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8300B1 -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300B1
KR100358300B1 KR1019990024389A KR19990024389A KR100358300B1 KR 100358300 B1 KR100358300 B1 KR 100358300B1 KR 1019990024389 A KR1019990024389 A KR 1019990024389A KR 19990024389 A KR19990024389 A KR 19990024389A KR 100358300 B1 KR100358300 B1 KR 10035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wind direction
ring
aggregate
w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893A (ko
Inventor
조영
Original Assignee
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 filed Critical 조영
Priority to KR101999002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3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3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합골재의 표면적 변화에 따라 화염형태가 연속적이면서도, 실시간(Real Time)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골재를 효율적으로 가열함과 아울러 소모연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는 관체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덕트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프레임 출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를 분사시키는 노즐건; 상기 프레임 출구에 복수 개의 날개가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송풍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를 지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기; 상기 풍향조절기가 공기 풍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풍향조절기 날개와 연결되어 이들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날개각도조절수단;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으로 풍향조절기의 날개각도를 조절하여 공기유로를 조절하여 연소실에 수용된 골재를 가열할 때 열흡수가 빠른 작은 부피를 갖는 골재들을 가열할 때 날개각도를 많이 개방하고, 열흡수가 느린 큰 부피를 갖는 골재들을 가열할 때 날개각도를 더 폐쇄하여 화염이 골재와 연소실 내벽에 가깝게 하여 골재의 크기에 따라 화염형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The fluid burner for asphalt mixing plan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에서 건설에 사용되는 골재를 가열하는 유체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합골재의 단위 질량 당 표면적(이하 골재표면적) 변화에 따라 화염형태이 연속적이면서도, 실시간(Real Time)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에 관한 것이다.
건설 산업 분야의 일종인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는 다양한 배합비를 갖는 골재를 가열하게 되는데, 이는 골재를 노 또는 회전식 건조기에 공급하고 이렇게 골재를 수용한 노 또는 회전식 건조기를 유체버너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골재를 가열하게 된다.이와 같이 골재를 가열하는 종래 유체버너, 즉 오일버너는 연소연료와 상기 연소연료인 오일을 미립화(Atomization)하기 위한 압축공기(Compressed Air)가 유도되는 노즐 건(Nozzle Gun), 상기 노즐 건 외부에 설치되어 노즐건에서 미립화되어 분무되는 오일입자를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Air)를 연소영역으로 공급하는 통로 및 송풍기 그리고 미립화된 오일 입자의 착화를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결과적으로 화염의 안정화를 꾀하기 위한 보호기(Flame Holder)의 일종인 풍향조절기(Swirler)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오일버너는 풍향조절기의 날개가 일정 각도로 고정되기 때문에 화염형태가 일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염조절이 불가능함으로 인해 골재의 배합비에 따른 골재 표면적 차이가 발생하여 이들이 요구되는 열량이 다를 때 적절히 열을 공급하지 못하였다.따라서 많은 열량이 필요치 않는 골재나 많은 열량을 필요한 골재에 상관없이 일정한 화염형태로 골재를 가열하게 되므로 연료낭비를 초래하게 되고, 플랜트의 배기 가스관(Duct)과 집진장치를 단열할 경우 배기가스로의 과다한 열량유출로 인한 집진장치에서의 온도가 이상적으로 상승되며, 골재의 열 흡수 정도에 따른 배기가스(Flue Gas) 온도의 과다한 편차로 비롯되는 집진장치(Dust Precipitator 또는 Bag Filter House)에서의 여과기 천(Filter Bag)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합골재의 표면적 변화에 따라 화염형태가 연속적이면서도, 실시간(Real Time)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골재를 효율적으로 가열함과 아울러 소모연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를 제공함에 있다.