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4538B1 -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538B1
KR100364538B1 KR1020000023989A KR20000023989A KR100364538B1 KR 100364538 B1 KR100364538 B1 KR 100364538B1 KR 1020000023989 A KR1020000023989 A KR 1020000023989A KR 20000023989 A KR20000023989 A KR 20000023989A KR 100364538 B1 KR100364538 B1 KR 100364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data
terminal devic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680A (ko
Inventor
임형택
황인영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3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538B1/ko
Priority to US09/749,683 priority patent/US20020013819A1/en
Priority to JP2001014651A priority patent/JP2001320785A/ja
Priority to CNB011091525A priority patent/CN1199516C/zh
Publication of KR2001010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해당 제어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는 정보 저장 수단 및 통신 수단으로써, 독립적으로 단말 장치에 접속하여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 후 다시 조리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거나, 조리 기기에 내장되어 단말 장치와 직접 연결하여 정보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선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조리기, 냉장고, 세탁기와 같이 부피가 커서 한번 설치하면 이동이 쉽지 않은 장치에,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 리모콘을 데이터 전달 매체로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전문 웹사이트로부터, 제어할 기기에 필요한 조리 제어정보, 냉장 제어정보, 세탁 제어정보 등을 전송 받아, 기기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쉽게 업그레이드 시킴으로써, 각 기기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기기에는 간단한 스위치만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INTERNET REMOTE CONTROLLER AND DEVICE CONTROLL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기, 냉장고, 세탁기와 같이 부피가 커서 한번 설치하면 이동이 쉽지 않은 장치에,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 리모콘을 데이터 전달 매체로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전문 웹사이트로부터, 제어할 기기에 필요한 조리 제어정보, 냉장 제어정보, 세탁 제어정보 등을 전송 받아, 기기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쉽게 업그레이드 시킴으로써, 각 기기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기기에는 간단한 스위치만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인류는 전자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하여 생활에 편리한 도구를 많이 창출함으로써, 그 어느 때 보다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며 특히, 가전 및 통신 분야에 있어서는 그 발전 속도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가전 및 통신 분야의 발전은 단지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있었던 제품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하는 것도 모두 포함한다.
가전 분야에서 개량 발전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현재,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 거의 보급되어 있는 티브이를 예로 들 수 있다.
티브이가 처음 보급될 당시만 해도 부피가 크고 흑백 화면이던 제품이 칼라 화면으로 바뀌고 부피도 현저히 작아지게 되었으며 특히, 수동으로 조절하던 채널, 볼륨 등을 리모콘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더 이상 발전할 수 있는 기술이 없을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상기 티브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근래의 제품에 속하는 전자 레인지는, 식생활에 혁신을 일으킨 제품으로서, 점점 고속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조리시간 조차도 단축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품으로, 현재는 상기 전자 레인지에 의해 조리할 수 있는 다양한 식품이 개발되어 있고, 그 조리 영역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리 기기의 조리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조리 가능한 식품의 목록을 스위치 형태로 제품의 전면(前面)에 배치하여 해당 식품의 버튼을 눌러 조리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는 제품의 구성이 너무 복잡해지고 조리 가능 식품의 증가 속도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대신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조리 목록을 엘씨디(LCD)에 표시하는 방식을 채용하거나, 아예 대표적인 조리 식품과 간단한 시간 조절 단자만을 구비한 제품이 선보이고 있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첫째, 전문 조리 정보를 많이 내장할수록 사용이 복잡해지고 또한 업그레이드가 어려워 새로운 조리 방법에 대해서는 그다지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기기의 사용을 간단하게 할 경우 다양한 식품에 따른 기기의 조절이 어려워 맛있는 조리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품들이 현재는 비록 미미하지만,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에 의해 상호간에 서로 결합되고 지능화 됨으로써 고전적인 장치 자체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의 기능 영역까지도 넘보게 되었다.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영상의 일방적인 출력만 하던 티브이는 통신용 포트 및 정보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여 수신자와 쌍방간 대화가 가능하게 되어 가고 있으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레인지와 같은 조리 기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요구를 수용하여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도1을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각종 정보 제공 업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단말 장치(1)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기기(2)와; 상기 단말 장치(1)와 조리 기기(2)를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하여 필요한 조리 정보를 조리 기기(2)에 로딩 하기 위한 전송 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상기 조리 기기(2)는 자체에 RS-232C에 의해 직렬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 장치(3)를 통해 단말 장치(1)로부터 필요한 조리 정보를 수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단말 장치(1)에는 전문 조리 업체가 제공하는 조리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해 두고 있다가 사용자가 필요시에 조리 정보를 검색하여 전송 장치(3)를 통해 조리 기기(2)에 로딩시켜 조리를 시키게 된다.
