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6898B1 - Baseband code - Google Patents

Baseband c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898B1
KR100356898B1 KR1019980001241A KR19980001241A KR100356898B1 KR 100356898 B1 KR100356898 B1 KR 100356898B1 KR 1019980001241 A KR1019980001241 A KR 1019980001241A KR 19980001241 A KR19980001241 A KR 19980001241A KR 100356898 B1 KR100356898 B1 KR 10035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de
signal
section
symb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65797A (en
Inventor
권오경
김준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텍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텍리서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텍리서치
Priority to KR101998000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898B1/en
Publication of KR19990065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898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06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ly on the information in that bit cell
    • H03M5/12Biphase level code, e.g. split phase code, Manchester code; Biphase space or mark code, e.g. double frequency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에 사용되는 펄스변조방식에 있어 베이스밴드 코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밴드 코드는 그의 밴드폭을 줄이기 위하여 n비트 데이터를 심볼의 첫 반주기 구간에 상승 또는 하강 위치와 나머지 반주기 구간에 하강 또는 상승 위치의 변화를 이용하여 코드화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band code in a pulse modulation scheme used for communication, and the baseband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bit data in the first half-cycle interval of the symbol and the remaining half-cycle interval in order to reduce its bandwidth. Is coded using the change of the falling or rising position.

Description

베이스밴드 코드{BASEBAND CODE}Baseband Code {BASEBAND CODE}

본 발명은 통신을 위해 변조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코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상 변화를 이용하여 신호를 엔코딩한 베이스밴드 코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band code for modulating for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seband code that encodes a signal using a phase change.

일반적으로 입력신호의 특성들, 예를 들면, 밴드폭(bandwidth), 심볼 비율, 신호 대 잡음 비가 고정되어 있는 디지탈 통신 시스템을 설계할 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할 수 있는 방법은 데이터에 적절한 엔코딩 스킴을 적용하는 것이다.In general, when designing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ignal, such as bandwidth, symbol ratio, and signal-to-noise ratio are fixed, a method that can be used to improve performance is an appropriate encoding scheme for data. To apply.

이러한 엔코딩 스킴은 널리 연구되어 다양한 코드가 제안되었다.This encoding scheme has been widely studied and various codes have been proposed.

따라서 코드를 선택할 때에는 신호 스펙트럼, 클럭 동기, 에러 검출, 신호 인터페이스 그리고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Therefore, when selecting a code, consider the signal spectrum, clock synchronization, error detection, signal interface, and complexity.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변조를 위해 신호를 엔코딩하는 종래의 코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context, a conventional code for encoding a signal for modula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베이스밴드 코드 설명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aseband code.

도 1 (a)는 NRZ-L(Nonreturn to Zero Level) 코드이다. 즉, 데이터 "0" 신호를 "하이"레벨로 출력하고 데이터 "1" 신호를 "로우"레벨로 출력한다.1 (a) is a nonreturn to zero level (NRZ-L) code. That is, the data "0" signal is output at the "high" level and the data "1" signal is output at the "low" level.

도 1 (b)는 NRZI(Nonreturn to Zere Invert) 코드이다. 즉, 1 비트 간격으로 구간(데이터) 시작점에서, 데이터 "0"일때는 신호 레벨의 천이(변화)가 없고, 데이터 "1" 신호일 때 신호 레벨이 천이된다.1 (b) is a nonreturn to zere invert (NRZI) code. That is, there is no transition (change) in the signal level when the data is "0" at the start point of the section (data) at intervals of 1 bit, and the signal level is shifted when the data "1" signal.

도 1 (c)는 바이폴라-AMI 코드이다. 즉, 데이터 "0" 신호는 라인 신호가 없고, 데이터 "1" 신호는 순차적으로 교대해가며 양의 레벨 또는 음의 레벨로 천이된다.Figure 1 (c) is a bipolar-AMI code. That is, the data " 0 " signal has no line signal, and the data " 1 " signal alternates sequentially and transitions to a positive or negative level.