이러한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는 관체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덕트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프레임 출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를 분사시키는 노즐건; 상기 노즐건 주연부에 복수 개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송풍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기; 상기 풍향조절기가 공기 풍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풍향조절기 날개와 연결되어 이들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날개각도조절수단; 을 포함하며,여기서,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으로 풍향조절기의 날개각도를 조절하여 공기유로를 조절하여 연소실에 수용된 골재를 가열할 때 열흡수가 빠른 작은 부피를 갖는 골재들을 가열할 때 날개각도를 많이 개방하고, 열흡수가 느린 큰 부피를 갖는 골재들을 가열할 때 날개각도를 더 폐쇄하여 화염이 골재와 연소실 내벽에 가깝게하여 골재의 크기에 따라 화염형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풍향조절기는 상기 노즐건 출구와 인접된 소정위치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내부날개; 상기 내부날개 외측에 상기 내부날개 중심과 동심상으로 설치되는 내부링; 상기 내부링 이격된 외측에 상기 내부링과 동심상으로 설치되는 외부링; 상기 내,외부링 사이에 복수 개가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전하여 풍향을 조절하는 외부날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그리고,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은 링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가 상기 외부링 이격된 외측에서 그 중심과 동심상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앵글링; 상기 앵글링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힌지축; 일단부가 상기 풍향조절기 각 날개축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앵글링이 회전할 때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날개를 회전시키는 링크; 상기 앵글링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엑추에이터; 상기 엑추에어터의 회전축과 상기 앵글링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엑추에어터의 회전동력을 앵글링에 전달하여 앵글링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며,상기 엑추에이터가 구동하여 동력전달장치를 직선이동시킬 때 상기 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된 앵글링이 회전하고, 이 앵글링과 연결된 힌지축과 링크에 의해 날개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버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화염을 길게 형성한 상태의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버너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화염을 둥글게 형성한 상태의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버너의 전체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버너의 에어레지스터를 확대한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버너의 에어레지스터 내부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기를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기의 외부날개를 확대한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기의 외부날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기 구동을 위한 엑추에이터와 동력전달장치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체버너 2 : 프레임
3 : 송풍기 4 : 노즐건
5 : 풍향조절기 6 : 날개각도조절장치
12 : 외부날개 18 : 앵글링
21 : 엑추에이터 22 : 동력전달장치
24 : 브래킷 25 : 커넥팅로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버너가 혼합 프랜트에 적용되어 화염 형태가 다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이와 같이 혼합 프랜트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유체버너(1)는 크게 프레임(2), 상기 프레임(2)과 연결되는 덕트(7)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3), 상기 프레임(2) 출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를 분사시키는 노즐건(4), 상기 프레임(2)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2)를 지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기(5), 상기 풍향조절기(5)가 공기 풍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풍향조절기(5)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날개각도조절수단(6)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6)으로 풍향조절기(5)의 각도를 조절하여 프레임(2)을 지나는 공기의 풍량과 풍향을 제어하는 상기 노즐건(4)에서 분사되는 연료가 점화수단(미도시)에 의해 점화하여 형성하는 화염형태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2)은 도 3 과 같이 내부에 상기 송풍기(3)에서 발생하는 공기를 출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에 덕트(7)가 삽입된다.상기 송풍기(3)는 상기 프레임(2)에 공급되는 공기 유로상의 적당위치에 설치되어 공기를 프레임(2)에 공급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덕트(7) 일측단부에 설치된다.상기 노즐건(4)은 연료를 분사하여 화염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노즐건과 같아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노즐건(4)은 분출구가 프레임(2)의 출구 근처, 즉 연소실(8) 입구에 배치된다.
