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6799B1 -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799B1
KR100366799B1 KR10-1998-0058706A KR19980058706A KR100366799B1 KR 100366799 B1 KR100366799 B1 KR 100366799B1 KR 19980058706 A KR19980058706 A KR 19980058706A KR 100366799 B1 KR100366799 B1 KR 10036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terminal
power
power contro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2502A (ko
Inventor
이경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799B1/ko
Priority to US09/223,768 priority patent/US6301485B1/en
Priority to CNB991002520A priority patent/CN1175691C/zh
Publication of KR2000004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79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6Code division or spread-spectrum multiple access [CDMA,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초기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초기 액세스 모드 전송전력 제어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하여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초기 액세스 채널의 전송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액세스 채널의 전송전력 레벨과 기 설정된 소정의 적정전력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값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차이값을 n 비트의 전송전력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고 해당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전송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에 의하여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을 적정전력 레벨로 한번에 조정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여,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신속하게 적정전력으로 제어하므로써, 시스템의 신뢰도를 제고시키는 효과와, 단말기의 출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므로써, 다른 단말기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되므로, 시스템의 채널용량을 증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출력전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초기 액세스 채널 전송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이동통신(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이나 개인 휴대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과 같이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이동국이 기지국이나 셀 사이트(Cell-Site)를 통해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그 밖의 신호들로 이루어진 프레임 단위의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동국(단말기)의 전송전력 또는 출력전력은 가변시킬 수 있으며, 최대 출력전력은 기지국의 서비스 가능지역, 즉, 셀의 최외곽 지역에서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이동국은 기지국에 의하여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셀 영역 내에서, 항상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어떤 이동국은 기지국에 가까이 있고 어떤 이동국은 멀리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에 가까이 근접한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기지국에서 멀리 떨어진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레벨보다 큰 레벨로써 수신된다.
기지국으로 보아서는 동일한 셀 영역에 위치한 단말기의 경우에도 기지국과의 직선거리 차이에 의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레벨이 차이 있으므로, 레벨이 작은 신호는 레벨이 큰 신호에 의하여 간섭을 받게 된다.
따라서, 셀 반경 최외각에 위치하는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경우, 낮은 레벨로 수신되므로, 수신된 프레임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게 되어 해당 데이터 신호가 유실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고, 특히, 다중경로에 의한 페이딩이나 간섭에 의하여 전송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지국 또는 단말기는 전송되는 전송전력 또는 출력전력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통신 중에 출력되는 전송전력을 요구되는 품질에 맞는 값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전송전력제어라고 하고, 이는 이동국(단말기)과 기지국 쌍방간에 다이내믹한 전력제어를 수행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방적인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기능블록 구성도이고, 도2 는 종래의 기지국측 전송전력 제어장치를 도시한 기능블록 구성도이며, 도3 은 종래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에 의한 단말기 전송전력 레벨 제어상태 설명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중교환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은 통신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일반 전화가입자를 위한 통신망으로, 이동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른 이동통신 가입자나 일반 유선망 가입자와의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가입자간 회선교환 및 중계 호출처리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11)과 유선통신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기지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12)은 수신된 프레임의 오류율을 이용한 전력제어를 담당함으로써, 기지국A(14A) 또는 기지국B(14B)를 통해 이동국(13)이 적절한 전송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전력제어명령을 발생시킨다.
상기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전송 전력제어과정을 설명하면, 이동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된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spectrum) 신호는 수신안테나(20)에 의해 수신되고, RF수신부(21)에 입력되며, 상기 RF수신부(21)는 입력된 신호를 하향변환 처리하여 기저대역(Base Band) 주파수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RF수신부(21)로부터 하향 변환 처리된 신호는 A/D 변환부(22)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며, PN(Pseudo Noise)상관부(23)는, PN코드발생기(미도시)에서 제공하는 PN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상관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PN상관부(23)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디코더(24)에 입력되는 한편, 상기 신호를 송출한 이동국(미도시)의 전송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측정부(25)에 입력된다.