도 1 (d)는 슈도터너리(Pseudoternary) 코드이다. 즉, 상기 바이폴라-AMI와 반대로, 데이터 "1" 신호는 라인 신호가 없고, 데이터 "0" 신호는 순차적으로 교대해가며 양의 레벨 또는 음의 레벨로 천이된다.1 (d) is a pseudoternary code. That is, in contrast to the bipolar-AMI, the data " 1 " signal has no line signal, and the data " 0 " signal alternates sequentially and transitions to a positive or negative level.

도 1 (e)는 맨처스터(Manchester) 코드이다. 즉, 데이터 "0"은 구간의 중앙에서 "하이"에서 "로우"로 천이되고, 데이터 "1"은 구간의 중앙에서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된다.Figure 1 (e) is a Manchester code. That is, data "0" transitions from "high" to "low" at the center of the section, and data "1" transitions from "low" to "high" at the center of the section.

도 1 (f)는 차동 맨처스터(Differential Manchester) 코드이다. 즉, 항상 구간의 중앙에서 천이되는 것으로, 데이터 "0"는 구간의 시작점에서 천이되고 데이터 "1"은 구간의 시작점에서 천이되지 않는다.1 (f) is a differential Manchester code. That is, it always transitions in the center of the section, data "0" transitions at the beginning of the section and data "1" does not transition at the beginning of the section.

상기 맨체스터 코드는 매 주기 마다 신호의 변화가 존재하기 때문에 클럭 복구가 용이한 장점이 있어 LAN에 적용되고 있다.The Manchester code has a merit that it is easy to recover a clock because a signal change occurs every cycle. Therefore, the Manchester code has been applied to a LAN.

또한, 칩과 칩 사이의 통신을 하는데 사용되는 코드는 일반적으로 NRZ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식은 송신기/수신기 회로가 간단하다는 것과 스펙트럼 밀도가 낮은 주파수 영역에 집중되어 분포한다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ode used to communicate between chips generally uses the NRZ method. This method, however, is characterized by the simplicity of the transmitter / receiver circuit and its centralized distribution in the low spectral density.

종래의 코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cod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NRZ 코드는 DC 성분이 있기 때문에 트랜스포머와 같은 직류 신호를 통과 시킬 수 없는 전화설비 등과 같은 전송 시스템에는 사용할 수 없다.In other words, the NRZ code has a DC component and cannot be used in a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 telephone facility that cannot pass a DC signal such as a transformer.

멘처스터 코드는 DC 성분이 없기 때문에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시스템에는 적용할 수 있고, 클럭 복구가 매우 우수하지만 신호 전송을 위한 대역폭이 심볼 비율의 2배이상이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Since there is no DC component, it is applicable to transformer-based systems, and the clock recovery is very good, but the bandwidth for signal transmission needs to be more than twice the symbol ratio.

결국 종래의 코드는 DC 성분이 작아서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고, 천이( 수가 적으며, 심볼 비율에 에너지가 집중되는 특성을 모두 구비한 코드가 없었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code has a small DC component and can be applied to a system using a transformer, and there is no code having all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small number and energy concentration in a symbol ratio).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n비트 데이터를 펄스의 상승/하강 에지의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하나의 심볼로 부호화하므로 전송선을 적게 사용하고 천이 수가 작고 천이 위치가 여러 곳으로넓게 분포되도록 하여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Since the n-bit data to be transmitted is encoded into one symbol by us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rising / falling edge of the pulse, it uses fewer transmission lines, the number of transitions is small, and the transition position is small. Its purpose is to minimize signal distortion by allowing it to be widely distributed in several places.

