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4420B1 -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420B1
KR100364420B1 KR1019990058560A KR19990058560A KR100364420B1 KR 100364420 B1 KR100364420 B1 KR 100364420B1 KR 1019990058560 A KR1019990058560 A KR 1019990058560A KR 19990058560 A KR19990058560 A KR 19990058560A KR 100364420 B1 KR100364420 B1 KR 10036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packet
dribble
data
buff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893A (ko
Inventor
이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9005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4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42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기 위한 버퍼의 사용방법이 복잡하고, 또한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기 위한 버퍼의 사용이 많아 회로 면적이 커지고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HY칩에 있어서, 종단에 드리블 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디먹싱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소정 비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저장하다가, 각기 드리블 비트가 저장되는 시점에 상대편 버퍼의 데이터만 패러럴하게 출력하는 제1,제2 버퍼와; 상기 제1,제2 버퍼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교번동작으로 입력받아 소정 비트 단위로 다중송신하는 멀티플렉서로 구성하여 간단히 드리블 비트를 제거함으로써 회로의 복잡성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전력소모를 저감시킬 수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DRIBBLE BIT REMOVE APPARATUS}
본 발명은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기위한 회로의 복잡성을 대폭 감소시켜 회로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394 프로토콜에서 모든 패킷은 데이터/스트로브 코딩회로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드리블(Dribble) 비트를 붙여 발신하고, 이에 따라 모든 PHY칩은 패킷을 수신한후 그 결과를 버퍼에 저장한후 패킷의 전송속도에 따라 1,3,7비트의 드리블(Dribble) 비트를 제거하는데, 이와같은 종래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패킷 데이터의 끝이 검출되면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드리블 비트 제거부(11)와, 상기 드리블 비트 제거부(1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버퍼링하여 패러럴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시리얼라이저(10)로 구성되며, 이와같은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드리블 비트 제거부(11)는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입력받아 그 패킷 데이터의 끝이 검출되면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여 출력하고, 디시리얼라이저(10)는 상기 드리블 비트 제거부(1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버퍼링하여 패러럴 데이터로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드리블 비트 제거부(11)는 패킷 수신되면 이를 버퍼에 저장한 다음 그 패킷 완료되었음을 알게 되면 복잡한 버퍼링 과정을 통해 드리블 비트를 제거한다.
이때, 상기 디시리얼라이저(10)는 일종의 버퍼회로로 구현되는데, 상기 드리블 비트 제거부(10)로부터 고속의 시리얼 데이터를 저속의 패러럴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하여 버퍼링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장치는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기 위한 버퍼의 사용방법이 복잡하고, 또한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기 위한 버퍼의 사용이 많아 회로 면적이 커지고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본 발명은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기위한 회로의 복잡성을 대폭 감소시켜 회로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디멀티플렉서 200,300:버퍼
400:멀티플렉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HY칩에 있어서, 종단에 드리블 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디먹싱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소정 비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저장하다가, 각기 드리블 비트가 저장되는 시점에 상대편 버퍼의 데이터만 패러럴하게 출력하는 제1,제2 버퍼와; 상기 제1,제2 버퍼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교번동작으로 입력받아 소정 비트 단위로 다중송신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에 대한 작용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디 먹싱하여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100)와; 상기 디멀티플렉서(100)의 출력 데이터를 소정 비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제1,제2 버퍼(200),(300)와; 상기 제1,제2 버퍼(200),(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교번동작으로 입력받아 소정 비트 단위로 다중송신하여 그에 따른 패러럴 데이터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400)로 구성하며,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디멀티플렉서(100)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디 먹싱하여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1,제2 버퍼(200),(300)는 상기 디멀티플렉서 (100)의 출력 데이터를 소정 비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이후, 멀티플렉서(400)는 상기 제1,제2 버퍼(200),(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교번동작으로 입력받아 소정 비트 단위로 다중송신하여 그에 따른 패러럴 데이터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신되는 데이터 비트들은 S100 패킷의 경우에는 bit0~bit1에, S200 패킷의 경우에는 bit0~bit3, S400패킷의 경우에는 bit0~bit7에 저장된다.
우선, 제1 버퍼(200)에 데이터 비트들을 기록한후, 제2 버퍼(300)에 그 다음 데이터 비트들을 기록하는데,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비트단위로 제2 버퍼(300)에 고속으로 저장되는 동안 상기 제1 버퍼(200)에 저장된 2,4,8비트(S100Packet:2 bit,S200 Packet:4bit,S400 Packet:8bit)의 패러럴 데이터 비트들을 멀티플렉서(400)를 통하여 S50의 속도로 전달된다.
그리고, 데이터 패킷의 끝에는 S100의 경우에는 1비트, S200의 경우에는 3비트, S400의 경우에는 7비트의 드리블 비트들이 따르고 이들이 지난후 한 클럭 싸이클후에 패킷이 끝났음을 알수 있다.
