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284B1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65284B1 KR100365284B1 KR1020010003805A KR20010003805A KR100365284B1 KR 100365284 B1 KR100365284 B1 KR 100365284B1 KR 1020010003805 A KR1020010003805 A KR 1020010003805A KR 20010003805 A KR20010003805 A KR 20010003805A KR 100365284 B1 KR100365284 B1 KR 1003652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input
- user
- character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해당 키의 중앙부를 한번 누름 | 해당 키에 배정된 자음 입력 |
해당 키의 중앙부를 두번 누름 | 해당 키에 배정된 자음이 경음으로 입력'ㄲ') |
해당 키를 조작한 상태에서 중앙부를 한번 누름 | 'ㅐ') |
해당 키를 조작한 상태에서 중앙부를 두번 누름 | 모음 'ㅐ,ㅔ'가 모음 'ㅒ,ㅖ'로 변환 |
해당 키를 조작한 상태에서 중앙부를 길게 한번 누름 | 모음 'ㅏ,ㅓ,ㅗ,ㅜ'가 모음 'ㅑ,ㅕ,ㅛ,ㅠ'로 변환 |
Claims (21)
- 외부와의 통신 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통신용 단말기에 있어서,중앙부 및 8개 방향의 총 9개의 신호 감지부가 있는 복수 개의 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키의 중앙부와 8개 방향에 한글, 로마자, 일본어의 각 언어별로 자음과 모음이 할당되어 있는 키패드;상기 통신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한글, 로마자, 일본어의 각 언어별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자 저장부;상기 통신용 단말기 내부의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상기 키패드 상에 배치되어 있는 각종 조작키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 저장부;상기 키패드를 이용하는 통신용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한 키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키패드 스캐너;상기 키패드 스캐너를 통해 키 조작상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문자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한글, 로마자, 일본어중 어느 언어의 음소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 로마자, 일본어의 각 언어별 음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LCD 구동부; 및상기 LCD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LCD에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는 LCD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되는 자음과 모음은,한글 키패드의 경우 각 키의 중앙부에는 자음이 할당되고, 중앙부 주변의 나머지 8개 방향에는 모음이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의 중앙부 주변의 8개 방향에 배정되는 모음은,좌상, 상, 우상, 좌, 우, 좌하, 하, 우하의 순서로 'ㅏ', 'ㅘ', 'ㅗ', 'ㅡ', 'ㅣ', 'ㅜ', 'ㅝ', 'ㅓ'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에 배정된 자음과 각 키의 8개 방향에 배정된 8개의 모음 이외의 모음은,해당 키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한 번 누름, 두 번 누름, 길게 누름의 키 조작에 따라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되는 자음과 모음은,로마자 키패드의 경우 각 키의 중앙부에는 2종류의 알파벳이 할당되고, 중앙부 주변의 8개 방향에는 알파벳의 모음/자음 및 기타 특수 문자와 기능키를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의 중앙부 주변의 8개 방향에 배정되는 자음과 모음은,좌상, 상, 우상, 좌, 우, 좌하, 우하의 순서로 'A', 'E', 'I', 'O', 'U', 'W', 'Y'가 되며,각 키의 하 방향은 해당 키에 배정된 2개의 알파벳에서 두번째 알파벳을 입력하는 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와 8개 방향에 배정된 알파벳의 조합은,상기 각 키의 8개 방향 조작을 통해 각 키의 첫번째 알파벳과 주변의 8개 방향에 배정된 알파벳이 동시에 입력되며,상기 각 키의 8개 방향 조작과 동시에 중앙부 선택을 통해 각 키의 두번째 알파벳과 주변의 8개 방향에 배정된 알파벳이 동시에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되는 문자는,일본어 키패드의 경우 각 키의 중앙부에는 각 행의 あ단이 할당되고, 중앙부 주변의 4개/8개 방향에는 각 행의 い단, う단, え단, お단/특수 문자 또는 기능키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행의 あ단이 할당되지 않은 키에,탁음, 장음, 한자 변환,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 키를 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에 배정된 문자를 입력할 때 해당 키의 중앙부를 한번 누르면,발음 문자인 'ん' 문자가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에 배정된 문자를 입력할 때 'た' 키를 왼쪽으로 조작한 후 해당 키를 길게 누르면,촉음인 'つ' 문자가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에 배정된 문자를 입력할 때 'や' 키를 조작한 후 해당 키를 길게 누르면,요음을 표현하기 위한 반모음 'や'、'ゆ'、'よ' 문자가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에 배정된 문자를 입력할 때 해당 키를 조작한 후 길게 한번 누르면,'は'행 각 단의 반탁음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키에 배정된 문자를 입력할 때 'ア'행의 각 단의 키를 조작한 후 길게 누르면,외래어 표기에서의 'f' 음인 'フ' 뒤에 작게 표시되는 'ア', 'イ', 'エ', 'オ' 문자가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키는,중앙부의 스위치가 포함되고 8개 방향별로 이동이 가능한 초소형 조이스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키는,중앙부 및 8개 방향별로 신호 감지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각 키는,중앙부 및 8개 방향별로 광신호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조명을 이용한 펜 입력방식의 키패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1) 통신용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의 키 입력 검출을 통해 사용자가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2)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가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3) 