도 1은 종래의 베이스밴드 코드 설명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aseband code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베이스밴드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심볼 생성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symbol generation for explaining a baseband cod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베이스밴드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심볼 생성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symbol generation for explaining a baseband code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심볼에 대한 코드 데이터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code data for each symb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도는 종래 및 본 발명 코드의 파워 스펙트럼의 밀도 비교 그래프5 is a graph comparing density of power spectra of conventional and inventive cod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이스밴드 코드는 n비트 데이터를 심볼의 한 주기내에 엔코딩하는 경우, 첫 반주기 동안에는 처음의 n비트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에는 나머지 n비트가 포함되도록 펄스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에지의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코드화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seband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pulses the first n-bit data to be included in the first half-cycle and the remaining n-bits to be included in the other half-cycle when encoding n-bit data within one period of the symbol. It is characterized by coding using the change of position of rising or falling edge of sig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베이스밴드 코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aseband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베이스밴드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심볼 생성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symbol generation for explaining the baseband cod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데이터 심볼은 한 주기(T)내에 펄스신호를 한 번 생성하고 입력되는 n비트 신호에 따라 하강과 상승하는 위치를 정한다.The data symbol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ulse signal once within one period T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falling and rising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n-bit signal.

즉, 코딩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n비트인 경우, 1 심볼의 처음 반주기를 2n등분하여 각 구간마다 해당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 구간에서 상승 에지를 갖도록하고 나머지 반주기를 2n등분하여 마찬가지로 각 구간 마다 해당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 구간에서 하강 에지를 갖도록 한 것이다. 반대로 처음 반주기 구간에서 하강하고 나머지 반주기 구간에서 상승하여도 무방하다.That is, if the data to be coded is n bits, the first half period of one symbol is divided by 2 n and the corresponding data is designated in each section to have a rising edge in that section, and the remaining half period is divided by 2 n equally for each section. Data was specified to have falling edges in that interval. On the contrary, it may descend in the first half cycle and rise in the remaining half cycle.

즉, 코딩할 데이터가 2비트이면, 처음의 반주기를 4(2n=4)등분하여 첫 번째 구간에서 상승하는 신호를 데이터 (0,0), 두 번째 구간에서 상승하는 신호를 데이터(0,1), 세 번째 구간에서 상승하는 신호를 데이터 (1,0), 네 번째 구간에서 상승하는 신호를 데이터 (1,1)로 코딩한다. 그리고, 나머지 반주기를 4등분하여 첫 번째 구간에서 하강하는 신호를 데이터 (0,0), 두 번째 구간에서 하강하는 신호를 데이터 (0,1), 세 번째 구간에서 하강하는 신호를 데이터 (1,0), 네 번째 구간에서 하강하는 신호를 데이터 (1,1)로 코딩한다.That is, if the data to be coded is 2 bits, the first half period is divided into 4 (2 n = 4) equals, and the signal rising in the first section is data (0,0), and the signal rising in the second section is data (0, 1), the signal rising in the third section is data (1,0), and the signal rising in the fourth section is data (1,1). In addition, the remaining half of the cycle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and the signal falling in the first section is data (0,0), the signal falling in the second section is data (0,1), and the signal falling in the third section is data (1, 0), the signal falling in the fourth section is coded as data (1,1).

즉, 첫 번째 구간에 4개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고, 두 번째 구간에는 첫 번째 구간에서 선정되지 않은 3개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세 번째 구간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구간에서 선정되지 않은 두 개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고, 네 번째 구간에는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구간에서 선정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기 때문에 조합의 수는 4!개 즉 24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select one of four data in the first section, select one of three data not selected in the first section in the second section, and select two data that are not selec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in the third section. The number of combinations can be composed of 4 !, i.e. 24 combinations, because one of the data is selected and the other one of the data that is not select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ctions is selected in the fourth section.

따라서, 총 조합의 수는 24 ×2가지 경우(상승 혹은 하강)인 48가지 조합이 있다.Therefore, there are 48 combinations in which the total number of combinations is 24 × 2 cases (rising or falling).

도 2에서 클럭신호(PCLK)는 반주기를 4등분하기 위한 클럭신호이다.In FIG. 2, the clock signal P CLK is a clock signal for dividing a half period into four.

