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63642B1 -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642B1
KR100363642B1 KR1019990050041A KR19990050041A KR100363642B1 KR 100363642 B1 KR100363642 B1 KR 100363642B1 KR 1019990050041 A KR1019990050041 A KR 1019990050041A KR 19990050041 A KR19990050041 A KR 19990050041A KR 100363642 B1 KR100363642 B1 KR 100363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hotoresist
film
photoresist pattern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6324A (ko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0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642B1/ko
Priority to US09/710,763 priority patent/US6448183B1/en
Priority to JP2000345324A priority patent/JP3557166B2/ja
Publication of KR2001004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4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by forming tapered via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78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forming tapered edges on substrate or adjacen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구조를 요구하는 기술에서 게이트, 소스/드레인을 금속 배선층과 연결하는 콘택 홀 또는 금속 배선층 사이를 연결하는 비아 홀 등의 접촉홀 형성시 생산 비용의 증대없이 효과적으로 스텝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반도체 소자의 전극 또는 금속 배선 패턴이 형성된 하부 박막 상부에 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한 후, 절연막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현상하여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하드 베이크하여 내부 측벽의 계단 형태를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 측벽이 부드러운 곡선형으로 된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절연막을 건식 식각하여 접촉홀을 형성하고, 감광막 패턴을 제거한 후, 베리어 메탈과 텅스텐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가진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절연막을 건식 식각하여 상부에서 하부까지 부드러운 기울기를 가진 접촉홀을 형성하여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공정 추가없이 완전한 스텝 커버리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텅스텐 증착시 보이드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CONTACT HOLE OF SEMICONDUCTOR DEVICES}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 중 절연막을 통해 전기적으로 격리된 상하부 도전막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제한된 면적 내에서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소스/드레인과 금속 배선층을 연결하는 콘택과 금속 배선 층간을 연결하는 비아 등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집적회로에서의 배선층 다층화하는 다층 배선 기술이 사용되고 있는 데, 다층 배선 기술은 집적회로 내에서의 배선을 다층화하여 제한된 면적의 단일 기판 내에 반도체 소자를 고집적화시키는 방법으로 반도체 소자간에 배선이 통과하는 공간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도체 칩의 크기를 작게 가져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층 배선 기술은 성막 공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므로 표면에서의 배선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배선 간의 교차부에서의 단차에 의해 생기는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 불량이나 접촉 불량 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콘택 홀 또는 비아 홀을 형성하고 베리어 메탈(barrier metal)을 증착한 후, 콘택 홀 또는 비아 홀을 매입하기 위한 텅스텐 증착시 홀 내부에 보이드(void)가 발생하는 등의 공정 결함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콘택, 비아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의 접촉구 형성 공정에서 스텝 커버리지 개선 및 보이드 방지 등을 위하여 콘택 홀 또는 비아 홀에 베리어 메탈을 증착할 경우 아르곤(Ar) 가스 등을 이용한 스퍼터 식각(sputter etch)에 의해 콘택 홀 또는 비아 홀의 상부 부분이 경사를 갖도록 한 다음, 홀을 매입하기 위하여 텅스텐을 증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콘택 홀 또는 비아 홀 등과 같은 접촉홀 상부 부분의 아르곤 스퍼터 식각이 접촉홀의 하부 부분까지 부드러운 기울기를 갖지 못하므로 완전하게 스텝 커버리지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반도체 기판 상에서 균일도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아르곤 스퍼터 식각 공정의 추가로 인하여 생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구조를 요구하는 기술에서 게이트, 소스/드레인을 금속 배선층과 연결하는 콘택 홀 또는 금속 배선층 사이를 연결하는 비아 홀 등의 접촉홀 형성시 생산 비용의 증대없이 효과적으로 스텝 커버리지를 개선하는 데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한 절연막의 상부에 내부 측벽이 부드러운 곡선형으로 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 이를 마스크로 절연막을 건식 식각하여 접촉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광막 패턴의 내부 측벽을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절연막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현상하여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 후, 감광막 패턴을 하드 베이크하여 내부 측벽의 계단 형태를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광막 패턴의 내부 측벽을 계단 형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감광막의 도포시 도포 온도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거나 감광막의 도포시 노광 에너지에 대한 감도가 다른 감광막을 적층 구조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광막 패턴의 내부 측벽을 계단 형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감광막의 노광시 노광 에너지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소스/드레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반도체 소자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또는 반도체 소자의 회로 연결을 위한 금속 박막 패턴이 형성된 금속 배선층 등의 하부 박막(1) 상부에 상부 금속 배선층과의 전기적 격리를 위한 절연막(2)을 증착하고, 평탄화한다. 그리고, 절연막(2)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콘택 홀 또는 비아 홀과 같은 접촉홀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로 노광현상하여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 형성된 감광막 패턴(3)을 형성한다. 이때, 계단 형태의 감광막 패턴(3)을 형성하기 위하여, 감광막의 도포시 도포 온도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감광막의 하부에서 상부로의 노광 에너지에 대한 감도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노광현상시 계단 형태가 되도록 하거나, 감광막의 노광시 노광 에너지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노광되는 감광막의 감도를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노광현상시 계단 형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감광막의 도포시 노광 에너지에 대한 감도가 다른 감광막을 적층 구조로 도포하여 노광 현상시 계단 형태가 되도록 한다.