또한, IEE1394 패킷의 특징은 모두 8의 배수 길이를 갖는 것으로, 이에 의해 8보다 작은 1,3,7 비트의 드리블 비트들을 제1 버퍼(200)나 제2 버퍼(300)에 저장할 때는 그 버퍼(200),(300)상에 저장을 완료하기 전에 패킷이 끝났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제1 버퍼(200)에 마지막 비트를 기록하고 제2 버퍼(300)에 드리블 비트가 기록되는 경우, 상기 제2 버퍼(300)에 저장이 끝나기 전에 패킷이 끝났음을 알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버퍼(200)의 데이터까지만 패러럴 데이터로 넘겨주면 자연스럽게 드리블 비트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드리블 비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핑퐁 버퍼 구조로 하나의 버퍼를 사용하여 간단히 드리블 비트를 제거함으로써 회로의 복잡성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전력소모를 저감시킬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PHY칩에 있어서,
    종단에 드리블 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입력받아 이를 디먹싱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소정 비트 단위로 순차적으로 저장하다가, 각기 드리블 비트가 저장되는 시점에 상대편 버퍼의 데이터만 패러럴하게 출력하는 제1,제2 버퍼와; 상기 제1,제2 버퍼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교번동작으로 입력받아 소정 비트 단위로 다중송신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S100(2비트)패킷, S200(4비트)패킷,S400(8비트) 패킷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S100(2비트)패킷은 1비트의 드리블 비트가 패킷의 끝에 뒤따른후 한 클럭 싸이클이 지난후 패킷이 끝났음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S200(4비트)패킷은 3비트의 드리블 비트가 패킷의 끝에 뒤따른후 한 클럭 싸이클이 지난후 패킷이 끝났음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S400(8비트) 패킷은 7비트의 드리블 비트가 패킷의 끝에 뒤따른후 한 클럭 싸이클이 지난후 패킷이 끝났음을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6. 삭제
  7.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제1,제2 버퍼의 크기는 8비트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KR1019990058560A 1999-12-17 1999-12-17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6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560A KR100364420B1 (ko) 1999-12-17 1999-12-17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560A KR100364420B1 (ko) 1999-12-17 1999-12-17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893A KR20010056893A (ko) 2001-07-04
KR100364420B1 true KR100364420B1 (ko) 2002-12-11

Family

ID=1962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5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64420B1 (ko) 1999-12-17 1999-12-17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4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2041A (ja) * 1992-08-11 1994-03-04 Hitachi Ltd 同報機能を有するatmスイッチ回路およびその同報出力方法
US5394397A (en) * 1992-03-27 1995-02-28 Hitachi, Ltd. Shared buffer memory type ATM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a broadcast facility
US5475680A (en) * 1989-09-15 1995-12-12 Gpt Limited 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 switching system
US5612952A (en) * 1993-09-20 1997-03-18 Kabushiki Kaisha Toshiba Packet switch and buffer for storing and processing packets routing to different ports
US5710770A (en) * 1987-07-15 1998-01-20 Hitachi, Ltd. ATM cell switching system
JPH1174892A (ja) * 1997-08-29 1999-03-16 Oki Electric Ind Co Ltd セル交換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0770A (en) * 1987-07-15 1998-01-20 Hitachi, Ltd. ATM cell switching system
US5475680A (en) * 1989-09-15 1995-12-12 Gpt Limited 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 switching system
US5394397A (en) * 1992-03-27 1995-02-28 Hitachi, Ltd. Shared buffer memory type ATM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a broadcast facility
JPH0662041A (ja) * 1992-08-11 1994-03-04 Hitachi Ltd 同報機能を有するatmスイッチ回路およびその同報出力方法
US5612952A (en) * 1993-09-20 1997-03-18 Kabushiki Kaisha Toshiba Packet switch and buffer for storing and processing packets routing to different ports
JPH1174892A (ja) * 1997-08-29 1999-03-16 Oki Electric Ind Co Ltd セル交換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893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9545B2 (ja) 送信回路、受信回路、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CN106874224B (zh) 自动搬运且适应器件的多线SPI-Flash控制器
CN110896431B (zh) 一种无压缩高清视频传输方法和系统
JP4709526B2 (ja) 高帯域幅チャネル内に低帯域幅チャネル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60072598A1 (en) Variable size FIFO memory
JP3551894B2 (ja) 多重化送受信装置
CN109218154B (zh) 一种基于fpga的千兆以太网到slip的转换系统
US20160373198A1 (en) Serial communication device and serial communication method
US61279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data containing repetitive patterns
KR100364420B1 (ko) 드리블 비트 제거장치
US20050201162A1 (en)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CN110875911B (zh) 支持自动识别单个数据包数据位数的通信协议及通信方法
CN1472934A (zh) 一种实现同步数字体系链路接入处理协议的方法
JP4888053B2 (ja) 64b/66b符号化処理用データ生成方法及び回路
KR100474722B1 (ko) 디지털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동기화하는 방법
CN105718401A (zh) 一种多路smii信号到一路mii信号的复用方法及系统
JP3111812B2 (ja) データ通信装置
KR100398854B1 (ko) 통신시스템및통신용중계기
JP4427991B2 (ja) クロック同期シリアルデータ転送方式
KR100208371B1 (ko) 데이터전송 프레임의 포맷과 전송장치 및 그 송신제어방법
KR100602872B1 (ko) Pci 익스프레스 프로토콜용 다중채널 스큐 제거 장치
JP7223503B2 (ja) シリアルインタフェース回路、半導体装置、及び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方法
JP2675415B2 (ja) タイミング整合回路
KR100680525B1 (ko) 광 전송시스템에서의 hdlc포트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220043Y1 (ko) 광전송장비에서 프로세서 유니트와 가입자 유니트간인터페이스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