만약 코딩할 데이터가 2 비트이고, 그 값이 (1,0), (1,1), (0,0), (0,1)이라고 가정하면, 2비트 데이터 (1,1)를 처음 반주기의 상기 클럭신호(PCLK)의 두 번째 구간(a)에서 상승하고, 2비트 데이터 (1,1)를 나머지 반주기의 상기 클럭신호(PCLK)의 세 번째 구간(b)에서 하강하는 심볼을 출력하며, 2비트 데이터 (0,0)를 반주기의 상기 클럭신호(PCLK)의 첫 번째 구간(c)에서 상승하고, 2비트 데이터 (0,1)를 반주기의 상기 클럭신호(PCLK)의 두 번째 구간(d)에서 하강하는 심볼을 출력한다.If the data to be coded is 2 bits and the values are (1,0), (1,1), (0,0), (0,1), the first half-cycle of 2-bit data (1,1) The symbol which rises in the second section (a) of the clock signal P CLK , and whose 2-bit data (1,1) falls in the third section (b) of the clock signal P CLK of the other half-cycle power, and a 2-bit data (0, 0) to the clock signal (P CLK), the first section (c) the clock signal (P CLK) of the rise, and a 2-bit data (0, 1) in the half period of the half cycle Outputs the falling symbol in the second interval (d) of.

또한, 코딩할 데이터가 1비트 데이터이고 그 값이 1,0,0,1,1,0,1,1 이라면, 도 3과 같이 코딩한다.If the data to be coded is 1-bit data and its value is 1,0,0,1,1,0,1,1, the code is coded as shown in FIG.

즉, 처음의 반주기를 2(21=2)등분하여 첫 번째 구간에서 상승하는 신호를 데이터 (0), 두 번째 구간에서 상승하는 신호를 데이터 (1)로 코딩한다. 그리고, 나머지 반주기를 2등분하여 첫 번째 구간에서 하강하는 신호를 데이터 (0), 두 번째 구간에서 하강하는 신호를 데이터 (1)로 코딩한다.That is, the first half-period is divided into 2 (2 1 = 2) and the signal rising in the first section is coded as data (0), and the signal rising in the second section is coded as data (1). Then, the remaining half cycle is divided into two and the signal falling in the first section is coded as data (0), and the signal falling in the second section is coded as data (1).

도 3에서 클럭신호(PCLK)는 반주기를 2등분하기 위한 클럭신호이다.In FIG. 3, the clock signal P CLK is a clock signal for dividing the half period into two.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3비트, 4비트, …의 데이터를 코딩할 수 있다.By this method, 3 bits, 4 bits,... Can code the data.

만약, 도 2와 같이 앞 반주기 동안에 2비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에 2비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총 16개의 심볼이 정의 되며 하나의 심볼은 4비트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게된다.As shown in FIG. 2, since two bits of data are included in the previous half cycle and two bits of data are included in the other half cycle, a total of 16 symbols are defined, and one symbol has four bits of data.

각 심볼에 대한 코드 데이터는 도 4과 같다.Code data for each symbol is shown in FIG. 4.

도 4와 같이 (1,0,1,1)의 비트 스트림(bit stream)이 입력되면, S11을 생성한다. 상기 비트 스트림의 처음신호 (1,0)에 상응하는 코드 생성 위치는 처음 위치로 부터 2×(TCLK/2)배 떨어진 위치에서 상승함을 알수 있고, 상기 비트 스트림의 다음 신호 (1,1)에 상응하는 코드 생성 위치는 처음 위치로 부터 4 ×(TCLK/2) + 3 ×(TCLK/2)만큼 시간이 지연된 후에 하강함을 나타낸다.As shown in FIG. 4, when a bit stream of (1, 0, 1 , 1) is input, S 11 is generated. It can be seen that the code gener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1,0) of the bit stream rises at a position 2 × (T CLK / 2) times away from the first position, and the next signal (1,1) of the bit stream. The code gener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d) decreases after a time delay from the first position by 4 x (T CLK / 2) + 3 x (T CLK / 2).