상기 디코더(24)는 입력된 신호에 대한 디지털 신호 또는 코드 심볼을 디코딩하고, 동시에 CDMA 신호의 품질(Quality)을 나타내는 코드 에러 정보(Code Error Metrics)를 외부루프 전력제어부(26)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루프 전력제어부(26)는 상기 이동국(미도시)이 데이터를 송출하는 현재의 전력을 확인하고, 조정이 필요한 전송전력 값을 알 수 있게 되며, 역방향 링크에 의한 이동국(단말기)의 전송전력제어에 사용될 전력제어 기준값(Po)을 설정하여 비교부(27)에 제공한다.
상기 비교부(27)는 상기 전력측정부(25)에서 측정된 상기 이동국(미도시)의 측정된 전송전력값(Pm)과 상기 외부루프 전력제어부(26)에서 제공되는 전력제어 기준값(Po)을 비교하고, 상기 입력된 전송전력값(Pm)과 전력제어 기준값(Po)과의 전력편차(Pd)를 계산하여, 전력제어비트 발생부(28)에 제공한다.
상기 전력제어비트 발생부(28)는 상기 입력된 전력편차(Pd)에 따라 전송전력을 현재 레벨보다 1dB만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기도록 하는 1비트의 전력제어비트를 송신부(29)에 인가한다.
상기 송신부(29)는 상향 주파수 변환으로 처리한 사용자 데이터(user Data)와 함께 상기 전력제어비트 발생부(28)에서 출력되는 1비트의 전력증가비트 혹은 전력감소비트를 송신안테나(30)를 통해 이동국(미도시)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국(단말기)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전력증가/감소 명령에 따라 출력되는 전송전력을 조정하고, 상기와 같이 조정되어 출력되는 전송전력으로 통신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력측정부(25), 비교부(27), 및 전력제어비트 발생부(28)를 통한 전력제어를 Closed Loop Power Control 이라고 하며, 이는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전송속도에 따른 수신 전력을 예측한 후, 이를 각 기지국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력제어기준값(Po)과 비교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전력제어 명령을 사용자 통신 데이터와 함께 이동국으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이동국은 수신된 전력제어 명령에 따라 조정된 전송전력으로 통신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전력제어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Closed Loop Power Control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국의 이동속도, 이동국의 주위환경 등의 여러 가지 파라미터에 따라 각 이동국별로 상이한 전력제어 기준값(Po)을 설정하게 되는데, 이는 기지제어국(BSC)(12)이 외부루프 전력제어부(26)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프레임 에러율에 따라 전력제어 기준값(Po)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이와 같은 전력제어를 Outer Loop Power Control 이라고 한다.
한편, 상기 전력제어비트 발생부(28)는 상기 비교부(27)로부터 입력된 전력편차(Pd)에 따라 전력증가비트 혹은 전력감소비트를 발생하는데, 이 전력제어비트는 일반적으로 1비트를 사용하여 현재의 전송전력레벨을 1dB 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 전송전력레벨(Pm)이 적당한 전력제어 기준값(Po)보다 큰 경우에는 1dB씩 순차적으로 내리도록 제어하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된 전송전력레벨(Pm)이 적정한 전력제어 기준레벨(Po)보다 작은 경우에는 1dB씩 순차적으로 올리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측정 전력레벨(Pm)과 기준레벨(Po)의 편차(Pd)가 매우 큰 경우에는 이를 적정레벨로 제어하는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은 이동국(단말기)이 기지국에 접속(Access)을 시도하는 초기화 과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이동국(단말기)이 접속(access)을 시도할 때 초기에 전송되는 전력은 Open Loop Power Control을 사용하여 결정하는데, 이는 현재 이동국(단말기)으로 수신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송신할 전력을 결정한다.
