이트전극(31)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소스(33)를 접지한 경우의 드라이버 TFT(21, 24) 단체(單體)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드레인전압(Vds)이 핀치오프전압(VA)을 초과해도 드레인전류(Ids)의 실제의 값(38)은 본래의 포화특성치(39) 그대로이다. 그리고 VB를 초과하고서 비로소 드레인전류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핀치오프전압(VA)을 초과하여도, 드레인전류(Ids)의 실제의 값(38)이 본래의 포화특성치(39) 그대로 일정값을 유지하는 이유로서는 다음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드라이버 TFT(21, 24)의 i영역(35)과 드레인(36)과의 경계에는 비교적 큰 전계가 인가되기 때문에, 그 경계영역에서는 임팩트이온화에 기인하는 전자·정공 쌍이 발생한다. 발생한 정공은 채널 내에서 전자와 쌍소멸하면서 소스(33)로 향해 흐르지만, 이 과정에서 드레인(36) 근방의 채널 내에서의 정공의 밀도가 상승하고, 이 부분의 채널 포텐셜을 끌어내린다. 여기까지는 종래기술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영역의 소스(33) 측에 i영역(35)보다 문턱치전압(Vth)이 큰 p-영역(3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레인전류특성은 p-영역(34)으로 규정된다. 즉, 본 TFT의 실효적 채널을 구성하는 것은 p-영역(34)이며, i영역(35)은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 결과, 정공의 밀도상승에 의해 i영역(35)의 Vth가 외관상 아무리 작게 되어도, 드레인전류(Ids)의 실제의 값(38)은 증가하지 않고, 본래의 포화특성치(39) 그대로 일정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임팩트이온화에 의해 발생한 정공이 p-영역(34)에까지 확산하기 시작하는 전압 즉 도 4 중에서 VB로 표시한 전압을 초과하고서 비로소 드레인전류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TFT에서는 종래기술의 TFT에 나타나는 드레인전류의 증가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 결과 차동증폭기의 드라이버 TFT(21, 24)의 드레인 컨덕턴스는 극히 낮은 값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상호 컨덕턴스)/(드레인 컨덕턴스)의 값으로 근사(近似)할 수 있는 차동증폭기의 이득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전류원 TFT(23)에도 도 3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하TFT(22, 25)에도 도 3은 p와 n을 역극성으로 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TFT 중의 일부에 본 실시예의 구조를 채용해도 일정의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라이버 TFT(21, 24)를 n채널로 했지만, p와 n을 반대로 하는 것도 설계의 자유도로서 가능하다. 또, 코플레이너(coplanar)구조의 TFT를 이용했지만, 역스태거 등, 변형구조를 이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가능하다. 또, p영역(34)은 소스(33)와 접하고 있지 않더라도, 양자 간에 예를 들면 새로운 i영역이 설치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원리적으로 명백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부의 구조에는 본질적으로는 제한은 없다. 즉 반사형, 투과형 어느 타입이라도 좋고, TN(Twisted-Nematic), GH(Guest-Host) 등, 여러가지 액정에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TFT의 드레인 컨덕턴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p-영역(34)이 소스(33)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TFT의 소스와 드레인의 접속을 반전시켰을 경우, 본 발명의 효과는 없어지고, 드레인 컨덕턴스는 보다 크게 되어 버린다. 또, 보다 낮은 전압에서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의 펀치스루(punch-through)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와 드레인의 방향성은 중요하고, 차동증폭기로서 이용하는 한, 동작중에 소스와 드레인의 극성반전을 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차동증폭기를 구성하는 TFT의 구조를 변화시킨 것이다. 그 단면구조를 도 5에 나타낸다.
