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9447B1 -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447B1
KR100359447B1 KR1020010015168A KR20010015168A KR100359447B1 KR 100359447 B1 KR100359447 B1 KR 100359447B1 KR 1020010015168 A KR1020010015168 A KR 1020010015168A KR 20010015168 A KR20010015168 A KR 20010015168A KR 100359447 B1 KR100359447 B1 KR 10035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receiver
induction coil
microphone
hea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012A (ko
Inventor
이종배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5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447B1/ko
Publication of KR2002007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4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장애자가 휴대폰 등의 수신기용 이어폰을 통하여 외부음성을 분명하게 청취할 수 있게 한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청각장애자에게 가장 이로운 휴대물은 보청기일 것이다.
이러한 보청기는 외부의 음을 수용하는 마이크로폰이 장착되어 있으며, 음성으로 변조된 외부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유도코일을 함께 갖춘 것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는, 휴대폰 등의 수신기(1)측 잭 또는 컨넥터에 플럭(2)을 꽂아 사용하는 이어폰(3)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상에 다이아프램(14)과 다이아프램(14)의 이면에 부착된 유도코일(15)과 요크(11)에 씌우는 외면 가장자리의 홈(18)에 보조유도코일(19)을 설치한 다공캡(16) 및 요크(11)의 위에 안장된 자석(12)과 자석판(13)을 고정하는 아일릿(17)으로 이루어진 초소형 스피커 유닛(5)을 장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Ear-phone Microphone for Hearing Aid}
본 발명은 청각장애자가 휴대폰 등의 수신기용 이어폰을 통하여 외부음성을분명하게 청취할 수 있게 한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청각장애자에게 가장 이로운 휴대물은 뭐니뭐니해도 보청기다.
이러한 보청기는 외부의 음을 수용하는 마이크로폰이 장착되어 있으며, 음성으로 변조된 외부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유도코일을 함께 갖춘 것도 있다.
또, 수화기의 음향출력을 보청기의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하여 보청기에 의해 증폭된 음을 듣는 음향결합방식과, 보청기에 의해 증폭된 음을 듣는 자기결합방식의 전화기도 있다.
후자의 보청기를 보청기 적용 전화기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보청기는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한 휴대폰이나 이어폰용 잭 또는 컨넥터가 장착된 일반 수화기 등을 통해서는 외부와의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청자 등의 청각장애자도 이어폰 잭 또는 컨넥터가 장착된 휴대폰,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청각장애자에게 외부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는 휴대폰이나 일반 전화기 등의 통신기기용 수신기측 잭 또는 컨넥터에 플럭을 꽂아 사용하는 이어폰상에 초소형 마이크를 장착하여 휴대폰이나 전화기 등의 통신기기의 수신기로도 외부음을 청취할 수 있고, 휴대폰 등의 통신기기 이외의 바깥 소리는 마이크를 통해 청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이어폰에 내장된 스피커 유닛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신기 2 : 플럭
3 : 이어폰 5 : 스피커 유닛
6 : 보청기 11 : 요크
12 : 자석 13 : 자석판
14 : 다이아프램 15 : 유도코일
16 : 다공캡 17 : 아일릿
18 : 홈 19 : 보조유도코일
도 1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는 휴대폰 등의 수신기(1)의 잭 또는 컨넥터에 플럭(2)을 꽂아 사용하는 이어폰(3)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상에 초소형 스피커 유닛(5)을 장착한 것이다.
도 2에서, 상기 스피커 유닛(5)은 냄비형 요크(11)와 복판에 아일릿공이 천공된 엽전 모양으로서 외부음성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유도코일(15)에 영향력을 끼쳐 후술하는 다이아프램을 진동하게 하는 자석(12), 상기 자석(12)의 위를 지지하는 자석판(13)과 외부음성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음을 발하는 다이아프램(14), 다이아프램(14)의 이면에 부착되어 다이아프램(14)을 진동케 하는 유도코일(15) 그리고 요크(11)에 씌워서 상기한 모든 내장품들을 보호하는 안전망 대용의 다공캡(16) 및 상기 요크(11)에 안장된 자석(12)과 자석판(13)을 고정하는 아일릿(1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캡(16)의 외면 가장자리에는 홈(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8)에는 보조유도코일(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유도코일(19)은 기존 유도코일(15)에 의한 다이아프램(14)의 진동과 더불어 그 유도코일(15)의 신호를 되받아 전달되는 제2 유도신호에 의하여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전달되고 보청기에서 증폭하여 난청자가 외부와의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 휴대폰 등의 수신기용 증폭기(20)는 휴대폰 등의 수신기(1)측 이어폰 잭 또는 컨넥터에 꽂는 플럭(2)을 회로기판(21)에 연결한 것으로, 플럭(2)의 제1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휴대폰 등의 수신기(1)를 통한 외부음성신호는 제1 회로부(22)를 거쳐 유도코일(15)을 진동시키고, 상기 유도코일(15)에서 발생하는 유도신호는 증폭기(20)의 제2 회로부(23)에 의해 반사되어 보조유도코일(19)을 진동시키며, 보조유도코일(19)의 유도신호는 제3 회로부(24)와 플럭(2)의 제2 단자를 차례로 거쳐 휴대폰 등의 수신기(1)을 통해 이어폰(3)측의 스피커 유닛(5)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보조유도코일(19)에 의한 유도전자기력은 보청기를 착용한 난청자가 외부와의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데 결정적이어서 기존의 보청기로는 인식이 곤란한 휴대폰과 같은 수신기의 작은 스피커음도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어폰(3)의 플럭(2)을 휴대폰 등의 수신기(1)측 잭 또는 컨넥터에 꽂으면 외부음성신호는 이어폰(2)에 내장된 스피커 유닛(5)를 통하여 확산된다.