그 다음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감광막 패턴(3)을 하드 베이크(hard bake)하여 계단 형상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된 감광막 패턴(3)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된 감광막 패턴을마스크로 드러난 절연막(2)을 건식 식각하여 콘택 홀 또는 비아 홀의 접촉홀을 형성한다. 이때, 건식 식각에 의해 절연막(2)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가진 감광막 패턴과 동일한 형태로 식각되므로 접촉홀의 상부에서 하부 부분까지 부드러운 기울기를 가지므로 완전하게 스텝 커버리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후,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부드러운 기울기를 가진 접촉홀을 가진 절연막(2) 전면에 베리어 메탈(4)을 증착한다.
그 다음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리어 메탈(4)이 증착된 절연막(2) 전면에 텅스텐(5)을 두껍게 증착하여 접촉홀을 매입하고,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achanical polishing, CMP) 등에 의해 절연막(2)의 상부면이 드러나도록 평탄화함으로써 콘택 홀 또는 비아 홀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가진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절연막을 건식 식각하여 상부에서 하부까지 부드러운 기울기를 가진 접촉홀을 형성하여 콘택 홀 또는 비아 홀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완전한 스텝 커버리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기판 상에서 만족스러운 균일성을 얻을 수 있으며, 종래 아르곤 스퍼터 식각 등과 같은 추가 공정이 없으므로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드러운 기울기를 가진 접촉홀에 텅스텐을 증착하므로 보이드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정정)반도체 소자의 전극 또는 금속 배선 패턴이 형성된 하부 박막 상부에 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 상부에 도포 온도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현상함으로써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 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된 감광막 패턴을 하드 베이크하여 상기 내부 측벽의 계단 형태를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건식 식각하여 접촉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베리어 메탈과 텅스텐을 증착하여 상기 접촉홀을 매입하는 단계와;
    상기 텅스텐과 베리어 메탈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상기 절연막의 상부면이 드러나도록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2회정정)반도체 소자의 전극 또는 금속 배선 패턴이 형성된 하부 박막 상부에 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 상부에 노광 에너지에 대한 감도가 다른 감광막을 적층 구조하여 도포하고 노광현상함으로써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 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된 감광막 패턴을 하드 베이크하여 상기 내부 측벽의 계단 형태를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건식 식각하여 접촉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베리어 메탈과 텅스텐을 증착하여 상기 접촉홀을 매입하는 단계와;
    상기 텅스텐과 베리어 메탈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상기 절연막의 상부면이 드러나도록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5. (정정)반도체 소자의 전극 또는 금속 배선 패턴이 형성된 하부 박막 상부에 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막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감광막의 노광시 노광 에너지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노광현상함으로써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 된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측벽이 계단 형태로된 감광막 패턴을 하드 베이크하여 상기 내부 측벽의 계단 형태를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상기 절연막을 건식 식각하여 접촉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고, 베리어 메탈과 텅스텐을 증착하여 상기 접촉홀을 매입하는 단계와;
    상기 텅스텐과 베리어 메탈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상기 절연막의 상부면이 드러나도록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KR1019990050041A 1999-11-11 1999-11-11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KR100363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041A KR100363642B1 (ko) 1999-11-11 1999-11-11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US09/710,763 US6448183B1 (en) 1999-11-11 2000-11-11 Method of forming contact portion of semiconductor element
JP2000345324A JP3557166B2 (ja) 1999-11-11 2000-11-13 半導体素子の接触部形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041A KR100363642B1 (ko) 1999-11-11 1999-11-11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324A KR20010046324A (ko) 2001-06-15
KR100363642B1 true KR100363642B1 (ko) 2002-12-05

Family

ID=1961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041A KR100363642B1 (ko) 1999-11-11 1999-11-11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48183B1 (ko)
JP (1) JP3557166B2 (ko)