상기 풍향조절기(5)는 도 5 내지 도 8 과 같이 상기 노즐건(4) 출구와 인접된 소정위치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내부날개(9), 상기 내부날개(9) 외측에 상기 내부날개(9) 중심과 동심상으로 설치되는 내부링(10), 상기 내부링(10) 이격된 외측에 상기 내부링(10)과 동심상으로 설치되는 외부링(11), 상기 내,외부링(10)(11) 사이에 복수 개가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6)에 의해 회전하여 풍향을 조절하는 외부날개(12);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날개(9)는 노즐건(4)과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방사상의 중심이 노즐건(4) 분출구와 일치되게 설치한다.상기 내부링(10)과 외부링(11)은 몸체가 원형, 즉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후술할 외부날개(12)의 날개축(14)이 끼워질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조립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링(11) 내부에 내부링(10)이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들 내,외부링(10)(11)의 중심은 상기 내부날개(9)의 중심과 동심원상에 설치된다.상기 외부날개(12)는 상기 내,외부링(10)(11) 사이에 설치되는데, 그 구성은 도 7 과 같이 상기 내,외부링(10)(11) 사이에 방사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축(14), 상기 각 날개축(14)에 고정되는 날개판(15)으로 구성된다.상기 날개축(14)은 일단부가 내부링(10)의 조립공(13)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외부링(11)의 조립공(13)을 관통하여 돌출된 돌출부(16)를 갖게 되는데, 상기 돌출부(16)는 후술할 날개각도조절수단(6)의 힌지축(19)과 연결되어 이 힌지축(19)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날개를 회전시키게 된다.상기 날개판(15)은 상기 날개축(14)에 고정되어 공기의 풍향과 방향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몸체가 대폭부(L1)와 소폭부(L2)를 갖는 부채꼴 또는 이와 유사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날개판(15)의 대폭부(L1)와 소폭부(L2)의 길이 비율은 (소폭부(L2)길이÷대폭부(L1)길이)가 0.5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날개판(15)은 대폭부(L1) 단부 일측에 도 8 과 같이 소정각도 절곡된 단곡면(17)이 형성되는데, 이 단곡면(17)은 날개판(15) 두께가 공기 흐름방향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공기 저항이 최소가 될 때의 각도를 영(Zero)으로 할 때 날개판(15)을 벗어난 공기의 2차 흐름을 상기 노즐건(4) 축상과 일치되게, 즉 연소실(8) 중앙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한다.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6)은 상기 외부날개(12)의 날개축(14)을 회전시켜 풍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가 상기 외부링(11) 이격된 외측에서 그 중심과 동심상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앵글링(18), 상기 앵글링(18)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힌지축(19), 상기 풍향조절기(5) 각 날개축(14)과 상기 힌지축(19)에 연결되어 상기 앵글링(18)이 회전할 때 상기 힌지축(19)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날개를 회전시키는 링크(20), 상기 앵글링(18)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엑추에이터(21) 및 상기 엑추에어터(21)의 회전축(21a)과 상기 앵글링(18)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엑추에어터(21)의 회전동력을 앵글링(18)에 전달하여 앵글링(18)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22);를 포함하며,여기서, 상기 엑추에이터(21)가 구동하여 동력전달장치(22)를 직선이동시킬 때 상기 동력전달장치(22)와 연결된 앵글링(18)이 회전하고, 이 앵글링(18)과 연결된 힌지축(19)과 링크(20)에 의해 날개가 회전하게 된다.상기 앵글링(18)은 강도 보강을 위해 단면이 ㄱ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수직면에 상기 힌지축(19)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미도시)이 방사상으로 통공된다.상기 링크(20)는 날개축(14)과 힌지축(19)에 연결되어 힌지축(19)의 회전에 따라 날개축(14)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일단부가 상기 풍향조절기(5) 각 날개축(14)의 돌출부(16)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1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상기 앵글링(18)을 회전시키는 엑추에이터(21)는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상기 엑추에어터(21)의 회전동력을 앵글링(18)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22)는 도 9 와 같이 몸체에 슬롯(23)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엑추에이터(21) 회전축에 고정되어 엑추에이터(21)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브래킷(24), 일단부가 상기 브래킷(24)의 슬롯(23)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앵글링(18) 소정위치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브래킷(24)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앵글링(18)을 회전시키는 커넥팅로드(25)로 구성된다.상기 브래킷(24)의 슬롯(23)은 상기 커넥팅로드(25)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게 된다.여기서, 상기 엑추에이터(21)는 그의 콘트롤부가 도 1 내지 도 2 와 같이 온도감지수단(29)과 연결되어 이 온도감지수단(29)이 상기 유체버너(1)가 사용되는 건조기의 연소실(8)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온도가 엑추에이터(21)에 입력된 온도보다 낮을 때 엑추에이터(21)가 구동하여 풍향조절기(5)의 날개를 더 많이 개방하여 화염형태를 길게 하고, 입력된 온도보다 높을 때 풍향조절기(5)의 날개를 더 폐쇄하여 공기를 연소실 중앙 외측으로 안내하여 화염형태를 구형, 즉 짧고 굵게 하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일정하게 된다.