Mean output power(dBm) = -mean input power(dBm)
-offset power
+ NOR_PWR 16*NOR_PWR_EXT
+ INIT_PWR
위의 수식에서 mean input power는 해당 기지국이 전송한 신호를 단말기에서 수신한 평균 전력이고, 상기 offset power는 cellular 이동통신 시스템인 경우 73dBm이며 PCS인 경우 76dBm을 사용하고 있고, 이 값은 현장 시험(field test)을 통해서 결정된 값이다. 그리고 상기 NOR_PWR와 INIT_PWR은 시스템 파라메타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APM(Access Parameters Message)를 받아서 정해지며, NOR_PWR_EXT는 EHDM(Extended Handoff Direction Message)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서, 상기 offset power는 일반적으로 현재 셀에서 통신 운용중인 이동국(단말기)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셀의 부하(load)를 고려하여 평균적으로 설정한 것이다. 즉, 이동국(단말기)은 현재 셀에서 운용중인 이동국(단말기)의 수를 알 수가 없고, 따라서, 셀 내의 interference 양을 알 수가 없으므로 cellular 시스템이나 PC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offset power는 평균적으로 임의의 값으로 설정한다.
만약 현재 Access를 시도하려는 사용자가 속해 있는 셀의 상태에 offset power로 정한 기준 이상의 부하가 존재하거나, 이동국(단말기)의 송신 신호가 여러 감쇄 요인으로 인해서 이동국(단말기)의 엑세스 신호를 기지국에서 수신하지 못한다면, 이동국(단말기)은 기지국으로부터 엑세스 신호를 수신하였다는 ACKnowledge 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므로 엑세스 Probe의 전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기지국에서 엑세스 신호를 받을 때까지 송신한다.
상기 Offset power를 작게 설정하면 기지국에서 액세스 신호를 감지하기가 어렵고 이럴 경우 이동국(단말기)은, 엑세스 채널의 전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다 보면 엑세스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Access시의 초기 전송전력은 기지국이 액세스 신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히 큰 전력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기지국과 이동국(단말기)이 근접한 경우이거나 셀 부하가 적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큰 전력으로 엑세스를 시도하므로 인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되어 이동국(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불필요한 큰 전력으로 엑세스 채널을 전송하므로 인하여, 현재 운용중인 다른 이동국(단말기)에 간섭을 주게 되고, 결국 이로 인하여 전체 시스템의 통신채널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Access가 성공되고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을 할당받아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도 Access채널을 통해 Access를 시도하였을 경우와 동일한 전력레벨로 트래픽 채널을 전송하게 되며, 이후 상술한 방법에 따라 1dB씩 단계적으로 전력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적정한 전력레벨로 조정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어 그 사이에 많은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을 Access 하는 경우, 전송전력레벨을 적정한 전력레벨로 한 번에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단말기의 초기 액세스 채널에 의한 전송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초기 액세스 모드 전송전력 제어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하여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초기 액세스 채널의 전송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액세스 채널의 전송전력 레벨과 기 설정된 소정의 적정전력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값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차이값을 n 비트의 전송전력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고 해당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전송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에 의하여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을 적정전력 레벨로 한번에 조정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지국측 전송전력 제어장치를 도시한 기능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전송전력 제어방법에 의한 단말기 전송전력 레벨 제어상태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초기액세스 채널 전송전력 제어방법 순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장치 기능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적정전력 제어상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이동통신교환국 12 : 기지국제어국
13: 이동국 14A, 14B : 기지국
20 : 수신안테나 21 : RF 수신부
22 : A/D 변환부 23 : PN 상관부
24 : 디코더 25 : 전력측정부
26 : 외부루프 전력제어부 27 : 비교부
28 : 전력제어비트발생부 29 : 송신부
30 : 송신안테나 31 :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초기 액세스 채널 전송전력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초기 액세스 채널 전송전력 제어방법 순서도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장치 기능 블록도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적정전력 제어상태 설명도이다.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과정은, 크게, 액세스 모드 전력 제어과정(S1 ~ S5)과 트래픽 모드 전력 제어과정(S6 ~ S11)으로 구분된다.
상기 액세스 모드 전력제어과정은, 기지국 시스템에 의하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액세스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S1)와,
상기 액세스 채널의 전송전력레벨(Pm)을 측정하고, 이를 소정의 적정전력레벨(Po)과 비교하며, 상기 비교에 의하여 전력편차(Pd)를 계산하는 단계(S2)와,
상기 단계(S2)의 계산에 의하여 전력편차(P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에서 전력편차(Pd)가 있는 경우, 전력편차(Pd)만큼 n비트의 전력 조정 또는 제어 메시지로 변환 작성하는 단계(S4)와,
상기 전력 조정 또는 제어 메세지를, CDMA 방식의 특징에 의한 페이징 채널(Paging CH)을 통하여 해당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진다.