소결정입자영역(small-grained crystalline)(44), 대결정입자영역(large-grained crystalline)(45)으로 채널영역이 구성되며, 그 양측의 n+영역으로 소스(43), 드레인(46)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결정 Si 반도체막으로 형성되어있다. 채널영역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42)을 통해서 게이트전극(41)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영역에서의 결정입자(結晶粒)의 사이즈를 드레인(46) 측보다 소스(43) 측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소스(43) 측의 채널의 문턱치전압(Vth) 쪽을 크게 하고 있다. 이것은 결정입계(結晶粒界)에 많이 존재하는 캐리어 포획준위에 의해 TFT의 Vth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채널영역의 소스(43) 측을 결정입계가 많은 소결정입자영역(44)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TFT구조에 의해서도, 원리적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임팩트이온화에 의한 드레인 컨덕턴스 증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불순물의 채널로의 도입이 불필요한 것, 드레인 단의 입계(粒界) 결함준위가 적은 것에 의해 임팩트이온화 그 자체를 적게 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차동증폭기를 구성하는 TFT의 구조를 변화시킨 것이다. 그 단면구조를 도 6에 나타낸다.
i영역(55)으로 채널영역이 구성되며, 그 양측의 n+영역으로 소스(53), 드레인(56)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결정 Si 반도체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채널영역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52)을 통해서 게이트전극(51)이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52)의 막두께는 드레인(56) 측보다 소스(53)측 쪽이 두껍다.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절연막(52)의 막두께를 드레인(56) 측보다 소스(53) 측을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소스(53) 측의 채널의 문턱치전압(Vth) 쪽을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TFT구조에 의해서도, 원리적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임팩트이온화에 의한 드레인 컨덕턴스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불순물의 채널로의 도입이 불필요한 것, 채널막에 어떠한 가공도 불필요한 것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차동증폭기를 구성하는 TFT의 구조를 변화시킨 것이다. 그 단면구조를 도 7에 나타낸다.
i영역(65)으로 채널영역이 구성되며, 그 양측의 n+영역으로 소스(63), 드레인(66)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결정 Si 반도체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채널영역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62)을 통해서 게이트전극(61)이 설치되어 있다. i영역(65)의 막두께는 드레인(66) 측보다 소스(63)측 쪽이 두껍다.
본 실시예에서는 i영역(65)의 막두께를 드레인(66) 측보다 소스(63) 측을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소스(63) 측의 채널의 문턱치전압(Vth) 쪽을 크게 하고 있다. 이것은, 채널 막두께가 두껍게 되면 단위 면적당의 캐리어 포획준위 밀도가 크게 되어 TFT의 Vth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채널영역의 소스(63) 측을 드레인(66) 측보다 막두께를 두껍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TFT구조에 의해서도, 원리적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임팩트이온화에 의한 드레인 컨덕턴스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불순물의 채널로의 도입이 불필요한 것, 드레인 단의 채널영역의 막두께가 얇은 만큼 임팩트이온화의 발생량이 작게 되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TFT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차동증폭기를 구성하는 TFT의 구조를 변화한 것이다. 그 단면구조를 도 8에 나타낸다.