즉, 상기 조리 기기(2)는 간단한 조절 스위치만을 구비하고 식품 종류에 따른 상세한 조리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1)로부터 필요시에만 로딩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사용이 간편하고 때에 따라서 다양한 요리를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1)는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조리 정보가 업그레이드 될 때마다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여 저장해 두거나, 직접 전문 업체의 웹사이트(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 장치(3)를 통해 조리 기기(2)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송 장치(3)는 조리 기기(2)의 외부에 따로 둘 수도 있고, 조리 기기(2)의 내부에 내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전송 장치는 정보 저장 수단 및 통신 수단으로써 독립적으로 단말 장치에 접속하여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 후 다시 조리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를 전송하거나, 조리 기기에 내장된 후 결선에 의해 단말 장치를 직접 연결하여 정보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선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리모콘에 익숙한 현대인에 적합하도록 리모콘에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기기 조작에 필요한 정보가 제어 명령과 함께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고급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정보로 업그레이드가 용이하게 하는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제어 정보 전달에 의한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리모콘의 구성 및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출력 장치 20 : 원격 송/수신부
30 : 스위치 40 : 수신 인터페이스부
50 :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어댑터 또는 적외선(IrDA) 송신 장치와 같은 데이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가 다운로드 받은 기기 제어 정보를 리모콘 내부로 수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출력 장치와 인터페이스되는 수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단말장치로 부터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받거나, 그 수신받은 기기 제어 정보를 해당 기기로 원격 전송하기 위한 원격 송/수신부와; 상기 원격 송/수신부 및 수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리모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다운로드 받은 기기 제어 정보를, 해당 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본 발명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데이터 전송 장치(3)의 역할을 리모콘(RC)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정보 전송을 위한 장치 구성 및 조작 방법이 훨씬 간편해짐을 알 수 있다.
즉, 도2에서 단말 장치(1)는 인터넷을 통해 기기(조리 기기, 냉장 기기, 세탁 기기 등)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로부터, 기기 제어에 필요한 정보(새로운 조리를 위한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 새로운 세탁 방법에 대한 정보 등)를 다운로드 받아 어댑터(리모콘을 꽂아 유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또는 적외선(IrDA) 송신 장치(적외선에 의해 원격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와 같이, 리모콘으로 상기 다운로드 받은 제어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10)를 구비한다.
다음, 리모콘(RC)에는 상기 단말장치(1)가 인터넷 웹사이트로 부터 다운로드 받은 기기 제어 정보(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1)에 구비된 출력 장치(10, 어댑터 또는 적외선 송신장치)와 인터페이스되는 수신 인터페이스부(40)와; 상기 단말장치(1)로 부터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받거나, 그 수신받은 기기 제어 정보를 해당 기기로 원격 전송하기 위한 원격 송/수신부와(20)와; 상기 원격 송/수신부 및 수신 인터페이스부(20, 4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리모콘 내부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스위치(30) 조작에 의해 기기 제어 명령 또는 상기 다운로드 받은 기기 제어 정보(데이터)를, 해당 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여기서, 상기 원격 송/수신부(20)는 단말장치(1)의 출력장치(10)가 적외선 송신장치일 경우, 원격으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원격 수신부로도 동작한다. 하드웨어적으로는 적외선 수신 다이오드를 더 추가하고, 제어부(50)를 통해 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본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쉽게 구성이 가능하다.다시 말해, 상기 원격 송/수신부(20)는 인터페이스되는 대상에 따라 송신부 또는 수신부로 동작하는 것이다.또한, 상기에서 기기 제어 명령이란, 기기(조리기, 냉장기, 세탁기 등)에 본래 간단히 부가되어 있는 제어 명령을 의미하며, 다운로드 받은 기기 제어 정보는 새로운 조리법이나 세탁방법, 냉장방법에 대한 업그레이드된 제어 명령을 의미한다.즉, 본 발명은 기기(조리기, 냉장기, 세탁기 등) 자체에는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제어 스위치만을 구비하고, 추후 업그레이드 되는 제어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리모콘을 이용해 다운받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이 간단하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업그레이드를 용이하게 하며, 기기 제작자 입장에서는 간단한 기능만을 구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보급할 수 있고, 웹사이트를 통해 저비용으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바람직한 이용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단말 장치(1)에 구비된 출력 장치(10)는, 어댑터 형태로 되어 있을 경우 리모콘(RC)을 그 어댑터에 삽입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때에는 리모콘(RC)의 수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즉, 리모콘(RC)을 어댑터(10)에 삽입한 후 단말 장치(1)의 키보드(미도시)를 조작하여 정보 전송 명령을 실행하면 수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리모콘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 장치(10)가 적외선 송신 장치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원격 송/수신부(20)를 통해 어댑터 등에 리모콘(RC)을 삽입하지 않고도, 리모콘의 내부 메모리에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훨씬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즉, 