상기 과정(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한글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복수 개의 키를 사용하여 중앙부 및 8개 방향으로 조작하는 키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한글의 자/모음 및 숫자/기호를 독출, 조합하여 통신용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4) 상기 과정(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로마자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복수 개의 키를 사용하여 중앙부 및 8개 방향으로 조작하는 키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로마자의 자/모음 및 숫자/기호를 독출, 조합하여 통신용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5) 상기 과정(2)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일본어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복수 개의 키를 사용하여 중앙부 및 8개 방향으로 조작하는 키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일본어의 히라가나/가타카나/한자 및 숫자/기호를 독출, 조합하여 통신용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6)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작업이 종료되면, 해당 사용자가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키신호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7) 해당 사용자가 문자 저장을 위한 저장키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저장하는 과정; 및(8) 상기 과정(6)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문자 저장을 위한 저장키를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문자 모드를 종료하는지를 판단하여 문자 모드를 지속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은,(3-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글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3-2) 한글 입력모드로 전환된 이후, 해당 사용자가 메뉴 키를 조작하여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3) 사용자가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3-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3-4) 사용자가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특정 키의 중앙부를 눌러 특정 자음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5) 사용자가 특정 자음을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자음이 완성형 한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3-6) 완성형 한글이면 해당 한글을 통신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3-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3-7) 상기 단계(3-5)의 판단 결과 완성형 한글이 아니면, 해당 자음을 통신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3-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3-8) 상기 단계(3-4)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특정 키의 중앙부를 눌러 특정 자음을 선택하지 않으면, 특정 키의 8개 방향을 조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3-9) 해당 사용자가 조작하는 특정 키의 방향에 해당하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한 한글을 통신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3-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4)은,(4-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로마자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4-2) 로마자 입력모드로 전환된 이후, 해당 사용자가 메뉴 키를 조작하여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4-3) 사용자가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4-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4-4) 사용자가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특정 키의 중앙부 및 8개 방향을 조작하여 특정 자음과 모음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4-5) 해당 사용자가 조작하는 특정 키의 방향에 해당하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한 로마자를 통신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4-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5)은,(5-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본어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5-2) 일본어 입력모드로 전환된 이후, 해당 사용자가 메뉴 키를 조작하여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5-3) 사용자가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5-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5-4) 사용자가 문자 지움, 공백 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특정 키의 중앙부 및 8개 방향을 조작하여 특정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로 이루어진 일본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5-5) 해당 사용자가 조작하는 특정 키의 방향에 해당하는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로 이루어진 일본어를 통신용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5-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3805A KR100365284B1 (ko) | 2001-01-26 | 2001-01-26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3805A KR100365284B1 (ko) | 2001-01-26 | 2001-01-26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3068A KR20020063068A (ko) | 2002-08-01 |