또한 (0,0,0,1) 비트 스트림이 입력되면 S1을 생성한다. 비트 스트림의 처음 신호 (0,0)로 부터 코드가 생성되는 위치는 처음 위치로 부터 0 ×(TCLK/2)배 떨어진 위치에서 상승함을 알 수 있고, 비트 스트림의 뒷 부분인 (0,1)로 부터 4 ×(TCLK/2) + 1 ×(TCLK/2) 만큼 시간이 지난후에 하강함을 알 수 있다.It also generates S 1 when the (0,0,0,1) bit stream is input.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code is generated from the initial signal (0,0) of the bit stream rises at a position 0 × (T CLK / 2) times from the initial position. From 1), it can be seen that after 4 × (T CLK / 2) + 1 × (T CLK / 2), it descends.

따라서, 이를 일반적인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is is expressed as a general formula as follows.

Si(i=b3b2b1b0,t)=2 ×A{u[t-(b3b2)×TCLK/2] -u[t-2 ×TCLK-(b1b0) ×TCLK/2]}-AS i (i = b 3 b 2 b 1 b 0 , t) = 2 × A {u [t- (b 3 b 2 ) × T CLK / 2] -u [t-2 × T CLK- (b 1 b 0 ) × T CLK / 2]}-A

여기서, T는 한 심볼의 주기, TCLK는 클럭 주기, A는 신호의 등급, u(t)는 스텝 함수이다.Here, T is a period of one symbol, T CLK is a clock period, A is a signal class, and u (t) is a step fun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베이스밴드 코드를 종래의 코드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Comparing the baseband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the conventional code is as follows.

도 5은 종래와 본 발명의 코드들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 비교도이다.5 is a power spectral density comparison of the codes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파워 스펙트럼 밀도는 신호의 에너지가 주파수에 따라 얼마 만큼 있는지를 나타낸 것이다.Power spectral density is how much energy the signal has in terms of frequency.

도 5는 임의로 발생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종래의 NRZ와 멘처스터 및 본 발명의 코드를 적용하여 코딩된 신호에 대해서 스펙트럼 밀도를 계산한 것이다. 즉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른 코드에 대한 스펙트럼 밀도를 계산한 것이다.FIG. 5 shows spectral densities calculated for signals coded by applying the conventional NRZ, Mentorster, and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andomly occurring data. In other words, the spectral density is calculated for other codes that transmit the same data.

(a-1)은 선형으로 나타낸 종래 NRZ 코드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이고, (a-2)는 dB로 나타낸 종래 NRZ 코드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이다.(a-1) is the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conventional NRZ code expressed in linear form, and (a-2) is the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conventional NRZ code expressed in dB.

(b-1)는 선형으로 나타낸 종래 맨처스터 코드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이고, (b-2)는 dB로 나타낸 종래 맨처스터 코드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이다.(b-1) is the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conventional Manchester code in linear form, and (b-2) is the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conventional Manchester code in dB.

(c-1)는 선형으로 나타낸 본 발명 코드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이고, (c-2)는 dB로 나타낸 본 발명 코드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이다.(c-1) is the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linear form, and (c-2) is the power spectral density of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B.

상기 (a-1),(b-1),(c-1)는 디지탈 통신 책에서 해석적으로 파워 스펙트럼 밀도를 계산한 것과 비교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고, 실제로는 주로 dB 단위로 분석한다.(A-1), (b-1), and (c-1) are made to compare the power spectral density with analytical calculations in a digital communication book, and are actually analyzed in dB units.

이러한 계산 결과는 클럭 신호가 10MHz, 샘플링 주파수를 100MHz로 하고, 10μsec 동안 신호를 발생시켰을 때 주파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신호의 크기는 -1과 1이라고 하였다.These calc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hange when the clock signal is 10MHz, the sampling frequency is 100MHz, and the signal is generated for 10μsec, and the magnitudes of the signals are -1 and 1.

도 5에 나타난 특성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The characteristics shown in Figure 5 are summarized as follows.

종래의 맨처스터 코드는 dc성분이 거의 없으며, NRZ 코드는 dc근방에 에너지가 집중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코드는 클럭 주파수의 1/4배되는 주파수에서 픽크 에너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Manchester code has almost no dc component, and the NRZ code can be confirmed that energy is concentrated near dc.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eak energy at a frequency that is 1/4 times the clock frequency.