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1)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회전식 건조기에 수용된 골재의 표면적이 클 경우, 즉 건조기의 연소실(8)에 수용된 각각의 골재의 크기(부피)가 작으면 이들 골재들은 서로 밀접하게 되므로 이들 사이에 발생하는 공공률이 작아 결과적으로 전체 표면적이 크게 되는데 이 경우는, 이들 부피가 작은 골재들은 열흡수가 빠르게 때문에 외부날개(12)를 많이 개방하여 화염이 연소실(8) 길이방향 중앙에 집중되어 럭비공 형태와 같이 되도록 하여 연소실(8) 내부온도를 너무 높지않게 한다.반대로, 부피가 큰 골재들은 공공률이 클 뿐만 아니라 자체의 부피가 큼으로 인해 열 흡수가 느려 많은 열량을 필요하게 되므로 외부날개(12)를 많이 폐쇄하여 공기흐름량을 줄이고 그 흐름을 연소실(8) 내측벽 방향으로 유도하여 연소실(8) 내벽과 골재 가까이에 이르게 하여 연소실(8) 온도를 높이게 된다. 이 때 화염형태를 도 2 와 같이 구형태를 갖게 되어 연소실을 통과하는 시간이 지연되어 내부 온도를 높이게 된다.이러한 외부날개(12)의 조작은 도 9 에서와 같이 엑추에이터(21)가 브래킷(24)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연결된 커넥팅로드(25)가 직선운동하게 되고 상기 커넥팅로드(25)와 연결된 앵글링(18)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풍향조절기(5)의 외부날개(1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날개(12)의 두께가 노즐건(4)과 대향되게(노즐을 향해 제로각도) 배치되면 송풍기(3)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저항이 최소가 되고, 외부날개(12)의 측면이 노즐건(4)과 대향되면 될수록 공기의 저항이 최대가 된다.따라서 골재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엑추에이터(21)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날개(12)를 임의의 각도로 배치하여 송풍기(3)의 풍향을 제어하여 화염형태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이와 같이 배합골재를 가열하는 방식은 무엇보다도, 본 발명이 적용된 가열체계에서는, 상기에 언급된 두 개의 화염형태 사이의 단계 변화가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다시 말해, 골재표면적이 일정 범위 이상 변하여 도 1 내지 도 2 와 같이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의 집진장치(27)에서의 배기가스 온도가 변하게 되는데, 집진장치(27)와 냉각댐퍼(28) 사이에 설치된 열감지수단(29)이 상기 배기가스 온도를 측정하고 이 열감지수단(29)과 연결된 엑추에이터(21)가 상기 측정된 온도를 인식하여 구동함으로서 외부날개(12)를 설정된 각도만큼 자동 조작하여 화염형태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에서, 재료의 생산에 본 발명이 적용된다면, 골재표면적 변화에 따라 배합골재로의 열 전달 메카니즘이 다변화되도록 버너 화염형태을 조화시킴으로써, 골재의 열 흡수율을 향상시켜, 연소연료의 이용효율을 높이게 되며; 상기 연소연료의 이용효율의 제고(提高)에 따라 수반되는 막대한 경제적인 이득이 있다.
특히, 연속적인 버너의 화염형태 변경이, 집진장치로 입력되는 배기가스 온도 변화에 따라 실시간(Real Time)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제어됨으로, 배기가스에 의해 연도로 배출되는 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게 됨과 동시에, 집진장치 내부에서 배기가스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여과기 천(Filter Bag)과 기타 설비들을 보호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관체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는 덕트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상기 프레임 출구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를 분사시키는 노즐건;
    상기 노즐건 주연부에 복수 개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송풍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기;
    상기 풍향조절기가 공기 풍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풍향조절기 날개와 연결되어 이들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날개각도조절수단;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으로 풍향조절기의 날개각도를 조절하여 공기유로를 조절하여 연소실에 수용된 골재를 가열할 때 열흡수가 빠른 작은 부피를 갖는 골재들을 가열할 때 날개각도를 많이 개방하고, 열흡수가 느린 큰 부피를 갖는 골재들을 가열할 때 날개각도를 더 폐쇄하여 화염이 골재와 연소실 내벽에 가깝게 하여 골재의 크기에 따라 화염형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기는
    상기 노즐건 출구와 인접된 소정위치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내부 날개;
    상기 내부날개 외측에 상기 내부날개 중심과 동심상으로 설치되는 내부링;
    상기 내부링 이격된 외측에 상기 내부링과 동심상으로 설치되는 외부링;
    상기 내,외부링 사이에 복수 개가 회전가능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회전하여 풍향을 조절하는 외부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각도조절수단은
    링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가 상기 외부링 이격된 외측에서 그 중심과 동심상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앵글링;
    상기 앵글링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힌지축;
    일단부가 상기 풍향조절기 각 날개축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앵글링이 회전할 때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날개를 회전시키는 링크;
    상기 앵글링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엑추에이터;
    상기 엑추에어터의 회전축과 상기 앵글링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엑추에어터의 회전동력을 앵글링에 전달하여 앵글링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엑추에이터가 구동하여 동력전달장치를 직선이동시킬 때 상기 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된 앵글링이 회전하고, 이 앵글링과 연결된 힌지축과 링크에 의해 날개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날개는