출력 장치(10)의 적외선 출력 방향과 리모콘(RC)의 적외선 수신 방향을 일치 시킨 후, 리모콘(RC)의 스위치(30)를 조작하여 정보 수신 모드로 전환한 다음, 상기 어댑터(10)를 이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1)의 키보드(미도시)를 조작하여 정보 전송 명령을 실행하면, 원격 송/수신부(20)를 통해 리모콘으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리모콘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정보는 그 크기가 비교적 소량일 경우에는 제어부(50) 자체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클 경우에는 추가로 메모리(미도시)를 더 부착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리모콘(RC)에 정보가 저장되면 사용자는 리모콘(RC)의 원격 송/수신부(20)를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본 실시예에서는 조리 기기(2))를 향하게 한 후, 전송 시작(Start) 스위치(30)를 누르면 제어부(50)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 및 조리 시작 명령을 기기로 전송하게 된다.이때, 리모콘의 원격 송/수신부(20)는 송신부로 동작하여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조리 기기(2)는 리모콘(RC)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자체의 내장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 후, 조리 시작 명령의 수신과 동시에 정해진 순서(전송받은 정보에서 정해진 조리 순서)로 조리를 수행한다.예를 들어, 조리기기의 경우에는 30초 동안 미열로 가열한 후, 20초 동안 고열로 가열하고, 다시 10초의 여유시간을 둔 후, 20초가 미열로 가열한 후 조절을 완료하는 방식이며, 세탁기의 경우에는 20분간 불림시간을 두고, 15분간 세탁시간, 5분간 탈수시간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조리 기기(2)에는 정보 수신을 위한 적외선 수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그 외에 기본 동작 제어를 위한 간단한 스위치만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므로 제작 단가를 절약할 수 있고, 고(高)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터넷 리모콘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는 조리 기기뿐만 아니고, 세탁기 냉장고등 세탁물 및 여러 조건을 세분화하여 제어하고자 할 경우, 장치 자체의 구조는 최대한 간단히 구성할 수 있고, 기능은 최대한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은, 조리기, 냉장고, 세탁기와 같이 부피가 커서 한번 설치하면 이동이 쉽지 않은 장치에, 특별한 부가장치 없이 리모콘을 데이터 전달 매체로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전문 웹사이트로부터, 제어할 기기에 필요한 조리 제어정보, 냉장 제어정보, 세탁 제어정보 등을 전송 받아, 기기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쉽게 업그레이드 시킴으로써, 각 기기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기기에는 간단한 스위치만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인터넷을 통해 기기에 대한 제어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어댑터 또는 적외선(IrDA) 송신 장치와 같은 데이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가 다운로드 받은 기기 제어 정보를 리모콘 내부로 수신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출력 장치와 인터페이스되는 수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단말장치로 부터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받거나, 그 수신받은 기기 제어 정보를 해당 기기로 원격 전송하기 위한 원격 송/수신부와;
    상기 원격 송/수신부 및 수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리모콘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다운로드 받은 기기 제어 정보를, 해당 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 기기로 송신하는 데이터는, 해당 장치에 대한 조작 시간 및 동작 레벨(미열, 고열 등 기기에 따른 동작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모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는 원격 송/수신부 또는 수신 인터페이스부를 수신 모드로 제어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는 원격 송/수신부를 송신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모콘
  6.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 장치를 통해 정보 제공 업체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제1과정과; 상기 단말 장치와 직접 또는 원격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리모콘에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저장된 데이터 및 장치 제어 명령을 해당 제어 장치로 송신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모콘을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인터넷을 통해 해당 제어 장치의 웹사이트(홈페이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리모콘을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KR1020000023989A 2000-05-04 2000-05-04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KR100364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989A KR100364538B1 (ko) 2000-05-04 2000-05-04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US09/749,683 US20020013819A1 (en) 2000-05-04 2000-12-28 Internet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using the same
JP2001014651A JP2001320785A (ja) 2000-05-04 2001-01-23 インターネット情報送受信用リモコン及びそれを利用した機器制御方法
CNB011091525A CN1199516C (zh) 2000-05-04 2001-03-09 因特网遥控系统和使用因特网遥控器的家用设备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989A KR100364538B1 (ko) 2000-05-04 2000-05-04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680A KR20010102680A (ko) 2001-11-16
KR100364538B1 true KR100364538B1 (ko) 2002-12-12

Family

ID=1966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989A KR100364538B1 (ko) 2000-05-04 2000-05-04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013819A1 (ko)
JP (1) JP2001320785A (ko)
KR (1) KR100364538B1 (ko)
CN (1) CN119951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12A (ko) * 2001-04-14 2001-07-13 김오중 전기가열식 조리기의 원격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6675B2 (ja) * 2000-06-30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機器及びサーバ