이때, 보청기(6)를 착용한 귀에 이어폰(3)을 가까이 갖다대면 이어폰(3)에 내장된 스피커 유닛(5)의 음성신호가 보청기(6)에 내장된 자기유도코일에 인가되어 입력된 전자기가 증폭, 난청자가 외부와의 의사소통을 가능케 함으로써 휴대폰과 같은 수신기의 작은 스피커음도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5) 장착형 이어폰(3)은 이것을 상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휴대폰, 전화기와 같은 수신기가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든 간편하게 외부와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또한 수월하다.
본 발명에 의한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는 휴대폰이나 일반 전화기 등의 수신기측 잭 또는 컨넥터에 플럭을 꽂아 사용하는 이어폰 상에 초소형 스피커 유닛을 장착하여 휴대폰이나 전화기 등의 수신기로 외부음성을 청취할 수도 있고, 또한 휴대폰과 같은 수신기의 작은 스피커음도 분명히 인식할 수 있어 난청자의 의사소통에 대단히 편리한 등의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휴대폰 등의 수신기(1)측 잭 또는 컨넥터에 플럭(2)을 꽂아 사용하는 이어폰(3)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상에 다이아프램(14)과 다이아프램(14)의 이면에 부착된 유도코일(15)과 요크(11)에 씌우는 외면 가장자리의 홈(18)에 보조유도코일(19)을 설치한 다공캡(16) 및 요크(11)의 위에 안장된 자석(12)과 자석판(13)을 고정하는 아일릿(17)으로 이루어진 초소형 스피커 유닛(5)을 장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KR1020010015168A 2001-03-23 2001-03-23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Expired - Fee Related KR10035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168A KR100359447B1 (ko) 2001-03-23 2001-03-23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168A KR100359447B1 (ko) 2001-03-23 2001-03-23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012A KR20020075012A (ko) 2002-10-04
KR100359447B1 true KR100359447B1 (ko) 2002-11-07

Family

ID=2769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1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9447B1 (ko) 2001-03-23 2001-03-23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44B1 (ko) 2004-11-24 2008-03-31 부전전자 주식회사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726B1 (ko) * 2005-06-17 2007-03-15 주식회사 블루콤 보청기 호환성을 갖는 전화용 스피커
KR100955501B1 (ko) * 2007-12-18 2010-04-30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핸드폰 연결용 보청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302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스피커유니트
KR970058260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전자기력을 이용한 박막(Thin Film)형 스피커유니트
JPH1022863A (ja) * 1996-02-08 1998-01-23 Nokia Mobile Phones Ltd 移動通信装置用のハンドフリー装置
KR0159358B1 (ko) * 1995-12-12 1998-12-01 양승택 핸드프리 보청 전화기
US6078675A (en) * 1995-05-18 2000-06-20 Gn Netcom A/S Communication system for users of hearing aids
JP2001008294A (ja) * 1999-06-23 2001-01-12 Akiko Miyanaga 補聴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8675A (en) * 1995-05-18 2000-06-20 Gn Netcom A/S Communication system for users of hearing aids
KR0159358B1 (ko) * 1995-12-12 1998-12-01 양승택 핸드프리 보청 전화기
KR970058302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스피커유니트
KR970058260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전자기력을 이용한 박막(Thin Film)형 스피커유니트
JPH1022863A (ja) * 1996-02-08 1998-01-23 Nokia Mobile Phones Ltd 移動通信装置用のハンドフリー装置
JP2001008294A (ja) * 1999-06-23 2001-01-12 Akiko Miyanaga 補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44B1 (ko) 2004-11-24 2008-03-31 부전전자 주식회사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리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012A (ko) 200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7805B2 (en) Telephone with integrated hearing aid
KR101092958B1 (ko) 이어셋
MXPA05009412A (es) Auricular de comunicaciones con manejador de aislamiento en el oido.
JPH08102780A (ja) 電話機用補聴器
JP2015061115A (ja) 音声入出力装置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75854A (ko) 통신기기용 헨드셋
JPH0626328U (ja) トランシーバ
KR100359447B1 (ko)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KR100359455B1 (ko) 청각장애자용 스피커 유닛
KR100423705B1 (ko) 보청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KR20110080306A (ko)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0510364B1 (ko) 전자기파가 증대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양방향 마이크로스피커
KR200216321Y1 (ko) 마이크겸용 이어폰
KR20100024594A (ko) 외부음향 청취 이어폰
KR20120000147A (ko) 방음 마이크 헤드셋
KR101109748B1 (ko) 마이크로폰
KR100704418B1 (ko) 이어폰 결합형 보청기
US20050271228A1 (en) Handheld device with hearing aid function
KR200364252Y1 (ko) 이어폰 결합형 보청기
EP4216569A1 (en) Filtering element for a headphone
JPS6236400Y2 (ko)
KR200228454Y1 (ko) 도파관을 연결한 이어폰
JP3073415U (ja) 携帯電話の通話装置
KR200179483Y1 (ko) 피지티를 이용하여 골도청각을 자극할 수 있는 보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