KR100365284B1 true KR100365284B1 (ko) | 2002-12-18 |
Family
ID=2769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03805A KR100365284B1 (ko) | 2001-01-26 | 2001-01-26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6528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2400B1 (ko) * | 2003-12-09 | 2006-07-14 | 조원형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KR100747969B1 (ko) | 2006-08-03 | 2007-08-08 | (주) 엘지텔레콤 |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중 키패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
KR101196003B1 (ko) | 2009-10-14 | 2012-11-01 | 윤정호 | 휴대폰의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0646A (ko) * | 2001-04-17 | 2002-10-26 | 주식회사 핸디정보시스템 | 키 신호 입력 장치 |
KR20030089190A (ko) * | 2002-05-17 | 2003-11-21 | 주식회사 큐라이프 |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
KR20050048758A (ko) * | 2003-11-20 | 2005-05-25 | 지현진 |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
KR100660476B1 (ko) * | 2004-08-11 | 2006-12-22 | 지현진 | 문자 입력 장치 |
CN107085472A (zh) * | 2017-05-10 | 2017-08-22 | 陈普军 | 带字典功能与诗词的汉字坐标输入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17455A (en) * | 1990-03-28 | 1992-05-26 | Danish International, Inc. | Telephone keypad matrix |
EP0540147A2 (en) * | 1991-09-03 | 1993-05-05 | Edward D. Lin |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
JPH09116605A (ja) * | 1995-10-16 | 1997-05-02 | Sony Corp | 電話装置 |
US5861823A (en) * | 1997-04-01 | 1999-01-19 | Granite Communications Incorporated | Data entry device having multifunction keys |
-
2001
- 2001-01-26 KR KR1020010003805A patent/KR1003652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17455A (en) * | 1990-03-28 | 1992-05-26 | Danish International, Inc. | Telephone keypad matrix |
EP0540147A2 (en) * | 1991-09-03 | 1993-05-05 | Edward D. Lin |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
JPH09116605A (ja) * | 1995-10-16 | 1997-05-02 | Sony Corp | 電話装置 |
US5861823A (en) * | 1997-04-01 | 1999-01-19 | Granite Communications Incorporated | Data entry device having multifunction key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2400B1 (ko) * | 2003-12-09 | 2006-07-14 | 조원형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KR100747969B1 (ko) | 2006-08-03 | 2007-08-08 | (주) 엘지텔레콤 |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중 키패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
KR101196003B1 (ko) | 2009-10-14 | 2012-11-01 | 윤정호 | 휴대폰의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63068A (ko) | 2002-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2400B1 (ko)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
KR100464115B1 (ko) | 키입력장치 | |
KR100478020B1 (ko) |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 |
JP6038834B2 (ja) | 文字入力システム | |
JP2005521963A (ja) |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KR100365284B1 (ko)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
KR20110003130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
CN101226427A (zh) | 适合移动通讯设备和掌上电脑的键盘和相应输入方法 | |
JP3071751B2 (ja) | キー入力装置 | |
KR101249329B1 (ko) |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101045360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KR100570793B1 (ko)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
KR100415728B1 (ko) | 특정키버튼을 이용한 글자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 |
KR100766717B1 (ko) | 문자입력방법 | |
JP2004310543A (ja) |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JP2005004500A (ja) | キー入力装置、携帯電話機およびキー入力方法 | |
KR100373330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 |
KR100679421B1 (ko) |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
KR100823307B1 (ko) | 문자입력방법 | |
KR200329499Y1 (ko) |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 |
KR100428691B1 (ko) |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040003092A (ko) |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 |
JP4227891B2 (ja) | キーボードを用いた文書入力システムと該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 |
KR20020012823A (ko) |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200407401Y1 (ko) | 한글입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2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