또한, 신호 동기 측면에서 보면, 맨처스터 코드는 신호 자체의 천이 특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럭 복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밴드 폭이 넓어져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코드는 신호 스펙트럼에서 본 바와 같이 클럭 주파수의 1/4배 되는 영역에서 픽크 에너지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동기는 보다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in terms of signal synchronization, the Manchester code has an advantage of easy clock recovery because it can use the transition characteristic of the signal itself. However,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band width should be widened. It can be seen that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eak energy in the region of 1/4 times the clock frequency as seen in the signal spectrum. Thus, signal synchronization can be seen as more effective.

또 한편, 에러 검출 능력은 BER(bit error rate)에 대한 값으로 평가해야 하는데, 이러한 것은 전종 미디어의 특성, 전송 신호의 대역 폭 그리고 회로의 구동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구체적인 비교를 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코드는 클럭 신호의 2주기 동안에 한 번은 상승해야하고 다음 클럭 2주기 동안에는 하강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에러 검출 특성은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종래의 딜레이 모듈레이션과 같은 코드는 전 상태와 현재 입력 값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출력을 생성하기 때문에 에러가 전파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코드는 한 주기 단위로 심볼이 생성되므로 에러가 전파되지 않는다. 이러한 비메모리 특성 때문에 디코더 회로의 구성이 간단해 진다.On the other hand, the error detection capability should be evaluated by a value for a bit error rate (BER), which is difficult to make a concrete comparison because it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media, the bandwidth of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driving of the circuit. However, since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rise once during two cycles of the clock signal and fall down during the next two cycles of the clock signal, the error detection characteristic using the same is considered effective. Code, such as conventional delay modulation, generates output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ious state and the current input value, so errors are more likely to propagate. However,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pagate an error since symbols are generated in units of one cycle. This non-memory characteristic simplifies the configuration of the decoder circu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베이스밴드 코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baseband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드는 2비트 데이터를 코드화하였을 경우, 클럭 주파수의 1/4에 해당하는 주파수에서 픽크 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신호 동기 효과가 뛰어나다.Firs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2-bit data is coded,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ak energy at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1/4 of a clock frequency, so the signal synchronization effect is excellent.

둘째, 클럭신호의 2주기 동안에 한 번은 상승하고 다음 클럭의 2주기 동안에 하강하므로 에러 검출 능력이 우수하다.Second, the error detection capability is excellent because it rises once during two cycles of the clock signal and falls during two cycles of the next clock.

셋째, 한 주기 단위로 심볼이 생성되므로 에러가 전파될 확률이 거의 없고 코딩/디코딩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다.Third, since symbols are generated in units of one cycle, there is little probability of error propag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a coding / decoding circuit is simple.

넷째, 본 발명의 코드는 반주기 동안에 1비트 또는 2비트 이상의 데이터를 코딩할 수 있으므로 한 주기 동안에 2비트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전송선을 적게 사용할 수 있고, 천이 수가 작고 천이 위치가 여러곳으로 넓게 분포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신호의 왜곡 및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Fourth, since th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de one or two or more bits of data in half a cycle, since it contains two or more bits of data in one cycle, fewer transmission lines can be used, the number of transitions is small, and the transition positions are wide. Because of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stortion and noise of the signal.

Claims (6)