WO2002012610A1 (en) * 2000-08-05 2002-02-1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device for data exchange to/from external device
KR100400458B1 (ko) * 2001-05-14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가능한 가전기기의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방법
US7464426B2 (en) * 2001-07-04 2008-12-16 Lg Electronics Inc. Internet-wash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448176B1 (ko) * 2001-12-24 2004-09-10 최형락 인터넷을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데이터 다운로드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006865A1 (en) 2003-02-21 2007-01-11 Wiker John H Self-cleaning oven
KR100534611B1 (ko) * 2003-06-04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US7363028B2 (en) * 2003-11-04 2008-04-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8087407B2 (en) 2004-03-23 2012-01-03 Middleby Corporation Conveyor oven apparatus and method
US9585400B2 (en) 2004-03-23 2017-03-07 The Middleby Corporation Conveyor oven apparatus and method
US6990335B1 (en) 2004-11-18 2006-01-24 Charles G. Shamoon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rol system for remote locations
ATE393428T1 (de) * 2004-12-29 2008-05-15 Beko Elektronik Anonim Sirketi Softwareaktualisierung mittels fernbedienung
US20080055108A1 (en) * 2006-08-30 2008-03-06 Jin-Soo H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gacy home appliances
US8839714B2 (en) 2009-08-28 2014-09-23 The Middleb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veyor oven
CN103139026A (zh) * 2011-12-05 2013-06-05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基于无线通信的智能家电控制器
CN103747052A (zh) * 2013-12-25 2014-04-23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下载数据的方法及装置
CN105245580A (zh) * 2015-09-15 2016-01-1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06733A1 (en) * 1993-03-24 1996-04-17 Universal Electronics, Inc. Infrared remote control device f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6104334A (en) * 1997-12-31 2000-08-15 Eremote, Inc. Portable internet-enabled controller and information browser for consumer devices
US20010039460A1 (en) * 1998-01-13 2001-11-08 Valerio Aisa Control system for a household appliance
US20010011953A1 (en) * 1998-08-07 2001-08-09 Peter Rae Shintani Configurable remote control unit using a removable memory device
US6401059B1 (en) * 1999-05-25 2002-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s a remote control
US6748278B1 (en) * 2000-03-13 2004-06-08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led system with computer-based remote control facilit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12A (ko) * 2001-04-14 2001-07-13 김오중 전기가열식 조리기의 원격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9516C (zh) 2005-04-27
JP2001320785A (ja) 2001-11-16
KR20010102680A (ko) 2001-11-16
US20020013819A1 (en) 2002-01-31
CN1323153A (zh) 200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538B1 (ko) 인터넷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제어 방법
US6121593A (en) Home appliances provided with control systems which may be actuated from a remote location
US6133847A (en) Configurable remote control device
US725153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home automation system
US20080087663A1 (en) Home appliances provided with control systems which may be actuated from a remote location
KR100500548B1 (ko) 가열제어 시스템
JP2004519789A (ja) 赤外線コマンドコードを識別コードとインターリーブ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2077696A2 (en)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ed kitchen appliances
GB2353370A (en) Programmable microwave oven
AU4272600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downloadable interface, as well as controller,as well as device, as well as remote control, as well as method
WO200209757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food product status and holding systems
KR10020964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
KR100381196B1 (ko) 냉장고와 그 터치스크린 착탈방법
EP0740112A1 (en) Control for equipment
EP1117275B1 (en) Internet microwave oven
KR20050068297A (ko)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01340A (ko) 인터넷 연동 전자레인지
JP4241244B2 (ja) 調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熱調理装置
KR20050002182A (ko) 리모콘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82486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40006649A (ko) 인터넷 가스오븐레인지
KR2004008463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1317740A (ja) 電子レンジ自動設定システム
KR20030088651A (ko) 전자레인지의 데이터저장방법
CN115623453A (zh) 烹饪器具、烹饪器具的交互系统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