또한, 트래픽 모드 전력제어과정은, 기지국 시스템에 의하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통신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을 수신하는 단계(S6)와,
상기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레벨(Pm)을 측정하고, 설정된 소정의 적정전력레벨(Po)과 비교하여 그 편차(Pd)를 계산하는 단계(S7)와,
상기 편차(Pd)가 0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하는 단계(S8)와,
상기 편차(Pd)가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전력감소비트를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단계(S9)와,
상기 편차(Pd)가 0보다 작은 경우 전력증가비트를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말기가 통신을 종료하였는지 판단하여, 통신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6 단계(S6)로 궤환하여 트래픽 모드 전력제어과정(S6 ~ S10)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의 판단결과 통화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전력제어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S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력제어장치는, 초기 액세스의 경우, 상기 비교부(27)로부터 출력되는 것으로써, 현재 전송되는 액세스 채널의 전송전력 측정레벨(Pm)과 기 설정된 적정전력레벨(Po)과의 편차(Pd)를 n 비트의 전력조정 메시지로 작성하여 송신부(29)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외의 다른 블록들은 종래의 전송전력 제어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고,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전력 제어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화를 시작하기 위해 단말기(미도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Open Loop Power Control 방법에 의해 계산된 초기 전송전력레벨에 의하여 출력레벨이 제어된 억세스 채널을 기지국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액세스 채널은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징에 의하여, 다수의 단말기가 트래픽 채널을 할당받기 위해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을 시도할 때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채널이다.
CDMA 방식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은 수신 안테나(20)를 통해 상기 액세스 채널의 고주파(RF) 신호를 수신하고(S1), 상기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RF수신부(21)에 입력되며, 상기 RF수신부(21)는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하향 변환(Down Converting) 처리하여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써 출력한다.
상기 RF 수신부(21)로부터 하향 변환 처리된 신호는 A/D 변환부(22)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PN(Pseudo Noise) 상관부(23)는 PN코드발생기(미도시)에서 제공하는 PN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탈 변환된 신호를 상관 처리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PN상관부(23)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디코더(24)에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억세스 채널을 전송한 단말기(미도시)의 출력전력 또는 전송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측정부(25)에 입력된다.
상기 디코더(24)는 입력된 신호에 대한 제어 데이터 또는 코드 심볼을 디코딩(Decoding)하고, 동시에 CDMA 신호의 품질(Quality)을 나타내는 코드 에러 정보(Code Error Metrics)를 외부루프 전력제어부(26)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루프 전력제어부(26)는 상기 단말기(미도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충분한 전송전력을 확인 또는 계산할 수 있게 되며, 역방향 링크로 상기 단말기의 전송전력 제어에 사용될 전력제어 기준값(Po)을 설정하여 비교부(27)에 출력한다.
상기 비교부(27)는 상기 전력측정부(25)에서 측정된 것으로써, 상기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억세스 채널의 전송전력레벨(Pm)과 상기 외부루프 전력제어부(26)에서 제공되는 적정전력 기준레벨(Po)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전송전력레벨(Pm)과 적정전력 기준레벨(Po)과의 편차(Pd)를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 제공한다(S2).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1)는 상기 입력된 전력편차(Pd)값이 '0' 값이 아닌 경우(S3), 해당 전력 편차(Pd) 값을 n 비트의 데이터 신호로 만들어 이를 송신부(29)로 전송한다(S4).
상기 송신부(29)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1)로부터 인가된 n 비트의 전력조정 메시지를 페이징 채널(Paging CH)에 실어 송신 안테나(30)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S5).
상기 페이징 채널은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징에 의한 것으로, 기지국이 단말기로부터 엑세스 채널의 신호를 수신했다는 ACK 신호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다.