2n 비트 데이터를 심볼의 한 주기내에 엔코딩하는 경우, 첫 반주기 동안에는 처음의 n비트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에는 나머지 n 비트가 포함되도록 펄스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에지의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코드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밴드 코드.If 2n bit data is encoded within one period of a symbol, the first n-bit data is included for the first half period and the remaining n bits are included for the remaining half period to be encoded using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rising or falling edge of the pulse signal. Baseband cord characteriz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처음 반주기 동안에는 상승 에지의 위치에 따라 n비트 데이터가 설정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에는 하강 에지의 위치에 따라 나머지 n비트가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밴드 코드.N bit data is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rising edge during the first half period, and the remaining n bits are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lling edge during the remaining half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코딩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n비트인 경우, 한 심볼의 처음 반주기를 2n등분하여 각 구간마다 해당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 구간에서 상승 에지를 갖도록하고 나머지 반주기를 2n등분하여 마찬가지로 각 구간마다 해당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 구간에서 하강 에지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밴드 코드.If the data to be coded is n bits, the first half period of one symbol is divided into 2 n equal parts, and the corresponding data is designated in each period to have a rising edge in the interval, and the remaining half period is divided into 2 n equal parts so that the corresponding data is repeated in each interval. Baseband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alling edge in the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코딩하고자 하는 데이터 2비트(n=2)일 경우, 한 심볼의 반주기를 각각 4등분하여 (0,0),(0,1),(1,0),(1,1)의 네 가지 데이터를 4개의 등분된 구간에 조합을 통하여 각 구간마다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밴드 코드.If the data to be coded is 2 bits (n = 2), the half period of one symbol is divided into four quarters, and four data of (0,0), (0,1), (1,0), and (1,1) The baseband code, characterized in that for encoding to rise or fall for each interval through a combination of four equal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코딩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1비트(n=1)일 경우, 한 심볼의 반주기를 각각 2등분하여 데이터(0)은 첫 번째 구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고, 데이터 (1)은 두 번째 구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밴드 코드.If the data to be coded is one bit (n = 1), the half period of one symbol is divided into two, so that data (0) rises or falls in the first section, and data (1) rises or falls in the second section. And a baseband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ncoded to b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코딩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n 비트인 경우, 한 심볼의 처음 반주기를 2n등분하여 각 구간마다 해당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 구간에서 하강 에지를 갖도록 하고 나머지 반주기를 2n등분하여 마찬가지로 각 구간마다 해당 데이터를 지정하여 그 구간에서 상승 에지를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밴드 코드.If the data to be coded is n bits, the first half period of one symbol is divided by 2 n and the corresponding data is designated in each section to have the falling edge in that section, and the remaining half period is divided by 2 n equally. Baseband 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ising edge in its interval.
KR1019980001241A 1998-01-16 1998-01-16 Baseband code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241A KR100356898B1 (en) 1998-01-16 1998-01-16 Baseband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241A KR100356898B1 (en) 1998-01-16 1998-01-16 Baseband c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797A KR19990065797A (en) 1999-08-05
KR100356898B1 true KR100356898B1 (en) 2003-01-08

Family

ID=3749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2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898B1 (en) 1998-01-16 1998-01-16 Baseband c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89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797A (en)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mai et al. A new multilevel coding method using error-correcting codes
US47076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optimum PRML codes
EP0808028B1 (en) Pulse modulating method, pulse modulator, and pulse demodulator
US7653165B2 (en) Pulse amplitude modulated system with reduced intersymbol interference
EP0543070A1 (en) Coding system and method using quaternary codes
US45285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 conversion of binary of multilevel signals
KR1003364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MB810 line cod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inimum bandwidth and DC-free
US4502143A (en) Consecutive identical digit suppression system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5809080A (en) System and method for coding partial response channels with noise predictive Viterbi detectors
US4255742A (en) Data communication code
US6031472A (en) Encoding/detection method for digital data transmitter with a signal having multiple levels
KR100356898B1 (en) Baseband code
US7274312B2 (en) High rate coding for media noise
EP0949785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DC balanced multilevel code
US6215826B1 (en) Method of coding signal for digital optical communication having spectrum which attains zero level at prescribed frequency
Roth et al. Why to use the phase in time-encoding modulation and its effect on the spectral efficiency
KR20110012525A (en) Line co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33022A (en) Modulation code system and methods of encoding and decoding a signal by multiple integration
Chen et al. DC-balance low-jitter transmission code for 4-PAM signaling
Zha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DC-free error-control block codes
Bergmans et al. Antiwhistle codes
Qiu et al. Improved pseudo-chaotic time hopping scheme for UWB impulse radio
Herzberg et al. Coding for a channel with quantization in the presence of an estimable interference
JP2573067B2 (en) Information conversion device
Wolf Modulation and coding for the magnetic recording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1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13