i영역(75)으로 채널영역이 구성되며, 그 양측의 n+영역으로 소스(73), 드레인(76)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결정 Si 반도체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채널영역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72)을 통해서 게이트전극(71, 77)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소스(73) 측의 게이트전극(71)의 일함수의 쪽이 드레인(76) 측의 게이트전극(77)의일함수보다 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전극의 일함수를 드레인(76) 측보다 소스(73) 측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소스(73) 측의 채널의 문턱치전압(Vth) 쪽을 크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TFT구조에 의해서도, 원리적으로 실시예 1과 같이 임팩트이온화에 의해 드레인 컨던턱스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불순물의 채널로의 도입이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다. 게이트전극(71, 77)은 전기적으로는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에 비교적 저항이 큰 재료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전체로서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에서 서술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다른 TFT 액정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도 9의 회로구성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화소표시영역(81)을 주사하는 게이트선 주사레지스터(82), 화소표시영역(81)에 화상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회로(84) 및 출력버퍼(83), 외부에서 입력되는 화상데이터(89) 및 유저의 리퀘스트(90)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회로군(85), 화상신호의 일부를 저장하는 기억회로(87) 등이 한장의 투명절연기판(88) 상에 TFT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데이터는 IMT-2000, IrDA, IEEE 1394 등에 준거한 무선 혹은 유선의 형태로 인터페이스 회로군(85)에 입력된다. 유저의 리퀘스트로는 유저명령과 유저로부터의 기록정보가 있다. 유저로부터의 리퀘스트가 입력되면, 외부로부터의 화상데이터, 기억회로(87)에 화상신호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던 화상데이터, 혹은 유저로부터의 기록정보가 화소표시영역(81)에 표시된다. 화소표시영역(81), 게이트선 주사레지스터(82), 신호 입력회로(84), 출력버퍼(83)에 관해서는 구성 및 동작도 이미 서술한 실시예 1과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성능의 출력버퍼에 의해, 언제라도 유저의 리퀘스트에 따른 고품위 영상정보를 화소표시영역(8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성이 좋은 출력버퍼를 가지는 고품위의 화상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0)

  1. 화소매트릭스가 형성된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과 대향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층이 설치된 화상표시부를 가지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액정층 측에는,
    신호선군과,
    상기 신호선군을 통해서 상기 화소매트릭스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복수의 구동회로와 상기 신호선군과의 사이에 설치된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전압증폭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는 채널, 소스 및 드레인이 다결정 반도체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 상에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전극이 이 순서대로 적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전압증폭회로를 형성하는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채널에 제1 채널영역 및 제2 채널영역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채널영역은 상기 채널의 드레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채널영역은 상기 제1 채널영역에서 상기 채널의 소스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채널영역의 문턱치전압은 상기 제1 채널영역의 문턱치전압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화상데이터 및 유저의 리퀘스트를 화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회로군 및 상기 화상신호의 일부를 저장하는 기억회로가 상기 절연기판상에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화상신호를 상기 화소매트릭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은 다결정 Si 반도체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영역은 상기 소스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영역보다 상기 소스 측에 상기 제 2의 영역보다 문턱치전압이 낮은 제 3의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에는 상기 소스, 드레인과 반대의 도전형을 나타내는 불순물이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영역 및 상기 제 3의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에는 불순물이 특별하게는 도입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의 결정입자지름(結晶粒徑)은 상기 제 1의 영역 및 상기 제 3의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의 결정입자지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영역의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막두께는 상기 제 1의 영역 및 상기 제 3의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절연막의 막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의 막두께는 상기 제 1의 영역 및 상기 제 3의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의 막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영역의 상기 게이트전극의 일함수는 상기 제 1의 영역 및 상기 제 3의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게이트전극의 일함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2. 화소매트릭스가 형성된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과 대향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층이 설치된 화상표시부를 가지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액정층 측에는 신호선군과, 상기 신호선군을 통해서 상기 화소매트릭스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와 상기 신호선군과의 사이에 설치된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 전압증폭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컨덕턴스는 소스와 드레인의 접속을 바꾸어 넣은 경우의 쪽이 바꾸어 넣기전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3. 화소매트릭스가 형성된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기판과 대향하는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층이 설치된 화상표시부를 가지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 상의 상기 액정층 측에는 신호선군과, 상기 신호선군을 통해서 상기 화소매트릭스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상기 구동회로와 상기 신호선군과의 사이에 설치된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된 전압증폭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에서 드레인으로의 전하의 펀치스루(punch-through)가 발생할 때의 드레인전압은 소스와 드레인의 접속을 바꾸어 넣은 경우의 쪽이 바꾸어 넣기전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는 역 스태거(stagger)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의 결정입자 크기는 상기 채널의 상기 제 1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의 결정입자 크기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 영역상의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채널의 상기 제 1영역상의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의 두께는 상기 채널의 상기 제 1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의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영역상의 상기 게이트전극의 재료의 일함수는 상기 채널의 상기 제 1영역상의 상기 게이트전극의 재료의 일함수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은 상기 소스 및 상기 드레인의 도전형과 반대되는 도전형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영역의 상기 다결정 반도체막에는 불순물이 특별하게는 도입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00-0010627A 1999-03-10 2000-03-03 화상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67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62679A JP2000259097A (ja) 1999-03-10 1999-03-10 画像表示装置
JP99-062679 1999-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728A KR20000062728A (ko) 2000-10-25
KR100367527B1 true KR100367527B1 (ko) 2003-01-10

Family

ID=1320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6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7527B1 (ko) 1999-03-10 2000-03-03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80179B1 (ko)
JP (1) JP2000259097A (ko)
KR (1) KR100367527B1 (ko)
TW (1) TW4497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8081B (en) * 2000-01-07 2004-02-18 Seiko Epson Corp A thin-film transistor and a method for maufacturing thereof
GB2378075A (en) * 2001-07-27 2003-01-29 Hewlett Packard Co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s from head mounted imaging device.