KR (1) KR100363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9517B2 (en) * 2001-05-18 2003-11-18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Copper metal structure for the reduction of intra-metal capacitance
US6576548B1 (en) * 2002-02-22 2003-06-10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reliable contacts/vias
DE102006030267B4 (de) * 2006-06-30 2009-04-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Nano-Einprägetechnik mit erhöhter Flexibilität in Bezug auf die Justierung und die Formung von Strukturelementen
JP5903714B2 (ja) * 2007-07-26 2016-04-13 ソイテックSoitec エピタキシャル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成長させられたテンプレート
US11532560B2 (en) * 2014-11-03 2022-12-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fabricating a tungsten plug in a semiconductor device
CN114156267B (zh) * 2020-09-07 2024-10-29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存储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1836A (ja) * 1987-04-20 1988-10-28 Nec Corp 縮小投影露光法によるテ−パ−形成方法
JPH06151388A (ja) * 1992-11-12 1994-05-31 Sumitomo Metal Ind Ltd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ホール形成方法
JPH06163482A (ja) * 1992-11-20 1994-06-10 Sumitomo Metal Ind Ltd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ホール形成方法
JPH07201993A (ja) * 1993-12-28 1995-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55909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JPH1197536A (ja) * 1997-09-19 1999-04-09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831A (ja) * 1985-12-11 1987-06-20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A2019669A1 (en) * 1989-11-21 1991-05-21 John Woods Anionically polymerizable monomers, polymers thereof, and use of such polymers in photoresists
EP0697723A3 (en) * 1994-08-15 1997-04-16 Ibm Method of metallizing an insulating lay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1836A (ja) * 1987-04-20 1988-10-28 Nec Corp 縮小投影露光法によるテ−パ−形成方法
JPH06151388A (ja) * 1992-11-12 1994-05-31 Sumitomo Metal Ind Ltd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ホール形成方法
JPH06163482A (ja) * 1992-11-20 1994-06-10 Sumitomo Metal Ind Ltd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ホール形成方法
JPH07201993A (ja) * 1993-12-28 1995-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55909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JPH1197536A (ja) * 1997-09-19 1999-04-09 Nippon Steel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57166B2 (ja) 2004-08-25
KR20010046324A (ko) 2001-06-15
US6448183B1 (en) 2002-09-10
JP2001203170A (ja)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04014A (ja)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363642B1 (ko)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형성 방법
KR10073925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229943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40874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60064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US2003006003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ench conductor line
KR100422912B1 (ko) 반도체 소자의 접촉부 및 그 형성 방법
KR100450241B1 (ko) 플러그 형성 방법 및 이 플러그를 갖는 반도체 소자
JPH0828838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113768B1 (ko)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65936B1 (ko) 반도체소자의비아콘택형성방법
KR100368979B1 (ko) 반도체소자의다층금속배선형성방법
KR20030049571A (ko) 듀얼-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형성방법
KR100349696B1 (ko) 화학적 팽창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을 위한 대머신 구조 형성방법
JP200129808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6122B1 (ko)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금속배선 형성방법
JPH04359544A (ja) 平坦型配線層の形成法
KR100315028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0172791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층배선 형성방법
CN1140924C (zh) 双重金属镶嵌结构的制造方法
KR101068142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KR20030066999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JP2969109B1 (ja) 二重波型模様プロセスを使用し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26786B1 (ko) 반도체소자의 배선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