상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 ACK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기지국에 의하여 통신채널이 할당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게되고, 상기 할당된 통신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해당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시작한다(S6).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출력되는 트래픽 채널의 초기 전송전력은, 상기 페이징 채널을 통해 전송된 전력편차(Pd)를 나타내는 n 비트의 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첨부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액세스 시에 설정된 전송전력레벨(Pm)에서 상기 전력편차(Pd)만큼을 전력레벨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켜 한 번에 적정전력레벨로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초기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이 제어된 단말기는, 통신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종래의 트래픽 채널 전송전력 제어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즉,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트래픽 채널의 출력을 기지국에서 수신하고(S6), 상기 전력측정부(25)는 상기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부(27)로 전송한다.
상기 비교부(27)는 외부루프 전력 제어부(26)로부터 인가되는 적정전력 기준레벨(Po) 값과 상기 측정 전력레벨(Pm) 값과의 편차(Pd)를 계산하고(S7), 상기 전력제어비트 발생부(28)는 상기 비교부(27)로부터 입력된 전력편차(Pd) 값에 따라(S8), 상기 전력 편차(Pd)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1 비트의 전력감소비트를 송신하고(S9), 0보다 작은 경우에는 1 비트의 전력증가비트를발생하여(S10) 현재의 전송전력 레벨을 1dB 만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1 비트의 전송전력 조정비트는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트래픽 채널에 실려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 제어과정은, 통화에 의한 통신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11).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액세스 모드와 트래픽 모드의 경우, 각각 다른 전송전력 제어방법을 사용하므로써, 보다 빠르게 단말기의 전송전력을 적정한 전력레벨(Level)로 즉시 제어할 수 있다.
즉, 초기 액세스 시의 전송전력은 적정전력 레벨과 많이 차이가 나게 되므로, 그 전력편차를 데이터 처리하여 초기의 페이징 채널에 실어 전송함으로써, 종래 1dB씩 단계적으로 제어를 수행함에 따른 액세스 시간의 지연이나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기 액세스가 완료된 후,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은 기존의 방식과 동일하게 1비트의 전력조정비트를 사용하여 단말기의 전송전력을 1dB씩 미세 조정하게 함으로써 별도의 시간지연 없이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단말기가 액세스 초기에 불필요하게 큰 전력을 전송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신속하게 적정전력으로 제어하므로써 시스템의 신뢰도를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의 출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므로써, 다른 단말기에 간섭을 주지않게 되므로, 결국 전체 시스템의 채널용량을 증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초기 액세스 모드 전송전력 제어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초기 액세스 채널의 전송전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액세스 채널의 전송전력 레벨과 기 설정된 소정의 적정전력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한 비교결과 값에 차이가 있으면, 상기 차이값 n 비트의 전송전력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고 해당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전송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에 의하여 트래픽 채널의 전송전력을 적정전력 레벨로 한번에 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측정된 전송전력 레벨과 상기 적정전력 레벨과의 편차를 n 비트의 디지털 제어신호로 변환한 데이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전력 제어 메시지는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송전력 제어방법.
KR10-1998-0058706A 1998-12-26 1998-12-26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6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706A KR100366799B1 (ko) 1998-12-26 1998-12-26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US09/223,768 US6301485B1 (en) 1998-12-26 1998-12-31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B991002520A CN1175691C (zh) 1998-12-26 1999-01-25 移动通信系统中的发送功率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706A KR100366799B1 (ko) 1998-12-26 1998-12-26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502A KR20000042502A (ko) 2000-07-15
KR100366799B1 true KR100366799B1 (ko) 2003-04-07

Family

ID=1956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7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6799B1 (ko) 1998-12-26 1998-12-26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01485B1 (ko)
KR (1) KR100366799B1 (ko)
CN (1) CN117569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478B1 (ko) 2005-07-2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액세스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115B2 (ja) * 1998-11-12 2001-03-2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Cdma開ループ制御における上りチャネル干渉補正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6434135B1 (en) * 1999-08-31 2002-08-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RF amplifier prelimiter
US6449489B1 (en) * 1999-09-14 2002-09-1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adjustments of user probe signal
US6842435B1 (en) * 1999-09-15 2005-01-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ongestion monitoring and power control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6587447B1 (en) 1999-09-29 2003-07-0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outer loop power control in discontinuous transmission mode
US6590874B1 (en) * 1999-09-30 2003-07-08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outer loop power control in discontinuous transmission mode using explicit signalling
US6751448B1 (en) * 1999-10-13 2004-06-15 Intel Corporation Control of transmission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12968B2 (en) * 2000-11-30 2006-03-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detecting and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of CDMA system