JP2003066475A (ja) * 2001-08-30 2003-03-05 Toshiba Corp 表示装置
US7385223B2 (en) 2003-04-24 2008-06-10 Samsung Sdi Co., Ltd. Flat panel display with thin film transistor
JP2005037897A (ja) * 2003-06-23 2005-02-10 Sanyo Electric Co Ltd 増幅回路
TWI225237B (en) * 2003-12-04 2004-12-11 Hannstar Display Corp Active matrix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CN100557495C (zh) * 2006-04-18 2009-11-04 佳能株式会社 反射型液晶显示设备以及液晶投影仪系统
JP5094191B2 (ja) * 2006-04-18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US7985978B2 (en) * 2007-04-17 2011-07-26 Himax Technologies Limited Display and pixel circuit thereof
US20080261710A1 (en) * 2007-04-17 2008-10-23 Ruelle Russell J Multi-game table assembly
KR20230088074A (ko) * 2021-12-10 2023-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836A (en) * 1992-03-27 1994-12-13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of forming polycrystalling silicon film in process of manufacturing LC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3077A (en) * 1993-07-27 1997-09-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transistor in which the gate insulator comprises two oxide films
KR100321541B1 (ko) * 1994-03-09 2002-06-20 야마자끼 순페이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방법
JP3326015B2 (ja) 1994-07-14 2002-09-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薄膜半導体装置
US6084248A (en) * 1996-06-28 2000-07-04 Seiko Epson Corporation Thin film transis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thin film transistor
US6252215B1 (en) * 1998-04-28 2001-06-26 Xerox Corporation Hybrid sensor pixel architecture with gate line and drive line synchronization
US6306694B1 (en) * 1999-03-12 2001-10-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roces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836A (en) * 1992-03-27 1994-12-13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of forming polycrystalling silicon film in process of manufacturing LC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728A (ko) 2000-10-25
JP2000259097A (ja) 2000-09-22
US6480179B1 (en) 2002-11-12
TW449732B (en) 200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455B2 (en) Source follower circuit or bootstrap circuit, driver circuit comprising such circu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uch driver circuit
EP1160796B1 (en) Shift register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239140B1 (ko) 박막트랜지스터 회로 및 화상표시장치
US6608613B2 (en) Matrix type liquid-crystal display unit
EP0657863B1 (en) A signal amplifier circuit and an image display device adopting the signal amplifier circuit
US6713748B1 (en) Image detection device
US6075524A (en) Integrated analog source driver for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KR100367527B1 (ko) 화상표시장치
US687337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3514002B2 (ja) 表示駆動装置
JP3053276B2 (ja) 液晶表示装置
JP3072655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JPH0126077B2 (ko)
JP2002202749A (ja) 表示装置用アレイ基板及び表示装置
JP3514000B2 (ja) 表示駆動装置
US6329673B1 (en) Liquid-crystal display apparatus, transistor, and display apparatus
JP2004340981A (ja) 液晶表示装置
JP3207760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H10143114A (ja) 液晶表示装置
JP3470459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H09330061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0164873A (ja) 液晶表示装置
JP2716040B2 (ja) 液晶装置
JP4455714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パネル
JPH0534173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