    대폭부와 소폭부를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며, 대폭부의 길이에 대한 소폭부의 길이 비가 (소폭부길이÷대폭부길이)가 0.5이하이며, 대폭부 단부 일측에 소정각도 절곡된 단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몸체에 슬롯이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엑추에이터 회전축에 고정되어 엑추에이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브래킷;
    일단부가 상기 브래킷의 슬롯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앵글링 소정위치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브래킷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면서 앵글링을 회전시키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에 온도감지수단을 더 연결하여 이 온도감지수단을 상기 유체버너가 사용되는 건조기의 연소실 출구에 설치하여 이 출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온도가 엑추에이터에 입력된 온도보다 낮을 때 엑추에이터가 구동하여 풍향조절기의 날개를 더 많이 개방하여 화염을 크게 하고, 입력된 온도보다 높을 때 풍향조절기의 날개를 더 폐쇄하여 화염을 작게 하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19990024389A 1999-06-25 1999-06-25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Expired - Fee Related KR10035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89A KR100358300B1 (ko) 1999-06-25 1999-06-25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389A KR100358300B1 (ko) 1999-06-25 1999-06-25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893A KR20010003893A (ko) 2001-01-15
KR100358300B1 true KR100358300B1 (ko) 2002-10-25

Family

ID=1959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3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8300B1 (ko) 1999-06-25 1999-06-25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8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63B1 (ko) * 2015-05-11 2015-11-17 대신플랜트산업(주) 아스콘 플랜트용 버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082Y1 (ko) * 1988-02-16 1994-11-21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정보 기록 및 판독용 전자-광학 장치
KR950702690A (ko) * 1992-07-07 1995-07-29 제임스 씨. 스미쓰 관 버너(Tube burner)
KR19990015383U (ko) * 1997-10-10 1999-05-15 이만갑 폐 아스팔트콘크리트 가열기
KR19990068227A (ko) * 1998-01-30 1999-08-25 가나이 쓰도무 미분탄 연소 버너 및 그에 의한 연소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082Y1 (ko) * 1988-02-16 1994-11-21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정보 기록 및 판독용 전자-광학 장치
KR950702690A (ko) * 1992-07-07 1995-07-29 제임스 씨. 스미쓰 관 버너(Tube burner)
KR19990015383U (ko) * 1997-10-10 1999-05-15 이만갑 폐 아스팔트콘크리트 가열기
KR19990068227A (ko) * 1998-01-30 1999-08-25 가나이 쓰도무 미분탄 연소 버너 및 그에 의한 연소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63B1 (ko) * 2015-05-11 2015-11-17 대신플랜트산업(주) 아스콘 플랜트용 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893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4701B1 (en) A burner apparatus
CN202709107U (zh) 完全预混的燃烧器
CN102563640A (zh) 高效燃烧低污染排放油燃烧器
CN209355224U (zh) 一种烟草调制生物质颗粒燃烧机
CN202216253U (zh) 可燃工业废气燃烧器
KR100358300B1 (ko) 아스팔트 혼합 플랜트용 유체버너
JPS61259009A (ja) 自由火炎バ−ナ
CN217230548U (zh) 玻璃窑炉用控制装置
KR100358299B1 (ko) 유체버너의 화염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식 선회기
KR970003611B1 (ko) 연소 공기 공급장치 및 방법
CN201331059Y (zh) 新型水煤浆喷枪口调节及自动控制装置
CN200955737Y (zh) 一种气体燃烧器
US3918886A (en) Secondary air control arrangement for fuel oil burner
RU2187041C2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пульсирующего горения
CN223088340U (zh) 一种便携式高压热风吹风机
CN200952719Y (zh) 一种适用于铝合金熔液保温炉的亮焰型平焰燃气燃烧装置
CN219867889U (zh) 一种窑炉电炉用燃烧机构
CN108443872A (zh) 一种五流道煤粉燃烧器
CN215490995U (zh) 一种回转窑燃烧器的调节机构
CN216480966U (zh) 珍珠岩燃气开孔膨胀炉燃烧器自动点火喷嘴
KR100519470B1 (ko) 연소공기 흐름 조절용 유동식 선회기가 설치된 루프버너
RU223874U1 (ru) Газомазутная горелка для сжигания жидкого и газообразного топлива в замкнутом кольцевом пламени
CN220579719U (zh) 一种送风式加热烘干滚筒
CN216431709U (zh) 乙烯及苯乙烯装置用圆形火焰超低nox燃烧器
CN1079521C (zh) 一种从尾部消烟除尘的烟道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10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01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