FR2821515B1 (fr) * 2001-02-23 2003-05-23 Cit Alcatel Procede de gestion de ressources de traitement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US7006483B2 (en) 2001-02-23 2006-02-28 Ipr Licensing, Inc. Qualifying available reverse link coding rates from access channel power setting
US7096034B2 (en) * 2001-10-01 2006-08-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by mobile devices
KR100455142B1 (ko) * 2001-12-31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 파워 제어 방법
JP4065138B2 (ja) * 2002-03-20 2008-03-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情報の生成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移動体端末装置
KR100595652B1 (ko) * 2004-02-12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FR2870061B1 (fr) * 2004-05-10 2007-04-20 Valeo Electronique Sys Liaison Procede d'echange d'informations par courants porteurs entre deux modules, et module d'echange d'informations par courants porteurs
US8315226B2 (en) * 2006-01-05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handoff with power control commands and erasure indications
KR100736474B1 (ko) * 2006-06-14 2007-07-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네트워크 지시에 의한 시스템 선택시의 기지국 접속 시간단축 시스템 및 방법
US8626079B2 (en) * 2007-12-12 2014-01-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Link adapt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43372B2 (en) * 2012-01-31 2017-12-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network node, and user equipment for uplink multiple-input-multiple-output
CN104303436B (zh) * 2012-03-06 2017-04-05 凯萨股份有限公司 用于约束ehf通信芯片的操作参数的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336A (ko) * 1992-12-03 1994-07-26 백중영 세룰라폰의 출력신호 조절장치 및 방법
JPH1022975A (ja) * 1996-07-05 1998-01-23 Nec Corp 符号分割多重方式セルラ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
JPH10136442A (ja) * 1996-10-25 1998-05-22 At & T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の自己調節のための方法
US5790940A (en) * 1995-06-29 1998-08-04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TDMA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6516A (en) * 1993-02-22 1995-03-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the dynamic modification of control paremeters in a transmitter power control system
US5940743A (en) * 1997-06-05 1999-08-1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ower control of mobile station transmissions during handoff in a cellular system
US6101179A (en) * 1997-09-19 2000-08-08 Qualcomm Incorporated Accurate open loop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336A (ko) * 1992-12-03 1994-07-26 백중영 세룰라폰의 출력신호 조절장치 및 방법
US5790940A (en) * 1995-06-29 1998-08-04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TDMA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JPH1022975A (ja) * 1996-07-05 1998-01-23 Nec Corp 符号分割多重方式セルラ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方法
JPH10136442A (ja) * 1996-10-25 1998-05-22 At & T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の自己調節のため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478B1 (ko) 2005-07-2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액세스 출력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1485B1 (en) 2001-10-09
CN1175691C (zh) 2004-11-10
KR20000042502A (ko) 2000-07-15
CN1259000A (zh)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799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US60700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thresholds based on classifi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s
KR10095041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64987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n a common channel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7020483B2 (en) Power control in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s when transmission is interrupted
KR100371281B1 (ko) Cdma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JP3618071B2 (ja) 移動通信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基地局及び移動局
JP2004048784A (ja) 無線電話用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JP4851641B2 (ja) 受信機のための自動利得制御およびその方法
EP11424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interfrequency measurements used for radio network function
KR20040078835A (ko) 휴대단말기의 출력전력 온오프 제어 임계값 결정방법
KR20020071938A (ko) 최적화된 슬립 모드 동작
KR20060051666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EP0947066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athloss between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radio network
US6735216B2 (en) Simplified quality indicator bit test procedures
JP2004165979A (ja) 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移動通信方法
KR20070067221A (ko) 최대 허용 전송 속도 결정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31727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100776B1 (ko) Hsdpa 서비스와 관련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사용자국 및 네트워크 장치
AU2006200633B2 (en) Simplified quality indicator bit test procedures
KR100708502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능으로 사용된 중간 주파수 측정값을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8095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 diversity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5010844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